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상돈,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0 시각장애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visually impaired goalball players’ awareness about referees who are responsible for coordination of goalball matches; determine potential effects of referees’ judgments upon actual goalball match; deduce potential complainable factors and issues in various judgment situations of referees; and explore into possible positive ways to restore a relationship of trust between players and referees in the interest of developing goalball.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used a restructured questionnaire to survey total 86 goalball players who participated in a visually impaired goalball tournament of the 28th National Games for the Disabled in Korea. And all survey data collected from them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to meet the goals of study.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First, according to analysis on our visually impaired goalball players’ awareness about referees depending upon their sex, it is found that female players have a tendency toward higher awareness on reliability of referees than male ones, whereas male players have a tendency toward higher awareness on fairness and influence of referees than female ones. Secondly, according to analysis on visually impaired goalball players’ awareness about referees depending upon their match results, it is found that runner-up and 4th- or lower-ranking team players have a tendency toward to higher awareness on the promptness of referees than champion team players; champion, runner-up and 4th- or lower-ranking team players have a tendency toward to higher awareness on the reliability of referees than 3rd-ranking ones; and runner-up, 3rd- and 4th- or lower-ranking team players have a tendency toward to higher awareness on the fairness of referees than champion ones. Thirdly, according to analysis on visually impaired goalball players’ awareness about referees depending on their goalball career, it is found that 6-year or longer career group has a tendency toward to higher awareness about the influence of referees than 1-year or shorter career group. Fourthly, according to analysis on visually impaired goalball players’ awareness about referees depending on whether they ever have experiences in unfair judgment of referees, it is found that ‘unexperienced’ group has a tendency toward higher awareness on reliability and specialty of referees than ‘experienced’ group, while ‘experienced’ group has a tendency toward higher awareness on the influence of referees than ‘unexperienced’ group. Finally, according to analysis on visually impaired goalball players’ awareness about referees depending on their age, it is found that all of three age groups have a tendency toward ‘moderate’ or higher awareness about referee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 골볼 선수들의 심판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심판 판정이 경기에 미치는 영향과 다양한 심판의 판정 상황에 대한 불만족 요인 및 문제점을 추출하고 그에 따른 선수와 심판 상호간의 신뢰회복과 경기 발전을 위한 개선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는 제28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골볼 경기에 참가한 선수 8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 골볼 선수의 성별에 따른 심판에 대한 인식은 신뢰성에서는 여자선수가 남자선수보다 높으나, 공정성과 영향력에서는 남자 선수가 여자선수보다 높다. 둘째, 시각장애 골볼 선수의 경기성적에 따른 심판에 대한 인식은 신속성에서는 준우승, 4위 이하가 우승보다 높고, 신뢰성에서는 우승, 준우승, 4위 이하가 3위보다 높으며, 공정성에서는 준우승, 3위, 4위 이하가 우승보다 높다. 셋째, 시각장애 골볼 선수의 선수경력에 따른 심판에 대한 인식은 영향력에서 6년 이상인 집단이 1년 미만인 집단보다 높다. 넷째, 시각장애 골볼 선수의 부당한 판정경험 유무에 따른 심판에 대한 인식은 신뢰성과 전문성에서는 ‘없다’가 ‘있다’ 보다 높으나, 영향력에서는 ‘있다’가 ‘없다’ 보다 높다. 다섯째, 시각장애 골볼 선수의 연령에 따른 심판에 대한 인식은 세 집단 모두 ‘보통’ 이상의 인식을 보이고 있으나, 집단간 차이는 없다.
이상돈 ( Lee Sang Do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4 No.-
이 논문은 유가에서 제시된 즐거움에 대한 논의를 주자가 어떻게 독해하는지를 밝혀서 수양론의 이상적 경지가 어떻게 규정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주자는 공안락처와 증점기상을 통해 이 즐거움을 인격의 궁극, 이상적 경지의 마음 상태 또는 감정으로 설명하였다. 이 공안락처로서의 즐거움은 감각적 쾌락과 다르며 한가한 즐거움은 물론 아니며, 또한 도덕적 가치와 대상을 추구하여 얻는 즐거움도 아니다. 즉 도덕을 즐거워하는 단계의 즐거움과도 다른 것이다. 이렇게 도덕 실천과 감정과의 연관은 주자의 수양론을 이해하는 주요한 표지가 되고 있다. 그런데 주자가 보는 도덕에서의 감정은 보다 여러 층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주자가 이해하는 공안락처의 즐거움은 만물일체에서의 즐거움이다. 그러나 이 즐거움은 신비체험에 의해 획득된 전체와의 합일이라는 무차별한 경지가 아니라, 오히려 심과 리가 합일하여 사물에 합당하게 대처함이 자연스럽게 된 상태에서의 즐거움이다. 즉 그것은 각득기소가 가능한, 그러니까 모든 존재로 하여금 각각 합당한 몫을 얻게 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편안한 마음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도덕적 이상주의인 성리학의 학문적 이념인 수기치인이 실질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대부의 학문인 성리학에서 학문을 통해 성인된다는 이상은 단순한 이론적 가설차원이 아니라 이미 실현된 구체적인 인간 경험에 근거하여 수립된 것이다. 이는 송대에 형성된 성리학의 학문적 특성 중의 매우 핵심적인 지점을 짚어주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how Zhu xi comprehends the discussions about the pleasure presented in Confucianism and examines how the ideal status of mind in the self cultivating theory is defined. Zhu xi explained the pleasure through ultimate ideal person`s mind state or emotion through the konganlechu(孔顔樂處) and zhengdianqishang(曾點氣象) This pleasure as a konganlechu(孔顔樂處) is different from sensual pleasure, not leisurely pleasure, nor pleasure in seeking moral values and objects. In other woeds, it is different from the joy of enjoying morals. This connection between moral practice and emotions has become a major sign to understand the theory of Zhu xi. However, the emotions in the morality that zhu xi sees seem to have more layers. The joy of kongan(孔顔) that Zhu xi understands is the pleasure in the condition that wanwuyiti(萬物一體), However, this pleasure is not the indiscriminate state of unity with the whole which is acquired by mysterious experience, but rather the comfort in the condition the mind and principle become one and coped appropriately to the affairs naturally. So we can say that this is a comfortable state of mind where making each being to have a reasonable share of each, naturally takes place. Here, the moral idealism Neo-Confucianism can be practically realized. In other words, the ideal of being grown up to be sacred through scholarship will be established based on the concrete human experience that has already been realized, not merely a theoretical hypothesis in Neo-Confucianism. This points out a very important point in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Neo-Confucianism formed in Sung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