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병원에서 자문의뢰 의사의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

        류석환,이양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6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자문의뢰 의사의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와 정신과 자문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대구가톨릭대학병원에 근무중인 비정신과 의사 159명을 대상으로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135명이 설문에 응답을 하였다. 문항의 내적 일치도는 Cronbach의 α계수를 구하였고, 구조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 분석을 시행하였고,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검정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 설문결과에 따라 28문항 중에서 23문항으로 7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23개 문항에 대한 Cronbach의 α계수는 0.8594였다.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의 하위척도인 정신과 의사의 태도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하위척도인 정신과 영역의 장점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ρ=0.442(p=0.0001))가 있었다.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의 하위 척도인 환자의 정신과에 대한 이해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하위척도인 일어날 수 있는 남용과 사회적 비난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ρ=0.378(p=0.0001))가 있었다.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의 하위 척도인 정신과 자문 응답 신뢰도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하위 척도인 효용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ρ=0.482(p=0.0001))가 있었다.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의 하위 척도인 자문의뢰 의사의 정신과에 대한 이해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하위 척도인 일어날 수 있는 남용과 사회적 비난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ρ=0.411(t=0.0001))가 있었다.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의 하위 척도인 정신의학에 관한 지식과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하위 척도인 정신과 영역의 장점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ρ=0.413(p=0.0001))가 있었다. 결 론 :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는 정신과 의사의 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환자와 자문의뢰 의사 모두가 정신과와 정신과 질환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자문의뢰 의사가 정신의학적 지식이 많을수록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가 높았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degree of satisfaction in referring physicians' psychiatric consultation services and their altitudes and opinions toward psychiatr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wo them. Method : A total of 159 survey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physicians in a University Hospital. The questionnaires containe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referring physicians' psychiatric consultation services and their attitudes and opinions toward psychiatry. 135 surveys were returned, representing 85% return rate. Statistical method used we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testing reliability, factor analysis for testing validity, and t-test or ANOVA with SAS. Results :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 Cronbach's α was 0.8594 for total 23 items. Twenty-three items and seven factors were emerged and these contributed 66.8% of the variance in the total score. Factor Ⅰ in the psychiatric consultation questionnai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verall merits of the field of psychiatry in the attitude questionnaire, factor Ⅱ in the psychiatric consultation questionnai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sible abuses and social criticisms in the attitude questionnaire, factor Ⅲ in the psychiatric consultation questionnai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fficacy in the attitude questionnaire, factor Ⅴ in the psychiatric consultation questionnai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sible abuses and social criticisms in the attitude questionnaire, factor Ⅵ in the psychiatric consultation questionnai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verall merits of the field of psychiatry in the attitude questionnaire. Conclusions : Our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referring physicians' satisfaction to the psychiatric consult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iatrists' attitude, and that physicians with more positive attitudes and those had more knowledge on psychiatry showed greater satisfaction in psychiatric consultation service than those without.

      • KCI등재

        광주지역 일반인들의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이은희,김경자,이신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3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방 법 : 1999년 1월말부터 2월초까지 광주시내에 거주하는 일반인 709명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묻는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주관적인 정의를 살펴보면, 심한 스트레스나 정신적인 충격, 마음에 상처를 받아서 마음의 병에 걸린 불쌍하고 약한 사람으로 기술하였으며, 정신질환의 원인으로 생물학적이나 유전적인 측면보다 심리적, 사회적인 측면에 대해 더 많이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면, 일반인의 76.4%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의 결혼 가능성이나 지역사회 내에서 더불어 사는 것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질환은 치료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정신병원에서 치료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상당히 부정적이며 특히 정신병원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정적이었다. 집단별로 살펴보면, 본인이 직접 정신질환을 경험했던 집단에 비해 주변인 중에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을 경험하지 않았던 집단이 거의 모든 항목에서 더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3) 선행연구와 비교해보면,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1970년대보다 상당히 긍정적으로 변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자신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서는 여전히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변화시키고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오해나 편견을 줄이기 위해서는 체계있는 대중교육이나 사실에 기반을 둔 대중매체의 노력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을 만나서 직접 경험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attitudes of laypersons towards the mentally ill. Methods : From the end of January to the beginning of February of 1999, the 709 subjects who lived in Kwangju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ir attitude towards mental illness. Results : 1) On the question requiring the subjective definitions of a person with mental illness, the subjects described a person with mental illness is pitiful and weak person who became mentally ill due to severe stress, mental shock, or hurts in mind. And they responded on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move than biological or genetic ones to the question asking the causes of mental illness. 2) Positive attitudes were shown in 76.4% of the subjects on the question of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the mentally ill, while about the possibility of their marriage and living together in the community, quite negative attitude was shown,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ubjects considered that mental illness could be cured, they had quite negative thoughts on the treatment effects in psychiatric hospitals, especially, the attitude towards the psychiatric hospitals was very negative. On the examination by groups, the group of subjects who had never experienced mental illness replied more negatively in almost all items than the group of subjects who had direct experiences. 3)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it appeared that the overall awareness of the mentally ill was changed in a quite positive direction than the 1970s'. Conclusion : Even though the attitude towards the mentally ill has changed in a positive direction, many people still have negative attitudes if it is related to and affect their lives directly. To change the attitudes and to reduce the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against the mentally ill, it may be helpful to let people make direct contact with the mentally ill, as well as to make efforts with systematic public education or with the media based upon the facts.

