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음인(少陰人) 태음병(太陰病) 심하비증(心下?證)의 병증약리(病證藥理) 고찰

        서영광,이지원,이준희,최원철,이의주,고병희,Seo, Young-Kwang,Lee, Ji-Won,Lee, Jun-Hee,Choi, Won-Cheol,Lee, Eui-Ju,Kho, Byung-Hee 사상체질의학회 2010 사상체질의학회지 Vol.22 No.3

        1. Objective: Gastric Stuffiness (心下?證) in the Soeumin Taeeum symptomatology (少陰人 太陰病)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hows an interesting evolutionary process. Originally found in the texts of Sanghanlun (傷寒論), the perspectives regarding the symptoms of Gastric Stuffiness were expanded by many medical scholars and Lee Jema. To comprehend the Jema's concept of Taeeum symptomatology and utilize his prescription clinically, it deserves to study on the Gastric Stuffiness in Donguisuseowon (東醫壽世保元). 2. Methods: Many texts including Sanghanlun (傷寒論) and Dongeuibogam (東醫寶鑑) were reviewed in order to track the evolutionary process concerning the symptoms of Gastric Stuffiness. Also, Lee Jema's works including the different versions of Donguisuseowon (東醫壽世保元)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Lee's concepts regarding the Gastric Stuffiness in the Soeumin Taeeum symptomatology. 3. Results and Conclusions: 1) Most of the previous concepts on Gastric Stuffiness we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found in Sanghanlun, especially in that they addressed Yang deficiency of the middle triple energizeer as the central pathogenic process. 2) Lee Jema's views on the epigastric discomfort in the Soeumin Taeeum symptomatology evoloved over time and culminated in the finalized pathology and therapeutics appearing in his last work, the Shinchuk version of Donguisuseowon (東醫壽世保元). 3) 4 kinds of prescription which invented by Lee Jema to treat the Gastric Stuffiness in the Soeumin Taeeum symptomatology can be matched to the prescription of Sanghanlun respectively. However through evolutionary process of Jema's prescriptions, the indication of them expanded: not only to treat Gastric Stuffiness but to diverse symptoms of Soeumin.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비대칭 군집분석법의 소개 및 사례분석

        이광진,김범준 목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8 社會科學硏究 Vol.- No.2

        전통적인 군집분석 이론에서는 대칭인 거리행렬을 바탕으로 군집현상을 파악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상사성행렬이 주어진 경우 이를 거리행렬로 변환하지도 않으면서 비대칭 상사성행렬이 주어진 경우 이를 거리행렬로 변환하지도 않으면서 그리고 비대칭성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개체들간의 군집 또는 결합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비대칭 군집분석(asymmetric cluster analysis)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소개하면서, 두 개의 실 제자료를 통해 이의 유용성을 보이고자 함이 목적이다.

      • KCI등재후보

        자일리톨, 후노란, 제2인산칼슘 및 카제인포스포펩타이드배합껌이 법랑질의 광질재침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용실험연구

        이병진,배광학,박우철,양준영,황수정,노정,백대일,김종배 대한구강보건학회 2003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27 No.4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ries preventive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xylitol, funoran, calcium hydrogen phosphate and casein phosphopeptide by examining Vickers' hardness and surface roughness with confocal laser microscope. Early caries-like lesions were created using 0.1 M lactic acid-sodium hydroxide buffer(pH 4.0). 8 pieces of 3am diameter bovine enamel specimen with early caries-like lesions were mounted into the recesses of lingual surface of the acrylic mandibular removable appliance. 13 subjects were the appliance for daytime and chewed control and experimental gums 7 times in a day, for 3 days. In order to evaluate the remineralization effect of chewing gum on specimens, we measured vickers' hardness number after chewing gum, 1 day, 2 days, 3 days after and calculated surface roughness immediately after chewing gum. Vickers' hardness number of experimental chewing gu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in 2 and 3 days after. Surface roughness of experimental chewing gu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immediately after chewing gum. These results showed that experimental gum has more effective in remineralization of bovine tooth enamel, and it is more effective at immediately after chewing.

