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은퇴노인의 여가참여 빈도,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잠재성장모형 분석

        남순현 한국노인복지학회 2024 노인복지연구 Vol.79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2022)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6차(2016년), 7차(2018년)와 8차(2020년) 기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은퇴노인의 여가참여 빈도와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종단적인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6차 당시 은퇴한 노인 2,557명 중에서 8차까지 종단 추적된 은퇴노인 1,18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형변화모형은 양호한 모형임이 입증되었다. 은퇴노인의 여가참여 빈도는 삶의 만족도 초기값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건강수준은 삶의 만족도 초기값과 변화량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여가참여 빈도가 삶의 만족도에 종단적인 변화를 보일 때, 건강수준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은퇴노인의 여가참여는 건강수준을 증진시켜 삶의 만족도를 높인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longitudinal change in life satisfaction for retired elderly individuals based on their frequency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health status. The 6th (2016), 7th (2018), and 8th (2020) basic survey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were used to analyze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in the pap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suppor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the level of health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level of health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longitudinal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The paper suggested that the participation of retired older people in leisure activities improved their health levels, which in turn increased their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자기개방이 가족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온·오프라인 교류비교

        남순현,권정혜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family communication systems within the interpersonal paradigm of the digital era.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comparable analyses on the influence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and the online and offline self-disclosures in terms of family intimacy levels. The demography of the 1,697 research subjects ranged from teenagers to people in their thirties, who had been identified as active SNS users from December 2011 to March 2012 by the nationwide population and random sample surveys. The results showed that horizontal individual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frequency of online family interaction, whereas vertical collectivism has no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In terms of online self-disclosures, only the Domain A (intimate subject)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and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offline family interactions, the vertical collectiv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ff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In terms of offline self-disclosures, all variables regarding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no meaningful impact on the off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The research results also showed that individual cultural values and online self-disclosur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as mediators. In addition, the Domain C (simple acquaintance) of online self-disclosure and Domain A, B, and C of offline self-disclosure had directly influences with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The study results comprehensively verified that active online self-disclosure improved the frequency of online family interaction, thereby increased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in the society where horizontal individualism was becoming more prevalent than vertical collectivism. Therefore, the study indicated that a paradigm of family communication could also be transformed from offline to online.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시대를 맞이하여 대인관계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가족의사소통체계에 대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자기개방이 가족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족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의사소통체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1년 12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전국비례할당표본과 임의표본을 통해서 표집된 SNS를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 10대에서 30대까지 1,697명이었다. 연구결과, 온라인 가족의사소통체계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는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었고, 수직적 집단주의는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온라인 자기개방은 A영역(가까운 대상)에서만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고,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는 가족관계의 질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오프라인 가족의사소통에서는 수직적 집단주의만이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고, 오프라인 자기개방의 모든 영역은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는 가족관계의 질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개인의 문화적 가치와 온라인 자기개방은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를 매개로 가족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온라인 자기개방 C영역(단순 지인)과 오프라인 자기개방 A, B, C영역은 모두 가족관계의 질과 직접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차 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넘어가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활발한 온라인 자기개방이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를 촉진시킴으로써 가족관계의 질을 증진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점차 가족의사소통의 패러다임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국인인가? 유학생인가? 중국유학생의 민족정체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전략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남순현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acculturative stress when ethnic identity influences Chinese students’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 South Korea. Participants were 404 Chinese students identifi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from February 2019 to May 2019. The results indicated that ethnic identity and acculturation strategies positively affected Chinese students’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on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culturative stress. The use of strategies for facilitating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dealing with acculturative stress positively affected Chinese students’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hen ethnic identity and acculturation affected Chinese students’ adaptation, strategies for facilitating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acculturative stress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is study suggests that ethnic identity and acculturation strategies are important fo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mong chinese students. Theses findings can used to inform multicultural counseling practice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공부하는 중국유학생의 한국 유학생활의 적응을 돕기 위해,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민족정체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때, 문화적응전략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9년 2월부터 2019년 5월까지 대학강사, 중국유학생연합회, 국제어학원, 재한유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도움을 받아 중국유학생 404명을 유목적 편의표집하였다. AMOS 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여 통제변인을 통제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유학생의 민족정체성은 문화적응전략, 즉 고국문화유지와 한국문화수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전략 중 한국문화수용만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국유학생의 한국문화수용전략과 문화적응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중국유학생의 민족정체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때, 한국문화수용과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또한, 중국유학생의 민족정체성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때, 한국문화수용전략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며, 최근 대학 내 다문화상담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중요성이 크다.

      •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변인들

        남순현 호남대학교 2004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Vol.25 No.1

        This study investigated psychological variables influenced on career indecision. These students of the research are 2,530 as seniors currently enrolling in 20 national/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using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As a result of the paper, career indecision according to gender, depart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career indecision according to university locations did not show. Also. It was found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ubordinate factors in career indecision and psychological variables correlated high. Self-esteem. Big 5 factors in personality and major commitment was influenced on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indecision had an effect on getting emplopment stress and job efficiency.