      • KCI등재

        精神醫學 臨床實習敎育이 精神疾患에 대한 態度에 미치는 影響

        蔡仁英,趙斗英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6 신경정신의학 Vol.25 No.1

        지역사회 정신의학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의사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는 의과대학 학생시절 받은 정신의학교육 그 중에서도 임상실습교육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에 저자들은 정신의학 실습교육이 원래 목표했던대로 학생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가를 알아보았다. 본 조사는 1985년 3월 4일부터 7월 20일까지 약 5개우러에 걸쳐 4주간의 정신과 임상실습을 마치게 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에 미처 실습을 못하는 6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실습전과 후에 각각 두번에 걸쳐 동일한 내용의 설문을 이용하여 제일저자가 직접 학생 개개인 면접한 것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4주간의 임상실습후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1)정신병환자(psychotics)에 대한 개념 및 태도는 매우 긍정적으로 변하였다(p<0.001). 2)신경증 환자에 대해서도 가벼운 정신질환으로 옳게 이해하게 되었으며 신체질환으로 오인하는 학생도 매우 줄어들었다(p<0.01). 3)나머지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 편견, 정신질환의 치료예후에 대한 태도, 정신병원에 입원되어 있는 환자의 치료전망에 대한 태도, 입원치료와 가정내 보호에 대한 태도, 정신병원의 기능에 대한 태도와 개방병동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저자들은 현재 서울대학병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임상실습의 몇가지 문제점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2주간의 서울대학병원내에서의 임상실습기간은 너무 짧다. 2) 연계병원에서의 실습내용 및 지도감독에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3) 학생들의 치료과정에서의 역할이 너무 수동적이다. 4) 학생 임상실습교육만 담당하는 교수나 전공의가 따로 없어서 체계적이고 지속성있는 실습교육이 안되고 있다. 위의 문제점을 토대로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몇가지 제언을 해 보았다. 1) 학생을 일차 치료자(primary terapist)로 이용해 보자는 것이다. 2) 학생에게 환자 배정시 좀 더 치료자간에 신중한 토의가 있은 후, 단기 입원 가능성이 있는 환자, 치료 반응이 좋을 것으로 예측되는 환자, 신경증환자들을 많이 배정토록 하자는 것이다. 3) 신경증환자에 대한 옳은 이해와 개념이 형성되도록 외래환자에 대한 중례토론을 늘리고 외래 재진도 보게 하자는 것이다. 4) 시청각 기재를 좀 더 이용한다. 5) 일관성 있는 실습을 위해 한 사람의 교수나 전임의가 실습교육을 전담할 필요가 있다. 6) 서울대학병원과 연계병원사이에 좀 더 긴밀하고 일관성있는 실습이 이루어져야 겠다. 7) 병상수를 좀 더 확보하여 6주 또는 그 이상의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sychiatric clerkship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n the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For this study, 96 third-year medical students who took psychiatric clerkship between March 1985 and July 1985 were selected and were didn't take clerkship during this period. The author interviewed them with prearranged questionnaire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4-week-long clerkship. Two result categories were found: 1) Statistically significant attitude changes were noted between preclerkship and postclerkship state in the following 2 aspects: concepts of psychotic patients and concepts of neurotic patients. 2) Statistically significant attitude changes were not noted in the following 7 aspects: 2 questions of negative preconceptions of mental illness, attitude toward prognosis of mental illness, attitude toward treatment in a mental hospital compared to home care, attitude toward primary function of a mental hospital and attitude toward open-door system. While considering the results, the authors found several problems in the current states of psychiatric clerkship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roposed some idea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sychiatric clerkship.

