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병원에서 자문의뢰 의사의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

        류석환,이양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6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자문의뢰 의사의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와 정신과 자문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대구가톨릭대학병원에 근무중인 비정신과 의사 159명을 대상으로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135명이 설문에 응답을 하였다. 문항의 내적 일치도는 Cronbach의 α계수를 구하였고, 구조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 분석을 시행하였고,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검정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 설문결과에 따라 28문항 중에서 23문항으로 7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23개 문항에 대한 Cronbach의 α계수는 0.8594였다.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의 하위척도인 정신과 의사의 태도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하위척도인 정신과 영역의 장점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ρ=0.442(p=0.0001))가 있었다.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의 하위 척도인 환자의 정신과에 대한 이해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하위척도인 일어날 수 있는 남용과 사회적 비난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ρ=0.378(p=0.0001))가 있었다.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의 하위 척도인 정신과 자문 응답 신뢰도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하위 척도인 효용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ρ=0.482(p=0.0001))가 있었다.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의 하위 척도인 자문의뢰 의사의 정신과에 대한 이해와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하위 척도인 일어날 수 있는 남용과 사회적 비난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ρ=0.411(t=0.0001))가 있었다.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의 하위 척도인 정신의학에 관한 지식과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하위 척도인 정신과 영역의 장점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ρ=0.413(p=0.0001))가 있었다. 결 론 :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는 정신과 의사의 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환자와 자문의뢰 의사 모두가 정신과와 정신과 질환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자문의뢰 의사가 정신의학적 지식이 많을수록 정신과 자문의뢰 만족도가 높았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degree of satisfaction in referring physicians' psychiatric consultation services and their altitudes and opinions toward psychiatr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wo them. Method : A total of 159 survey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physicians in a University Hospital. The questionnaires containe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referring physicians' psychiatric consultation services and their attitudes and opinions toward psychiatry. 135 surveys were returned, representing 85% return rate. Statistical method used we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testing reliability, factor analysis for testing validity, and t-test or ANOVA with SAS. Results :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 Cronbach's α was 0.8594 for total 23 items. Twenty-three items and seven factors were emerged and these contributed 66.8% of the variance in the total score. Factor Ⅰ in the psychiatric consultation questionnai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verall merits of the field of psychiatry in the attitude questionnaire, factor Ⅱ in the psychiatric consultation questionnai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sible abuses and social criticisms in the attitude questionnaire, factor Ⅲ in the psychiatric consultation questionnai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fficacy in the attitude questionnaire, factor Ⅴ in the psychiatric consultation questionnai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sible abuses and social criticisms in the attitude questionnaire, factor Ⅵ in the psychiatric consultation questionnai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verall merits of the field of psychiatry in the attitude questionnaire. Conclusions : Our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referring physicians' satisfaction to the psychiatric consult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iatrists' attitude, and that physicians with more positive attitudes and those had more knowledge on psychiatry showed greater satisfaction in psychiatric consultation service than those without.

      • KCI등재

        정신간호조무사 양성소 교육과정 전후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조사

        최석민,장경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5

        이 연구는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변화가 적절한 교육에 의하여 변화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정신질환자 치료에 일익을 담당하게 정신간호조무사를 양성하는 국립서울정신병원 부설 정신 간호조무사 양성소의 학생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조사를 하여, 정신과 교육이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다, 연구 방법은 1993년과 1994년에 양성소 교육을 받고 전과정을 수료한 39명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묻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정신과 교육전, 후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양성소 교육이 정신질한에 대한 태도에 미친 영향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정신병 환자에 대한 개념 및 태도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하였다(p<0.05). 2) 정신병원에 입원한 환자에 대한 치료 전망, 개방병동에 대한 태도의 변화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다(p<0.05). 3) 나머지 신경증에 대한 개념,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 편견, 정신질환의 치료 예후에 대한 태도, 입원치료와 가정내 보호에 대한 태도, 정신병동의 기능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가 없었다. 이 연구의 조사 대상군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동일한 설문을 사용하여 조사한 일반인 군, 의과 대학생 군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 연구의 교육전 대상군은 정신과 실습을 받지 않은 의과대학생군과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묻는전체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이 연구의 교육적 대상군은 일반인보다 신경증에 대한 개념, 정신질환의 치료 예후에 대한 태도, 정신병원에 입원되어 있는 환자의 치료전망에 대한 태도를 묻는 문항에서 일반인보다 부정적으로 대답하였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psychiatric nursing assistant education done at Seoul National Psychiatric Assistant School on the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Methods : The subjects were 39 graduates from Seoul National Psychiatric Assistant School, during 1993- 1994. They were assessed during pre- and post-education periods with Scale for Mental Health Attitude(Star 1952). Chi-square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1)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shown in concepts and attitudes toward mentally ill patients, therapeutic prospect to inpatient, and attitude toward open ward (p<0.05). 2)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shown in concepts of neurosis, negativistic bias toward mental illness, therapeutic prognosis of mental illness, attitude toward inpatient treatment and care in home, and attitude toward function of psychiatric ward.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psychiatric nursing assistant education needs further improvement.

