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KCI등재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 연구

        오판진(Oh, Pan-jin),유상언(Yoo, Sang-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hold a pencil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Korean and to find ways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Methods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among the qualitativ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Yoo Sang-eon for a single case of how to hold a pencil, Hangul files related to his claims, YouTube materials, student handwriting materials, and testimonials were used in this study. Textbooks and teacher s guides were analyzed in a multi-layered manner, along with texts and letters.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position of the finger guiding i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first grade textbook. In other words, if you look at the position of your fingers when writing, holding a pencil while holding your thumb and index finger in a circle is not the optimal way. Also, it is not appropriate to place your elbows on the desk when writing, so it is a guideline that needs to be corrected. On the other hand, Yoo Sang-eon s method of holding a pencil is a better way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Here s how to hold a pencil correctly, as he suggests. First, put the tip of the thumb and middle finger together to make a round shape, and then place the pencil on the nail area of the middle finger and the area next to the bone where the index finger begins. Second, lift your thumb upwards, bend it at a right angle, and press the pencil gently from above. Third, bend the forefinger close to a right angle and put it lightly between the thumb and middle finger without straining. Fourth, write in such a way that the wrist or arm where you are writing extends slightly over the edge of the desk. Conclusions If you write according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finger holding the pencil as suggested by Yoo Sang-eon, the force of the finger applied to the pencil is maintained evenly, so that you can write more correctly.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을 분석하고, 학생들이 바른 글씨를 쓰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가운데 사례 연구라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유상언의 연필 잡는 법이라는 단일 사례를 대상으로 그와의 인터뷰 자료와 그가 주장하는 내용과 관련한 한글 파일, 유튜브 자료, 학생들의 글씨 자료, 소감문이나 편지글 등과 함께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다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1학년 교과서에서 안내하고 있는 손가락의 위치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글씨를 쓸 때 손가락의 위치를 보면, 엄지와 검지를 둥그렇게 모으면서 연필을 잡는 방법은 최적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글씨를 쓸 때 팔꿈치를 책상 위에 올리도록 한 것도 적절하지 못해서 수정해야 할 지침이다. 이와 달리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학생들이 글씨를 바르게 쓰는 데 도움을 주는 더 나은 방법이다. 그가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끝을 맞잡아 둥글게 만든 후 가운뎃손가락의 손톱 부위와 집게손가락이 시작되는 뼈 옆 부위에 연필을 올린다. 둘째, 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어서 직각으로 꺾은 후 연필을 위에서 지그시 눌러 준다. 셋째, 집게손가락도 직각 가깝게 꺾어서 엄지와 가운뎃손가락의 사이에 힘주지 않고 살짝 붙여만 준다. 넷째, 글씨 쓰는 손목이나 팔이 책상 모서리에 약간 걸치는 정도로 해서 글씨를 쓴다. 결론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 잡는 손가락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 글씨를 쓰면, 연필에 가해지는 손가락의 힘이 균등하게 유지되어 편안한 자세로 글씨를 더 바르고 쉽게 쓸 수 있다.

      • KCI등재

        Tryophagus putrescentiae induces 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s from the human cell lines THP-1 and EoL-1 cells

        Jeon SangJin,Kim Eun Joo,Oh Jihyun,Yun Chi‐Young 한국곤충학회 2020 Entomological Research Vol.50 No.7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oles of the storage mite Tyrophagus putrescentiae (Tp) in relation to human skin diseases, such as atopic dermatitis. We examined the effects of T. putrescentiae extracts (TpE) on the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their mRNA expression in human immune cells. Human monocytic THP-1 and eosinophilic EoL-1 cells were challenged with TpE and the 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6 (IL-6), interleukin-8 (IL-8), and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 secreted in culture supernatant were analyzed using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e mRNA levels in the cell cultures were also measured via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In the THP-1 cells, the TpE significantly induced the secretion of IL-6, IL-8, and MCP-1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It also stimulated increases in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IL-6, IL-8, and MCP-1 mRNA. However, while the TpE induced IL-8 and MCP-1 mRNA levels in the EoL-1 cells, it did not induce IL-6 expression. Using Western blot analysis, we confirmed the activ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a member of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in response to TpE challenge of the THP-1 cells. Collectively, our results show that TpE challenge elicits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human monocytic THP-1 and eosinophilic EoL-1 cells, and it induces increased production of the inflammatory cytokines IL-6, IL-8, and MCP-1.

