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정신병환자에서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의 치료요인 비교

        윤성철,이후경,정인과,이규항,함 웅,차정화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3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정신병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에 작용하는 치료요인을 조사하여, 그 치료적 특성들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방 법 : 1996년 9월부터 1997년 5월까지 낮병원에 참여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총 35명의 정신병환자로 남자 22명, 여자 13명이었다. 동일한 낮병원 환자들에게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 드라마를 각각 시행한 후, 13가지 치료요인 척도를 사용하여 집단정신치료의 구성원, 싸이코드라마의 주인공, 싸이코드라마의 관객에 작용하는 치료요인의 순위를 각각 조사하였다. 이 세 집단을 모두 상위기능 집단과 하위기능집단으로 나누어 치료요인을 비교하였다. 상위와 하위기능집단은 낮 병동에서의 생활,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을 때의 태도, 치료자와 면담하였을 때의 모습을 기준으로 하여 낮병원 치료팀 모임에서 치료자들의 합의에 의해 결정하였다. 각각의 치료 요인은 평균점수를 산출하여 치료 요인의 순위를 매겼으며, 이 순위에 의해 집단정신치료, 싸이코드라마의 주인공, 싸이코드라마의 관객에 작용하는 치료요인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에서 나타난 치료요인에 대한 특정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싸이코드라마에서 주인공은 기능수준에 관계없이 모두 “카타르시스”와 “일차 가족 집단의 교정적 감정 경험”을 매우 중시하였다. 2) 싸이코드라마에서 주인공은 상위기능집단의 경우 “치료자의 조언”을 하위기능집단의 경우 “구성원의 조언”을 중시하였다. 3) 싸이코드라마에서 관객은 기능수준에 관계없이 모두 “치료자와의 동일시” 와 “구성원과의 동일시”를 매우 중시하였으며, 또한 보편성을 중시하였다. 4) 상위기능집단의 경우 집단정신치료 싸이코드라마의 관객 및 주인공에서 “대인관계학습”을 중시하였으며, 특히 집단정신치료에서 “대인관계학습”을 매우 중시하였다. 5) 하위기능집단에서 싸이코드라마의 주인공과 집단정신치료에서 모두 “사회화 기술의 발달”을 중시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다. 먼저 집단정신치료나 싸이코드라마를 환자에게 시행할 때 치료자가 치료요인을 고려하여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는 모두 동일하게 중요한 치료법으로 실제 임상에서 널리 이용하는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의 기법을 서로 혼합하여 사용한다면 매우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factors of group psychotherapy and psychodrama which were applied to psychotic patients, and to compare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two therapie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of a day hospital from September 1996 to May 1997.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35 psychotic patients(22 males, 13 females). Both of group psychotherapy and psychodrama were done to the patients of the day hospital. After these therapeutic factors were checked by the members of group psychotherapy, the protagonists of psychodrama, and the audience of psychodrama using 13 therapeutic factors scale. All three groups divided into higher functioning group and lower functioning group by mutual consent of the therapists in the treatment team meeting according to the patient's life of the day hospital, the attitude in programs, and the state during the interview with the therapist. And then therapeutic factors of higher and lower functioning group were compared. By the mean score of each therapeutic factor the rank of therapeutic factors was decided. By these ranks we compared the important therapeutic factors on the members of group psychotherapy, the protagonists, and the audienc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rotagonists of psychodrama set a very high value on “catharsis” and “the corrective recapitulation of the primary family group”, regardless of their functional level. 2) The protagonists with a higher function set a higher value on “guidance of therapists”, while those who had a lower function set a higher value on “guidance of members”. 3) The audience of psychodrama set a very high value on “identification with therapists”, “identification with members”, and set a high value on “universality”. 4) The higher functioning group of the group psychotherapy, the audience, and the protagonists set a high value on “interpersonal learning”, especially the patients of group psychotherapy set a very high value on “interpersonal learning”. 5) The lower functioning group of the protagonists and the group psychotherapy set a high value on “development of socializing techniques”. Conclusion :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draw some suggestions. First, if therapists take the above-mentioned therapeutic factors into consideration during the sessions of group psychotherapy or psychodrama, they can obtain more effective therapeutic outcome. Second, it is desirable that both group psychotherapy and psychodrama should be used more extensively as important methods of treatment in clinical settings. Third, the combination group psychotherapy and psychodrama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the separate application of each therapy.