      • KCI등재

        광주지역 일반인들의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이은희,김경자,이신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3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방 법 : 1999년 1월말부터 2월초까지 광주시내에 거주하는 일반인 709명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묻는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주관적인 정의를 살펴보면, 심한 스트레스나 정신적인 충격, 마음에 상처를 받아서 마음의 병에 걸린 불쌍하고 약한 사람으로 기술하였으며, 정신질환의 원인으로 생물학적이나 유전적인 측면보다 심리적, 사회적인 측면에 대해 더 많이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면, 일반인의 76.4%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의 결혼 가능성이나 지역사회 내에서 더불어 사는 것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질환은 치료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정신병원에서 치료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상당히 부정적이며 특히 정신병원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정적이었다. 집단별로 살펴보면, 본인이 직접 정신질환을 경험했던 집단에 비해 주변인 중에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을 경험하지 않았던 집단이 거의 모든 항목에서 더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3) 선행연구와 비교해보면,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1970년대보다 상당히 긍정적으로 변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자신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서는 여전히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변화시키고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오해나 편견을 줄이기 위해서는 체계있는 대중교육이나 사실에 기반을 둔 대중매체의 노력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을 만나서 직접 경험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attitudes of laypersons towards the mentally ill. Methods : From the end of January to the beginning of February of 1999, the 709 subjects who lived in Kwangju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ir attitude towards mental illness. Results : 1) On the question requiring the subjective definitions of a person with mental illness, the subjects described a person with mental illness is pitiful and weak person who became mentally ill due to severe stress, mental shock, or hurts in mind. And they responded on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move than biological or genetic ones to the question asking the causes of mental illness. 2) Positive attitudes were shown in 76.4% of the subjects on the question of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the mentally ill, while about the possibility of their marriage and living together in the community, quite negative attitude was shown,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ubjects considered that mental illness could be cured, they had quite negative thoughts on the treatment effects in psychiatric hospitals, especially, the attitude towards the psychiatric hospitals was very negative. On the examination by groups, the group of subjects who had never experienced mental illness replied more negatively in almost all items than the group of subjects who had direct experiences. 3)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it appeared that the overall awareness of the mentally ill was changed in a quite positive direction than the 1970s'. Conclusion : Even though the attitude towards the mentally ill has changed in a positive direction, many people still have negative attitudes if it is related to and affect their lives directly. To change the attitudes and to reduce the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against the mentally ill, it may be helpful to let people make direct contact with the mentally ill, as well as to make efforts with systematic public education or with the media based upon the facts.