      • KCI등재

        정신간호조무사 양성소 교육과정 전후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조사

        최석민,장경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5

        이 연구는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변화가 적절한 교육에 의하여 변화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정신질환자 치료에 일익을 담당하게 정신간호조무사를 양성하는 국립서울정신병원 부설 정신 간호조무사 양성소의 학생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조사를 하여, 정신과 교육이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다, 연구 방법은 1993년과 1994년에 양성소 교육을 받고 전과정을 수료한 39명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묻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정신과 교육전, 후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양성소 교육이 정신질한에 대한 태도에 미친 영향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정신병 환자에 대한 개념 및 태도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하였다(p<0.05). 2) 정신병원에 입원한 환자에 대한 치료 전망, 개방병동에 대한 태도의 변화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다(p<0.05). 3) 나머지 신경증에 대한 개념,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 편견, 정신질환의 치료 예후에 대한 태도, 입원치료와 가정내 보호에 대한 태도, 정신병동의 기능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가 없었다. 이 연구의 조사 대상군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동일한 설문을 사용하여 조사한 일반인 군, 의과 대학생 군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 연구의 교육전 대상군은 정신과 실습을 받지 않은 의과대학생군과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묻는전체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이 연구의 교육적 대상군은 일반인보다 신경증에 대한 개념, 정신질환의 치료 예후에 대한 태도, 정신병원에 입원되어 있는 환자의 치료전망에 대한 태도를 묻는 문항에서 일반인보다 부정적으로 대답하였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psychiatric nursing assistant education done at Seoul National Psychiatric Assistant School on the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Methods : The subjects were 39 graduates from Seoul National Psychiatric Assistant School, during 1993- 1994. They were assessed during pre- and post-education periods with Scale for Mental Health Attitude(Star 1952). Chi-square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1)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shown in concepts and attitudes toward mentally ill patients, therapeutic prospect to inpatient, and attitude toward open ward (p<0.05). 2)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shown in concepts of neurosis, negativistic bias toward mental illness, therapeutic prognosis of mental illness, attitude toward inpatient treatment and care in home, and attitude toward function of psychiatric ward.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psychiatric nursing assistant education needs further improvement.

      • KCI등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정한용,이강준,이해국,백종우,나경세,최원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4 신경정신의학 Vol.53 No.6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KNPA) should protect members’ rights, and also plan long-term policy for public activity in a society. In these efforts, creation of mission, vision, and core values is of utmost importance. Second,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members is important for sharing and discussing the mission, vision, and core values of the KNPA. Third, public relations play a key role in advertising the policy and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the above major issues and results of representatives questionnaire, the authors suggest that careful planning of long-term policy and roles of the KNPA is needed.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중장기 발전 방향을 효과적으로 논의하고 설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학회가 더 나은모습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 토대가 되는 기본적인 미션과 비전, 핵심가치가 설정되어야 하고 이에 대해 회원들 간의 폭넓고 자유로운 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에서 제시된 내용들이 향후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중장기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는 데 초석이 되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 정신분열병 환자의 신경인지기능, 증상 및 사회적 인지와 사회적 기능과의 관계