      • SCOPUSKCI등재

        수산화세륨(Ⅲ)으로부터 질산암모늄세륨(Ⅳ)의 제조

        윤호성,김철주,이진영,김성돈,김준수,유승준 한국화학공학회 2003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수산화세륨으로부터 질산세륨 용액 제조 후 질산암모늄 첨가에 의한 질산암모늄세륨 제조시, 출발용액의 산도와 농도 그리고 질산암모늄 첨가량, 반응온도 및 반응시간이 질산암모늄세륨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XRD, SEM 그리고 TGA 분석을 통하여 결정의 형태 및 구조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였다. 4가의 수산화세륨을 질산에 용해한 질산세륨(Ⅳ)수용액으로부터 질산암모늄 첨가에 의한 질산암모늄세륨 제조시 회수율을 고려한 최적 합성조건은 출발물질의 세륨 농도 70-100g/l, 출발용액의 산도 7 mol/l, 질산암모늄 첨가량 2.5당량, 감압·가열온도 65℃ 및 반응시간 15-30min.이었으며, 제조된 질산암모늄세륨의 결정 화학식은 (NH_4)_2[Ce(NO_3)_6) · ×H_2O(x=6-8)인 것을 알 수 있었다. Synthetic process of ammonium cerium nitrate from cerium hydroxide was presented and influences of concentration and acidity of starting solution, addition quantity of ammonium nitrate, reaction temperature, reaction time on the yield of ammonium cerium nitrate are discussed. The shape and composition of crystal were determined by SEM, thermogravimetry differential thermal, x-ray diffraction and chemical analysis. The optimum synthesizing conditions of ammonium cerium nitrate were discribed as follows; rare earth concentration of starting solution 70-100 g/l. acidity of starting solution 7 mol/l, addition quantity of ammonium nitrate 2-3 equivalent, the condition of rotary evaporation 65℃ and reaction time 15-30 min. It was also known that the chemical formulae of ammonium cerium nitrate was (NH_4)_2[Ce(NO_3)_6] ·×H_2O(x=6-8) from TGA.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주치의 중심의 통합적인 입원환자 집단정신치료 모델

        윤성철,이후경,함웅,이규항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1

        본 연구는 주치의 중심의 집단정신치료 모델을 소개하고, 이 모델의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며, 집단치료를 쉽게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입원환자 치료를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모델의 집단치료를 최근 6개월간 25명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해 보고 각종 검사들을 통해 본 모델을 평가하였다. 또한 본 모델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을 하여 전체적인 이해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본 모델의 집단치료에 대한 객관적 자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모델의 집단치료는 전체적으로 환자의 증상호전에 도움이 되었으며, 환자들은 집단치료를 중요하고 유익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2) 치료요인 중 치료자와의 동일시가 상위 순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치료자 자신이 치료의 중요한 도구가 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치료자와 환자의 관계를 통해 치료가 이루어지며, 치료자의 인격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3) 상위기능집단과 하위기능집단의 치료요인에는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다양한 치료요인을 상호보완적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4) 13가지 치료요인에 대한 반복적인 검사는, 인지행동치료 이론 중 자기교화훈련 (self-instructive training)과 같이 자연스럽게 치료요인을 익히게 하였고, 가장 중요한 사건에 대한 설문지는 일기와 마찬가지로 자기성찰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모델의 집단 치료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단치료는 치료자와 환자의 인간적인 만남의 장을 제공하였다. 2) 본 모델의 집단치료는 치료자가 전체적으로 운영하기 쉬웠고, 종합적인 치료적 접근을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3) 집단치료를 통해 병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고 치료의 동기를 부여하여 퇴원후 외래치료나 낮병원치료를 지속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고, 심리적 심성의 배양,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감정을 경험할 수 있는 능력의 향상 등을 통해 외래집단치료나 개인정신치료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4) 본 모델의 집단치료는 사회사업가, 간호사, 실습학생 등을 보조자아(auxiliary ego)를 활용하여 건강한 자아(healthy ego)의 역할을 담당하게 함으로써 치료를 활성화하였다. 5) 집단치료를, 전공의 및 의과대학생의 교육과 사회 사업가 및 타과학생들의 교육에 실제적이고도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하였다. Object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model of inpatient group psychotherapy led by a doctor in charge, to evaluate this model in practice, and to give a effective inpatient treatment by application of this model. Methods : The subject composed of 25 psychiatric inpatient. The authors performed this model of group psychotherapy for 6 months and evaluate this model by objective data. Also we analyzed this model globally to get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objective data were as follows : 1) This model was effective to subside patients' symptoms. And the patients estimated this model to be important and helpful to them. 2) Identification with therapist' among therapeutic factors was high rank. This meant that therapist him- or her-self is a important tool for therapy. 3) Therapeutic factors in upper level group was much different from those in lower level group. And various therapeutic factors was used complementarily between two groups. 4) to check '13 therapeutic factors' repeatedly made the patients acquire therapeutic factors spontaneously. And to check 'the most important event' repeatedly gave the opportunity of self-reflection. The results of global analysis to this model were as follows: 1) This group psychotherapy gave a field in which a therapist met patients as human being. 2) This model was easy to perform, and helpful to comprehensive therapeutic approach. 3) This model was able to make the basis of continuous outpatient and day hospital treatment, and the basis of outpatient group psychotherapy or individual psychotherapy. 4) In this model, social workers, nurses, or students in practice played a role of the healthy ego. Therefore they were able to activate group psychotherapy. 5) This model was a practical and useful tool of the education for psychiatric residents, medical students, social works, and other students. Conclusion : This model of group psychotherapy was useful for inpatient treatment and easy to perform in general.