      • KCI등재

        精神醫學 臨床實習敎育이 精神疾患에 대한 態度에 미치는 影響

        蔡仁英,趙斗英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6 신경정신의학 Vol.25 No.1

        지역사회 정신의학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의사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는 의과대학 학생시절 받은 정신의학교육 그 중에서도 임상실습교육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에 저자들은 정신의학 실습교육이 원래 목표했던대로 학생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가를 알아보았다. 본 조사는 1985년 3월 4일부터 7월 20일까지 약 5개우러에 걸쳐 4주간의 정신과 임상실습을 마치게 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에 미처 실습을 못하는 6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실습전과 후에 각각 두번에 걸쳐 동일한 내용의 설문을 이용하여 제일저자가 직접 학생 개개인 면접한 것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4주간의 임상실습후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1)정신병환자(psychotics)에 대한 개념 및 태도는 매우 긍정적으로 변하였다(p<0.001). 2)신경증 환자에 대해서도 가벼운 정신질환으로 옳게 이해하게 되었으며 신체질환으로 오인하는 학생도 매우 줄어들었다(p<0.01). 3)나머지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 편견, 정신질환의 치료예후에 대한 태도, 정신병원에 입원되어 있는 환자의 치료전망에 대한 태도, 입원치료와 가정내 보호에 대한 태도, 정신병원의 기능에 대한 태도와 개방병동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저자들은 현재 서울대학병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임상실습의 몇가지 문제점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2주간의 서울대학병원내에서의 임상실습기간은 너무 짧다. 2) 연계병원에서의 실습내용 및 지도감독에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3) 학생들의 치료과정에서의 역할이 너무 수동적이다. 4) 학생 임상실습교육만 담당하는 교수나 전공의가 따로 없어서 체계적이고 지속성있는 실습교육이 안되고 있다. 위의 문제점을 토대로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몇가지 제언을 해 보았다. 1) 학생을 일차 치료자(primary terapist)로 이용해 보자는 것이다. 2) 학생에게 환자 배정시 좀 더 치료자간에 신중한 토의가 있은 후, 단기 입원 가능성이 있는 환자, 치료 반응이 좋을 것으로 예측되는 환자, 신경증환자들을 많이 배정토록 하자는 것이다. 3) 신경증환자에 대한 옳은 이해와 개념이 형성되도록 외래환자에 대한 중례토론을 늘리고 외래 재진도 보게 하자는 것이다. 4) 시청각 기재를 좀 더 이용한다. 5) 일관성 있는 실습을 위해 한 사람의 교수나 전임의가 실습교육을 전담할 필요가 있다. 6) 서울대학병원과 연계병원사이에 좀 더 긴밀하고 일관성있는 실습이 이루어져야 겠다. 7) 병상수를 좀 더 확보하여 6주 또는 그 이상의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sychiatric clerkship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n the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For this study, 96 third-year medical students who took psychiatric clerkship between March 1985 and July 1985 were selected and were didn't take clerkship during this period. The author interviewed them with prearranged questionnaire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4-week-long clerkship. Two result categories were found: 1) Statistically significant attitude changes were noted between preclerkship and postclerkship state in the following 2 aspects: concepts of psychotic patients and concepts of neurotic patients. 2) Statistically significant attitude changes were not noted in the following 7 aspects: 2 questions of negative preconceptions of mental illness, attitude toward prognosis of mental illness, attitude toward treatment in a mental hospital compared to home care, attitude toward primary function of a mental hospital and attitude toward open-door system. While considering the results, the authors found several problems in the current states of psychiatric clerkship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roposed some idea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sychiatric clerkship.

      • KCI등재

        입원환자 대집단 사이코드라마 모델

        이후경,윤성철,김선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2

        사이코드라마는 집단정신치료와 더불어 집단치료의 중요한 치료양식의 하나이며 모레노에 의해 시작 되었다. 사이코드라마는 국내 수련병원과 정신병원의 40∼50% 정도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대부분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진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한국 실정에 맞는 '입원환자 대집단 사이코드라마 모델을 개발하였는데, 일회성, 개발형, 구조화된 대집단의 성격을 띠고 있다. 본 모델의 특징은 첫째, 적은 노력으로 많은 환자들에게 최대의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고, 둘째, 정신치료와 집단정신치료에 대한 훈련을 받은 정신과 의사라면(전공의 포함) 누구든지 접근할 수 있게 용이하고 간편하며, 셋째, 한 번에 많은 환자들을 치료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서 저비용 고효율적이고, 넷째, 사이코드라마에 참여한 치료팀(전공의 포함)에게 정신치료와 집단정신치료적인 접근방식에 대한 교육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모델을 입원환자에 적용한 결과 전체 환자의 79.4%에서 도움 받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최근 의료보험 재정의 압박으로 개인정신치료의 비중이 줄어들고, 치료기간도 전통적인 장기치료에서 단기 또는 시간제한치료로 바뀌어 가고 있다. 또한 1995년 정신보건법 통과이후 정신건강에 대한 홍보와 계몽으로 이에 대한 욕구가 날로 증진되는 것에 반하여, 전신치료 분야에 대한 터무니없이 낮은 보험 수가와 전반적인 보험재정의 악화로 사실상 일대일 정신치료적인 접근을 불가능해지고, 게다가 대부분의 정신과 의사들의 과중한 환자 부담을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집단정신치료적인 접근은 입원 및 외래 환자들의 정신치료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보험정책에도 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많은 수의 입원환자들에게 적은 비용으로 정신치료적인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입원환자 대집단 사이코드라마'는 중요한 치료양식으로 정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s an alternative to group psychotherapy, worked out by Dr.Moreno, the psychodrama is being carried on mainly for a large group of inpatients at 40-50% of the country's psychiatric and training hospitals. The authors have developed a Korean psychodrama model for a group mental health having following characteristics : (1) a one-time treatment, (2) open-group therapy, and (3) structured, large group approach. Korean psychodrama model was proved to be a low cost, highly effective approach in that patients could be dealt with en masse to quite a satisfactory degree ; at the same time Korean psychodrama model is easily accessible for any psychiatric doctor or trainee in dealing with a patient. In addition, Korean psychodrama model is highly conducive to experiencing and training related people in psychotherapeutic practice as this model has shown up 79.4% approval rate among patients after treatment. Due to the recent crunch in medical insurance financing, psychotherapy is changing from individual long-term type to a more time-limited type. Despite the mental health law passed in 1995, from the human psychotherapy standpoing, the worsening economic situation has made it difficult for a psychiatrist to deal with patient on a one-to-one basis. As a result, the burden of most psychiatrists, is snowballing day by day. In this context psychodrama seems to be a promising, reliable alternative to group psychotherapy, both medically and economically. It will be a treatment modality for years to come.

