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의 대학생활 특성 탐색: 수도권 소재 D종합대학 사례 연구 중심으로
이영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llege adap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tyle, emotional adaptation, and career of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two step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in 2016 at the university in Gyeonggi-do. The 37 open-ended questionnaire were answered by 37 students by both of groups from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college entrance exam as the first step of research in order to compare and contrast their characteristics of two groups of students. The second step of qualitative research was to conduct in-depth interview for the 6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in order to analyze their concret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followed. Overall,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tyle are similar in the two groups of students from both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college entrance exam, college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and career are relative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of students. First, the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are influenced by their academic interest and needs when they applied for the university and deciding their majors. And they were active to participate in many kinds of activities in both academic and non-academic fields in colleges. Second, the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think of the relationships among people and try to be involved in the groups activities while they are in college. Third, the students also think that having a lot of experiences in the college life is important to improve their competency which is critical to be prepared for the future career. Thus, they want to be involved in many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college. These findings are aligned with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that was conducted previously by the researchers.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대학생활, 학업, 정서, 그리고 진로 영역에 대한 특성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의 2016학년도에 입학한 대학 3학년 재학생들 대상으로총 2단계 걸친 분석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3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및 정시전형으로입학한 학생들로 구분하여 대학생활 전반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통하여 전형에 따른 학생들의 응답 특성 및 차이를분석하였다. 2단계 분석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 입학 재학생들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학생부종합전형입학생들이 보이는 구체적인 특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과 정시전형 입학생들은 학업 관련 부분의 특징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대학생활, 정서, 진로 영역에서 보이는특징들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학생부종합전형 입학 재학생들의 대학생활에서의 주요 특징은 자신의적성을 바탕으로 학문적 호기심과 전공에 대한 관심을 갖고 대학 진학 및 전공 선택을 하였다. 따라서 대학생활에서의가장 큰 만족도 또한 자신들의 학문적 욕구에 대한 충족감이라는 점이었다. 둘째,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은 정서영역에 대한 주요 특징으로 대학생활 전반에서 다양하고 적극적인 교류와 활동 참여를 통하여 타인과 공감 및 소통하는인간관계를 추구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이 보이는 진로 영역에 대한 특징은 전문 분야로 진출하고자하는 확고한 의지와 이를 위하여 다양한 활동과 경험을 통한 적극적 진로 준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양적 연구 방식으로 수행되었던 선행 기초 연구(임현정, 이영희, 2017)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결과로써, 질적분석을 통하여 결과에 대한 배경 및 이유, 그리고 변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 등의 맥락적 해석을 할 수 있었다. 학생부종합전형의 궁극적 취지를 살리고 전형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종단 연구를 통하여 학생부종합전형입학생들의 성장과 잠재력 발현에 대한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대학교육의 질 관리를 통한 학생부종합전형의본질적 목적과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영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6 연구보고 Vol.- No.-
지금까지 우리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학적 논의들과,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논의에 기초해서 발전하고 있는 기술영향 평가의 대표적 두 흐름을 살펴보았다. 먼저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학적 논의들을 과학의 ‘사회적 제도’ 연구, 과학기술의 ‘사회적 구성’ 연구, 그리고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고,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 세가지의 연구 흐름이 하나의 이론적 틀로 통합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학기술과 사회에 대한 논의가 ‘기술영향평가’라는 구체적인 과학기술정책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미국의 OTA와 네덜란드의 NOTA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미국의 OTA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 연구의 전통 하에 있는 것으로, 그리고 네덜란드의 NOTA는 ‘사회적 구성’ 연구와 ‘사회적 영향’ 연구를 통합하고자 하는 시도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앞에서 보았듯이 미국의 OTA로 대표되는 전통적 기술영향평가에서는 기술 자체는 “암흑상자”로 치부하고 오로지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만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후적·결과지향적이고 그에 대한 대응 역시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반면 네덜란드의 NOTA로 대표되는 구성적 기술영향평가에서는 기술변화는 일종의 사회적 과정이기 때문에 기술발전의 경로는 다양할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하여 기술변화의 초기단계부터 관련 사회집단 혹은 행위자들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기술변화의 방향이나 내용 자체까지도 사회적으로 통제하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적 기술영향평가는 그 속성상 사전적, 과정지향적이기 때문에 기술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적 개입의 여지는 훨씬 넓어지게 된다. 