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대영 ( Dae Young Cheung ),장병익 ( Byung Ik Jang ),김상욱 ( Sang Wook Kim ),김지현 ( Jie-hyun Kim ),김형근 ( Hyung Keun Kim ),신정은 ( Jeong Eun Shin ),윤원재 ( Won Jae Yoon ),이용강 ( Yong Kang Lee ),정광현 ( Kwang Hyun Chun 대한내과학회 2020 대한내과학회지 Vol.95 No.5
Background/Aims: The area of endoscopic application has been continuously expanded since its introduction in the last century and the frequency of its use also increased stiffly in the last decades. Because gastrointestinal endoscopy is naturally exposed to diseased internal organs and contact with pathogenic materials, endoscopy mediated infection or disease transmission becomes a major concern in this field. Gastrointestinal endoscopy is not for single use and the proper reprocessing process is a critical factor for safe and reliable endoscopy procedures. What needed in these circumstances is a practical guideline for reprocessing the endoscope and its accessories which is feasible in the real clinical field to guarantee acceptable prevention of pathogen transmission. Methods: This guideline contains principles and instructions of the re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step by step. And it newly includes general information and updated knowledge about endoscopy-mediated infection and disinfection. Results: Multiple societies and working groups participated to revis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s, Korean College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Cancer,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Intestinal Diseases,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Nurses and Associates and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Through this cooperation, we enhanced communication and established a better concordance. Conclusions: We still need more researches in this field and fill up the unproven area. And our guidelines will be renewed accordingly. (Korean J Med 2020;95:325-335)
박중원 ( Jung-won Park ) 대한내과학회 2022 대한내과학회지 Vol.97 No.6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45,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KAIM) has had a proud history of overcoming challenges with the combined and harmonized endeavors of all KAIM members. KAIM is now facing several issues related to marked social changes in Korea as well as revolutions in medical science and scientific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Furthermore, KAIM shortened the resident training program in 2017. Internal medicine (IM) is an essential discipline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Korean citizens. However,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lacks initiatives for supporting IM, and the Korean Health Insurance reimbursement policy does not reflect the essential role of IM in health care. This is aggravated by imbalances in hospital resources and skewed notions in patients’ preferences with regard to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Limited preferences in application to subspecialties may be an obstacle for coordinated development of IM. The current generations of students and residents are familiar with online educational lectures and have different needs for educational materials, which are not met by conventional educational materials. Recent experiences in the COVID-19 pandemic have exacerbated or accelerated these changes and problems. From this perspective, I will summarize the challenges that KAIM is now facing, and outline some possible solutions. (Korean J Med 2022;97:335-338)
S-71 위내시경적 점막하 박리 절제술 전과 후의 보험 급여 적용 차이
김은진,이항락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1
서론: 위내시경적 점막하 박리 절제술은 위상피종양의 치료에 있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위내시경적 점막하 박리 절제술에 대한 보험 급여 적용이 2011년부터 시행되었다. 그러나 보험 급여 적용하는데 있어, 시술 전 종양의 상태를 기준으로 결정하고 있다. 이연구의 목적은 점막하 박리 절제술 전과 후의 결과가 달라지는 경우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현재 위내시경적 점막하 박리 절제술에 대한 보험 급여 적용에 대한 제한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 본저자는 2013년 9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위내시경적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받은 총 188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위내시경적 점막하 박리 절제술은 한 명의 내시경 전문가에 의해 시행되었다. 총 188명의 환자 중, 위암으로 시술을 받은 경우가 98명(n=98), 위선종으로 시술을 받은 경우가 90명(n=90)이었다. 이들 중 127명 남자였고, 61명이 여자 였다. 환자들 나이의 중앙값은 63.28±12.23세 였다. 결과 : 위내시경적 점막하 박리 절제술 전에 종양의 크키, 분화도, 침범 깊이에 따라 보험 적용 여부를 판단하였을 때, 총 188명 중 122명(64.9%)이 현재 보험 기준에 적용이 되었고, 나머지 66명(35.1%)은 보험 기준 적용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위내시경적 점막하 박리 절제술 후, 병리 결과에 따라 다시 보험 적용 여부를 판단하였을 때, 총 188명 중 47명(25%)가 이전 보험 적용 여부에 차이가 있었다. 시술 전 기준으로 보험 적용이 된 122명의 환자 중, 20명(16.3%)가 시술 후 결과를 기준으로 보험 기준을 적용하였을 때 보험 적용이 되지 않았다. 또한, 시술 전 기준으로 보험 적용이 안된 66명의 환자 중, 27명(40.9%)는 시술 후 기준으로 다시 적용하였을 때, 보험기준에 적용이 되었다. 고찰: 위와 같은 결과를 참고하였을 때, 위내시경적 점막하 박리 절제술에 대한 보험 기준에 대한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임상강좌 : 당뇨병 -2010 미국당뇨병학회 표준진료 권고안 핵심요약 및 대한내분비학회, 대한당뇨병학회 공동견해
박병현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9 No.20
Diabetes is one of the leading cause of death these days, and well known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such as myocardial infarction or stroke. Since 2005,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has published the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and also revised it at 2010 January. Here I will introduce a consensus of Korean Endocrine Society and Korean Diabetes Association for intensive glycemic control and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type 2 diabetes and also present executive summary of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0 which was recommended by ADA.
