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은희,윤희정,이정아,임미정,장성완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1 No.2
서 론 옥상 녹화 시 일반적으로 식재 가능한 초화류들은 옥상의 열악한 환경에서 생육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내건성 및 내광성, 내습성, 내한성이 강한 식물들이 적합하다. 또한 주 변 곤충과 조류 등의 생물에 있어 생태적으로 중요한 요소 로 작용하기 때문에 경관적 측면 뿐 만 아니라 소생태계를 유인할 수 있는 장소 제공 면에서 생태적 측면 또한 중시하 여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관리적 측면에 있어 녹음 제공기능으로서의 교목류 식재보다는 적정 수준에서 지속 적으로 생육이 유지될 수 있는 초화류의 선정이 중요하다. 최근 들어 옥상 내 식물소재 선정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 면서 옥상 내 초화류를 포함한 다양한 식물소재와 관련한 연구들을 통하여(이은희 등, 2007; 최진우 등, 2009) 다양한 초화류의 식재적용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옥상 내에도 이러한 초화류 식물들을 이용한 다양한 식재유형이 요구된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상녹화 지원사업이 확대되어 적용 되고 있는 서울과 부산지역 내 옥상녹화 사례지 분석을 통 하여 옥상녹화지내의 초화류의 다양한 식재유형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연구내용 및 방법 최근 옥상녹화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는 서울시와 부산시 에서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7년 이내에 조성한 옥상 녹화지 20개소를 연구대상지(표 1)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대 상지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FLL(2002)과 Nature Research 1) 본 연구는 2011년도 환경부 차세대에코이노베이션기술개 발사업 ‘인공지반부 도시생태계 적응, 관리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음. report(2003)에서 제시된 녹화유형에 따라 식재식물의 패턴 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그림 1). 결과 및 고찰 1. 관리조방형· 단순관리형 옥상녹화공간 관리조방형이나 단순관리형옥상녹화공간은 대부분이 저 토심으로 식물선정 시 건조에 강하며 하중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식물이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Sedum류 식물은 수분변화와 관련한 환경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식물 로 토양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에 많이 식재되고 있는 식물이다(김명회 등, 2003; 강규이와 이은희, 2005). 잔디의 경우 또한 저토심에 식재 가능한 식물이나 적합한 종을 선택하지 않으면 많은 부분의 관리를 요하는 편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Sedum류 식물은 경사형, 지붕형과 같은 관리 조방형 녹화지에 주로 식재되어 있었는 데(표 1) 이러한 유형으로는 매트형과 유니트박스형이 주로 이용되었으며 식재된 식물은 주로 섬기린초, 애기기린초, 꿩의비름, 돌나물, 비단세덤, S. spurium 등의 Sedum류 식 물이었다. 이러한 식물들은 계절마다 변하는 잎의 특성을 이용한 식재로 디자인화가 가능한 유형(윤희정, 2008)이기 때문에 매트와 유니트박스를 이용한 디자인으로 경관성을 높일 수 있다. 경사면이나 지붕과 같은 관리 조방형의 옥상 녹화는 조성비용이나, 하중 및 관리요구도 등에서 도심 내 옥상 녹화기법으로의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부산국제 외국인학교의 지붕과 아미산 경사형 녹화지에서는 주로 Sedum류 식물을 이용한 매트와 유니트박스 녹화가 같이 이루어져 있었는데 특히 Sedum류 식물 뿐 만이 아니라 키 가 작은 두메부추, 타임, 부처꽃 등의 강건한 성질의 초본류가 혼식되어 생육하는 형태를 보였다(그림 2). 이 유형은 Sedum류 식물의 단일식재 뿐만 아니라 비교적 키가 작은 초화류를 혼식하여 종 다양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식물들의 생육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디자인화가 적용될 수 있는 유형이다. 서울여자대학교 행정관에 있는 옥상녹화지의 경우 10cm 의 저토심으로 이루어진 관리조방형 녹화지로 Sedum류 식 물 외에도 다양한 초화류가 식재되어 있었다. 특히 중앙부 분에는 층꽃나무, 구절초, 두메부추, 둥글레 등의 다양한 초 화류와 Sedum류 식물이 다양하게 식재되어 있어 초화류만 을 가지고도 식물 종 다양성은 물론 다채로운 경관을 연출 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이다(그림 3). 2. 관리집약형 녹화 관리집약적인 혼합형 녹화지에서는 면적이 넓은 경우에 는 중앙의 넓은 공간에 주로 잔디를 식재하는 유형을 볼 수 있다(그림4). 주로 하중의 영향을 많이 받는 중앙부분에는 Sedum류 나 지피류 등의 키가 작은 초화류로 식재한 경우가 많았으 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다양한 지피류 및 교·관목의 상층수 관과 함께 어우러진 다양한 다층구조와 군락형태의 초화류 가 식재된 특징을 나타내었다(그림 3). 특히 백화점과 같은 사람의 이동이 많은 상업시설에서는 가장자리지역에는 녹 음을 주는 교·관목 밑에 다양한 하부식생의 식재형태를 나 타내었으며 중앙부분에 데크를 이용한 이동로에는 초화류 를 단일로 식재하거나 섬형으로 1-2년초 초본류와 다년초 를 혼식하고 그 주변을 관목으로 식재하는 형태를 나타내었 다(그림 6). KCDF 갤러리와 타임스퀘어의 경우 다양한 높 이와 색상의 초본류와 관목을 적절히 식재하여 볼륨감을 연출하였다(그림 5). 또한 가장자리에는 펜스를 설치하여 아이비, 송악과 같은 넝쿨식물로 실외기 등의 시설물 차폐를 하고 그 주변을 다 양한 볼륨의 초화류로 식재하거나 오죽과 같은 교목류를 식재하여 그 밑의 하부식재를 관목류와 초화류로 식재하여 연결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그림 6). 결 론 옥상 녹화지는 환경적 제약으로 인해 일반녹화지보다 초 화류의 선정이 다양하지 못하다. 그러나 몇 가지 사례들에 서 나타난 것과 같이 녹화유형에 따라 다양한 식물이 단식 혹은 혼식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저토심위주인 관리 조방형·단순관리형의 녹화지는 주로 Sedum류와 초화류를 식재하는 유형을 보였다. 이는 도심에서 사라져가는 건조 비오톱을 조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관리집 약형의 녹화지에서는 다양한 식재유형이 나타났으나 주로 넓은 면적공간에는 잔디 한 종류만을 식재하고 가장자리에 는 초화류 식재, 그리고 교·관목식재를 들 수 있다. 본 연구 에서 조사된 초화류를 적용한 교·관목하부식재를 통해 관리 집약형에서도 생태적 다양성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관 리집약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하부식재유형은 상층수관 과의 연결에 따라 종 다양도와 견제도가 높아져 안정 상태 로 유지되어 생태적 기능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다층식재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용문헌 강규이, 이은희. 2005. 