      • KCI등재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지연성 운동장애와 음성증상 및 인지기능 장애와의 연관성

        심주철,반철식,성기수,이정구,정도운,정청,윤진상,김영훈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4

        연구목적: 정신과 전문병원에 입원해 있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첫째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병율과 위험인자들을 조사하고, 둘째 지연성 운동장애와 정신분열병의 음성증상 및 인지기능 장애와의 상관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마산동서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 중 DSM-IV의 정신분열별 진단기준에 부합하며, 최근 3개월 이상 동일 용량의 항정신병약물 복용한 271명(남자 174명, 여자 97명)의 환자들이었다. 지연성 운동장애에 대한 평가는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을 이용하였고, DSM-IV와 Sc-hooler와 Kane(1982)의 진단기준 양자에 부합하는 환자들만을 지연성 운동장애군으로 분류하였다, 정신 분열병 정신병리에 대한 평가는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와 Schedule for the Deficit Syndrome(SDS)을 이용하였고, 인지기능에 대한 평가는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MMSE)을 이용하였다. 결과: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병율은 50.9%이었고, 50세 이상, 남자에서 높았다. 그러나 입원기간과 항정신병 약물의 일일 사용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지연성 운동장애의 호발부위는 혀, 상지, 입술과 입 주위의 순이었다. BPRS 총점 및 소항목 척도점수와 SDS 척도점수는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MMSE 총점 및 소항목 점수도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결론: 평균입원기간이 9년 이상인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에게서의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병율은 50.5%이었고, 연령이 가장 의미있는 위험인자임을 확인했다.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이 주 대상인 본 연구에서는 지연성 운동장애와 정신분열병의 음성증상 및 인지기능 장애와의 상관성은 입증하지 못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rate of tardive dyskinesia and to search for its risk factors in chronically institutionalized schizophrenic subjects. We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rdive dyskinesia and both negative symptoms and cognitive impairments in the same subjects. Methods: Subjects were 271 in-patients(174 males, 97 females) at Masan Dongsuh Hospital. They met DSM-IV criteria for schizophrenia and had been taking fixed doses of antipsychotics for at least 3 months. Tardive dyskinesia was assessed by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Cases of tardive dyskinesia were ascertained by the criteria of Schooler and Kane (1982) and DSM-IV. The rating of psychopathology was acquired using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and Schedule for the Deficit Syndrome(SDS) and the assessment of cognitive function using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Results: The prevalence of tardive dyskinesia is 50.9% and the frequency of tardive dyskinesia was high est in male above the age of fift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tardive dyskinesia and both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and the daily dose of antipsychotics. The frequency order of abnormal movement in the patients with tardive dyskinesia was as follows : tongue, upper extremities, lips and perioral area. We couldn'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and subscale scores of BPRS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tardive dyskinesi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MSE scores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tardive dyskinesia. Conclusion: This study gave us that the prevalence of tardive dyskinesia was high in chronically institutionalized schizophrenic inpatients and that age wa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of tardive dyskinesia. The relationship between tardive dyskinesia and both negative symptoms and cognitive impairment, however, was not revealed.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신경인지기능 결함 유형

