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圓光醫大 附屬 第2病院 神經精神科 患者에 對한 統計的 考察(Ⅱ)

        박민철,장광철,김상원,김한주,유미경,김훈,유용진,김현정,박남진,오상우,이귀행,노승호,백영석 圓光大學校 醫科大學 神經精神科學敎室 1992 圓光精神醫學 Vol.8 No.1

        본 연구는 1986년 7월 11일부터 1991년 7월 10일까지 원광의대 부속 제2병원 신경정신과에서 의래 및 입원치료를 받았던 6,0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1차조사 (박민철 등1986)와 비교했다. 1.전체 환자 중 남자가 54.4%로 여자보다 많았고, 이리와 이리 인접지역이 84.0%로 대부분의 지역을 나타났다. 의료보장상태는 보험환자가 57.1%, 의료보호환자21.8%, 일반환자 21.1%였으며 연령별로는 20대 24.6%, 30대 22.8%로 20대 30대가 절반정도를 차지했다. 2.외래환자에서는 신경중성장애가 46.0%로 가장 많고 정동장애, 경련성장애 순이며, 입원환자에서는 정신분열증이 30.5%로 가장 많고 기질성정신장애, 정동장애의 순이었다. 3.남자는 신경증성쟝애(23.4%), 정신분열증, 기질성정신장애 순이고 여자는 신경증성장애(39.9%), 정동장애, 정신분열증의 순이었다. 남자가 여자보다 많은 진단은 알코올정신장애(94.6%), 기질성정신장애, 소아정신장애 순이고, 여자가 남자보다 많은 진단은 정동장애(64.5%), 신경증성장애였다. 4.진단별 연령분포에서 신경증성장에는 30대(25.3%), 20대, 40대 순이고, 정신분열증은 20대(40.5%), 30대, 40대 순이며, 정동장애는 20대, 30대, 50대 순이나 비교적 비슷한 융이었다. 5.진단별 발병연령에서 신경증성장에는 20대, 30대가 절반이고,정신분열증은 20대(51.3%), 10대, 30대 순이며 정동장애는 20대(30.7%), 30대, 50대 순이었다. 진단별 평균 발병연령은 신경증성장애 32.7세, 정동장애 36.1세, 정신분열증 23.6세였다. 6.진단별 이병기간은 2년이상이 신경증성장에 28.3%, 정신분열증 68.5% 정동장애 43.9%인데 전체적으로 41.0%였다. 진단별 평균 이병기간은 정신분열증 73.2개월, 정동장애 45.5개월, 신경증성장애 29.5개월이었다. We examined epidemiologic study of 6,072 patients who visited Wonkwang Neuropsychiatric hospital since July 11 of 1986 until July 10 of 1991 and compared this results with previous study(Park et al 1986). The study revealed as follows:1. Of total patients males visited this hosptial more than females as 57.1%, Most of them(84.0%) resided Iri and neighbouring Iri. In the point of insurance, insured patients, medicaid patients and uninsured patients were 57.1%, 21.8% and 21.1% respectively. On the distribution of age, the twenties, the thirties were 24.6%, 22.8% respectively and twenties and thirties were about half of total patients. 2. Of outpatients neurotic disorder was the most as 46.0%, secondly mood disorder and thirdly convulsive disorder, but of inpatients schizophrenia was the most as 30.5%, secondly organic mental disorder and thirdly mood disorder. 3. Of males neurotic disorder was the most as 23.4%, secondly schizophrenia, and thirdly organic mental disorder, but of females neurotic disorder was the most as 39.9%, secondly mood disorder and thirdly schizophrenia. alcoholic mental disorder(94.6%), organic mental disorder, child mental disorder were mostly found in males,but mood disorder(64.5%) and neurotic disorder were mostly found in females. 4. On the distribution of age neurotic disorder was found the most in the thirties(25.3%), next in the twenties and in the forties, and schizophrenia was found the most in the twenties(40.5%), next in the thirties and in the forties, but mood disorder was found the most in the twenties, next in the thirties and in the forties but revealed similar rates relatively. 5. On the distribution of age of onset neurotic disorder developed nearly half during the twrnties and the thirties, schizophrenia developed mostly during the twenties (51.3%), secondly the teens and thirdly the thirties, but mood disorder developed firstly the twenties(30.7%), secondly the thirties and thirdly the fifties. on the average age of onset of illness neurotic disorder, mood disorder and schizophrenia were 32.7 years, 36.1 years and 23.6 years respectively. 6. On the duration of illness more than two years was 28.3% in neurotic disorder, 68.5% in schizophrenia and 3.9% in mood disorder and on the average duration of illness schizophrenia, mood disorder and neurotic disorder were 73.2 months, 45.5 months and 29.5 months respectively.