이렇게 본다면 OTA의 전통적 기술영향평가 보다는 NOTA의 구성적 기술영향평가가 훨씬 바람직하다는 것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자신들의 일상적인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공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참여욕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사회적으로 논쟁적일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전문과학기술자들만이 기술개발을 독점하는 것 보다는, 그것에 이해관계가 걸려있는 모든 사회집단이나 행위자틀을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의사결정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공공적 논쟁을 유발시킴으로써 (Cambrosio & Limoges,1991) 기술변화의 방향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획득하는 것이 더 생산적이고 효율적 일 수도 있다(Bechrnann, 1993).그러나 이러한 구성적 기술영향평가는 현실적으로 실행에 옮겨지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왜냐하면 이해관련자들의 민주적 참여에 의한 사회적 합의의 창출이라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고 유용한 대안적 기술이나 상품이 시장이라는 선택환경 속에서 생존하지 못하는 경우도 흔히 일어나는 일들이라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구성적 기술영향평가의 장래가 결코 낙관적이지만은 않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기술발전이 근본적으로는 인류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진보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는 평범한 명제가 우리의 일상적 삶 속에서 현실화될 수 있도록 과학기술정책을 수립하고자 할 때, 유럽에서 발전되고 있는 구성적 기술영향평가는 우리에게 유용한 이론적, 정책적 도구들을 풍부하게 제공해줄 수 였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한마디로, 이러한 구성적 기술영향평가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과학기술의 개발을 지향하는 사회통합적 과학기술정책의 한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통합적 과학기술정책이 강력하게 추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과학기술과 사회의 유기적 상호작용에 대한 철저한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그럼 이상과 같은 논의들이 우리나라의 향후 과학기술정책의 방향에 대해서 가지는 함의는 무엇인가? 기존의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특징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효율지상주의’ 에 입각한 성장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의 과학기술정책 입안과 실행은 과학기술을 오로지 경제성장의 도구로서만 파악하는 경향이 강했던 것이 현실이었으며, 그 과정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평가와 같은 사회통합적 과학기술정책을 통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과학기술의 형성을 위한 노력을 층분히 기울였다고 보기는 어렵다(이영희, 1994). 그런데 과학기술의 개발과 확산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회 구성원들의 복지와 편안함을 증진시키는 데에 있다는 것은 너무나 자명한 상식이지만, 이러한 상식이 목적의식적인 정책적 개입없이 자동적으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맹목적인 과학기술경쟁으로 인해 어떤 과학기술들은 오히려 사회구성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며, 이는 결국 장기적인 과학기술정책의 수립에 필요한 국민적 합의도출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특히 최근에 광범위하게 개발·확산되고 있는 신기술(예컨대 정보기술 생명공학기술, 환경기술 등)은 복합적이고 대규모적으로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그만큼 심대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기술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함에 있어서 이러한 신기술들이 가져오게 될 결과에 대한 폭넓은 평가가 점점 더 필요해지고 있다. 즉, 이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정책도 과학기술의 사회적 측면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사회통합적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영희 한국독어독문학회 1983 獨逸文學 Vol.29 No.1
Die vorliegende Studie zum Drama $quot;Die Burger von Calais$quot; von Georg Kaiser versucht durch eine Inhalts- and Formanalyse herauszuarbeiten, wie Kaiser seine Idee, daB die Rettung der Menschheit nur durch das Opfer des Individuums mSglich sei, durch die dramatische Realisation gestaltet. $quot;Die Burger von Calais$quot; unterscheiden sick in ihrer Struktur von anderen Werken des Expressionismus. Wahrend in den meisten expressionistischen Dramen die traditionelle Einheit aufgegeben wird, so daB Raum and Zeit aufgeltSst sind and Akte and Szenen als Trager der Fabel fehlen, hat Kaiser in dem Werk $quot;Die Burger von Calais$quot; die Einheit beibehalten. Formal zeigt sich dies in der Einleitung in Akte and Szenen, inhaltlich ist es an der durchlaufenden Fabel, die sich von dem Tod Eustaches schlieBlich bis zum Geburt des Prinzen entfaltet, zu erkennen. Obgleich die kiinstlerische Ausdrucksweise sich im Laufe der Zeit wandelt, kann die moralische Funktion der Kunstwerke nie aufgegeben werden. Diese moralische Funktion ist im Drama besenders unentbehrlich. In unserem Werk fragt Kaiser, was die Rolle des Individuums ist. Gleichzeitig zeigt er uns, daB das Opfer des Individuurns der Weg zur Rettung der Menschheit ist. Es ist ein neues Menschenbild, das Kaiser in dem Werk zu verwirklichen versucht. Der Gedanke der Rettung durch das individuelle Opfer ist die Idee, die Kaiser in diesem Drama zu verwirklichen versucht. Und in dieser Idee liegt auch die moralische Funktion des Dramas. Zur Realisierung dieser moralischen Funktion verwendet Kaiser die aristotelische Technik, das passendste Mittel fur dic Herbeifiihrung der Katharsis. Mir scheint, das er dadurch seinem `clerk ein klassisches Aussehen gibt.