      • KCI등재

        석탄회를 이용한 석탄광산 폐기물의 안정화 효율성 평가

        오세진(Se-Jin Oh),김성철(Sung-Chul Kim),고주인(Ju-In Ko),이진수(Jin-Soo Lee),양재의(Jae E. Ya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는 다량의 중금속을 함유하는 폐석탄 광산에 적치된 폐석으로부터 발생하는 침출수의 안정화를 위해 석탄회를 안정화제로서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석탄폐석에 석탄회를 적용하여 컬럼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석탄회의 pH는 비산재와 바닥재가 각각 11.1, 9.7의 강알칼리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강산성 조건의 폐석 (pH 3.5)를 교정하였으며 유기물을 비롯하여 식물생장에 필요한 영양소인 인산, 칼슘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나 폐석과 혼합할 경우 비옥도가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폐석만을 충진한 컬럼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pH는 3.5~4.0의 수준을 시험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석탄회의 처리량에 따라 40% (pH 5.0~6.0) 〉 20% (pH 4.5)로 나타나고, 동일 처리량 (40%)의 처리방법에 따른 효율성은 완전혼합 (pH& & 5.0~6.0) 방법이 층위처리 (pH 4.0~4.5)에 비해 pH 상승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침출수의 Ca과 Mg의 함량은 4 pore volume까지 빠르게 용탈되다 그 이후부터 안정화 되었으며 석탄회에서 용탈된 Ca과 Mg의 영향으로 폐석에 함유되었던 Cu, Pb, As, 및 Al 등이 탄산이온 (CO₃<SUP>2-</SUP>) 또는 수산화이온 (OH-)과 불용성 화합물을 형성하여 안정화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철의 용존함유량에 대한 분석결과 석탄회 처리구의 용존량이 석탄회를 40% 층위처리한 처리구를 제외하고 대조구에 비해 약 8-74%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5) 석탄회를 이용한 폐석의 중화 및 철의 용존량 감소 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폐석의 중화 효율성은 석탄회를 40% 완전혼합한 경우 가장 높았으며 철의 용존량 감소 효율성은 석탄회를 20% 완전혼합한 경우가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석탄회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폐석을 처리할 경우 약 20-40%의 석탄회를 처리해야 높은 효율성을 얻을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coal combustion ash (CCA) was evaluated for its stabilization effect on acidic mine waste with column experiment. Total of six treatments were installed depending on mixing ratio between coal wastes and CCA (0, 20, 40%) and mixing method (completely mixing and layered). Artificial acidic rain (pH 5.6) was used for feeding solution with flow rate of 0.05 mL min<SUP>-1</SUP>. Result showed that higher pH of leachate was observed as more CCA was mixed. The highest pH in leachate was measured when 40% of CCA was mixed with coal waste (pH of 5.8). Also, complete mixing with CCA and coal waste was more effective to increase the pH of leachate than layered treatment. Regarding the reduction of soluble Fe amount, the highest efficiency (78%) was observed when 20% of coal ash was completely mixed with mine waste. Based on those result, optimum mixing ratio of coal ash with mine waste can be ranged 20-40% depending on environmental circumstances in the field.

      • KCI등재

        제주도 지하수 질산염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 장기(1993-2015) 모니터링 자료의 평가

        김호림(Ho-Rim Kim),오준섭(Junseop Oh),도현권(Hyun-Kwon Do),이경진(Kyung-Jin Lee),현익현(Ik-Hyun Hyun),오상실(Sang-Sil Oh),감상규(Sang-Kyu Kam),윤성택(Seong-Taek Y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 자원환경지질 Vol.51 No.1

