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lide Session : OS-IFD-07 ; Infectious Disease : In Vitro Antiviral Activity of Ribavirin Against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 Myung Jin Lee ),( Kye Hyung Kim ),( Jong Youn Yi ),( Su Jin Choi ),( Chung Jong Kim ),( Nak Hyun Kim ),( Kyoung Ho Song ),( Pyoeng Gyun Choi ),( Ji Hwan Bang ),( Wan Beom Park ),( Eu Suk Kim ),( San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4 No.1

        In Vitro Antiviral Activity of Ribavirin Against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Myung Jin LEE1, Kye-Hyung KIM1, Jongyoun YI2, SuJin CHOI1, Chung-Jong KIM1, Nak- Hyun KIM1, Kyoung-Ho SONG1, Pyoeng Gyun CHOI1, Ji-Hwan BANG1, Wan Beom PARK1, Eu Suk KIM1, Sang-Won PARK1, Hong Bin KIM1, Nam Joong KIM1, Myoung- Don OH1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1,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2 Background: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is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a novel Bunyavirus,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SFTSV). No effective antiviral therapy is proven yet, but clinical use of ribavirin (RBV) has been tried. We investigated the antiviral effect of RBV against SFTSV in vitro. Methods: To test for cytotoxicity of RBV, Vero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BV (3.90 to 500 μg/mL, two-fold dilution) and analyzed by cell viability MTS assay 48h post-infection. To determine antiviral activity of RBV against SFTSV, Vero cells were infected with SFTSV strain Gangwon/Korea/2012 at 100 TCID50 (50% tissue culture infective dose) per well in a 96-well plate, and RBV was added at the concentrations showing no or minimal cytotoxicity. Viral RNAs were extract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s and quantifi ed using one-step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CR to amplify the partial large segment of SFTSV.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one-way ANOVA with Tukey`s post hoc test. Results: Cytotoxicity due to RBV was not observed at RBV concentration =31.3 μg/ mL. Viral RNAs at 24h post-RBV treatment were reduced with increasing RBV concentrations (1-32 μg/mL), compared with those of mock-treated cells (P <0.01, Figur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of RBV was 3.69 μg/mL at 24h post-RBV treatment. Conclusions: Our study shows that RBV has antiviral effect against SFTSV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the effi cacy of RBV in SFTS.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우울과 삶의 질의 관계

