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제주지역 미세먼지의 장기변동 및 농도변화에 관한 국지기상 분석

        박연희 ( Yeon Hee Park ),송상근 ( Sang Keun Song ),이수정 ( Soo Jeong Lee ),김석우 ( Suk Woo Kim ),한승범 ( Seung Bum Han ) 한국환경과학회 2016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5 No.1

        Long-term variations of PM_{10} an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meteorology related to its concentration changes were analyzed at 4 air quality sites (Ido-dong, Yeon-dong, Donghong-dong, and Gosan) in Jeju during two different periods, such as PI (2001-2006) and PII (2007-2013), over a 13-year period. Overall, the long-term trend of PM_{10} was very slightly downward during the whole study period, while the high PM_{10} concentrations in PII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than those in PI. The concentration variations of PM_{10} during the study period was clarified in correlation between PM_{10}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e.g. the low (high) PM_{10} concentration with large (small) precipitation or high (low) radiation and in part high PM_{10} concentrations (especially, Donghong-dong and Gosan) with strong wind speed and the westerly/northwesterly winds. This was likely to be caused by the transport effect (from the polluted regions of China) rather than the contribution of local emission sources. The PM_{10} concentrations in “Asian dust” and “Haze” weather types were higher, whereas those in “Precipitation”, “Fog”, and “Thunder and Lighting” weather types were lower. The contribution of long-range transport to the observed PM_{10} levels in the urban center (Ido-dong, Yeon-dong, and Donghong-dong), if estimated by comparison to the data of the background site (Gosan), was found to explain about 80% (on average) of its input.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테니스 게임분석을 통한 선수의 수행능력 평가

        우상연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9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테니스 경기에서의 승리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근거와 실제적 지침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97 전 한국 테니스 대회 남자부 32강 경기중의 한 경기를 대상으로 승패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한 시간적인 변인들과 운동학적 변인들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운동 수행 결과를 평가하고 예측하고자 하였다. 분석 변인들은 서비스 성공률 및 득점률, 공격구간과 수비 구간의 소요시간, 공략 기술에 대한 기술 빈도, 언 포스드 에러, 선수의 이동경로, 기술별 타점위치, 그리고 선수와 볼 간거리 및 타점높이 등이다.

      • 배구 패스의 연습방법에 따른 학습효과 분석

        우상연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3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ing upon the practice styles of volleyball pas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Sixty subjects who liv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For analyzing the data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block was us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vertical upward pass was the most effectiveness for the beginner.

      • 테니스 포핸드 스트로크 시 왼팔의 이용 유무가 스트로크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우상연,최성범,김호묵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1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accuracy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forehand strokes upon using the left-hand and non the using left hand in tennis. Six unskilled collegiate players who complied primary tennis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requested to hit 10 balls with 4 types each: first, it was two directions(down the line, cross), second, it was two velocities(slow ball, fast ball) and then it was type of using left hand. Variables such as accuracy, time, distance, angle and velocity variables were measured by USPTA method and video camer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curacy of hitting balls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using left hand. While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ball velocity and hitting direction. 2) impact positions of hitting ball we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using left hand. While impact positions were done near by target direction in cross direction then down the line direction. 3) shoulder rotation angle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using left hand. While shoulder rotation angle was grater in down the line direction than cross direction. 4) the maximum velocity of racket head was faster in using left hand than non using left hand.

      • 테니스 경기분석을 통한 선수의 수행능력 평가

        우상연,신인식 한국운동역학회 1998 한국운동역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use of three dimensional analysis techniques for match analysis in tennis. It was determined that temporal and kinematic parameters obtained from 3D video analysis of the 32 finalists in the 1997 Korean Final CUP provided insight into successful performance. These parameters included success of first service, distance of receiving player from the ball, hight of stroke impact, and player movement pattern. The entire matches of the 32 finalists in the men's singles tennis tournament were recorded on videotape. Six video cameras which operated at the rate of 60 Hz were used; two video cameras captured the whole view of the court, two captured one side of the court, and two captured the other side. The following observations were made from the data analysis; ⒜ the success of the first service increased both the rate of success and the rate of score, ⒝ the mean interval time for player A from service to contact ground was longer than player B and the mean interval time for player A from ground to impact was shorter than player B , ⒞ both players A and B used the mostly ground strokes (above 85% of all strokes), ⒟ player A predominately used backhand slices to return the ball from the backhand side of the court; whereas, player B used backhand ground stroke, ⒠ the area and distance covered by player B was greater than player A, and ⒡ player A was closer to the approaching ball when it rebounded from the court and that his racket impacts the ball at a higher point than player B on his service and backhand strokes.

      • 하키 페널티 코너 시 슈팅 방향에 따른 고등학교 선수의 플릭 슈팅 동작 비교

        우상연;최성범;김호묵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0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flick shooting motion in penalty comer according to the stroke direction. Five high school play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3D kinematic data were collected for each subject performing the penalty comer strok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step length and drag length of ball(at the X axis) were larger in right side attacks than in left side attacks, 2) drag length of ball(at the Y axis) were larger in left side attacks than in right side attacks, 3) stick velocity were larger in downward side attacks than in upward side attacks, 4) range of shoulder rotation were lower in right upward side attacks than in the other sides, 5) hip angle were larger in left upward side attacks than in the other sides.

      • 빠른 Cutting 동작시 하지관절 모멘트에 미치는 방향전환의 효과

        우상연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1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방향전환 동작이 발목, 무릎, 그리고 히프 관절에 작용하는 3차원적 관절모멘트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는데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해 4대의 비디오 카메라와 1개의 압력판을 이용했다. 8명의 일반 남자 농구 선수들이 빠른속도(4.5m/s)로 좌우 방향전환 동작들(+60˚, +30˚, 0˚, -30˚, -60˚)을 수행하였다. 역동역학적 방법이 인체분절 변인, 운동학적 변인과 지면반력 자료들과 더불어 관절 모멘트를 계산하는데 사용되었다. 내측방향으로의 동작에서는 외전 족관절 모멘트, 내전 슬관절 모멘트, 내전과 회외 고관절 모멘트가 직선 주행에서 보다 크게 나타났다(p<.05). 아울러 외측방향전환 동작에서는 내반과 외전 족관절 모멘트, 외전 슬관절 모멘트와 고관절 모멘트가 크게 나타났다(p< .05).

      • Chinese hamster 난소세포에서 수용성 니켈에 의해 특징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인자들의 빠른 분석에 관한 연구

        성근제,이상한,우기민,송호연,조만희 순천향의학연구소 2001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7 No.2

        니켈에 의한 암 발생기전 및 세포 독성기전을 이해하고 니켈에 의해 발현에 변화를 보이는 유전자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니켈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된 Chinese hamster난소 세포부터 mRNA differential display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위원소나 DNA염기서열 분석용 젤을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 대신에 훨씬 빠르고, 다루기 쉽고 안전성을 지닌 변형된 기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니켈에 의해 발현에 변화를 보이는 cDNA fragments들을 10% polyacrylamide mini젤상에서 분리 및 클로닝한 다음, DNA염기 서열 분석과 GenBank Blast search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동성 조사를 하였다. Reverse Northern blot을 이용하여 발현에 변화가 있는 cDNA들을 재확인한 결과, 검사된 19 cDNAs 들중 총 9종에서 발현의 변화를 보였으며, 이 중 3종은 니켈에 반응하여 발현에 증가를 보였고, 반면에 6종은 발현이 감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