특집-주요 내분비질환의 진료 지침 : 당뇨병 진료지침 -대한당뇨병학회, 미국당뇨병학회, 유럽당뇨병학회, 일본당뇨병학회 권고안-
오지영 ( Jee Young Oh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3
Type 2 Diabetes mellitus is one of the leading cause of death these days, and a well known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such as myocardial infarction or stroke. There is now extensive evidence on the optimal management of diabetes, offering the opportunity of improving the immediate and long-term quality of life of those with the condition. Many guidelines have appeared internationally, nationally, and more locally in recent years, but most of these have not used the rigorous new guideline methodologies for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evidence. I will introduce here major guidelines from Korean Diabetes Association,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Japan Diabetes Society, and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Korean J Med 75:249-256, 2008)
Cheol-Seung Cheon,Chang-Lak Kim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7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5 No.4
2017년 6월에 영구정지 된 고리 1호기의 해체는 한국의 상업 원전에 대한 첫 해체 사례가 될 것이다. 해체 과정 중에 발생하 는 폐기물에 대한 처분은 전체 해체 비용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방사화 및 오염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적절한 해체 전략을 수립하여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해체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차폐체에 대한 최적화된 해체 및 처분 시 나리오를 연구하였다. 해체사례, 폐기물 처분 규정 및 처리 기술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생물학적 차폐체 제거 과정의 폐기물 발생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최적 해체 시나리오를 제시하였고 폐기물 처분 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decommissioning of Kori unit 1, which was permanently shut down in June of 2017, will be the first instance of the dismantling of a commercial nuclear power plant in Korea. The disposal of waste during the dismantling process accounts for a large part of the total decommissioning cost. Therefore, structures consisting of activated and contaminated concrete must be economically and safely dismantled by establishing a proper dismantling strategy. This study focuses on optimized dismantling and disposal scenarios pertaining to a biological shield. Several dismantling cases, regulations and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 treatment as these practices pertain to nuclear power plants are analyzed. To minimize the amount of waste from the biological shield dismantling process, an optimized dismantling scenario is presented and disposal alternatives for dismantled concrete waste are proposed.
표재 대퇴 동맥의 스텐트 삽입 후 원위부혈관의 협착이 스텐트내 재협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김경환,문세권,김희종,김완,강원유,황선호,황승환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1 No.1
INTRODUCTION: 최근 말초 동맥에 대한 스텐트 삽입 시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시행 후 스텐트내 재협착 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있다. 관상동맥의 재협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많이 밝혀져 있지만, 말초동맥의 재협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METHODS: 말초 동맥 질환으로 처음 진단되어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받고 적어도 24개월 이상 추적관찰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 조사를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24개월 이내에 스텐트내 재협착이 확인된 13명 (Group I)과 24개월 이상이 경과했음에도 스텐트내 재협착이 없음이 확인된 20명 (Group II)으로 나누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가 무엇인지 분석해 보았다. 특히 전경골동맥, 후경골동맥, 비골동맥등 원위부 동맥의 협착 여부가 표재 대퇴 동맥의 스텐트내 재협착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RESULTS: 고혈압, 당뇨병, 고지질혈증, 관상동맥 질환의 동반 여부는 Group I과 II에서 통계학적은 차이는 없었다 (p>0.05). 또한 스텐트 삽입전 creatinine, hs-CRP 등도 의미있는 p값을 나타내지 못했다. 여러 인자 중에 삽입된 스텐트의 총 길이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가졌으며 (168mm in Group I vs 95mmin Gropu II, p=0.013), 알아보고자 했던 원위부 동맥의 침범 여부는 의미있는 값을 가지지 못하였다 (p=0.95). CONCLUSION: 삽입된 스텐트의 길이가 길수록 스텐트내 재협착이 많이 발생하였으나 표재 대퇴 동맥의 스텐트의 재협착에 원위부 동맥의 침범 여부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원위부 혈관의 완전폐쇄나 복합병변 유무 등이 재협착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겠다. 또한, 전향적으로 표재 대퇴 동맥에 대한 스텐트 삽입시에 원위부 폐색에 대해서도 동시에 시술을 시행할 경우 대조군에 비해서 어떠한 결과를 갖는지 알아보는 것도 의미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재범 ( Jae-bum Jun ) 대한내과학회 2019 대한내과학회지 Vol.94 No.1
“의료 윤리”가 의사들이 이수해야 할 필수 과목이 된 시대를 살고 있다. 본 지면에서는 우선 대한내과학회에 윤리위원회가 설치된 배경과 그 과정을 정리하고, 내과 의사 윤리 선언의 제정과 내용에 대하여 살펴본 후, 내과 의사가 되고자하는 내과 전공의들에 대한 윤리 교육의 현재와 앞으로의 방향에 대하여 기술해보고자 한다.
임상강좌 : 당뇨병 (2010 미국당뇨병학회 표준진료 권고안 핵심요약 및 대한내분비학회, 대한당뇨병학회 공동견해)
박병현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0 No.-
Diabetes is one of the leading cause of death these days, and well known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such as myocardial infarction or stroke. Since 2005,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has published the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and also revised it at 2010 January. Here I will introduce a consensus of Korean Endocrine Society and Korean Diabetes Association for intensive glycemic control and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type 2 diabetes and also present executive summary of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0 which was recommended by A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