        김원옥 ( Won Ock Kim ),강현숙 ( Hyun Sook Kang ),왕명자 ( Jmyung Ja Wang ),김정화 ( Jeong Hwa Kim ),최진이 ( Jin Yi Choi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우울,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서 일상생활동작,’ 우울, 삶의 질 정효〉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안구의 주요한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뇌졸중 환자들의 일상활동 수행능력을 측정하는 도 구로 FIM, Modificd Barthel Index (MBI) 등이 많이 쓰 이고 있는데 FIM은 분야에 상관없이 표준화를 통한 높은 실용성,실행성, 이해도로· 인하여 널리 사. 하고 있는 도구로 이를 이용하여 측정한 본 연구에서는 872점으로 국내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와 퇴원 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85. 9점 (Hw떼g, 2004) 과 85. 3점 (Kim, 2004) , 85. 8점 (Hong et al., 1998) 에 비하 여 약간 높아졌으나 비슷하였고, 일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77. 1점보다는 높은 결과이었다 (Hama et al., 2007) . 특히 하부역역인 운동영역은 다 른 연구에 비해 높았으나 인지영역은 다른 연구에 비 해 낮은 편이었다 (Hwang, 2004二 Hama et al. , 2007, Hong 嫩 al. , 200긱 Kim, 2004) . 미국의 지역사회시설 에 있는 뇌졸중이 처음 발병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재 활 후 5년간 환자를 추적한 연구에서 3년 후까지는 FIM점수가 상승하였으나 그 이후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고 본 연구에서는 친단 후 경과 기간이 35.5개월 (87.2점)로 퇴원 후 3년 된 시점의 결과no도4점) 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편이었다〈 Leonard, Mnler, Griffiths, Mcclatchie, & wherry, 1998) .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 회와 집에서 간호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지속적인 재활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입원을 한 직후부티 환 자에게 적절한 재활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시작하고 퇴원 후에는 연계되어 재활을 받을 수 있는 시설과 연결하여 환자가 지속적으로 재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병원과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시행하는 개활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우울은 뇌졸중을 진단 받은 환자들의 급성기와 회 복기에 많이 동반되는 증상으로 본 연구에서도 CES- D를 이용하여 우울을 측정한 결과 23. 8점으로 Bak (2003) 의 연구와 비슷한 정도로 높게 측정되어 이 전의 연구결과와 같이 뇌졸중 환자의 가장 흔한 후유 증이 우울임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Cho et al. 2003, `` Chon & Rhee, 1992, `` Kim, 2005, `` Kim, Seo, & Kang, 2000; singh et al. , 2000) . 그러므로 입원 시부터 신체적인 증상 뿐 아니라 우울도 같이 사정하고 우울이 진행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찰과 정서적인 간호가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에 포함이 되어야 한다. 삶의 질은 3 ``03점으로 뇌졸중 환자 l이명을 대상으로 한 chung (2000) 의 연구에서 의 3. 41점보다는 낮았으나 Kim과 Kim (2003) 의 연구의 3. 17점과는 비슷하였고 전체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이런 결과는 최근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이 감소 되고 만성적인 뇌졸중 환자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재가뇌졸중 환자들에 대한 재활과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과 삶의 질은 단기간에 향상되는 것이 아니므로 개활 프로그램이 단기적인 것보다는 체계적으로 계획되고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져 삶의 질을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일상생활 동작을 잘 할수록 우울점수가 낮게 나타났고 삶의 질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우 울 정도가 심할수록 삶의 질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들에 대한 선행연구결과들을 살 펴보면 뇌졸중은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같은 신체적인 문제, 우울, 대인관계 감소 등의 사회적 문제가 발생 되고 장기적인 치료와 간호를 요구하는 질병으로서 최종적으로.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Chung, 2000; Hama et al. , 2007, `` Ingrid, Kwakkel, Bruin, & Lindeman, 2007; Khan, 2004; Kim & Kim, 2003; singh et al. , 2007) .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상생활동작, 우울, 삶의 질이 단계적으로 순환되는 관계로 서 모두 뇌졸중환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 내용에 포함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런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뇌졸중은 환자 의 뇌손상을 일으켜 장기적인 우울과 신체적인 기능 장애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으므로 뇌졸중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은 입원을 하자마자 계획하여 치료와 동 시에 시작하고 특히 우울은 뇌졸중의 만성적인 건강 문제로 재활과정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신체적인 중 재와 더불어 정서적인 중재를 포함한 포괄적인 내용 의 프로그램이 바람직하고 장기적으로 삶의 질을 평 가함이 바랑직할 것이다. 또한 뇌졸중은 장기적인 재 활이 요구되는 질환이므로 단기간의 재활 프로그램을 병원에서만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퇴원 후 병원과 지 역 사회에서 연계하여 치료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유지 할 수 있는 재활 프로그램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 라고 본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stroke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QOL).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51 stroke patients at 5 hospitals and 2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and Kyonggi-D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from Grange, Hamilton, and Sherwin(1986), the Korean CES-D scale from Randloff(1977), and quality of life scale from Bang, Hwal-Lan(1991). Resul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t-test, and ANOVA with SPSS/WIN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 subjects consisted of 110 females and 141 males. The mean score of activity of daily living was 87.2(range 18-126). Age, family history, comorbidity, paralysis site, and duration after diagnosi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23.8(range 11-44). Age, gender, education, and job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scale was 3.0(range 1-5). Gender, religion, education, job, economic status, and duration after diagnosi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Relationships among activity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scale: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score.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QOL score. The depression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QOL score.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un rehabilitation programs to improve stroke patients`` ADL, depression. Also, it research for of identifying stroke patients``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rehabilitation program.

      • KCI등재

        출생후 흰쥐 구치의 발육에 따른 치수의 신경지배 발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김영진,남순현,배용철,김동길,김현정 大韓小兒齒科學會 199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tnatal development of pulpal innervation with the tooth development and eruption process in developing rat mandibular molars (postnatal 1, 5, 10, 15, 20, 25, 35day-old and adult rats). Immunohistochemical method was carried out for the detection of nerve fibers, using the antibody against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CGR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eature of CGRP-IR nerve fibers were shown in a bead-like appearance. The time of nerve entering into the dental papilla of tooth follicle began at the occured advanced dentinogenesis. The development of Raschkow plexus began at the formative stage of the roots and was accelerated at the stage of the crown emerged into the oral cavity. The number of nerve fibers entering the odontoblastic layer increased with the tooth eruption and mastication. The development of innervation was shown to be related with the stage of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teeth rather than the chronological age of the rat.