        백주희,이호택,장호균,박병관,이상연,김은경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2

        연구목적 : 정신분열증의 인지기능장애가 전반적인 결함인지 아니면 특정한 결함인지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신경심리검사 도구인 벤튼 신경심리검사(Bento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이하 BNA)를 사용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특정한 신경인지기능 결함 유형이 관찰되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정신장애 진단통계편람 제4판(DSM-Ⅳ) 진단기중에 따라 분류된 (1) 편집성 정신분열병 입원 환자 30명과 (2) 연령, 성별, 교육정도를 일치시킨 정상 대조군 3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 증상을 양성 및 음성증상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이하 PANSS)로 평가하여 인지 결함과 임상 증상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결 과 : BNA 12개 검사(시간지남력 검사, 좌우지남력 검사, 연속숫자학습, 얼굴재인 검사, 직선지남력판단, 시각형태변별 검사, 판토마임재인, 촉각형태지각, 손가락위치판단, 음소변별, 3차원토막구성, 운동지속력 검사)중에서 정신분열병 환자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연속숫자학습(이하 유의수준 p〈0.05), 얼굴재인 검사, 촉각형태지각, 손가락위치판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저하된 수행을 보였다. 또한 정신분열병 환자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손가락위치판단 하위 요인 중 오른손, 왼손, 이점역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였고, 시각형태변별 검사의 주변오류에서 유의하게 많은 오류를 나타냈다.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PANSS 총점, 양성 및 음성증상척도도 점수와 각 검사, 하위 요인, 오류 점수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임상증상과 독립적인 언어성 작동기억, 학습, 주의력 및 안면지각기술과 촉각정보처리 등 시각과 촉각 양식의 지각 과제에서 복잡한 감각정보처리의 결함을 보이며, 이러한 신경인지기능 결함 유형은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특정한 결함 유형과 최소한 부분적으로 일치되는 소견이다. 한편 정신분열병 환자가 대상 위치검사에서는 상대적으로 정상적인 수행을 보인 반면 대상 인식검사에서는 결함을 나타냈으며, 언어성 작동기억이 결함을 보인 결과는. (1) 전전두엽과 두정엽 피질간의 상호연결이나 (2) 전전두엽과 해마간의 상호연결의 기능 이상을 시사할 가능성이 있으나 후속 연구에서 확증이 필요하다. Objectives : Schizophrenic patients have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abnormal performance on a broad range of neuropsychological tests. But it has been a persistent controversy in the neuropsychology of schizophrenia whether this disorder is characterized by generalized deficits or specific defic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sing standardized Bento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BNA), whether the specific pattern of neurocognitive deficits is found in schizophrenics.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1) 30 schizophrenic in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paranoid subtype according to DSM-Ⅳ diagnostic criterior and (2) 30 normal subjects with matching demographic variables(i. e. age, sex, educational level). All tests of BNA were given schizophrenic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and the performances of schizophrenic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were compared on all aspects of BNA. Schizophrenic symptoms were assessed via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ymptoms and schizophrenic cognitive deficits. Results : Of 12 tests of BNA, schizophrenic patients performance on Serial Digit Learning (SDL), Facial Recognition Test(FR), Tactile Form Perception(TFP), Finger Localization(F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rmal subjects. In addition,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s than those of normal subjects on Right Hand, Left Hand, Identification of two simultaneously touched fingers of FL, and more Peripheral Error on Visual Form Perception Test(VFPT). Finally,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scores, positive symptoms scores, negative symptoms scores of PANSS, and all scores of BNA tests in schizophrenic patient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izophrenic patients may have a specific pattern of neurocognitive deficits in verbal working memory, learning, attention, and complex sensory information processing in visual and haptic modality such as facial perception skills, tactile information processing, independent of psychotic symptoms. The pattern of deifcits is at least in partial, in agreement with many previous study results. On the tests of linguistic functions, visuospatial perception, and constructional abilities, schizophrenic patients' performa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normal subjects. The findings on visuospatial perception and constructional abilities imply that some posterior cortical zones may be relatively uncompromised in schizophrenia. Both poor performances on object recognition tests relative to normal performances on object location tests and verbal working memory dysfunction may be associated with the putative dysfunction of the reciprocal connections either (1) between the prefrontal and parietal cortex or (2) between the prefrontal cortex and hippocampal formation. This tentative explanation remains to be confirmed.