이영희,김대영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5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Vol.2005 No.-
본 연구는 지방세정의 핵심인 지방세 부과ㆍ징수체계, 지방세무 조직과 인력, 지방세정 환경을 중심으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파악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지방세정의 목표인 납세편의 제고, 세무행정 비용 절감, 지방세정환경 개선에 합당한 지방세정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직접 지방세정업무를 담당하는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필요할 경우에는 광역자치단체의 세정도 연구대상에 포함하였다. 현행 지방세 부과·징수체계를 살펴보면, 우선 부과·징수절차는 세액을 구체적으로 확정하는 부과와 이를 지방세수입으로 확보하는 징수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실제 업무상으로는 일련의 연결된 과정으로 진행된다. 지방세부과·징수 방법은 신고납부, 보통징수, 특별징수로 나누어 지는데 동일 세목에 있어서도 혼재되어 집행된다. 지방세무조직은 자치단체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크게 부과업무와 징수업무가 엄격히 구분하여 담당하는 과정별조직형태와 세목별로 부과·징수를 담당하는 세목별 조직형태로 구분할 수있다. 그리고 직접적인 부과·징수 업무는 기초자치단체에서 수행하며, 지방세제의 전반적 운용과 관련된 업무는 광역자치단체에서 수행한다. 지방세무직 공무원은 행정직군, 세무직렬, 지방세직류에 속하는데 6급이하로 구성되어 있고 지방세정업무를 총괄하는 세정과장은 일반직 사무관으로 보임하도록 되어 있다. 지방세제, 지방재정제도, 국세제도 등은 지방세 부과·징수체계를 둘러싼 지방세정환경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복잡한 지방세 체계, 지방세입(歲入)에서 차지하는 낮은 지방세수 비중, 국세청과 지방자치단체간 정보공유 부재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파악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과·징수체계에 있어서는 주민세(소득할)의 경직된 징수방법, 경직된 송달방식, 납세편의 시책 확대 저해, 지방세 체납 과다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방세무 조직과 인력에 있어서는 국세에 비하여 열악한 조직과 인력, 비합리적 업무 분장, 신규 업무 발생에 따라 소요되는 인력 미 공급, 전산전문 인력부족, 중앙단위 교육훈련 인원의 축소, 지방 세무공무원의 사기침체 등 문제점이 있다. 셋째, 지방세정을 둘러싼 환경 중 지방세제에는 과다한 징세비용(납세협력비용 및 세무행정비용), 세무비리 요인의 제공, 세부담의 수직적·수평적 불공평을 초래, 과다한 정책세제 운영으로 인한 자원배분의 왜곡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지방재정제도에는 지방세수 확보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노력부족, 징세노력 유인장치 부족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가세정과 지방세정간에 정보공유가 부재함으로써 체납세 관리 등에서 지방세정 운영에 애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의 지방세정에 대한 벤치마킹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일본의 지방세정으로 부터는 증지징수 방법, 체납원인별 가산세율 차등화, 다양한 송달방법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미국의 지방정부 세정으로 허위신고나 납세회피 목적의 신고납부 해태에 대한 페널티 성격이 짙은 가산세제도의 적용과 체납세 징수 효율화를 위한 원천징수의무자에 대한 즉각납부강제조치에 의한 세금납부의 강제제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영국의 지방세정에서는 분할 납부제도의 활성화와, 다양한 지방세 부과·징수 주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끝으로 지방세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납세편의 제고, 세무행정비용절감, 지방세정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표의식하에 대안을 분석·검토하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납세편의 제고를 위해서 주민세(소득할) 징수 위탁, 납세고지서 수령지 선택권 부여, 성실납세자에 대한 우대, 납부방법의 다양화를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세무행정비용 절감을 위해서 체납세 관리 방식 개선, 세무조직 및 인력의 효율적 운용, 양도소득세 취득의제일 변경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지방세정 환경 개선을 위해서 지방세제에 있어서는 비주택 부동산평가방식 개선을 방안으로 제시하였으며, 국가세정과의 관계에서 국세청·지방자치단체간 정보 공유 확대를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fficient local tax administration system, which includes minimizing the tax administration cost as well as the taxpayers' compliance co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ocal tax administration system, the local tax imposition and collection procedures, taxation organizations and manpower,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ax administration, have been examined thoroughly. The problems have been found not only through literature reviews but also through interviews with various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local tax administration. The problems of the current tax adminstration system includes the following. First, the stiffness of taxation organizations, inflexible tax imposition and collection procedures, inconvenient tax payment procedures are the problems mostly related with efficiency. Second, the local tax administration manpower is generally inferior to its national counterpart due to frequent personnel movement and extensive workload compared to its size. Last, there is a lack of shared information between the national and local tax administration.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for the sake of taxpayers' convenience, this study recommends empowering the national tax authority for collecting the local resident tax (income base), and giving the choice of receiving tax bill address to the tax payer. It further recommends the incentive system for loyal tax payers and various tax payment systems including credit card payments. Second, to minimize the tax administration cost, the improvement of delinquent tax management systems, the replacement of the capital gained tax calculati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ax administration and personnel have been suggested. Last, for the improvement of local tax administration, the non-housing property tax base appraisal system and sharing of information between the national and the local government are strongly recommended.