관리조방적 옥상녹화에 적합한 자생초화류 와 식재토양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학회지. 8(4):23-31 김명회, 방광자, 주진희, 한승원 (2003) 옥상조경용 경량토양의 혼합 비와 토심이 3가지 자생 초화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 학회. 31(1):101-107 이은희, 조은진, 박민영, 김동욱, 장성환 (2007) 초화류를 중심으로 한 관리조방적 옥상녹화용 식물 선정 윤희정 (2008) 녹화매트의 종류가 Sedum류의 발근과 생육에 미치 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40-42 최진우, 김학기, 이경재, 강현경 (2009) 저토심 인공지반 녹화공법의 경제성 및 도입 가능한 지피식물의 생육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7(5):98-108 English Nature Research. 2003. Green roofs:their existing status and potential for conserving biodiversity in urban areas. Reports Number 498 FLL(ForschungsgesellschaftLandschaftsentwicklung Landschaftsbau e.V). 2002. Guidelines for the planning, execution and upkeep of green roof sites. FLL.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다중성 연구-TV 애니메이션 <심슨가족>을 중심으로
이은희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5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Centering around <The Simpsons> of TV Animation Lee Eun Hee Nowadays, people of the center of economic activity ages are very enjoying animation. many of this people are interested about animation and character. So when the people see an animation, see the story through the view of characters rather than their own view. It mean, many adult people, feel the same way about character‘s thinking and behavior. The result was,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s animation is no longer just for kids anymore. Recently age to purchase character animation is becoming diverse. That's why Kidult population has been gradually spreading. Monetization of animation is firstly animation box office. As well as variety character development will bring a lot of benefit. Therefore, Character became the chief element of animation success. So the study of character are getting deepening. This study is a long time Popularity in the American TV animation series, < The Simpsons> Character personality analysis. Study methods is, character of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It mean, I looked at the basic theory about the personality and multiple personality. And to target the recently telecast end 26 season episodes analyzed a multiplicity of characters. As a result Characters a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s personality shows multiple personality in to each story situation. Multiple personality tendencies character is popular with people. Popular reason for people can be found through <The Simpsons> 20th Anniversary Special video. These result Analysis of the role of character and personality of an animation character it will help future new the character creation and future animations project. it will also main factors of success characters industry will expected.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다중성 연구-TV 애니메이션<심슨가족>을 중심으로이은희경제활동 인구의 중심 연령층이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통해 이야기에 몰입하고, 동일시되는 사례가 많아지는 현상을 통해 알 수있듯이, 문화 콘텐츠산업으로서 애니메이션은 더 이상 어린이의 전유물이아니다. 최근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소요하는 연령대가 다양해지면서 키덜트(kidult) 인구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애니메이션의 수익 창출은 애니메이션 자체의 흥행수입뿐만 아니라, 캐릭터를 활용한 다양한 상품개발에도있는 것이다. 따라서 애니메이션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요인에 캐릭터의비중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TV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오랜 기간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온 <심슨가족>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성격에 관한 연구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배경을 통해 성격 즉 인격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다중인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근 종영된 26시즌의 에피소드를 대상으로 캐릭터의다중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석대상 캐릭터들은 각 스토리 상황에서캐릭터의 성격적 역할이 다중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발견되었다. 다중인격성향의 이들 캐릭터가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이유는 <심슨가족> 20주년기념 스페셜 영상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역할과 성격에 대한 분석결과는 향후 애니메이션 기획 및 제작 과정에서캐릭터설정에 활용하여 문화적으로 애니메이션은 물론이고 캐릭터산업에대한 주된 흥행 요인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이은희,윤가현,이정숙 한국임상심리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reduction of caregiving burden,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primary caregivers of persons with dementia in comparison with a control group. The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Lee and Youn(2005). The program consisted of 3 parts; psychological education, stress management, and coping skills. 