      • KCI등재

        정신분열병 치료효과에 대한 신경인지기능의 예측력에 관한 연구

        오병훈,이희상,최의헌,현명호,조현상,유계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목적 : 신경인지기능검사가·정신분열 병 환자의 혜후 및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있었다. 이들 연구에서는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검사도구 중 일부를 이용하여 치료 결과를 예측해 본 것이므로 저자들은 보다 광범위한 신경인지기능검사를 이용하여 이들 중 어떤 검사결과가 정신분열 병 환자들에 대한 치료결과를 얼마나 예측해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BSM-IV 진단기준에 의거 정 신분열병으로 진단된 입원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최소 1주일 이상의 약물세척 후 약물투여 직전에 K-WAIS. WMS-R Vienna Test System 중 Signal Detection,Decision-Reaction Timer. Motor Performance Series 등의 신경인지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치료에 대한 반응의 평가는 Brief Psychatric Rating Scale(BPRS)와 Clinical Global Impression(CGI)을 사용하여 약물투여 전과 약물투여 후 8주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을 약물투여후 8주째의 BPRS점수가 약물투여 전의 BPRS 점수에 비해 20% 이상 호전이 있으면서 CGl 점수가 3이하인 경우를 기준으로 호전군과 비호전군으로 나눈 다음 두 군 사이의 신경인지기능검사 결과를 비교해보았다. 결 과: 신경인지기능정사에서 K-WAIS 중 언어성지능, 전체지능 Vienna Teat System 중 신호탐지력검사의 정확한 반응수, 반응 결정시간검사의 정확한 반응수 등에서 호전군과 비호전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들 변인을 가지고 호전군과 비호전군을 구분하는 판별분석을 시행한 결과 66.7%의 환자를 정확하게 핀별하여 주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판별 분석에 의하여 신경인지기능검사로써 환자군을 호전군과 비호전군으로 구분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신경인지기능검사가 정신분열병의 치료결과를 예측할수 있는 인자로 활용 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 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wider range of neurocognitive function tests to find out how accurately each subtest could predict the outcomes of treatment in schizophrenics. Methods : The subjects were 33 inpatients diagnosed as schizophrenia according to DSM-IV. Each subject had a drug wash-out period of at least 1 week and had been given K-WAIS, WMS-R, and Signal Detection, Derision Reaction Timer, and Motor Performance Series in Vienna Test System just before drug administration. Treatment response was evaluated with BPRS and CGI scales before and 8 weeks artier drug treatment.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according to the outcomes of the above clinical scales in week 8. The responder group was defined with having 20% increase in BPRS score and a CGI score of less than 3.Then we compared the neuropsychological test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were Verbal IQ and Full Scale IQ in K-WAIS,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in Signal Detection and Decision Reaction Timer in Vienna Test System. In discrimination analysis of the two groups using these subtests as variables, we could predict the responders with 66.7% accuracy, even though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Conclusion : Although discriminating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using negro-cognitive function tests were proven to b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the possibility that neurocognitive function tests can be utilized to predict the treatment outcome in schizophrenia cannot be completely ruled out.