이영희,정종평,이진용,정해원,정현주 대한미생물학회 1987 大韓微生物學會誌 Vol.22 No.2
Previous studies have been performed for the sero-identification of selected species of Bacteroides by immunofluorescence antibody techniques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using species-speci-Fic rabbit antisera to B. gingivalis, B. intermedius, and B. melanieogenicus. However, these studies have not commented on the serological cross-reactivity between these 3 species of black- pigmented Bacteroides. For the cross-reactivity study, antisera to B. gingivalis ATCC 33277, B. intermedius ATC C25261 and B. asaccharolyticus ATCC 25260 were raised from rabbits. Preliminary study for observ- ing the cross-reactivity between these species was performed by indirect immunoflourescence technique. Immunoabsorption of the antisera was done with bacterial cells from the other species and the species-specificity of the antisera was conformed by the absence of reactivity with bacterial strains from the other species by indirect immunofluorescence technique and enzyme-linked imrnunosorbent assay. Three representative unabsorbed antisera cross-reacted strongly with cells frorn the other species. Especially, anti-B, asaccharolyticus ATCC 25260 antiserum showed a strong cross-reactivity with B. gingivalis ATCC33277. After irnmunoabsorption of 3 representative antisera with the other species, the cross-reactivity was found only between B. gingivatis ATCC 33277 and B. asaccharolyticus ATCC 25260. Further study would be necessary to clarify the cross-reactivity between important oral black-pigmented Bacteroides from subgingival plaque or bacterial co1onies for rapid identification.
이영희 한국헤세학회 2002 헤세연구 Vol.8 No.-
Die Schriftstellerin Annette von Droste-Hu¨lshoff wird in der deutschen Literaturgeschichte hochgescha¨tzt. Ihre Naturlyrik ist eine wahre Sammlung von ausgezeichneten Ausdru¨cken sowie eine schriftliche Umschreibung von den wunderbaren, sichtbaren Pha¨nomenen der Natur - bis hin zu den feinen und augenblicklichen Momenten von Licht und Farbe. Auch hat eine von ihren repra¨sentativen Novellen Die Judenbuche sehr zum literarischen Rhum Droste-Hu¨lshoffs beigetragen. Mittlerweile wird aber die Aufmerksamkeit der Germanisten, insbesondere der Kritiker aus dem feministischen Literaturkereis, auf ihr unvollendetes Bu¨hnenestu¨ck Bertha und die Novelle Ledwina fokussiert. In beiden Stu¨cken dru¨cken sich die Dilemmata der Autorin des 19. Jahrhunderts klar und pra¨gnant aus. Besonders in Bertha werden die verzweifelten, scheinbar ausweglosen Konflikte zwischen der sozialen Verpflichtung der Frauen und der ku¨nstlerischen Identita¨t - als eigene Erfahrung - sichtbar. In Die Judenbuche wird das unglu¨ckliche Leben des 'schwachen' Geschlechtes unter der patriarchalischen Sozialstruktru dargestellt. Dieser Aufsatz verxucht im Zusanmmenhang mit dem 'weiblichen Schreiben' zu zeigne, aus welchem Grund das Drama Bertha unvollendet ist, und wie und unter welchen Unsta¨nden solch eine scho¨ne, begabte und rationale Frau wie Annette von Droste-Hu¨lshoff ihren Existenzwert in der Gesellschaft - in einer Ma¨nnerdoma¨ne - verloren 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