        1993년부터 2015년까지 관측된 제주도 지하수 장기모니터링 관측정(N = 4,835)에서 수집된 지하수 수질자료(N = 21,568)를 기반으로 질산성질소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주도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농도의 중앙값은 2.5 mg/L로서 다른 국가나 대륙의 조사 결과에 비해 다소 높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하수 용도, 행정구역 및 고도 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산간 지역에 비해 저지대 해안가에 위치한 농업 및 주거지역에서 농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Mann-Kendall 및 Sen’s slope 분석을 활용한 질산성질소 농도의 추세 분석 결과, 하류 저지 대에 비해 중산간지역에서의 질산성질소 농도 증가 경향이 뚜렷하였다. 제주도 내 토지 피복의 시계열 변화 특성과 결부 지어 보면, 중산간지역의 오염 증가 추세는 농업지역의 확장 등 인위적 활동 증가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반면,기지정된 지하수자원특별관리구역에서는 전반적으로 질산성질소 농도의 감소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지하수 관리 측면에서 수질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이 유효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오염관리를 위한 적정 방안을 제안한다.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nitrate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f Jeju Island were evaluated by an analysis of time series groundwater quality data (N = 21,568) that were collected from reg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umber of wells = 4,835) for up to 20 years between 1993 and 2015. The median concentration of NO 3 -N is 2.5 mg/L,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ose reported from regional surveys in other countries. Nitrate concentrations of groundwater in wells tend to significantly vary according to different water usage (of the well),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opographic elevations: nitrate level is higher in low-lying agricultural and residential areas than those in high mountainous areas. The Mann-Kendall trend test and Sen’s slope analysis show that nitrate concentration in mid-mountainous areas tends to increase, possibly due to the expansion of agricultural areas toward highland. On the other hand, nitrate concentrations in the Specially Designated Groundwater Quality Protection Zones show the temporally decreasing trend, which implies the efficiency of groundwater management actions in Jeju. Proper measures for sustainable groundwater quality management are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중국의 정보통신기술 표준 전략 : 한국의 정보통신산업에 주는 함의

        이희진,오상조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8 정보화정책 Vol.15 No.4

        Since China's accession to WTO in 2001, standards have emerged as an effective means to protect and promote domestic industries, especially in the ICT sector. China develops its own standards in many areas of the ICT sector, and intends to establish each of them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Despite the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the impacts of these standard setting attempts on the ICT industry in Korea, there is little research in this area. This paper investigates China's attempts to set up ICT standards. Three standards (WAPI, TD-SCDMA and AVS) are examined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rocesses of their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Techno-nationalism and techno-globalism are use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China's ICT standards strategy. In contrast with a previous study which concludes China's standards policy as 'neo-techno-nationalism', this paper reveals that each case has a distinguished orientation in terms of techno-nationalism and techno-gloabalism: WAPI is aligned with techno-nationalism, TD-SCDMA with techno-globalism, and AVS with techno-hybrids or neo-techno-nationalism. Implications for the Korean ICT industry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Korean ICT firms' entrance to the Chinese market, ICT standards in coming FTAs, and standards wars where Korean ICT firms are increasingly involved. 중국은 정보통신 여러 분야에서 자국의 표준을 제정하고 이를 세계표준으로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 기술 혁신 시스템에 대한 연구들에 바탕을 두고 중국의 정보통신 표준 제정 시도를 분석한다. 중국의 정보통신분야 표준 제정 노력 중, 대표적인 세 가지 표준(WAPI, TD-SCDMA와 AVS)의 개발 및 표준화 전개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들 표준들은 그 제정 과정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표준 제정의 시작 시점, 수립하고자 했던 표준의 종류, 표준화 작업그룹 내의 외국 기업 참여, 동기 등의 측면에서 상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중국의 표준 제정 정책은 포괄적인 국가의 관여, 국가와 민간부문의 적극적인 연계 등의 특징을 갖는 신기술국가주의라는 하나의 틀로 범주화하기는 어렵고, 기술국가주의(WAPI), 기술세계주의(TD-SCDMA), 그리고 혼합(AVS)의 형태를 띠면서 진화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한국 정보통신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 정보통신 기술을 둘러싼 세계 표준 전쟁, 미국 및 유럽과의 FTA 등의 맥락에서 중국의 표준 정책을 이해하는 것이 한국의 정보통신 산업에 갖는 중요성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한다.

      • DSP 보드를 이용한 OFDM 모뎀 구현

        오정훈,신인식,김영수,서덕영,김진상 경희-다반 ASIC 설계교육센터 2005 경희-다반 ASIC센터 논문집 Vol.6 No.-

        본 논문에서는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적하한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모뎀을 Texas Instrument(TI)사의 범용 DSP 프로세서인 TMS320C6701을 기반으로 한 PCI/C6701 보드를 이용해서 소프트웨어로 설계하였다. 모듈은 크게 보드를 제어할 수 있는 타겟 프로그램과 호스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타겟 프로그렘은 IEEE 802.11a Wireless LAN 규격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호스트 프로그램은 타겟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와 BSP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으로 이루어진다.