      • KCI등재

        십이지장궤양 환자의 정신신체의학적 특성 : 감정표현불능증을 중심으로 Focused on Alexithymia

        김대혁,임효덕,김성국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6

        본 연구는 감정표현불능증의 특성에 초점을 두고 십이지장궤양의 정신신체의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십이지장궤양 환자 30명과 대조군으로 정신분열증환자 30명, 신경증환자 33명, 정상군 30명, 총 12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형 척도 4가지, 관찰평가척도 1가지 , 투사적 검사기법 1가지 등, 모두 6가지의 검사를 시행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MMPI와 SCL-90-R은 신경증군, 정신분열증군, 십이지장궤양군, 정상군과 같은 순서로 척도별 점수가 높게 나타나 각 군의 특성이 뚜렷이 구분되었으며 모두 정상 범위에 들었다. 십이지장궤양환자들은 MMPI에서 건강염려증, 우울증, 히스테리, 강박증 등의 인격특성이 정상인들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것을 나타났고(p<0.05), SCL-90-R에서는 신체화 증상이 정상인들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5). BIQ점수는 십이지장궤양군에서 다른 군들에 비해 매우 증가된 소견을 보였고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MMPI-A와 TAS검사에서는 네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전체 TAS 평균점수는 감정표현불능증의 절단점인 74점 이상으로 나온 군이 하나도 없었다. 9장의 TAT카드 모두에 대한 전체단어량은 정상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드 다음은 신경증군, 정신분열증군이었고 십이지장궤양군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정동단어량은 신경증군, 십이지장궤양군, 정상군, 정신분열증군의 순서로 높게 나타나 일관성이 없었다. 9장의 TAT카드 각각에 대한 정동단어량은 카드 2,4,16,19에서 네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 4가지 카드 모두 신경증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BIQ검사와 TAT의 전체단어량 검사에서는 십이지장궤양군이 다른 군들보다 유의하게 감정표현불능증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두가지 검사도구는 감정표현불능증의 평가에 어느 정도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TAS 검사와 MMPI-A, TAT의 정동단어량 검사에서는 네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각 군들이 뚜렷이 구분되지 않아 감정표현불능증에 대한 평가결과가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감정표현불능증을 정신신체질환의 고유한 특성으로 보았던 가정은 본 연구의 결과로는 명확한 검증이 어려웠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로 할 때 본 연구결과는 감정표현불능증이 감정의 상징화와 조절에 대한 자아의 결손으로서 신경증 등의 정신병리와는 독립된 특성이지만 정신신체질환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정신질환군에서 혼재되어 나타날 수 있다는 최근의 견해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이러한 소견들에 대해 먼저 본 연구에서 사용된 평가도구들이 한국에서의 신뢰도 및 타당도가 불명확하다는 점과 연구 대상의 수가 적고 십이지장궤양 하나만으로 전체 정신신체질환을 대표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점, 외국사람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척도의 국내 적용에 있어서 한국인의 문화적, 정서적 차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던 점 등이 한계로서 고려될 수 있다. 향후 정신신체질환과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에 대해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다양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somat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focusing on alexithymia, the latest issue in psychosomatic medicine, in patients with duodenal ulcers compared with other control groups. Methods :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duodenal ulcer group(N=30), schizophrenia group(N=30), neurosis group(N=33) and normal healthy group(N=30). All the subjects completed six 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four self-reporting scales(MMPI, SCL-90-R, MMPI-A and TAS), one observer-rated questionnaire(BIQ) and one projective test(TAT), as well as psychiatric interview. Results : All the groups were in the normal range of the scores of MMPI and SCL-90-R. And the decreasing orders of severity were shown by neurosis, schizophrenia, duodenal ulcer and normal healthy group, and all the groups were clearly distinguished by both inventories. On the MMPI and SCL-90-R scales, the duodenal ulcer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hypochondriasis, depression, hysteria, psychasthenia and somatization subscales,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p<0.05). On the BIQ, the duodenal ulcer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 compared with the other control groups(p<0.05). All the mean scores of the MMPI-A and total TAS were, however, below the alexithymic level and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subject groups. The total word count combined from nine TAT car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subject groups(p<0.0001). The normal control group scored the highest in total word count among all the groups. On the contrary, the duodenal ulcer group showed the lowest score and i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normal group(p<0.05). The neurosis group scored the highest, while the duodenal ulcer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rest of the groups, in the affective word count combined from nine TAT cards. Conclusion : First of all, there are significant tendencies of hypochondriasis, depression, hysteria, psychasthenia and somatization in BIQ and total word count of TAT may be useful in evaluating alexithymic trait in psychosomatic patients compared with normal healthy people and other psychiatric patients. Thirdly, the assumption that alexithymia is the unique personality trait of the classical psychosomatic diseases can't be confirmed because of inconsist results in this study. Fourth, these inconsistent results may be related to a recent opinion that there is considerable variation in the prevalence of the alexithymic trait among different psychiatric diseases as well as psychosomatic diseases, and that alexithymia may coexist with, but may be independent from, neurotic psychopathology. Finall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larify the impact of alexithymia on various psychosomatic diseases in the context of biopsychosocial approach.