      • KCI등재

        연예인 자살에 대한 보건 사회과학적 담론 분석

        남순현 한국보건사회학회 2019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2

        This paper aims to diagnose the causes and problems of celebrity suicides in entertainment industry and to examine the discourse on suicide in entertainment industry formed in our society. The paper has analyzed 398 articles related to suicide in entertainment industry among the Internet articles posted in Korea's representative entertainment media Internet bulletin board, Sports Seoul and Sports Chosun, from 2011 to 2018. There were 13 celebrities (10 Male, 3 Female) who committed suicide during this period. Topics discovered through content analysis were classified into suicide attempt, suicide, suicide cause, entertainer activities before suicide, various social reactions, shedding new light on celebrities to commit suicide after death, summon to broadcast, bereaved and countermeasures. Celebrity deaths have a large impact and the response of the society is also diverse.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 social implications of suicides in entertainment industry and ways to prevent suicide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연예인 자살에 대한 원인과 문제점 등을 진단해보고, 우리 사회에 형성된 연예인 자 살에 대한 보건 사회과학적 담론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스 포츠서울과 스포츠조선, 한국의 대표적인 연예전문 미디어 인터넷 게시판에 게시된 기사들 중에서 연 예인 자살과 관련된 398건의 기사를 내용분석하였다.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자살한 연예인은 13 명이었고, 남성연예인이 10명, 여성연예인이 3명이었다. 내용분석을 통해서 발견된 주제는 자살기도, 자살, 원인, 자살 전 연예활동, 다양한 반응들, 자살자 재조명, 방송에 소환, 유족 그리고 대응방안으 로 유목화되었다. 연예인 자살은 그 파급효과가 크고, 그에 따른 사회의 반응 또한 다양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예인 자살이 지닌 보건 사회과학적 함의를 살펴보고, 향후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들 을 모색해보았다는데 그 시사점을 지닌다

      • KCI등재

        청소년의 성격, 애착, 온라인 자기개방, 가족친밀감과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 간의 종단적 관계: 잠재성장모형 분석

        남순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8 No.4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650 adolescents' online self-disclosure on the associ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s, attachment, and changes to family and online peer relationships. Longitudinal data were collected, end-to-end, in three sessions over a 6-month (on average) period from December 2011 to February 2013.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alyses conducted in AMOS 20.0 were used. As a result, for Group A (friends) of online self-disclosure, it examined not only the direct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s’ openness and changes to family intimacy,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on changes to online friendships. Attachment anxiety manifested positive changes to family and online peer relationships through continual online self-disclosure with close peers. However, attachment avoidance predicted a negative effect on changes to family intimacy and online friendships. For Group C (distant acquaintances) in terms of online self-disclosure, adolescents’ neuroticism positively predicted changes to family intimacy and online relationship quality if online self-disclosure was continuous. Furthermore, adolescents’ conscientiousness directly affected changes to online friendship quality. However, attachment avoidance negatively affected changes to family intimacy. These results counter previous studies claiming that a strong affinity for peers aggravates parent-child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ce. Instead, the present findings indicate that adolescents’ online communication can positively affect family conflicts, suggesting that active online self-disclosure is beneficial to both family and online peer relationships. 본 연구는 청소년 65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성격특성과 애착이 가족과 온라인 친구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때, 가까운 대상과 단순지인과의 온라인 자기개방 매개효과를 종단 연구한 것이다. 조사기간은 2011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였고, 평균 6개월 단위로 3차례에 걸쳐 연구대상자를 종단추적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A영역(가까운 대상)의 경우, 청소년의 개방성은 가족친밀감 변화에 직접효과와 온라인 자기개방의 종단적 변화에 따른 간접효과를 동시에 보였고,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 변화에는 매개효과만 보였다. 애착불안은 친한 친구와 온라인 자기개방이 증가할수록 가족친밀감과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반면, 애착회피는 가족친밀감과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 변화에 부정적인 직접효과만 보였다. C영역(단순지인)의 경우, 온라인 자기개방이 증가할수록 청소년의 신경성이 가족친밀감과 온라인 관계의 질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성실성은 온라인 관계의 질 변화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애착회피는 가족친밀감 변화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기 또래와의 강한 유대감이 가족관계를 약화시켜 청소년 가족문제를 초래한다는 기존 관점과 달리, 온라인에서 청소년의 활발한 자기개방이 가족과 온라인 친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상반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는 청소년의 온라인 의사소통이 가족관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신체학대, 공격성 및 아동기 비행간의 관계: 모녀를 중심으로