      • Tetracaine이 개의 大腦皮質 Na^+-K^+-ATPase의 活性에 미치는 影響

        이진영,김광용,서영,서경종,박영순 圓光大學校 基礎自然科學硏究所 1990 基礎科學硏究誌 Vol.9 No.1

        본 實驗은 tetracaine이 개의 大腦皮質의 Na^+ - K^+ - ATPase의 活性에 어떻게 影響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것이다. 그 酵素에 대한 tetracatine의 沮害效果와 그 機作은 酵素反應速度論的 分析方法 즉 Dixon-plot, Lineweaver-Burk plot, Arrhenius-plot 등으로 分析하였다.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Na^+ - K^+ - ATPase는 全 ATPase와 Mg^++ - ATPase의 活性보다 tetracaine에 의하여 더 많은 沮害를 받는다. 2. Tetracaine의 50% 沮害效果는 沮害常數 5㎎/㎖와 동일하였다. 3. Tetracaine은 그 酵素의 Km값을 변화시키지 못하였으나 最高速度(Vmax)는 변화시키기 때문에 tetracaine은 可逆的 非競爭的 沮害劑로 作用한 것 같다. 4. Q_10 값은 tetracain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데 이 값으로 Arrhenius-plot를 作成해 본 結果 切點(transition state)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tetracaine은 脂質에는 작용하지 않고 오직 Na^+ - K^+ - ATPase에 작용하는 것 같다. The present experiments were di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tracaine on the dog brain cortex Na^+ - K^+ - ATPase activity. The inhibitory effects of tetracaine on the enzyme avtivity and its mechanism were analyzed by Dixon plot, Lineweaver-Burk plot, and Arrhenius plot. The results obtained here were as follows : 1. The Na^+ - K^+ - ATPase activity was inhibited more than the total ATPase and Mg^++ - ATPase in the presence of tetracaine. 2. The concentration of 50% inhibition for tetracaine was identical with the inhibition constant (Ki), the Ki value was 5 ㎎/㎖ for tetracaine. 3. In this study tetracaine did not change the Km value (2.5) but decreased the Vmax of the Na^+ - K^+ - ATPase activity, suggesting that tetracaine acts as reversible and noncompetitive inhibitor on the enzyme. 4. Q_10 value and energies of activation (20.1 Kcal/mole)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trtracaine increased and the transition state did not appear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tracaine inhibits the enzyme activity by reversible and noncompetitive inhibition.

      • KCI등재

        도시자연공원의 주요 등산로 훼손실태 분석 - 대구광역시 앞산공원을 대상으로 -

        박인환,이혜영,조광진,장갑수,Park, In-Hwan,Lee, Hea-Young,Cho, Kwang-Jin,Jang, Gab-Sue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3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대표적 도시자연공원인 앞산도시자연공원의 주요 계곡인 큰골, 안지랑골, 매자골의 주요 등산로를 대상으로 등산로의 훼손현황, 주연부 식물상을 조사하여 훼손유형분류에 따른 복원방안을 도출하여 보다 쾌적한 도시자연공원이 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앞산을 중심으로 조사한 3개의 등산로의 총 9km, 69개 지점에서 등산로 상태를 조사한 결과, 평균등산로 폭이 2.0~2.6m, 뿌리노출이 2,108m(23.4%), 암석노출이 3,199m(35.5%), 노면침식이 3,280m(36.6%), 토양경도가 강견($2.5kg/cm^2$)으로 4,841m(53.8%), 훼손발생지역이 83곳으로 훼손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등산로 주연부에서 확인된 식물상은 총 79과 206속 306종이었다.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인간간섭의 정도와 강도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큰골이 각각 7.0%, 5.5%, 안지랑골이 각각 8.3%, 4.5%, 매자골이 각각 8.6%, 6.2%, 전체가 각각 7.8%, 8.3%로 나타났다. 등산로 주변으로 확산되는 훼손의 진행단계와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환경피해도는 5등급 이상의 비율이 큰골이 24.3%, 안지랑골이 17.1%, 매자골이 21.6%로 큰골이 피해가 가장 심했으며, 큰골, 매자골, 안지랑골의 순으로 피해가 심하게 나타났다. 본 조사구간의 환경피해도 결과를 보면 등산로는 이용과밀로 인한 침식과 뿌리노출, 암석노출의 훼손현상이 일어나면서 등산로의 훼손이 점점 심각해지고 확산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상태를 방치할 경우 침식이 가속화 될 뿐 아니라 뿌리노출, 암석노출, 노폭확산 등의 피해가 잇따르므로 침식구간의 정비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Many trails have been built and utilized in each sub-basin of Apsan Park.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ditions and the present flora of several overused trails within three basins called Kun-Gol, Anjiroung-Gol, and Meaja-Gol in Apsan Park. There are two purposes for this study. The first is to make a plan for restoration by classifying the type of damage to these overused trails. The second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reestablishing a more pleasant urban nature park.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average length of these trails is 9.0km and mean width is 2.0 to 2.6m. 2,108m of the sections studied(23.4% of the total) had exposed root, 3,199m of the sections studied (35.5% of the total) had exposed rock, 3,270m of the sections studied(36.6% of the total) displayed damaged pathways, and 4,841m of the sections studied (53.8% of the total) had higher soil hardness. Eighty-three areas of deterioration were found and there has been extensive property destruction. As an indication of human disturbances, the Naturalization Index and Urbanization Index appeared as: Kun-Gol, 7.0%, 5.5%; Anjiroung-Gol, 8.3%, 4.5%; Meaja-Gol 8.6%, 6.2%; in total, 7.8%, 8.3%. As a method of checking the level and extent of the damage process, an impact rating classification was used at each point on the trails. Kun-Gol had the highest rating and Anjiroung-Gol had the lowest rating in impact rating classification. With the impact rating classification, it was found that each trail would continue to worsen, meaning that roots and rocks are more likely to be further exposed and the trail width will continue to widen through overuse. An actual plan for reparations and restoration of the trails is needed through further study.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폐기물 관리와 향후 대책

