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광수,유상희,정중영 한국유럽학회 2006 유럽연구 Vol.23 No.-
This paper's main objective is to analyze the state and evolution of government bond market integration in the euro area. We reviewed a common methodological framework based on a precise definition of financial integration.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ingle currency and a common monetary policy, government bond yields converged swiftly in all countries. Second, we found that yields became increasingly driven by common news, less by purely local risk factors. It suggests a very high degree of integration in euro area bond markets. However, we also found that yields on government bonds have not fully converged and local factors continue to play a role, though small, in explaining yield movements in individual countries. Apart from imperfect integration, differences in perceived credit risk and liquidity risk among bonds, can also explain this finding. 본 연구는 유로지역의 국채시장의 통합에 관한 객관적인 측정을 위한 방법론을 조사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국채시장의 통합정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매우 높은 시장통합이 유로국채시장에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 계량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일의 국채수익률을 벤치마크로 하여 국채수익률을 분석해 본 결과 유로화가 도입된 1999년 이후 각국의 수익률 스프레드, 수익률 스프레드의 횡단면 표준편차 및 만기 2년, 5년의 국채수익률 스프레드의 횡단면 표준편차 등이 모두 수렴현상을 보였다. 둘째, 회귀식 추정을 통한 분석 결과 유로화 도입 이후 베타는 1로 수렴하고 있으며 절편인 알파는 0으로 수렴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수익률 변동이 공통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그러나 모든 국가의 국채수익률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으며, 비록 작은 부분이지만 개별국가 요인은 여전히 국채수익률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개별국가의 신용리스크, 유동성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를 활용한 개인포트폴리오 관리에 관한 연구
박광수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5
본 연구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와 포트폴리오 재조정 방법을 활용하여 개인이 포트폴리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주식과 채권으로 구성된 가상의 포트폴리오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트폴리오 재조정은 재조정을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모든 포트폴리오에서 높은 수익률과 낮은 위험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와 채권지수로 구성된 레버리지 포트폴리오에서는 포트폴리오 재조정이 포트폴리오 수익률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단임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여러 가지 재조정 방법 가운데서 연간 재조정 방법은 수익률 개선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연간 재조정방법을 사용하는 레버리지 포트폴리오는 기본 포트폴리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연간재조정 방법과 레버리지 상장지수 펀드가 포트폴리오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일정수준을 넘는 레버리지 상장지수의 투자는 위험만 증가할 뿐 수익률은 오히려 감소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를 포트폴리오 관리에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 재조정 방법과 적절하게 결합되어 이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ive management methods for personal portfolios utilizing leveraged exchange traded funds (ETFs) and portfolio rebalancing methods. The significant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balanced portfolios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no rebalanced portfolios. In particular, rebalancing of levered portfolios is a significant method to increase the portfolio's returns. Second, the annual rebalancing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mong other rebalancing strategies. Leveraged portfolios applied annual rebalancing performed significantly higher returns compared to basic portfolios, which implies that annual rebalancing and leveraged ETFs are very useful in the management of personal portfolios. Third, excessive allocation of leveraged ETFs in portfolio increased the risk and rather decreased the return of portfolios. It implies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leverage ETFs, proper allocation of leveraged ETFs and rebalancing methods should be combined.