        최상철,김경진,백영석,오상우,김재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3

        연구목적: 본 논문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신경인지기능, 증상, 사회적 인지 변인들과 사회적, 직업적 기능과의 관 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DSM-Ⅳ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30명(남자:17명, 여자:13명)의 환자에게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CST),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K-WAIS)의 숫자 외우기 소검사, Rey-Kim 기 억 검사, 경계력 검사,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PANSS), 대처방식 체크리스트(WCC), 정신 장애 지 각 평가 척도(SUMD), 사회적, 직업적 기능 평가 척도(SOFAS) 및 주관적 삶의 질 척도(IWB)를 실 시하였다. 결 과: 신경인지기능 중 WCST의 보속 오류수와 SOFAS 점수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Rey-Kim 기억 검사의 MQ와 SOFAS 점수간에는 의미있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K-WAIS의 숫자외우기 소검사 는 바로 따라외우기와 거꾸로 따라외우기 및 숫자외우기 총점 모두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정적 상 관을 보였다. 증상 측정치에서는 음성 증상, 일반 정신병리 증상 및 PANSS 총점이 SOFAS 및 IWB와 유의하게 부적 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양성 증상은 아무런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인지 변인 중에서는 문제 집중적 대처방식이 SOFAS 점수 및 IWB의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의미있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SOFAS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문제 집중적 대처, Rey-Kim 기억 검사의 K-A 학습 기울기, PANSS 총점 및 WCST의 보속오류수가 전체 변량의 65.7%를 설명하였다. IWB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삶에 대한 느낌을 종속변인으로 하였을 때는 PANSS의 일반 정신 병리 증상과 Rey-Kim 기억 검사의 K-A 지연 회상 점수가 전체 변량의 41.8%를 설명하였고, 전반 적인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였을 때는 PANSS 총점, Rey-Kim 기억 검사의 K-A 지연회상, 거꾸로 따라외우기, WCST의 세트유지 실패가 전체 변량의 67.3%를 설명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신경인지기능(실행기능, 언어적 기억, 주의력), 증상(음성증상, 일 반 정신병리 증상), 사회적 인지(문제 집중적 대처) 변인과 사회적, 직업적 기능간에 의미있는 관련성 이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직업적 기능을 예견하는데 있어서는 신경인지기능과 사회적 인지 변인이 의 미있는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주관적인 삶의 질을 예견하는데 있어서는 증상과 신경인지기능 변인 이 중요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사용된 도구의 문제, 피험자의 동질성 문제 등 제한점이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저자들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적 기능과 관련된 중요한 상관 변인 및 설명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치료와 효과적인 개입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았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neurocognitive function, symptom, social cognition, and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Thirty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subjected to following tests: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the digit span, the Rey-Kim memory test, the vigilance test,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the scale to assess the unawareness of mental disorder(SUMD), the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 assessment(SOFAS) and the index of well-being(IWB). Results: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erseverative errors of WCST in neurocognitive function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the SOFAS. The memory quotients of Rey- Kim memory test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s of the SOFAS. The scores of digit spa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general satisfaction of life. Negative symptom, general psychopathology and total PANSS score in symptom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FAS and IWB. But positive symptom had no correlation with any scale. The problem focused coping in the social cognition variable was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SOFAS and the general satisfaction of lif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for the SOFAS score, the problem focused coping, the K-A learning slope of Rey-Kim memory test, the PANSS total score and the perseverative errors of WCST predicted 65.7% of total varianc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for the IWB score, for the feeling about life, the general psychopathology of PANSS and the K-A delayed recall score of Rey-Kim memory test predicted 41.8% of total variance. For the general satisfaction of life, the PANSS total score, the K-A delayed recall of Rey-Kim memory test, the backward recall, the failure to maintain set of WCST predicted 67.3% of total variance. Conclusions:In this study, executive function, verbal memory, attention, negative symptom, general psychopathology, and problem focused cop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o predict the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and the social cogni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predict subjective quality of life, symptom and neurocognitive variables were significant variables. Although the scales are very limited to measure various function areas and the subjects are heterogeneous, it is noteworthy that the search for correlation variables and prediction variables of social function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s helpful for treatment and intervention.

