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양한 마취하 용량에서 케타민에 의해 유발된 청소년기 및 성체 마우스의 행동학적 변화
최형준,임수정,박해리,이성미,김철응,류승형,Choi, Hyung Jun,Im, Soo Jung,Park, Hae Ri,Lee, Seong Mi,Kim, Chul-Eung,Ryu, Seunghyo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20 생물정신의학 Vol.27 No.1
Objectives Ketamine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depressant effects or psychotomimetic eff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 effects of ketamine treatment at various sub-anesthetic doses in adolescent and adult naïve mice. Methods In each experiment for adolescent and adult mice, a total of 60 male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6 groups, which were intraperitoneally treated with physiological saline, 10, 20, 30, 40, and 50 mg/kg ketamine for consecutive 3 days. At 1 day after last injection, the locomotor and depressive-like behaviors were evaluated in mice, using open field test (OFT) and forced swim test (FST), respectively. Results In case of adolescent mice, ketamine dos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otal distance traveled in the OFT (Spearman's rho = -0.27, p = 0.039). In case of adult mice, we fou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etamine dose and duration of immobility in the FST (Spearman's rho = 0.45, p < 0.001). Immobility time in the 50 mg/kg ketamine-treated mice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saline-treated mice (Dunnett's post-hoc test, p = 0.012). Conclusions We found that the repeated treatment with ketamine could decrease the locomotor or prolong the duration of immobility in mice as the dose of ketamine increased. Our findings suggest that sub-anesthetic doses of ketamine might induce schizophrenia-like negative symptoms but not antidepressant effects in naïve laboratory animals.
최형준,현준원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8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uster the performance within the FIFA worldcup (2002, 2006, 2010, 2014, 2018 Soccer Worldcup) based on the official data. In order to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64 matches in each Worldcup was collected with the categories of home & away team. Totally, 640 data set was collected. In the data collection, the data which was a lack of variables or missing data existed was excepted within a whole data set. Thus, total variables considered were 23. 19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that goal scored, goal conceded, shot attempts, shot on target, % of shot on goal, passes, passes completed, % of passes completed, short passes, short passes completed, % of short passes completed, long passes, long passes completed, % of long passes completed, corner kicks, foul committed, foul suffered, offsides and ball possession % were selected. 4 dependent variables were also selected that won/lost & draw, ranking differences, regions, and league/tournament types were considered. Statistical software called, R 3.3.3 version was used with R studio 1.0.136. Also, Kohonen package which could calculate the self-organizing map was utilized within the R software. Finally, 320 data set among the 640 data set was used for the training of the Self-Organizing Map and the rest of data (320 data set) was used for the predicti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90.31% of agreement was found in the use of won/lost & draw, 89.06% of agreement was shown in the league/tournament. Additionally, 70% of agreement was shown in region and 68.44% of agreement was found within the ranking differences. 이 연구는 세계축구연맹(FIFA: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에서 개최하는 축구 월드컵대회(2002 한일 월드컵, 2006 독일 월드컵, 2010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2014 브라질 월드컵, 2018 러시아 월드컵)의 공식기록을 토대로 나타나는 경기력의 군집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축구 월드컵 대회의 64경기를 통해 기록된 공식기록을 홈팀과 어웨이팀에 대한 기록으로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수집된 자료의 수는 640개의 공식기록을 수집하였다. 자료의 수집과정에 있어서 축구 월드컵별로 자료의 수집이 곤란하거나 자료의 오류가 발견된 항목에 대해서는 제외토록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자료 수집과정에서 선정한 변수의 수는 총 23개였다. 독립변수로 선정된 공식기록은 득점, 실점, 슈팅시도, 유효슈팅수, 유효슈팅율, 패스수, 패스성공수, 패스성공율, 숏패스수, 숏패스성공수, 숏패스성공율, 롱패스수, 롱패스성공수, 롱패스성공율, 코너킥수, 파울한수, 파울당한수, 오프사이드, 볼점유율로써 총 19개였으며, 종속변수는 승패 및 비김, 랭킹차이, 대륙, 리그/토너먼트로써 총 4개를 선정하였다. 자료의 처리를 위하여 통계 스크립트 기반의 R 3.3.3 버전 소프트웨어를 R studio 1.0.136 버전 소프트웨어와 함께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군집화를 위하여 인공지능 기법의 하나인 자기구성지도(Self-Organizing Map)의 적용을 위하여 Kohonen 패키지를 함께 사용하였다. 이때 종속변수에 대한 일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전체 640개의 자료 중에서 320개의 자료는 자기구성지도를 학습하는 데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320개의 자료를 예측한 후, 실제의 값과 비교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승패 및 비김은 90.31%의 적중률을 나타냈으며, 리그/토너먼트 89.06%의 적중률을 나타냈다. 또한, 대륙 변수는 70%의 적중률을 보였으며, 랭킹차이는 68.44%의 적중률을 나타냈다.