환경규제에 따른 산업부문의 에너지원간 대체관계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 효과 분석
박광수 에너지경제연구원 2005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5 No.-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2004년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는 국내 최종에너지 소비의 56%를 점유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에너지 소비의 절반 이상을 소비하므로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행태를 분석한 연구는 많이 존재한다. 그러나 산업부문의 에너지원간 대체와 관련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추어 그렇게 활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부문 에너지원간 대체관계를 분석할 목적으로 진행된다. 특히 환경규제가 산업부문 에너지 대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분석의 초점을 둔다. 과거 국내 에너지 소비행태를 돌아보면 경제주체의 자발적 동기보다 정부의 정책이 소비자의 에너지원 선택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료대체에 관한 연구에서 환경규제의 영향을 고려하여 분석을 시도한 예는 없다. 가장 큰 이유는 환경규제를 계량화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일 것이다. 그러나 에너지 소비에 대한 모형을 구성할 때 정책에 대한 고려가 없을 경우 잘못된 추정결과를 도출할 가능성이 높다. 구체적으로 연료소비 결정에서 가격의 역할이 과장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규제를 계량화한 후 이를 모형에 포함시킴으로써 환경규제가 연료대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다. 2. 내용 요약(한계점) 한국의 에너지 소비는 고도성장과 함께 크게 증가하여 왔다. 외환위기 이후 에너지 소비 증가세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경제 규모에 비해 소비수준이 높은 편이다. 이는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2004년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는 국내 최종에너지 소비의 56%를 점유할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산업부문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자본이나 노동처럼 생산을 위하여 투입되는 생산요소라는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생산주체인 기업은 이윤극대화나 비용극소화를 위하여 필요한 에너지를 선택하고 투입한다. 경제이론에 따르면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를 결정하는 요인은 결국 생산량과 에너지 가격이다. 그러나 가격과 같은 경제변수 외에 현실적으로 정책의 변화도 기업의 에너지 선택에 영향을 준다. 국내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 추이를 보면 소비구조가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유의 소비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는 반면 전력과 도시가스의 소비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경제적 요인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경제외적인 요인에 의한 것인지 분석해 볼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산업부문(제조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연료대체에 대하여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산업부문 연료대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존재한다. Pindyck(1979a)는 정태 초월대수함수에 국가간 소비자료를 이용하여 연료대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초월대수함수와 같은 신축적 함수형태(flexible functional forms)는 한정된 상대가격 범위 내에서는 작동을 잘 하지만 일단 가격이 이러한 영역을 벗어나면 이론적인 규칙성 즉, 부의 자기가격 탄력성이라든가 정의 점유율과 같은 이론적인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선형 로짓 모형(linear logit model)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하는 연구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Considine(1989a)은 정태 로짓 모형을 통해 연료대체에 대하여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Considine(1990)에서는 선형 로짓 모형에 대칭제약을 부과하는 모형을 통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와 유사한 선형 로짓 모형의 일반화 작업은 Dumagan and Mount(1992, 1993)도 시도하였다. 해외의 연구에 비하여 국내의 산업부문 에너지대체에 대한 연구는 그렇게 활발하지 못하였다. 에너지를 하나의 생산요소로 간주하여 노동이나 자본 등 다른 생산요소와의 대체관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일부 있으나 에너지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신정식ㆍ류지철(1988)이 초월대수함수와 Rotterdam 모형을 이용하여 연료대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의 제조업 에너지 소비구조는 현재와 크게 달라 그 결과를 활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최근에는 박창수(2003)의 연구에서 로짓 함수를 이용하여 제조업 에너지대체에 대한 분석이 시도된 바 있다. 두 연구 모두 경제이론에 근거한 모형, 즉 가격이나 소득과 같은 경제변수만을 모형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지난 40여 년간 한국의 에너지 소비 행태를 고려할 때 정부의 정책이 에너지원 선택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특히 환경규제의 강화가 그렇다. 물론 에너지대체와 관련된 연구 시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인은 경제변수이나 가격과 같은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환경정책과 같은 변수도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국내에서 시도된 연구는 환경규제의 연료대체에 대한 영향을 반영하지 않았다. 주요 원인은 환경규제를 계량화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수를 배제한 모형은 잘못된 결과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즉, 에너지대체에 대한 가격의 영향이 과장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환경규제를 정량화 한 후 이를 모형에 추가하여 연료대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형은 크게 환경규제변수가 포함되지 않은 기본모형(이후 기본모형)과 환경규제변수를 포함시킨 환경규제모형(이후 환경모형)으로 구분되며 각 모형은 다시 정태모형과 동태모형으로 구분된다. 각 모형은 1981년에서 2004년까지의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Zellner의 비선형 반복적 SUR(nonlinear iterative seemingly unrelated estimation procedure)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된다. 기본모형 중 정태모형의 R² 값은 0.58~0.98, 동태모형의 R² 값 은 0.57~0.98로 나타났다. 환경규제변수를 포함시켜 추정한 결과, 정태모형의 경우 R²는 0.87~0.99, 동태모형의 경우도 R²가 0.84~0.99로 나타나 기본모형에 비하여 설명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동태모형에서 적응계수(λ)의 추정치는 0.077과 0.066으로 낮게 추정되었다. 이는 장기탄력성과 단기탄력성 사이의 차이가 크지 않음을 의미한다. 자기가격 탄력성은 모든 에너지원에 대하여 음의 값을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가스의 가격탄력성이 다른 에너지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보이고 있으나 모든 에너지원의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이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결과는 기본모형에 비하여 환경모형의 가격탄력성이 낮게 추정되고 있다는 점이다. 