      • KCI등재

        정신감정이 의뢰된 殺人被疑者의 MMPI

        장재국,김영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5 신경정신의학 Vol.24 No.3

        본 연구는 1983년 3월부터 1984년 12월 사이에 경북의대 신경정신과에 살인피의자로 정신감정이 의뢰되었던 50명의 피감정자에 대한 MMPI 반응을 검토하였다. 검사의 실시는 교도관의 입회하에 개별적으로 실시하였고, 이 피감정자의 MMPI를 선행된 정신분열증 및 역할위조집단의 MMPI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피감정자를 최종 임상진단에 따라 정신병집단과 비정신병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프로파일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감정이 의뢰된 살인피의자의 MMPI 프로파일은 신경증척도와 정신병척도 모두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고, 이 프로파일은 선행된 연구들의 정신분열증의 프로파일보다 높고 역할위조집단의 프로파일 보다는 낮았다. 평균 F척도의 소점은 24.8로서 임상척도와 타당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정신감정이 의뢰된 살인피의자를 최종 임상진단에 따라 정신병집단과 비정신병집단으로 분류했을 때, 두 집단의 MMPI 프로파일은 형태 및 수준이 유사했다. 즉 두 집단이 모두 신경증척도와 정신병척도가 높았고 선행된 정신분열증의 프로파일보다 높았다. 그러므로 살인피의자로 정신감정이 의뢰된 경우에 있어서, MMPI는 정서장애내에서 뿐만 아니라 정서장애와 정상간에 어떤 진단적 변별력을 부여하기 어렵다. 따라서 심리검사에 대한 적절한 동기가 결여되어 있을 경우에는 MMPI와 같이 주관적 자기보고에 의존하는 검사는 그 타당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하겠다. The authors studied MMPI resposes of 50 suspected murderers who had been referred to the psychiatrists from the court of Taegu area for the period of March 1983 to December 1984, to determine criminal responsibility. The MMPI was administered individually in the presence of a watchman. The MMPI profile of the suspected murderers was compared with that of induced patients’ rolefaking group of previous study and that of the schizophrenic group of another study. Secondly, the suspected murdere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psychotic and nonpsychotic) and MMPI profile of of both groups were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MPI profile of the suspected murderers showed extremely elevated pattern in terms of neurotic triad as well as in psychotic tetrad and was higher in its scores than the profile of schizophrenic group, but was lower than that of role faking group. The mean F scale score of MMPI of the suspected murderers was extremely high (raw, 24.8)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lack of clinical validity. In the comparison of psychotic and nonpsychotic group of the suspected murderers, there was no different patterns and the patterns of both groups were more elevated in terms of neurotic triad and psychotic tetrad than those of schizophrenic comparison group. From the above results, the authors think the MMPI of suspected murderers was not effectively instrumental in determining mental illness from normal group. In conclusion, the lack of genuine motivation in psychological testing such as MMPI which heavily depends on subjective and selfreporting procedure results in lack of clinical validity.

      • KCI등재

        정신분열병 치료효과에 대한 신경인지기능의 예측력에 관한 연구

        오병훈,이희상,최의헌,현명호,조현상,유계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목적 : 신경인지기능검사가·정신분열 병 환자의 혜후 및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있었다. 이들 연구에서는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검사도구 중 일부를 이용하여 치료 결과를 예측해 본 것이므로 저자들은 보다 광범위한 신경인지기능검사를 이용하여 이들 중 어떤 검사결과가 정신분열 병 환자들에 대한 치료결과를 얼마나 예측해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BSM-IV 진단기준에 의거 정 신분열병으로 진단된 입원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최소 1주일 이상의 약물세척 후 약물투여 직전에 K-WAIS. WMS-R Vienna Test System 중 Signal Detection,Decision-Reaction Timer. Motor Performance Series 등의 신경인지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치료에 대한 반응의 평가는 Brief Psychatric Rating Scale(BPRS)와 Clinical Global Impression(CGI)을 사용하여 약물투여 전과 약물투여 후 8주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을 약물투여후 8주째의 BPRS점수가 약물투여 전의 BPRS 점수에 비해 20% 이상 호전이 있으면서 CGl 점수가 3이하인 경우를 기준으로 호전군과 비호전군으로 나눈 다음 두 군 사이의 신경인지기능검사 결과를 비교해보았다. 결 과: 신경인지기능정사에서 K-WAIS 중 언어성지능, 전체지능 Vienna Teat System 중 신호탐지력검사의 정확한 반응수, 반응 결정시간검사의 정확한 반응수 등에서 호전군과 비호전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들 변인을 가지고 호전군과 비호전군을 구분하는 판별분석을 시행한 결과 66.7%의 환자를 정확하게 핀별하여 주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판별 분석에 의하여 신경인지기능검사로써 환자군을 호전군과 비호전군으로 구분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신경인지기능검사가 정신분열병의 치료결과를 예측할수 있는 인자로 활용 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 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wider range of neurocognitive function tests to find out how accurately each subtest could predict the outcomes of treatment in schizophrenics. Methods : The subjects were 33 inpatients diagnosed as schizophrenia according to DSM-IV. Each subject had a drug wash-out period of at least 1 week and had been given K-WAIS, WMS-R, and Signal Detection, Derision Reaction Timer, and Motor Performance Series in Vienna Test System just before drug administration. Treatment response was evaluated with BPRS and CGI scales before and 8 weeks artier drug treatment.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according to the outcomes of the above clinical scales in week 8. The responder group was defined with having 20% increase in BPRS score and a CGI score of less than 3.Then we compared the neuropsychological test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were Verbal IQ and Full Scale IQ in K-WAIS,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in Signal Detection and Decision Reaction Timer in Vienna Test System. In discrimination analysis of the two groups using these subtests as variables, we could predict the responders with 66.7% accuracy, even though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Conclusion : Although discriminating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using negro-cognitive function tests were proven to b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the possibility that neurocognitive function tests can be utilized to predict the treatment outcome in schizophrenia cannot be completely ruled out.