        박광하,김한수,권영두 7개 국립대학교 환경연구 논문집 공동발행 위원회 2001 환경연구논문집 Vol.1 No.1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환경문제 중 하나인 폐기물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우리 나라 폐기물의 발생현황을 살펴보며, 여러 가지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과 폐기물을 자원화 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폐기물은 발생단계에서 원천적으로 줄이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또한 발생된 폐기물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경제성을 고려한 기술개발을 통하여 저렴하고 안전하게 폐기물을 처리해야 한다. 또한 현대 사회는 대량생산과 대량 소비를 하는 사회경제체제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량생산, 대량소비 체제를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형 사회경제 체제로 전환시켜 폐기물 발생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Hydrodynamic analogue를 이용한 Compartment model의 분포속도 변화에 따른 생체 내 약물동태의 Simulation 연구

        박선영,우수경,권광일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2002 藥學論文集 Vol.17 No.-

        In vitro pharmacokinetics were simulated using hydrodynamic analogue of the compartment models. The oral model and the intravenous model were simulated for one and two compartment models each and the rate of distribution were controlled in the hydrodynamic models. The drug concentration of central compartment and of peripheral compartment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followed by the differentiation of the distribution rates. The measured central and the peripheral drug concentration were fitted simultaneously by computer program 'Boomer', and showed very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drug concentration and the predicted concentration in both oral and intravenous models with different distribution rates.

      • Human tyrosinase 유전자의 대장균에서의 발현

        박소영,공광훈,박희중 中央大學校 遺傳工學硏究所 1997 遺傳工學硏究論集 Vol.10 No.1

        Tyrosinase는 활성부위에 한 쌍의 구리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metalloprotein으로 멜라닌 생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Human tyrosinase의 메카니즘을 연구하기 위해 human tyrosinase 유전자에 대한 대장균에서의 대량발현계를 구축하였다. Plasmid pRHOHT2 (Shibahara et al, 1988. Tohoku J. Exp. Med. 156. 403)로부터 human tyrosinase cDNA sequence는 polymerase chain reaction에 의해 증폭되었으며, 발현벡터 pGEX-KG와 pTrcHis에 subcloning 되었다. 이렇게 작성된 plasmid pKG-Tyrosinase와 pHis-Tyrosinase를 대장균주 MV1190에 형질전환시켜, 유도제 isopropyl- β-D-thiogalactopyranoside로 human tyrosinase를 대량발현시켰다. 발현된 tyrosinase는 GSH affinity column과 immobilized metal affinity column으로 정제하였고, 정제된 재조합 tyrosinase는 SDS-gel 전기영동상에서 각각 84,000과 66,000 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정제된 재조합 tyrosinase는 dopa oxidation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is a bifunctional copper-containing metalloprotein and play a central role and of melanin biosynthesis. In the study, we constructed several E. coil-expression system of human tyrosinase using a cDNA encoding human tyrosinase for its mechanism study. Human tyrosinase cDNA sequence, plasmid pRHOHT2 (Shibahara et al. 1988, Tohoku J. Exp. Med. 156, 403), was amplified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as subcloned with pGEX-KG and pTrcHis expression vector. These recombinant tyrosinases were produced by induction with isopropyl-β-D-thiogalactopyranoside. Overexpressed human tyrosinases were purified by GSH affinity column and immobilized metal affinity column.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purified recombinant tyrosinases determin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about 84,000 (pKG-Tyrosinase) and 66,000 (pHis-Tyrosinase), respectively. These enzymes also showed dopa oxidation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