      • Application of Artificial Insemination Technology for Dairy Breeding in Mongolia

        Hyun‐Tae Jo,Jong‐In Jin,Seong‐Su Kim,Byung‐Hyun Choi,Tumor Baldan,Jung‐Gyu Lee,Yun‐Shik Kim,Sam‐Churl Kim,Il‐Keun Kong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11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Vol.2011 No.1

        This study was focused on improvement of milk production in Mongolia dairy industry by artificial insemination (AI) technology, of which was supported from ODA project of KOICA in Republic of Korea. The study was started from January 2009 to present and 3rd years in this year. So, all data, especially synchronization and pregnancy of dairy cows (Holstein) will be summarized in final result in this year. For synchronization, total 81 dairy cows selected from 4 private farms that were 38, 30, 8 and 5 in Undarmal milk, Onjin (Enkhbayer), Jargalant, and BRM School, respectively. All the dairy cows were injected intramuscular (IM) of 5 ml PGF2α in the vulva and detected estrus 2 to 3 days after PGF2α injection. Total 78 out of 81 dairy cows (96.3%) were detected estrus by only 1 time injection of PGF2α. The dairy cows that were induced estrus, inseminated with 0.5 ml dairy frozen semen by conventional AI techniques. The pregnancy diagnosis of the AI dairy cows was detected by uterus palpation after 60 days of insemination. Total 75 from 78 inseminated dairy cows (90.1%) were diagnosis pregnant. The estrus induction and pregnant rate were very effective using PGF2α injection and conventional AI techniques in Mongolia dairy cow. The results indicated that AI after estrus induction in Mongolia dairy cows could be applied to dairy breeding technology to improve the breeding efficiency and milk production.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8)

        김재홍,김준호,반재용,이정우,황성주,정준규,정성태,강진문,조흔정,홍창의,정혜신,이한승,김이선,이봉길,이종호,선영우,한기덕,윤성필,이성훈,안종성,박석범,문승현,조항래,김형섭,류지호,황재영,박준홍,손상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2001 한양의대 학술지 Vol.21 No.1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enereal Disease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na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In 1998, 93 strians of N. ge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60(64.5%) were PPNG.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which had been decreased to 39% in 1996 after a peak of 74.3% in 1993, is increased to 64.5% in 1998.

      • 트레드밀 운동시 흡기근 테이핑이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김민지,신수영,송월섭,조수진,최동락,황미진,황진규,박진현,김경,Dennis W. Fell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再活科學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트레드밀 운동과 키네시오 테이핑의 효과에 따른 폐활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6명의 비흡연자가 참가하였으며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지 않은 그룹과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두 그룹으로 무작위로 배정하고 각 군들을 주 3회 6주간의 트레드밀 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후, 스파이로미터를 사용하여 키네시오 테이핑의 적용 따른 폐활량 변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 그룹에서 적용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FVC, FEV1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한 성인에서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경우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지 않고 트레드밀 운동을 한 경우보다 폐활량의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vital capacity(VC) according to 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with treadmill exercise. Twenty-six non-smok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thes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To measure the VC variation effects of kinesio taping, spirometer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using a paired Mauchly 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group: treadmill with kinesio taping B group: treadmill without kinesio taping. Between A and B,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se of A group, there was 11.66% increase of VC, during 3 weeks experiment(p<.01). In the case of B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3.35% increase of VC, during 3 weeks taping intervention(p<.01). After 6 weeks experiment, the improvement of VC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 (p<.05). From this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readmill exercise with kinesio taping was effective to improve VC to healthy adult than treadmill exercise without kinesio taping.