      • KCI등재

        한국 집단치료의 역사와 현황 : 정신과 영역에서 실시되어 온 집단치료를 중심으로

        이후경,윤성철,김선재,백인석,이연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1

        연구목적 : 집단치료에는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를 비롯하여 활동치료에 해당하는 작업치료와 치료레크리에이션, 예술치료에 해당하는 음악, 미술, 무용, 연극치료 등 다양한 유형이 포함된다. 이러한 집단치료는 입원환자를 위해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정신보건법 시행 이후 정신질환자 관리를 위해 대부분의 낮병원, 정신보건센터에서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집단치료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적고, 기본적인 실태조사가 되어 있지 않으며, 정신과 의사들의 관심이 부족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저자들은 1)문헌고찰을 통해 집단치료의 역사를 파악하고, 2) 현재 전국적으로 집단치료가 실시되고 있는 현황을 조사하여, 3) 집단치료가 정신질환자의 치료 및 관리를 위해 더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조사대상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97년 연보를 참조하여 수련병원, 종합병원, 정신병원, 입원병상이 있는 의원, 입원병상이 없는 의원, 낮병원, 정신보건센터로 나누어 random sampling을 하였다. 집단치료의 실시현황에 대한 내용(집단치료의 실시현황, 집단정신치료의 현황, 싸이코드라마의 현황, 주치료장의 현황, 보조치료자의 현황, 치료시간, 치료회수, 집단구성원의 크기)은 전화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집단치료가 전체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비율(%)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예술치료(30.9%), 활동치료(28.4%), 집단정신치료(27.2%), 기타치료(24.1%), 대집단치료(23.2%)의 순으로 시행되고 있고, 싸이코드라마(10.9%)가 가장 적게 시행되고 있다. 집단정신치료는 입원환자(61.6%)를 대상으로 진단별로 보면 혼합집단(51.4%), 유형별로 살펴보면 일반집단(83.2%)으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다. 싸이코드라마는 입원환자(65.3%)를 대상으로, 진단별로 보면 혼합집단(69.4%)으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다. 주치료자에 있어서 집단정신치료는 전문의(31.1%), 사회사업가(29.5%), 싸이코드라마는 전문의(36.1%),사회사업가(36.1%)가 같은 비율로 맡고 있고, 보조치료자에 있어서 집단정신치료는 간호사(40.8%), 싸이코드라마는 사회사업가(25.9%), 자원봉사자(23.5%)가 맡고 있다. 각 집단치료 시간에 있어서 집단정신치료는 60분 내외, 싸이코드라마는 120분 내외로 진행되는 경우가 가장 많고, 각 집단치료의 빈도로는 한 주에 한 번 진행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집단구성원의 크기(참여 인원 수)에 있어서 싸이코드라마는 26.0명(±17.8), 집단정신치료는 11.0명(±5.8)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원실이 있는 경우(83.6%)에 입원실이 없는 경우(2.2%)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집단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결 론 : 집단치료는 많은 병원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정신과 치료의 중요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정신과 전문의가 시행되는 경우가 적었으며, 외래에서 시행되는 경우는 매우 적었다. 집단치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요구되며, 외래치료에서 집단치료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A group therapy includes various types : group psychotherapy, psychodrama, activity therapy including occupational therapy as well as recreation therapy, art therapy of drawing, music, dancing and drama. It has long been in use for in-patients, and became more trendy at day hospital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fter the enactment of a mental health law. It was surprising that a few researches have been made in the field, including a basic fact finding and that a few Korean psychiatrists have been inclined toward it. Meanwhile, we finished a research work on ; how a group therapy has been conducted so far, its current status across the country, possibly the best way to heal, and deal with, psychiatric patients. Methods : The 1997 annual report by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has been available for random sampling in the following categories ; training hospital, general hospital, psychiatric hospital, clinic with admissions, day hospital,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Telephone polls were conducted on contents of frequency and status of a group therapy available with psychodrama, main therapists, co-therapists, duration & times of therapy, size of group therapy recipients etc. Results : The group therapy is broken down into the order of percentage ; Art therapy(30.9%), Activity therapy(28.4%), Group psychotherapy(27.2%), Others(24.1%), Large group therapy(23.2%), with the psychodrama(10.9) least of all. Against in-patients(61.6%), the group psychotherapy shows its greatest diagnosis for a combined group(51.4%), and finds its biggest type in a general group(83.2%), Against in-patients(65.3%), the psychodrama diagnosis is mostly conducted for a combined group(69.4%) For a main therapist, the group psychotherapy is taken care of by boardmen(31.1%), and social workers(29.5%), while psychodrama by psychiatric boardmen(36.1%), and social workers(36.1%). On the other hand, for a co-therapist, the group psychotherapy is done by nurse(40.8%), while psychodrama by social workers(25.9%), and volunteers(23.5%). At a time most group psychotherapies takes some 60 minutes, psychodrama 120 minutes. Group therapies take place each once a week. Its participation amounts to 26.0(±17.8) for a psychodrama, and to 11.0(±5.8) for a group psychotherapy. Clinics with admission rooms(83.6%), exceedingly enjoy more group therapy than ones without(2.2%). Conclusions : The group therapy is run at most hospitals as the main part ofa psychiatric treatment. However, the job has been undertaken on a small scale by outpatient clinics as well as psychiatric boardmen. Therefore, more attention is urged toward a group therapy, its professional training, plus its more brisk business at outpatient clinics.