31 primary caregivers were recruited in Y and S hospitals in Gwangju and Chonnam area and divided into 2 groups i.e Intervention Group(n=15) and Control Group(n=16) with the homogeneous characteristics of the demographic traits and the severity of persons with dementia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kill, memory problems, and behavior problem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long-term effect(3 month) of the intervention program. Study took 3 groups proceeded one after another because there were not sufficient persons at the same time from June 2004 to March 2005. All the caregivers participing in the study responded to the same questionnaire 3 times such as, before the intervention(pre), after the intervention(post), and 3 month after the intervention(follow-up). The data was analyzed with repeated measure ANOVA, paired t-test and 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caregiving burden,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intervention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t post treatment and follow-up after 3 months which indicated the continuity of intervention effect.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changes during the sametim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was that cognitive behaviour intervention can have significant benefits to caregivers of persons with dementia. In the last part of the study, the suggestions, the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 of the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이은희와 윤가현(2005)이 국내 치매노인 주부양자들을 위하여 개발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부양스트레스(부양부담, 우울 및 불안) 감소효과와 그 지속성을 검증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정신과 전문의가 치매로 진단한 외래환자들 중에서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치매노인의 주부양자들 31명으로 개입집단(15명)과 통제집단(16명)으로 구분하여 개입 전과 개입 후 및 개입종료 3개월 후에 부담감척도(Burden Interview), 우울척도(CES-D) 및 불안척도(Anxiety Scale)를 사용하여 개입프로그램의 효과와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개입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은 치매노인의 특성(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일상생활능력, 기억문제 및 문제행동)과 주부양자의 특성(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부양부담, 우울 및 불안수준)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개입집단에서는 부양부담, 우울 및 불안수준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통제집단의 경우에는 어떤 종속측정치에서도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아서 주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는 자발적으로 감소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또 3개월 후에 실시한 추후검사에서도 개입프로그램의 지속효과가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이은희 대구보건대학 1994 대구보건대학 論文集 Vol.14 No.-
Patients have paid the cost shaving devices of the medical insurance because of protection of insurance public finance as medical cost increase 65.5 percent In the senior nation the cost shaving devices is 0~11 percent but In Korea the cost sharing is 50 percent. These days it is increasing. Insurance public finance has profited since 1986. While people in the lower brackets of income is decreasing medical request because of increasing of the cost shaving devices. The cost shaving devices will be decreased on account of disobedience in medical insurance which pursuits common profited.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도형조작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공간지각 및 추리에 미치는 영향
이은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figure manipulation learning using storytelling on spatial perception and reasoning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order to goal, this study selected a thirty students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dministrated a figure manipulation learning using storytelling took place with the experimental group one to three times weekly, which added up to be twenty times throughout the research.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effects of figure manipulation learning using storytelling were a mor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spatial percep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y providing them with the way perceive the space. It therefore proves to be a mor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developing spatial perception. Second, Thus, figure manipulation learning using storytelling improves figure reasoning by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reasoning of figure and spatial factor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lso, reading books is more effective teaching strategy to improve verbal reasoning by leading them to acquire language and widening their imagination.