      • KCI등재

        Developing Child Psychiatry in Korea

        洪剛義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2 신경정신의학 Vol.21 No.2

        한국 소아정신과 영역의 발달사를 간략하게 기술하고 소아정신과 현황과 환자들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신분과 수립이후(1979.7) 1년 1개월간 내원한 환자에 대한 통계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1. 한국 소아정신과 활동의 시작은 해방을 전후하여 몇몇 중진정신과 전문의들이 소년심판소와 가정법원에 비행청소년 취급에 참여한데서 찾아 볼 수 있고 1960년도를 전후 아동상담운동으로 아동들의 행동문제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높아졌고 1967년 노동두가 처음으로 카톨릭의대에서 소아정신과를 특수분야로 소개하였고 1969년부터 1973년까지 이규원이 정식으로 서울대학교병원에 소아정신과진료를 실시하였다. 그후 1979년 7월 서울대학병원에 소아정신과가 신경정신과 내에 분과로 정식 발족되어 외래, 입원, 자문, 발달장애아 주간치료쎈터 등 다양한 진료활동을 하고 있고 매년 1명씩의 전임의 훈련을 하고 있다. 현재 5∼6명의 정식 소아정신과 수련을 적어도 1년 이상 받은 정신과 전문의가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다. 2. 소아정신과 개설후 13개월간의 임상통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 환자수는 외래 554명, 입원 42명, 타과자문 69명 등 총 623명이었으며(Table 1), 이 환자수는 미국의 주요 소아정신과의 연간 환자 숫자와 버금 내지 초과한다. 환자의 남녀성비는 2:1로서 남자에게 많았고 연령별로 보아 6세 이하 취학전 아동이 40%, 학령기 아동 47%, 청소년이 13%였다(Table 2). 환자 의뢰는 대학병원내 타과로부터 36%, 부모자신, 29%, 의사로부터 17%, 기타 전문가 5%로서 주로 타과의사가 주요 의뢰처였다(Table 3). 의뢰 이유로는 언어문제가 가장 많았고 다음 신체 증상, 수면장애, 과잉행동, 사회성의 결여, 경기, 불안, 우울등이 주요 주소였다(Table 4). DSM-Ⅲ에 의한 진단류를 보면 전반적 발달장애(12.4%) 신경과적 장애(12.1%), 정신지체(11.1%)이고 다음이 불안증(9%), 적응장애(6.9%), 수면장애(5.3%), 우울(4.7%), 주의력 결핍증(4.6%), 야뇨증(5.3%), Tic장애(4.0%), 행동장애(3.7%), 정신병(3.4%), 특수 발달장애(2.6%), 전환반응(2.1%), 성격장애(2.0%) 순이었다. 전환자의 1/3은 발달장애, 뇌손상, 정신지체 등 기질적 요인으로 오는 장애로 주로 학령전기 아동이었고, 1/3은 불안, 우울 전환반응 등 정서장애로 학령기 아동들이었으며 기타 장애가 1/3을 차지하였다(Table 5). 임상적 관찰에 의한 원인적 요소로서 임신중, 출산전후 및 유아기의 기질적, 생물학적 요인들이 뇌손상, 정신지체, 발달장애의 원인으로 추정되었고 전통적으로 긴밀한 모자관계, 산업화, 핵가족화, 경제성장 등의 사회적 변천과 불안정, 자녀수의 감소와 양육방법의 혼돈, 부모의 과잉보호, 과잉통제, 그리고 과잉교육열 등이 정서, 행동 및 정신지체 장애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3. 소아정신과의 정립과 진료체제의 확립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환자수는 많으나 이를 담당할 소아정신과 전문의와 다과적 팀구성원(심리학자, 사회사업가, 특수교육가, 언어치료사, 간호원 등)의 부족과 중도 이상의 중복장애아들을 보낼만한 치료, 교육시설과 관련된 전문분야의 미개발 상태였다. 4. 앞으로 한국 소아정신과의 과제는 소아와 청소년 정신문제를 전담할 전문의의 양성과 관련된 타전문가의 훈련 및 한국 실정에 맞는 치료, 교육시설 개발과 소아, 청소년의 정신과적 장애에 대한 다각적 연구의 수행, 한국 특유한 정신과적 문제의 발견과 한국아동과 가정에 적합한 치료방법의 개발 등이다. I have presented a brief history and the current status of child psychiatry service in Korea, and clinical data from child psychiatry service during the first year since the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1979. Various issues in developing the new subspecialty were described. The first and most urgent problem is the shortage of child psychiatry specialist to deal with the large number of child psychiatric patients in Korea. The second is the lack of availability of enough institutions or facilities for severely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Thirdly, I, a qualified child psychiatrist, fully trained and practiced in the United States, was inadequately prepared to deal with mental retardation, epileptic, brain damaged and other severely developmental disordered patients. My clinical skills and styles have had to be modified when I applied them to the psychiatric population in Korea. As a result of my experience after return to Korea, I would suggest that anybody who received training in the United States and plans to go back to their native country to establish a child psychiatry service should take extra training and experience in dealing with multihandicapped children such as, mentally retarded, neurologically impaired, epileptic autistic and others, unless other specialists are available to take care of them. I also suggest that he or she should be prepared to carry out evangelical missions for child psychiatry by providing public education and using mass media effectively and also should be a strong advocate not only for the psychiatrically ill but also for the disadvantaged and handicapped. By making some cross-cultural comparisons, several groups of developmental and emotional disorders which are somewhat unique in Korean culture were identified. In the future I hope to carry out more rigorous collaborative crass-cultural research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human development and its problems in all cul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