      • KCI등재

        집단정신치료의 活性化 : For Its Activation of Practical Applications

        윤성철,이후경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1997년부터 정신보건법이 시행되면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관리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정신질환자들을 관리할 전문가의 양성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관리는 질병에 대한 치료 뿐 아니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목표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실을 돌아볼 때 최선의 치료와 관리를 위한 접근 방식에 있어서는, 의료비용의 제한과 관리의 효율성 때문에 일대일로 접근하기는 매우 어렵게 되었고 그 대신 집단으로 접근하여야만 하는 상황이 되었다. 정신질환자의 효과적인 치료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집단정신치료의 활성화'가 매우 중요하며, 치료자는 집단정신치료에 대해 잘 알고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저자들은 본 논문에서 먼저 대표적 유형이라 할 수 있는 Yalom의 대인관계중심의 집단정신치료를 포함한 여러 집단정신치료의 유형들을 전체적으로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집단정신치료들을 간단히 분류하여 그 적용실제를 살펴 보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집단정신치료의 활성화 필요성과 그 실제적인 관련 배경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In Korea Mental Heath Law came into operation in 1997, and the management of the mentally ill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and it is inevitable to train mental health workers for the management of the mentally ills. The purpose of the management seems not only to care the patients' symptoms but also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Nowadays, in the best approach of treatment and management it is difficult that one to one management is used because of the cost limitation and management efficacy. So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e group approach should be used. Hence 'the activation of group psychotherapy' is very important for the effective treatment and efficient management of the mentally ills. And therapists should know group psychotherapy well and to use it properly. In these viewpoints, we first introduced various types of group psychotherapy generally, including Yalom's group psychotherapy which focu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is the representative type of group psychotherapy. And then we classified group psychotherapy simply, describe the concept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group psychotherapeutic approach. And last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group psychotherapy in this paper, we explored the necessity of its activation on the practical setting and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 KCI등재

        집단정신치료의 내용과 과정

        윤성철,이후경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2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portant therapeutic factors in encounter group and compare these therapeutic factors with those in long-term outpatient group psychotherapy, to understand the content and process in real cases for facilitation of interpersonal learning which is important for long-term outpatient group psychotherapy, and to acquire basic data of long-term outpatient group psychotherapy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Methods : The subject was 7 encounter groups, composed of 41 persons. We used short from of Yalom's Q-sort to find important therapeutic factors in encounter group. We selected 2 cases for analying the process and content in these cases. Results : Three of the most important therpeutic factors were existential factors', 'self understanding', and 'interpersonal learning(input)'. Conclusion : We suggest that interpersonal learning is the most important therapeutic factor in encounter group.

      • 건선 병변부 및 병변주위부 피부의 Cytokines 유전자 발현

        윤기성,김도원,정상립,김문규,김정철 경북대학교 병원 1997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1 No.1

        It has been proposed that cytokines may be involved in mediating the characteristic pathological changes in psoriasis, including epidermal hyperplasia, compromised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dermal and epidermal infiltration by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and mononuclear ce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os to assess the pattern of cytokine gene expression in psoriatic skin lesion. To investigate the cytokine expression pattern, we examined the transcripts of cytokine genes using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method with 13 cytokine-specific prim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Only the TGF-β gene was expressed in the normal skin. 2. IL-1α, IL-1β, IL-8, and TGF-β were detected in both lesional and perilesional psoriatic skin. The lesions showed more prominent expression. 3. IL-10 and GM-CSF were weakly detectable in three lesional psoriatic skin respectively, and IL-2R in two lesional psoriatic skin. 4. IL-2,IL-4,IL-5,IL-6 TNF-α, IFN-γ were not detectable on both lesional and perilesional psoriatic skin. Therefor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cytokines gene expression were noted between normal and psoriatic skin. The patterns of cytokines gene expression in perilesional skin were similiar to those of lesional psoriatic skin.

      • 부산시 상업중심지의 공간적 분포특성

        윤철현,이상현,박봉진 동아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00 硏究報告 Vol.24 No.2

        Spatial distribution of centeral places in one of key factors to find out internal structure of the city. However, there has not been, still now, even basic study or survey on the commercial centers in Pusan. Thus,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discover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ommercial centers of Pusan. For that, this paper has defined functions by the statistical data of 1981 and 1998 and has made Z-score by functions. As a result, enormous change has been discovered in the spatial distribution as well as hierachy of the commercial centers of Pusan between early '80s and late '90s, according to Z-score>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