      • KCI등재

        Peripheral, soft tissue odontoma에 관한 증례보고

        이종갑,최병재,최형준,이광출 大韓小兒齒科學會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1

        1. Peripheral odontoma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확진을 위해서는 생검이 필수적이다. 2. Peripheral odontoma는 치은의 종창을 동반하며 서서히 성장하는 임상적 특징을 가진다. 3. 골내 치아종과 마찬가지로 Peripheral odontoma의 치료로는 완전한 외과적 절제가 추천되고 예후 또한 양호하다. Odontomas, hamartomas of odontogenic origin, are composed of all the structures that make up teeth. The WHO distinguishes odontoma into two types. The complex odontoma is defined as "a malformation in which all the dental tissues are represented, individual tissues being mainly well-formed but occurring in a more or less disorderly pattern." The compound odontoma is defined as "a malformation in which all the dental tissues are represented in a more orderly pattern than in the complex odontoma, so, that the lesion consists of many toothlike structures. Most of these structures do not resemble morphologically the teeth of normal dentition, but in each one enamel, dentine, cementum, and pulp are arranged as in the normal tooth." Almost all odontomas are located intraosseously, but they have occasionally been reported in extrabony location. Peripheral or soft tissue odontomas, those arising outside of the alveolar bone, are very rare. Peripheral or soft tissue odontoma are defined as tumors that demonstrate the histologic characteristics of their intraosseous counterparts but occur solely in the soft tissue covering the toothbearing portion of the mandible and maxilla, When they mature, they appear as a radiopaque mass without the peripheral halo. The final diagnosis should be confirmed by biopsy. The origin of peripheral odontoma is probably related to remnants of the dental lamina in the gingiva. The treatment of choice is complete surgical excision, similarly to intraosseous odontoma and it does not tend to recur. This report presents a case of 5-year-old boy with swelling on labial gingiva of primary central incisor. And it was diagnosed as peripheral odontoma by excisional biopsy.

      • KCI등재

        복숭아의 재배 및 저장기간 중 Procymidone, Chlorpyrifos 및 Cypermethrin의 잔류량 변화

        이용재,고광용,원동준,길근환,이규승 한국환경농학회 200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2 No.3

        복숭아의 생산단계에서 잔류허용 기준과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잔류양상 평가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복숭아에서의 procymidone, chlorpyrifos 및 cypermethrin의 포장상태에서와 실온(20°C) 및 저온(4°C) 저장시 잔류양상을 알아보았다. Procymidone의 포장상태에서의 반감기는 표준량 3.1, 배량 3.4일로 나타났고, chlorpyrifos는 포장상태에서 포준량 7.2, 배량 5.8일로 나타났으며, cypermethrin은 표준 10.1, 배량 14.4일로 나타났다. 약제 살포 후 초기 부착량이 MRL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해 본 결과 배량으로 살포 할 경우 procymidone과 chlorpyrifos는 안전사용기준 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지만, 표준량으로 사용할 경우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의 procymidone, chlorpyrifos, cypermethrin의 반감일수는 20°C에서 4.6, 10.2, 12.9일 이며, 4°C에서는 16.1, 14.3, 13.1일로 저온에서의 반감기가 실온에서보다 더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세척방법에 의한 잔류농약의 제거율은 수돗물에서는 최고 procymidone 82.9%, chlorpyrifos 27.0%, cypermethrin 24.0%로 나타났고, 세제를 사용 할 경우 procymidone 88.8%, chlorpyrifos 59.0%, cypermethrin 59.4%의 제거율을 보였다. The residue patterns of procymidone, chlorpyrifos and cypermethrin in peaches were examined. The pesticides were sprayed at 15 days before harvest and then were determined the residue at 0, 1, 2, 3, 5, 7, 10 and 15 days after pesticide application and calculated their DT_(50). Also, the degradation patterns at 4℃ and 20℃ during storage period were compared. Biological half-lives of procymidone, chlorpyrifos and cypermethrin in peaches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were 3.1, 7.2 and 10.4 days, respectively. The biological half-life of procymidone was shorter than the others. During the storage period, half-lives of procymidone, chlorpyrifos and cypermethrin were 16.0, 14.3 and 13.1 days at 4 C and 4.6, 10.2 and 12.9 days at 20℃, resp ectively. The degradation rates of these three pesticides in storage period were slower than them in cultivation period. Removal rates were 22.2--82.9% by tap water, and 12.5∼88.8% by detergent solution.