      • 미주신경자극술(Vagus Nerve Stimulation)의 신경정신과적 응용

        채정호,배치운,박원명,전태연,김광수,Mark S. George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3

        연구목적: 최근 신경생물학과 두뇌 조영술 발달에 따라 두뇌에 비침습적 자극을 줌으로써 신경회로를 변화시킬수 있는 새로운 신경정신과적 치료방법의 개발이 태동하고 있다. 그 중 두뇌와 다양한 연결을 구축하고 있는 제 10번 두개신경인 미주신경을 직접 자극할 수 있는 미주신경자극술(Vagus Nerve Stimulation:이하푼)이 개발되어 간질 및 일부 신경정신과적 질환에서 시술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VNS의 발달과정, 시술방법, 신경정신과적 응용, 및 부작용 등에 대하여 개괄하고 그 현황과 미래를 고찰하는데에 있다. 방 법 : 광범위한 문헌 검색과 현재 VNS를 시술하고 있는 기관의 세계적 전문가와의 논의를 통하여 조사 및 정리하였다. 결 과 : 현재 VNS는 치료 저항성 간질의 치료 방법의 하나로 공인되어 있으며 일부 신경정신과적 질환에서 치료적으로 사용될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결 론 : 두뇌를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인 VNS는 우울증을 비롯한 일부 신경정신과적 질환에서 유의한 치료효과를 거둘 가능성이 있으며, 두뇌-행동 관계를 이해하는데에 매우 흥미있는 방법으로 향후 많은 관심을 끌게 된 것이다. Objectives : Several novel and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to stimulate the brain have recently developed. Among these newer somatic interventions, vagus nerve stimulation(VNS) is regarded as a promising tool in the treatment of various neuropsychiatric disorders. This article reviews the history, methodology, and the future of VNS technique and its emerging research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in the field on neuropsychiatry. Methods : Wide ranged literature reviews and discussion with pioneering researchers were performed. Results : VNS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refractory seizure disorder and depression. There are some reasons to hope that VNS might have other therapeutic applications in neuro-psychiatric disorders, as well as advanced understanding about the pathophysiology of these disorders. Conclusion : Regardless of its clinical role as a new therapeutic technique, the capacity of VNS as a research tool to alter brain activity should lead to important advances in the understanding of brain-behavior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