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용호,박도현,김성준,강명진,조현득,오미혜,박정훈,이석호,김홍수,박상흠,김선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7 Clinical Endoscopy Vol.34 No.3
Tumors of the minor papilla are very rare and these tumors have generally been known as neuroendocrine tumors such as carcinoid tumor and somatostatinoma. As these are mostly submucosal tumors, their diagnosis is difficult by just performing endoscopic forceps biopsy, but diagnosis is possible by surgery or endoscopic resection. EUS and ERCP is an essential tool for the diagnosis of these tumors, and abdominal CT or MRI is also useful because there is the possibility of malignant tumors such as carcinoid tumor. For our present two cases, screening endoscopy revealed the polypoid lesion of the minor papilla. EUS disclosed that the submucosal tumor was limited to the submucosal layer and no abnormality was found from the abdominal CT and ERCP. Herein, we performed endoscopic resection for mak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Histologically, these 2 tumors were diagnosed as ectopic pancreas and gangliocytic paraganglioma, respectively.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4:164-169) 십이지장의 소유두에 생기는 종양은 매우 드물고 주로 유암종이나 somatostatinoma와 같은 신경내분비계 종양으로 알려져 왔다. 소유두의 종양은 대부분 점막하종양의 소견을 보이므로 일반적인 조직검사만으로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수술이나 내시경 절제술에 의해서 진단이 가능하다. 이런 소유두의 종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내시경초음파와 내시경역행성췌담관조영술이 필요하고 유암종과 같은 악성 종양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복부 전산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의 검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주유두에 발생한 신경절세포 부신경절종과 이소성 췌장의 보고가 있었지만 아직까지 소유두에 발생한 이소성 췌장이나 신경절세포 부신경절종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저자들은 우연히 발견된 십이지장 소유두의 점막하종양의 2예에서 진단과 치료를 목적으로 시행한 내시경 절제술에 의해서 제거된 이소성 췌장과 신경절세포 부신경절종을 비슷한 시기에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콩의 생육단계별 HTO 증기 피폭에 따른 작물체내 TFWT 및 OBT 농도
최용호,이한수,임광묵,강희석,최희주,이원윤,박효국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4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9 No.4
피폭상자 내에서 콩을 생육단계별로 1시간 동안 HTO 증기에 피폭시켰다. 피폭종료 직후 작물체내 TFWT의 상대농도(피폭 시간 동안 피폭상자내 공기 수분중 평균 HTO 농도에 대한 백분율)는 대체로 잎 〉깍지〉종실 〉줄기의 순으로 잎에서는 최고 40.2%, 줄기에서는 최고 6.4%였다. TFWT 농도는 수확시까지 피폭시기에 따라 수 천~수 십만 배 감소하였으며 대체로 잎 〉깍지 〉종실 〉줄기의 순으로 감소 정도가 컸다. 수확시 OBT 상대농도(피폭종료 직후 잎의 TFWT 농도에 대한 건조시료 내 OBT 농도의 비, ㎖ g-1)는 콩 종실의 경우 피폭시기에 따라 2.2×10-5~9.5×10-3의 범위로 종실의 발육 최성기 피폭시 가장 높았다. OBT 농도의 피폭시기에 따른 변이는 종실과 꼬투리에서 경엽부에 비해 훨씬 컸다. 콩의 생육중 급성 피폭시 종실 소비에 따른 섭취피폭 선량은 대부분의 경우 거의 전적으로 OBT에 기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HTO의 단기적 사고방출시 두류내 3H 농도 예측을 위한 모델 수립 및 검증에 활용될 수 있다.서 론
사고시 논으로 유출된 핵종 이동 모델 및 실험결과와의 비교
최용호,최희주,임광묵,금동권,이한수,강희석,이창우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4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9 No.2
핵종 누출 사고시 논으로의 핵종 이동 평가를 위한 동적격실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에는 벼 재배에 필수적인 관개수를 고려하여 표면수 격실과 줄기기부흡수 개념을 도입하였고, 이식 전 쟁기질과 관개담수에 의한 토양 혼합을 고려하였으며, 벼 성장에 따른 뿌리흡수상수, 줄기기부흡수상수의 변화를 생체량의 함수로 모델링하였다. 모델의 타당성 조사를 위해 고리, 영광 및 울진 원자력 발전소 주변 지역에서 채취한 논토양으로 벼를 재배하면서 벼 생육단계별로 수행된 137Cs 모의 침적 실험 해석에 모델을 적용하였다. 모델은 대체적으로 한 승수 내에서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벼에 대한 원소상 요오드 증기$(I_2)$의 직접오염경로 해석 실험
최용호,임광묵,이창민,박효국,박두원,최근식,최희주,이한수,이창우,Choi, Y.H.,Lim, K.M.,Lee, C.M.,Park, H.G.,Park, D.W.,Choi, G.S.,Choi, H.J.,Lee, H.S.,Lee, C.W.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4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9 No.3
Rice plants were exposed to $I_2$ vapor for 80 min at different growth stages in an exposure box to investigate the parameters concerning direct plant contamination. Deposition velocity $(m\;s^{-1})$ of the $I_2$ vapor for the straws was in the range of $1.4{\times}10^{-5}-1.3{\times}10^{-4}$ depending on the exposure time, being comparatively low during the earlier part of the plant growth. Ear deposition velocity was in the range of $2.5{\times}10^{-5}-6.7{\times}10^{-5}$. Whole-plant deposition velocity was in the range of $1.4{\times}10^{-5}-1.8{\times}10^{-4}$ with the highest from the exposure performed on Aug. 18 (7 d after the start of heading). The time-dependent variation generally decreased when the deposition velocity was normalized to the biomass density No noteworthy tendency in the deposition velocity was observed with regard to the temperature, sunlight and humidity. Translocation factor for the hulled seeds was $3.3{\times}10^{-5}-4.7{\times}10^{-4}$ with the highest from the Aug. 23 exposure. It was found that a leaf deposition even before the ear emergence resulted in a considerable seed trans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