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경도 한국정부회계학회 2013 정부회계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 도입된 정부회계제도인 복식부기・발생주의 회계제도의 성과에 대한 관련자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정부회계제도의 성과는 회계정보의 유용성과 업무개선으로 보고 제도 인프라, 과업 전문성, 회계정보의 수요 등 회계제도의 특징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제도 인프라 측면에서 회계법규 기준의 완전성이 높아질 수록, 외부회계 감사가 잘 될수록, 이호조 시스템의 활용이 편리할수록 회계정보의 유용성에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제도 인프라인 회계법규 기준의 완전성이 높아질수록, 주민편의시설이나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실사의 신뢰성이 클수록, 이호조 시스템의 활용이 용이할수록 업무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다만 외부 회계감사는 업무 개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과업 전문성에서 회계 담당 공무원의 전문성이 향상될수록, 회계실무에 도움이 되는 회계매뉴얼이 잘 구비될수록 회계정보의 유용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과업 전문성에서 담당자 전문성, 업무의 독자성, 회계매뉴얼의 구비가 업무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섯째, 정보 수요에서 고위결정자 정보 활용, 실무부서 정보 활용이 회계정보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섯째, 정보 수요에서 고위결정자 정보 활용, 실무부서 정보 활용이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곱째, 회계 제도 특징이 회계제도 성과에 미치는 가설에서 먼저 회계제도 인프라, 과업전문성, 회계정보의 수요가 회계정보의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도 인프라와 과업의 전문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반면에 회계제도 인프라, 과업 전문성, 회계정보의 수요가 업무 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제도인프라, 과업의 전문성, 회계정보의 수요 등 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회계제도의 인프라는 운영기제로서 작용하는데 회계법규나 기준의 완비와 이호조의 편리성이 회계정보의 유용성과 업무 개선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외부회계감사는 회계정보의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주나 업무의 개선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나고 있다. 과업 전문성에서는 담당자의 전문성과 회계실무에 도움이 되는 매뉴얼의 구비가 회계정보의 유용성과 업무 개선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업무의 독자성이 제고되는 경우 업무 개선이 제고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회계정보에 대한 관심이나 활용 등 정보 수요 측면에서 고위결정자의 정보 활용과 실무부서의 정보 활용이 클수록 회계정보의 유용성과 업무 개선이 제고되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double-entry and accrual basis accounting system in Korean local governments. The research model is as follow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performance of double-entry and accrual accounting system standardized on two sorts, i) usefulness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and, ii) work achievement.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characteristics of double-entry and accrual accounting are th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the speciality on task, and information needs.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ANOVA analysis are used as the statistic methods. The Likert scale of one to five were used in measuring variab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on the usefulness of the doubleentry and accrual basis accounting system in local governments was not high. The score on the usefulness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was 3.51, 3.20 on work achievement, 3.28 on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and 3.21 on speciality on task, 2.99 on information needs, which was below average. Second, the results of the study's hypothesis tests are as follows; i)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has a positive effect to usefulness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and work achievement, ii) speciality on task has a positive effect to usefulness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and work achievement, iii) information needs has a positive effect to usefulness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and work achievement, iv) the characteristics of double-entry and accrual accounting as a whole has a positive effect to the performance of double-entry and accrual accounting system, v) the study found differences in attitudes between local governments, departments of local governments, and rank of public officials.
김경도,권미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3 민족문화논총 Vol.84 No.-
일본 잠수기어업의 피해로 인하여 제주어장이 황폐화되자 1895년부터 제주해녀는 부산, 울산 등지로 출어하기 시작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중국, 일본등지로 출어지역이 확대되었다. 해방 이후 해녀들은 울릉도 및 독도에 지속적으로 출어하기 시작했으며, 독도에 출어한 해녀의 경우 독도의 실효적 지배강화에 기여하기도 하였다. 제주해녀의 울릉도 및 독도 출어를 각각의 출어관행으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 일제강점기 전후로 울릉도 및 독도어장의 관리 체계가 상이하게 변화했기 때문이다. 해방 이후 울릉도 어민은 오징어, 꽁치, 명태 등 어업 다양화를 통하여 울릉도 어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마을공동어장의 활용을 통해 소득을증대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독도의 경우 17세기부터 일본이 적극적으로 침탈하고자 한 영토이었기 때문에 해방 이후에도 일본의 독도 침입 및 무력개입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독도의 정세는 독도의용수비대의 주둔 이후 점차 개선되기 시작했으며, 이후 울릉도 어민들이 독도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면서 안정되기 시작했다. 특히 최종덕에 의한 약 23년간의 독도어장 개발 및 정주어업의 결과 독도는 울릉도와 상이한 어업 체계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이는 해녀들의 출어에도 반영되었다. 이러한 울릉도 및 독도어장의 관리체계 변화는 제주해녀들의 출어 어업 체계에도 영향을 끼쳤다. 어업의 전문화에 따라 조업방식이 발전했으며, 이로인한 어구의 변화도 두드러졌다. 이는 해녀들의 고용계약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주해녀의 출어를 통한 마을 공동어장 조업은 울릉도 어민과 제주해녀들에게 소득 창출에 있어 상보적인 경제적 활동이었다. 또한 독도어장 활용은 실효적 지배라는 측면에서 독도영유권 강화에도 기여하였다. Due to the damages caused by Japan's underwater fishing industry, the fishing grounds of Jeju Island were devastated. Starting from 1895, Jeju Haenyeo (women divers) began migrating to locations such as Busan and Ulsan for fishing.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ir fishing activities extended to regions including China, Japan, and other areas. After Korea's liberation, the Haenyeo continued their fishing endeavors around Ulleungdo and Dokdo, with those fishing around Dokdo contributing to strengthening effective control over the isl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ishing practices of Jeju Haenyeo in Ulleungdo and Dokdo, as the management systems of these fishing grounds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Korea's liberation, Ulleungdo fishermen actively utilized the fishing grounds to diversify their catches like squid, mackerel, and Alaska pollock. They also worked to increase their income through the cooperative use of village fishing grounds. However, concerning Dokdo, it had been a territory actively sought by Japan for colonization since the 17th century, leading to ongoing intrusions and military interventions even after liberation. The situation around Dokdo began to stabiliz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Dokdo Coast Guard unit, enabling Ulleungdo fishermen to utilize the island more securely. Particularly, over about 23 years of Dokdo fishing ground development and residency efforts led by Choi Jong-Deok, fishing practices on Dokdo started to exhibit differences from those in Ulleungdo, a distinction that was also reflected in the activities of the Haenyeo. These changes in the management systems of Ulleungdo and Dokdo fishing grounds had an impact on the fishing practices of Jeju Haenyeo. Specialization in fishing techniques led to the evolution of fishing methods and alterations in fishing gear. These changes even influenced the terms of employment contracts for the Haenyeo. Ultimately, the cooperative village fishing practices of Jeju Haenyeo complemented the economic endeavors of both Ulleungdo fishermen and Jeju Haenyeo, contributing to income generation for both groups. Moreover, the utilization of Dokdo fishing grounds also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South Korea's territorial sovereignty through effective gover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