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figure manipulation learning using storytelling is a very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helps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improving both spatial perception and improving their reasoning.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도형조작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공간지각 및 추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도에 소재한 D특수학교 고등부에 재학하고 있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 중에서 지적장애로 판별된 학생 3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배치하여 실험집단에는 주 1~3회씩 총 20회기에 걸쳐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도형조작학습을 시행하고, 통제집단에는 같은 시기동안 직접교수를 통한 도형조작학습을 시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도형조작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직접교수를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공간지각 및 추리에서 더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자연스러운 매개체로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도형조작학습은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내 자발적으로 동기 유발이 되게 하여 수학에 대한 거부감을 감소시키고, 구체물을 직접 조작하고 사고하는 과정을 통해 공간으로부터 주어지는 자극을 인식하고 식별하는데 필요한 공간개념 및 수학적 개념과 창조적인 사고를 형성할 수 있어서 전통적인 직접교수법보다 지적장애학생의 공간지각 및 추리 향상에 더욱 효과적인 교수전략 방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도형조작학습은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들이 실생활 속에서 부딪히는 수학적 문제해결의 기초가 되는 공간지각과 일상생활 속에서 지식을 단편적으로 생각하는 지적장애학생들에게 다양한 상황에 필요한 능력인 추리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신생아 지속 폐동맥 고혈압에서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의 임상적 적용
이은희,최병민 대한신생아학회 2015 Neonatal medicine Vol.22 No.2
Inhaled nitric oxide (iNO) is recognized as a potent and selective pulmonary vasodilator that does not decrease systemic vascular tone. The therapeutic application of iNO in human was first described in 1991. Subsequent reports showed that iNO therapy was effective to improve oxygenation in infants with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PPHN). Owing to its selective pulmonary vasodilator effects, iNO therapy is an important treatment for term newborns with hypoxemic respiratory failure due to PPHN.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irst approved iNO in 1999 for use as a medical gas to treat hypoxic respiratory failure associated with clinical or echocardiographic evidence of pulmonary hypertension in term and late preterm neonates. Thereafter, iNO therapy is clinically applied to treat PPHN in term and late preterm neonates without consensus. In this review, we focused on the clinical practice of iNO therapy in PPHN. Based on published studies, we discuss iNO initiation and withdrawal methods, respiratory support devices that complement iNO therapy, and the patient and gas monitoring during iNO therapy.
이은희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아시아문화연구 Vol.45 No.-
Previous studies regarded that the reserve colonel Kim Changsuk pioneered Moran region in Seongnam City on his free will. Because he gave the name of Moran to that place and made the Moran farm. This study insisted that Moran region was built one of rural settlement program of Veterans policy from 1950’. After the Korean War, Veterans became problematic group.Korean government helped them come back normal life as a farmer and the reserve colonel lead this program. In these conditions Kim Changsuk could challenge to reclaim wildland with Veterans. But the Moran Farm end in failure in three years. The reasons are uncertainty of acquisition of ownership owing to excessive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his scandal of relief goods and his poor farm management. Even though the Moran farm failed and Kim Changsuk disappeared, Moran region became the cultural center at the end of eastern suburbs of Seoul in virtue of market, school and post-office that were built with the Moran Farm 기존에는 성남 모란지역이 ‘모란’이라는 지명을 붙인 김창숙 예비역 대령 개인의 개척의지로 탄생되었다고 알려져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성남 모란지역은 1950년대부터 정부가 추진하던 제대군인 농촌정착사업의 일환으로 탄생되었음을 밝혔다. 정부가 한국전쟁 이후 사회문제가 된 제대군인을 사회에 복귀시키기 위한 농촌정착사업을 시도했고, 예비역 장교가 이를 주도하도록 지원했다. 김창숙은 이러한 정책적 지원을 염두에 두고 제대군인을 모아 모란지역을 개간했다. 그러나 지나친 사유권 보호로 인한 황무지 소유권 취득의 불확실성, 김창숙의 구호물자 비리, 농장경영 미숙으로 인해 모란농장은 2-3년 후 실패했다. 모란농장과 김창숙이 사라졌어도, 모란농장과 함께 세워진 시장, 학교, 우체국으로 말미암아 모란지역은 서울 주변부 말단 상업지역으로 자리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