      • 항암제 처리한 백혈병 세포주에서의 Apoptosis 발현

        김삼용,윤소현,김현수,김종숙,윤환중,김진경,조덕연 충남대학교 암연구소 1998 癌共同硏究所 硏究誌 Vol.2 No.1

        The bcl-2 proto-oncogene encodes a 26 kD protein that promotes cell survival by blocking apoptosis. The bax protein is a member of the bcl-2 familly, now known to form heterodimers with the bcl-2 protein. The ratio of bax to bcl-2 is be critical in determining the fate of the cell in response to stimuli that can induce apoptosis. Extract of Pulsatilla Koreana (SB-31) showed promising antitumor activity in vitro with Topo I inhibitory ac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apoptosis and the apoptosis related proteins, bcl-2 and bax were investigated in human leukemic cell lines HL-60, U-937 and CEM-CM3. All anticancer drugs(adriamycin, etoposide, camptothecin, SB-31) induced extensive apoptosis in HL-60, U-937 cells and CEM-CM3 cells. The expression of bcl-2 and bax protein were determined in cell lines by western blotting before and after incubation with anticancer drugs at different time points. 1) In HL-60 or U-937 cell lines, down regulation of bcl-2 and up-regulation of bax were found after incubation with ADR, VP-16 or camptothecin. 2) In HL-60 or U-937 cell lines, no significant change in bcl-2 or bax protein expression resulted after incubation with SB-31. 3) In CEM-CM3 cells, virtually no change was noted in bcl-2/bax expression after incubation with ADR, VP-16, camptothecin or SB-31. It is suggested that different leukemic cell lines use different pathways of apoptosis activation and a given cell may utilize different pathways of apoptosis activation in response to different cytotoxic agents.

      • KCI등재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분석

        김진모,김진군,마상진,전영욱,이진화,주현미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1

        이 연구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농업인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농업인 교육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개념적 틀은 관련문헌에 대한 고찰과 수집 자료에 대한 귀납적 분석을 통해 개발되었다. 그 결과, 8가지의 기관 유형, 17가지의 프로그램 내용 영역, 5가지의 교육방법, 3가지의 교육인원, 3가지의 교육기간이 도출되었다. 분석대상은 총 173개 기관의 2,483개 프로그램이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농업인 교육은 국가기관 및 기술센터 등의 정부기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재배/사육기술, 생활개선 및 농촌건강관리, 정보획득 등의 내용이 주요 교육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각 기관 유형별로 비중 있게 다루는 주요 교육내용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었다. 넷째,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에서 활용되는 교육방법은 대체적으로 강의에 편중되어 있었다. 다섯째, 교육인원에 있어 중규모와 대규모 인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1 대 1 개별 교육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1일 혹은 3일 이상 이루어지는 교육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2일 동안 이루어지는 교육의 비중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farmer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nd to get implications for further program development.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was developed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an inductive method. As a result, eight types of organizations for farmer education, seventeen content domains of programs, five instructional methods, three categories of program participant size, and three categories of program period were derived.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2,483 programs of 173 farmer education organization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Farmer education programs of Korea were led by government agencies such as national organizations and extension agencies. 2) The content domains of cultivating/raising techniques, improvement of life quality and farmer health car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were relatively highly dealt with. 3) Main contents which were dealt with by each type of farmer education organization were differentiated. 4) In terms of instructional method, a lecture had the highest portion in most contents domains. 5) The portion of the middle size and large size of participants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And there are no programs which used one by one teaching method. 6) The portion of programs for 1 day or 3days was relatively higher, and the portion of programs for 2 days was lower.