석유와 도시가스에 대한 교차가격 탄력성은 모든 모형에서 정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두 에너지원간에 대체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두 에너지원간의 대체탄력성은 기본모형에 비하여 환경모형에서 크게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력과 석유사이의 교차가격 탄력성은 정태모형에서 음의 부호를 보이고 있다. 환경규제변수의 경우 석유에 대한 추정치는 음의 부호를 보이고 있으며 도시가스에 대해서는 정의 값을 보이고 있다. 이는 환경규제가 석유의 소비를 감소시키고 도시가스 소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였음을 의미한다. 석유와 가스사이의 에너지 대체에 환경정책의 영향이 컸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하겠다. 환경규제는 또한 연료대체를 통하여 CO2 배출량을 줄이는 결과도 초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환경규제를 10% 강화하는 경우 CO2 배출량의 순 감소분은 3.1만 탄소톤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의미있는 발견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점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이 있다. 첫째, 자료의 기간이 짧아 다양한 검증을 시도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도시가스의 경우 신뢰할 수 있는 자료의 구간은 1989년부터라는 문제를 지닌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정량화시킨 환경규제변수의 정확성에 대한 문제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산업구조의 변화 등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산업부문 에너지소비 행태에 산업구조 1. Research Purpose The industrial sector accounted for about 56 % of total final energy consumption in 2004. For this reason, several researchers have analysed the pattern of industrial energy consumption. However, studies on interfuel substitution of the industrial sector have not been a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terfuel substitution of the industrial sector. Especially, it is focused on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on the interfuel substitution. In retrospect to the history of Korea's energy consumption, government polices had effects on the consumer's choice of energy source. Nevertheless, there has not been studies to analyz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on the interfuel substitution. The main reason is likely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quantify environmental regulations. However, failure to incorporate this policy into models of fuel demand could lead to parameter bias. That is, the role of prices in interfuel substitution is probably overestimated. Accordingly we attempt to quantify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to estimate their impact on fuel substitution. 2. Summary Korea's energy consumption has increased rapidly with a high economic growth. Even though its increasing trend has been weakened since the foreign currency crisis, Korea's energy consumption level is still very high, which is mainly caused by a high energy consumption structure of the industrial sector. The energy consumption of industrial sector accounted for about 56 percents of final energy consumption in 2004. Like capital or labor, energy is an input to produce goods. Firms choose energy source to maximize profits or minimize costs. Energy prices and policies have an effect on the firm's choice of energy source. Thus, it would be very natural that the energy consumption pattern of industry sectors changes with either industrial structures or policie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data on energy consumption, the phenomenon of interfuel substitution in energy demand of industry sector has been visualized. For example, consumption share of petroleum has been declined. On the other hand, the trends of demand shares of electricity and natural gas have been increased gradually.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is on analyzing interfuel substitution in the industrial sector(manufacturing industry). There are several studies on interfuel substitution of the industrial sector. Pindyck(1979a) used a static translog model to analyze pooled intercountry data. However, flexible functional forms like a translog model, are well behaved for only a limited range of relative prices. Once outside this region, theoretical regularity conditions of negative own-price elasticities and positive shares are not satisfied. Recently, for this reason, linear logit models of cost shares have been adopted in many studies. Considine (1989a) examined interfuel substitution possibilities using a static logit model. In a subsequent article, Considine(1990) extended his linear logit model to impose global symmetry. A similar generalization of the linear logit model was given by Dumagan and Mount(1992, 1993). Unfortunately, domestic studies on interfuel substitution of the industrial sector are few. Shin and Ryu(1988) analyzed interfuel substitu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with a translog model and Rotterdam model. Park(2003) examined interfuel substitution using static and dynamic logit models. Two studies were based upon just economic theory. However, considering the history of Korea's energy consumption for the past 40 years, besides economic factors like energy prices, we can easily find that policies had an important effect on the interfuel substitution of the industrial sector. Especially, enforcement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did. The choice of energy source are determined by relative prices, as economic theory would suggest. They may also be influenced, however, by environmental policies t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