최형준,손병재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8
Purpose: To report a case of primary conjunctival and tarsal amyloidosis with blepharoptosis. Case summary: A 73-year-old woman presented with left blepharoptosis and foreign body sensation that worsened over a 1-year period prior. She presented with severe blepharoptosis on the left upper lid, with slightly reduced levator function. During the operation, a fragile yellowish-pink mass-lesion was observed, widely involving palpebral conjunctiva and the space between the levator aponeurosis and tarsal plate. While levator resection was withheld, the mass was excised as much as possible and blepharoplasty was performed. After surgery, the blepharoptosis improved slightly,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amyloid deposits. Because there were no abnormal findings in systemic examinations including blood tests, chest X-rays,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primary conjunctival and tarsal amyloidosis. Conclusions: Although local amyloidosis of the conjunctiva and tarsal plate is rare, it should be considered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patients with involutional blepharoptosis. 목적: 위눈꺼풀처짐을 보인 결막과 눈꺼풀판 국소아밀로이드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73세 여자 환자가 1년 전부터 악화되는 좌측 위눈꺼풀처짐과 이물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좌측에 심한 위눈꺼풀처짐 소견을 보였고, 눈꺼풀올림근 기능은 다소 감소된 수준이었다. 좌측 눈꺼풀올림근절제술을 시행하던 중 위눈꺼풀결막을 포함하여 눈꺼풀올림근건막과 눈꺼풀판 사이를 광범위하게 침범하는, 쉽게 떨어져 나가고 표면이 거친 노란-분홍색의 침착물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단 눈꺼풀올림근절제술을 보류한 뒤 종괴를 최대한 제거하고 위눈꺼풀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위눈꺼풀처짐은 다소 호전되었으며, 병리조직검사에서 아밀로이드 침착물이 관찰되었다. 이후 시행한 혈액검사, 흉부 방사선촬영, 복부초음파검사 등의 전신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보이지 않아 결막과 눈꺼풀판에 발생한 국소아밀로이드증으로 진단하였다. 결론: 결막과 눈꺼풀판 국소아밀로이드증은 드문 질환이지만 퇴행눈꺼풀처짐으로 생각되는 환자라도 눈꺼풀결막에 이상 소견이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여 이를 감별해야 하겠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의 매개효과와 대인불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형준,김진숙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e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and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smartphone game addiction.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questionnaire related with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 job-seeking stress, smartphone game addiction, mindful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50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and 227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3-stag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time and money spent on smartphone game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martphone game addiction. Second, the job-seeking stress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smartphone game addiction. Third, interpersonal anxie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martphone game addiction. Fourth,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martphone game addiction. To summarize, the job-seeking stress influenced the smartphone game addiction and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settle this problem.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와 대인불안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취업스트레스, 스마트폰 게임중독, 마음챙김, 대인불안과 관련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광주광역시 재학 중인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한 227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23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3단 회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스마트폰 게임이용시간 비용은 스마트폰 게임중독과 유의한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취업스트레스는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인불안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취업스트레스는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최형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9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ifferences of measured data by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based system for the measurement of positioning soccer players. For this study, 3 variables relating to speed (walking, running and sprinting) and 4 variables relating to types of movement (straight, ZigZag, jumping, and increasing movement) were selected and combined into 12 combinational condition for the measurement. Totally, 3 subjects were involved in 3 trails of measurement. All collected data was synchronized and collected different positions by distance (meters) within 0.2 second interval even though GPS had 10 Hz and Image processing based system had 60 Hz data collecting interval. The summarized result through this study was as following below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PS and Image processing based system when the types of movement was getting complexively changed.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PS and Image processing based system when the speed of movement was getting increased. Consequently, further research has been requir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data collected based on the positioning with GPS or Image processing based system has to be acceptable with differences of system’s characteristics. 이 연구는 축구 선수의 위치측정을 위해서 사용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정장비와 이미지프로세싱기반(Image processing based) 측정장비를 통해 수집되는 측정자료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3가지 속도변인(걷기, 러닝, 스프린트)과 4가지 움직임변인(직선, 지그재그, 점프, 점진적 움직임)의조합으로 이루어진 측정조건에 대해서 3명의 실험대상자가 총 3차례의 측정을 거쳐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두 가지 측정장비의 자료수집시점(GPS: 10Hz, 이미지기반: 60Hz)을 고려하여 0.2초 간 위치의 변화를 거리(m)로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GPS와 이미지기반 위치측정 자료의 차이검증 결과를 분석한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GPS와 이미지기반 측정 장비를 통해 측정된 자료 간에는 움직임이 복잡해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둘째, GPS와 이미지기반 측정 장비를 통해 측정된 자료 간에는 움직임의 속도가증가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GPS 장비와 이미지기반 위치측정 장비에 대한차이를 고려하여 스포츠현장에서 사용되는 위치측정 자료에 대한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최형준,이재욱 한국경영과학회 2003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1
본 논문에서는 다층 퍼셉트론의 학습을 위한 새로운 두 단계 학습방법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국소최적해로 빨리 수렴하기 위해 Levenberg-Marquardt 알고리즘을 이용한 국소 탐색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첫 번째 단계에서 찾은 국소최적해가 원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새로운 국소최적해로 벗어나기 위한 선형탐색을 기반의 터널링 단계이다. 이 방법은 연결가중치 공간에서 전역최적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새로운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4가지벤치마크 문제에 기존의 다층 퍼셉트론의 학습 알고리즘과 비교 실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이 빠른 수렴 속도와 낮은 오차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