      • 한국인 갑상선 수질암 환자에서 RET 원종양유전자 점돌연변이 양상

        김형훈,김현진,정윤재,민용기,이명식,이문규,김광원,기창석,김종원,정재훈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갑상선 수질암의 25∼30%는 유전성으로 발현되는데, MEN 2A, MEN 2B 또는 가족성 수질암의 형태로 나타난다. RET 원종양유전자의 점돌연변이가 유전성 갑상선 수질암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진단 당시의 연령이나 가족력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갑상선 수질암 환자나 또는 RET 변이가 발견된 수질암 환자의 가족 구성원들에서 RET 변이 검색을 하여야 한다. 또한 일부 문헌에서 RET 변이의 양상에따라 임상상이 다르게 표현됨이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 갑상선 수질암 환자에서 RET 원종양유전자의 점돌연변이의 양성률을 알아보고, 변이 양상에 따른 임상상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치근 7년간 본원에서 갑상선절제술을 통해 갑상선 수질암으로 진단받은 29예에서 RET 원종양유전자의 점돌연변이 검사를 시행하였다. 29예의 평균연령은 39세(20∼60세)이었고, 남자 7예, 여자 22예 이었다. 이들의 말초혈액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하고, 특이 시발차를 이용하여 RET 원종양유전자의 exon10, 11, 13, 14, 16부위를 증폭하였다. 증폭된 부위를 자동염기서열분석기를 이용하여 직접 분석하였다. 양성으로 나온 경우는 모든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RET 변이 유무를 검색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29예 중 9예 (31%)에서 RET 원종양유전자 점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 RET 변이가 발견된 9예 (남자 3예, 여자 6예)의 평균 연령은 33세 (20∼51세)로 RET 변이가 발견되지 않은 20예의 평균연령 42세(24∼60세)보다 의미 있게 적었다. RET 변이가 발견된 9예 중 MEN 2A가 5예, 가족성 수질암이 1예, 그리고 산발성 수질암이 3예이었고, MEN 2B는단 1예도 진단되지 않았다. MEN 2A 5예 중 4예는 exon 11의 codon 634번(C634R 2예, C634Y 2예)에서, 그리고 나머지 1예는exon 10의 codon 618번 (C618R)에서 변이가 각각 발견되었다. 가족성 수질암 1아는 codon 634번(C634W)에서, 산발성 수질암 3예도 모두 codon 634번 (C634y 2예, C634s 1예)에서 각각 변이가 발견되었다. RET변이 양상 또는 위치에 따른 임상상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갑상선 수질암 환자 31%에서 RET 원종양유전자의 점돌연변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유전성 수질암 중 가족성 수질암 1예를 제외하고 나머지 5예는MEN 2A이었다. 저자들의 5예와 지금까지 국내에서 보고 된 7예를 합친 국내 MEN 2A 12예 중 75% (9/12)는 exon 11의codon 634번(C634R 4예, C634y 4예, C634w 1예)에서, 그리고 나머지 25% (3/12)는 exon 10의 codon618번(C618R 2예, C618s 1예)에서 변이가 발견되었다. 국내에서는 codon 634과 codon 618 두 곳에만 국한된 양상이었고, codon 634에서의 C634R 변이는 1/3에서만 나타났다. 비록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환자 수 때문에 변이 양상과 임상상의 관계를 규명할 수 없었지만, 향후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여 genotype-phenotype 관계 규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Medullary thyroid carcinomas (MTC) have been reported as hereditary in about 25 -30% of cases. The identification of germline mutation in RET proto-oncogene is important in the diagnosis of hereditary MTC, and occurs in three forms: MEN 2A, MEN 2B and familial MTC (FMTC).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the relationship of RET proto-oncogene mutation and genotype-phenotype was studied in Korean patients with MTC. Methods: Genomic DNA was obtained from 29 patients, with MTC, who underwent a total thyroidectomy, between 1997 and 2003,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There were 7 male and 22 female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39, ranging from 20 to 60 years. Exon 10, 11, 13, 14 and 16 of the RET proto-oncogene were amplified, with specific primers, using PCR. A sequencing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PCR product using an automatic sequencing analyzer. Results: Nine of the 29 patients (31%) were identified as having RET mutations. The average age of these 9 patients was 33 years, ranging from 20 to 51, with a female to male ratio of 2. Five patients had MEN 2A and one had FMTC, with the other 3 thought to have non-hereditary (sporadic) MTC. The 4 patients with MEN 2A had RET mutations on codon 634 of exon 11 (2 patients, C634R; 2 patients, C634Y) and the other patient on codon 618 of exon 10 (C618R). One patient with FMTC had a mutation on codon 634 (C634W). Three patients with sporadic MTC had RET mutations on codon 634 (2 patients, C634Y; 1 patient, C634S). However, no genotype- phenotype relationship could be found,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patients. Conclusion: Thirty-one percent (9/29) of the patients with MTC had RET proto-oncogene mutations. Three-quarters (9/12) of the Korean patients with MEN 2A, including another 7 patients reported in 3 papers in Korea, had RET mutations on codon 634 of exon 11 (4 patients, C634R; 4 patients, C634Y; 1 patient, C634W), but a quarter (3/12) had mutations on codon 618 of exon 10 (2 patients, C618R; 1 patient, C618S). Although no relations could be found between the genotypes and phenotypes, extensive prospective studies will be required to verify this (J Kor SOC Endocrinol 18:360-370, 20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