      • KCI등재후보

        제주도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스쿠티카충병 발생 동향

        진창남,이창훈,오상필,정용욱,송춘복,이제희,허문수 한국어병학회 2003 한국어병학회지 Vol.16 No.2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o know the occurrence trend of scuticociliatosis and mortality of fingerlings in flounder. The diseased fish were collected from on-land rearing farms and hatcheries of flounder in Jeju Island form January 1991 to December 2001. Occurrence of scuticociliatosis was about 10% of total occurred diseases for 1991 to 1996, but increased to 34.5% in 2001. Although monthly occurrence of seuticociliatosis was not related to season from 1999 to 2001, the highest occurrence was revealed in July and August. Mixed infections of bacteria including Vibrio sp., Edwardsiella tarda, Streptococcus sp., and Flexibacter sp., with seuticociliates were observed. Among the bacteria, Vibrio sp., was the highest frequency(40.1%), and the lowest one(10.1%) was Streptococcus sp., Mortality of fingerlings by seuticociliates was different sharply according to size of fish. Mortality of infected fingerlings below 7㎝ of total length was 53.8%, while that of normal fingerling above 7㎝ of total length was 13.2%. When fish were grown above 25㎝, mass mortality by seuticociliates infection was decreased markedly.

      • 공주 공산성 원형연못의 지반에 대한 탄성파 굴절법 탐사

        오진용,변성환,서만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04 문화재과학기술 Vol.3 No.1

        탄성파 탐사는 인공지진파를 이용하여 지표면 하부의 물성을 알아내는 지구물리탐사로서 20세기 초부터 석유탐사와 공학적 지반조사에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굴절법 탄성파 탐사는 지층의 탄성파 속도를 알아내는 방법으로서 최근에는 석조문화재 등의 지반특성 조사에서 사용된 예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공주 공산성의 쌍수정 광장에 위치하는 공산성 원형연못 주변의 지반에 대하여 굴절법 탐사를 실시하였다. 쌍수정 광장은 기본의 발굴조사를 통하여 백제 추정왕궁지가 위치한 곳으로 알려졌으며, 광장 남쪽에 원형연못(상면직경 7.3m, 바닥직경 4.78m, 높이 3m)도 발굴되었다. 원형연못 주변에 5개 탄성파 측선을 설치하였고, 해머 타격점과 수신기 배열을 3가지 다른 방식을 적용하여 24m, 31m, 48m 측선길이의 굴절법 자료를 얻었다. 대체로 공산성 원형연못 주변의 지반은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층의 겉보기 속도는 약 261~391 m/s, 약 591~992m/s, 약 1950~3230 m/s이며, 첫 번째와 두 번째 측의 두께는 각각 약 2~2.4m 와 4.6~8.6m이다. 일반적으로 최하부 층의 속도는 기반암, 상부층들이 속도는 풍화토에 대응한다. 그러나 두 번째 층이 주시곡선 형태와 속도 범위는 국내 석탑 문화재 하부의 것과 유사한 것으로 보아 공산성 연못 주변은 인공적인 기초지반의 가능성을 제기하며, 그렇다면 공산성 원형연못은 파내려 간 것보다는 쌓아 올렸을 것이다. Seismic survey using artificial earthquake waves is one of the most popular geophysical method for petroleum exploration and engineering prospecting from the early 20th century. Recently seismic refraction method which can reveal the sub-surface velocity structure is introduced for the site characterization of the domestic stone pagod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eismic velocity structures of the underground near the Kongsansung Cirular Pond at the southern part of the Ssangsujung Park in Gongju. As the result of early excavations, the Ssangsujung Park has been known as the assumed site of the Palace of the Paekje Dynasty and Circular Pond (top diameter 7.3 m, bottom diameter 4.78m, and height 3m) was also discovered. Along 3 seismic lines near the Circular Pond, three kinds of source-receiver array are applied to obtain the refraction data with the corresponding maximum offset of 24m, 31m, and 48m. Shallow subsurface near the Circular Pond largely consists of three layers with the velocities of about 261~392 m/s, about 591~992 m/s, about 1950~3230 m/s, respectively. Upper two layers have the thickness of about 2~2.4 m and about 2.6~8.6 m each. In general, the bottom layer can be interpreted to the basement, and the upper layers with the lower velocities can be correlated to the weathered soil. Compared with the pattern of the traveltime-distance graph and the range of the velocities of the site near domestic stone pagodas, however, the middle layer can be interpreted as the artificial foundation. Consequently, the Kongsansung Circular Pond is possibly built upwardly rather than dig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