        남순현,최희경 한국상담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8 No.4

        Recently the issue of the child abuse has been discuss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physical abuse in the family, daughter's aggression and behavior problem.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into a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with 229 female students of fifth and six graders of elementary. We conducted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between physical abuse, aggression, and child's behavior problem. Daughter's aggression was shown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hysical abuse and daughter's behavior problems. In addition, mother's physical abuse were shown to have a direct impact on daughter's behavior problems.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a daughter who were physically abused by her mother is likely to internalize her aggression, which affect directly and indirectly child's behavior problem behaviors and to negatively impact on her healthy and normal development. 최근 아동학대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 여아 229명을 대상으로 여아가 지각하는 가족 내에서 어머니로부터 받은 신체학대, 공격성, 아동기 비행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공격성이 개인의 내적 특성으로 내면화되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평가척도는 신체학대척도, 공격성척도, 아동기 비행척도 및 인구통계적인 변인들에 관한 질문들이었다. 연구기간은 2005년 6월 30일부터 2005년 7월 7일까지였고, 분석에 사용된 최종 자료들은 SPSS WIN 12.0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 및 회귀분석, AMOS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경로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체학대, 공격성 및 아동기 비행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신체학대가 아동기 비행에 영향을 미칠 때 공격성이 일시적 호기심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아동기 비행의 하위요인들에 대해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학대를 많이 경험한 여아는 어머니의 폭력을 공격성으로 내면화하여 아동기 문제행동으로 표출하기 때문에, 건강한 발달에 심각한 저해를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모녀관계에서 온라인상 친밀감의 변화 탐색: 청소년기부터 성인기로의 전이에서

        남순현,권정혜 한국여성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1 No.3

        Recently,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mportance of online family interactions as on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came more a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onlin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in accordance with the daughter’s transition process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by the first author. The first interview group consisted of 5 single females and the second group of 5 married females, who were selected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from November 26, 2013 to December 11, 2013.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intimacy in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could be defined operationally as the deepened affection through close contacts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Results showed that the onlin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could be divided by the online communication avoidance period, the online communication exploration period, the online communication amplification period, and the stable online communication period. In the online communication avoidance period, the daughter’s online activities created conflicts in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Although both of them were engaged in online communication, the mother took part in more online activities in the initial online contacts. In the online communication amplification period, mother and daughter planned her marriage in the near future, which was a major event for all daughters. The onlin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became closer as they prepared for this event. In the stable online communication period, they did not always touch base online, but they still maintained daily online communication. The daughter's offspring became the focus of the online communic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online communication provided a basis for both mother and daughter to better understand each other and deepen their affection.

      • KCI등재후보

        기혼여성의 성과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 -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 비교 -

        남순현 한국가족치료학회 2009 가족과 가족치료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married women's sexuality and their level of psychological happiness. The subjects were 330 sexually active and 337 sexless married wom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coping behavior, sexu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happiness between the two groups but no differences in the moral sexual attitude and the controlling type of sexual coping behavior.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sychological happiness of both groups was not influenced by the sexual knowledge, while the psychological happiness of sexually active women was influenced by the rational sexual attitude and that of sexless married women was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moral and rational sexual attitude.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s of volunteer activity and cultural course taking were found for sexless women but not for sexually active women. 본 연구는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지식, 성태도, 성대처행동 및 성생활만족과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성교부부 기혼여성 330명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337명이 였다. 첫째, 변량분석 결과, 도덕적 성태도와 성적 통제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지식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성교부부 기혼여성의 합리적 성태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전통적, 도덕적, 합리적 성태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적 표현성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적 통제성이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원봉사활동과 문화강좌이용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교부부 기혼여성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은 정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핵심 지표로써 부부간의 성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하나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줌으로써 그 활용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 KCI등재

        이주여성의 가족지지가 행복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외로움의 매개효과

        남순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0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이주여성이 한국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심리적 내면을 살펴보기 위해서, 사회적 지지가 이주여성의 행복과 한국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칠 때, 감사, 마음의 빚과 보답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11월 15일부터 2019년 1월 30일까지 종합사회복지관, 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이주여성 모임 등의 도움을 받아 동아시아 5개국 225명을 유목적 편의표집하였다. AMOS 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와 고국친구의 지지는 이주여성의 감사 정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시부모의 지지는 이주여성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국친구의 지지는 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감사와 마음의 빚은 배우자와 고국친구의 지지가 이주여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칠 때만, 유의한 간접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감사와 보답은 배우자와 고국친구의 지지가 행복과 한국생활의 적응에 영향을 미칠 때,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생활 적응과정에서 대상별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이주여성의 지각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loneliness when familial supports affects the happiness and depression levels of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Method: This paper involved 316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from five East Asian countries, and conducted by purposeful convenience sampling from November 15, 2018 to January 30, 2019. Result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yielded several findings: (1)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happiness and depression levels of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based on support from spouses was found, (2) the support of the spouse onl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ith respect to loneliness on the happiness and depression levels of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and (3) only when the support of their children affected the happiness and depression levels of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did acculturative stress showed an indirect effect. However,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were noted. Conclusions: The paper suggests that familial support, especially spousal support, wa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Korean life among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