      • KCI등재

        주요 우울증에서 종양괴사인자-베타 유전자의 다형성

        전태연,배치운,김영호,장계호,이정태,박원명,김광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6

        연구목적 : 주요 우울증은 역학적 유전연구 등을 통하여 유전적 영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분자 유전학적 연구로 유전자 다형성과 질병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 정신질환의 유전학적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와 면역계간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싸이토카인 중 TNF-β 유전자의 다형성을 분석하여 주요 우울증과의 유전학적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DSM-IV에 의하여 주요 우울증으로 진단된95명을 환자군으로 선정하였고 가톨릭조혈모세포정보은행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상 한국인 202명의 자료를 정상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전혈에서 DNA를 추출하고 TNF-β 유전자 부위를 증폭한 후 제한효소 Nco Ⅰ으로 절단하여 555bp와 185bp의 절편을 갖는 TNFB*1과 Nco Ⅰ절단부가 없는 740bp의 절편 TNFB*2등 2가지 대립유전자의 제한효소절편길이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자료의 분석은 x²검증을 이용하였다. 결 과 : 1) 주요 우울증과 정상 대조군 간에 TNFB유전자인 TNFB*1/1, TNFB*1/2 및 TNFB*2/2의 발현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두 군 간에 TNFB*1 과 TNFB*2 두 대립유전자의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주요 울울증군과 정상 대조군 간에 TNFB*1과 TNFB*2의 두 대립유전자 발현 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TNFB 유전자다형성과 주요 우울증과의 유전학적인 연관성이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임상변인을 포함하여 보다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Objective : Major depressive disorder is known to have high genetic predisposition and the main focus of recent genetic studies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has been concentrated on association studies between genetic polymorphism and disease, since molecular genetic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immunogenetic influences by analyzing polymorphism of TNFB gene, which is involved in interaction of immune system and CNS. Method : 95 persons who had been diagnosed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were assigned as patient group and, 202 data obtained from Catholic hemopoietic stem cell bank,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ere used as normal controls in this study. DNA was extracted from whole blood, thereafter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digested by Nco Ⅰ.After that procedure, we obtained and assess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f two alleles, TNFV*1 which has 555bp and 185bp fragments and carries the Nco Ⅰ restriction site, and TNFB*2 of 740 bp fragment lacks the Nco Ⅰ restriction site. All data were analyzed by x²test with two-tailed Fisher's exact test. Results : 1) The frequencies of TNFB*1/1, TNFB*1/2, and TNFB*2/2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and control group. 2) The frequencies of TNFB*2 and TNFB*1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Conclusion : We did not verified the differences of frequency in TNFB*1/TNFB*2 gene between the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normal controls,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re is no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gene polymorphism of TNFB. We do suggest that further systematic studies including various clinical variables should be conducted.

      • Fluoroquinolone계 항균제의 penicillin 내성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에 대한 항균력 비교

        이광준,배송미,황규잠,이영희,김기상 대한화학요법학회 2002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20 No.3

        목적 : 최근들어 penicillin 내성 폐렴구균의 급속한 증가와 전세계로의 확산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1990년대 들어 그람음성 세균뿐 아니라 그람 양성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향상된 많은 fluoroquinolones계 항균제의 개발에 힘입어 폐렴구균성 감염질환 치료시 사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한편, 이와 더불어 이미 fluoroquinolone계 항균제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폐렴구균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국내 임상 분리 폐렴구균 중 penicillin에 고도내성을 보이는 균주를 대상으로 하여 fluoroquinolones계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3% 말혈액이 첨가된 Mueller-Hinton broth를 사용한 액체배지 미량희석법을 이용하여 NCCLS에서 제시한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 MIC_90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본 실험에서 사용한 5가지의 fluoroquinolones계 한균제 중 gatifloxacin과 moxifloxacin(MIC_90, 0.5㎍/㎖)이 ciprofloxacin (MIC_90, 4㎍/㎖), levofloxacin (mic_90, 2㎍/㎖) sparfloxacin (MIC_90, 1㎍/㎖)에 비해 penicillin 내성 폐렴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 5가지의 fluoroquinolones계 항생제 중 최근들어 새로이 개발된 항생제인 moxifloxacin과 gatifloxacin이 ciprofloxacin, levofloxacin, sparfloxacin보다 폐렴구균에 대한 더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국내 페니실링 고도 내성 폐렴구균에서 fluoroquinolones에 대한 고도 내성을 보이는 균주의 출현은 fluoroquinolones 내성 균주의 급속한 증가와 확산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Background : Recently the rapid increase and global spread of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In the 1990s, a varisty of novel fluoroquinolones with enhanced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the treatment of pneumococcal infections. In such situations, the fluoroquinolone-resistance in S. pneumonaie has been reported from many countrie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ctivity of ciprofloxacin, levofloxacin, sparfloxacin, gatifloxacin and moxifloxacin against 93 isolates of S. pneumoniae which were highly- resistant to penicillin (MIC 2~8㎍/㎖). methods :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were determined by the broth microdilution method in cation-adjusted Muller-Hinton broth supplemented with 3% lysed horse bloo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National Committee for Laboratory Standards (NCCLS). Results : Based on MIC_90s, sparfloxacin and moxifloxacin were the most potent fluoroquinolone tested against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and retained excellent activity comparable with ciprofloxacin and levofloxacin. The rank order of bactericidal activity was ciprofloxacin (least active)《 levofloxacin 〈 sparfloxacin 〈 gatifloxacin and moxifloxacin (most active).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newer fluoroquinolones (moxifloxacin, sparfloxacin)showed improved activity over that observed with ciprofloxacin, levofloxacin, and sparfloxacin. The emergence of highly resistance to fluoroquinolones among penicillin-resistant pneumococci in Korea call for continuous attention and strategies to prevent rapid increase and spread of these str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