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하악골에 발생한 골막 골육종

        김태우,김승범,권혁찬,문선재,윤정훈,김형준,차인호,육종인,김진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2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4 No.1

        Periosteal osteosarcoma is a distinct entity of malignant bone tumor with characteristic clinical, morpholog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within the group of juxtacortical osteosarcoma. Periosteal osteosarcoma is predominantly located in the tubular long bones, and extremely rarely involving the jaws. A case of periosteal osteosarcoma of the right mandible is presented. A 27-year-old woman complained of the gingival swelling and bleeding tendency of the right posterior mandible. Clinical examination revealed a reddish brown strawberry-like swelling on the affected mucosa, which measured 1.5㎝×1.5㎝. The tumor was located on the lingual cortex of the mandible and extended into the surrounding soft tissues. Microscopically, the tumor consisted exclusively of atypical chondroblastic cells with a small osteoblastic area. A minimal bone marrow involvement was noted and the adjacent cortex was free of tumor.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tumor originated from the periosteal cambium layer, which lies between the periosteal fibrous layer and the cortex of mandible.

      • KCI등재후보

        Lidocaine, Thrombin, Epinephrine 의 항균효과

        김진우,이동건,전혜선,김승준,김석찬,안중현,김치홍,권순석,김영균,김관형,문화식,신완식,송정섭,박성학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6

        목적 : 기관지내시경 검사에서 흔히 사용되는 국소마취제인 lidocaine과 내시경시 지혈목적으로 사용되는 thrombin과 epinephrine이 각종 균주에 미치는 항균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균주는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2004년 3월부터 2004년 9월까지 임상검체 에서 동정된 S. aureus, S. pneumoniae, K. pneumoniae, P. aeruginosa 각각 42, 42, 42, 43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Lidocaine, thrombin, epinephrine 감수성 검사는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 2002)의 기준에 따랐다. 결과 : Lidocaine은 S. aureus, S. pneumoniae, P. aeruginosa에서 MIC_(50), MIC_(90) 모두 20,000 ㎍/mL 이었다. K. pneumoniae는 각각 10,000 ㎍/mL이었다. Thrombin은 S. aureus와 P. aeruginosa에서 MIC50 500 lU/mL 과 MIC_(90) 500 IU/mL 이상이었고, K. pneumoniae에서는 MIC_(50)과 MIC_(90)이 모두 500 lU/mL이상이었으나 S. pneumoniae에서는 MIC_(50)과 MIC_(90)은 125 IU/mL이었다. Epinephrine은 K. pneumoniae, S. pneumoniae에 대한 MIC_(50), MIC_(90)가 모두 >500 ㎍/mL이었고, S. aureus와 P. aeruginosa에 대한 MIC_(50), MIC_(90)가 모두 500 ㎍/mL이었다. 결론 : 기관지 내시경 검사에서 흔히 쓰이는 lidocaine, thrombin, epinephrine 등의 약제들이 호흡기 질환의 흔한 병원균인 S. aureus, S. pneumoniae, K. pneumoniae, P. aeruginosa 균주들에 대해 항균 효과가 있을 수 있어 세균배양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겠다. Background : We performed this stody to find out about antimicrobial effect of lidocaine which is commonly used local anesthetic, and thrombin and epinephrine used for hemostasis during bronchoscopic procedures. Materials and Methods : The microorganisms that were cultured from specimens obtained during bronchoscopy were Staphylococcus aureus (n=42), Streptococcus pneumoniae (n=42), Klebsiella pneumoniae (n=42), and Pseudomonas aeruginosa (n=43) collected from St. Mary's Hospital, from March to Sep 2004 were used for susceptibity testing. Susceptibility to lidocaine, thrombin, and epinephrine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Result : MIC_(50) and MIC_(90) of lidocaine for S. aureus, S. pneumoniae, P. aeruginosa were all 20,000 ㎍/mL and that for K. pneumoniae were 10,000 ㎍/mL. MIC_(50) and MIC_(90) of thrombin for both S. aureus and P. aeruginosa was 500 IU/mL and above 500 IU/mL, respectively; that for K. pneumoniae were all above 500 IU/mL and for S. pneumoniae they were 125 IU/mL, MIC_(50) and MIC_(90) of epinephrine for K. pneumoniae and S. pneumoniae were above 500 ㎍/mL; that for S. aureus and P. aeruginosa were 500 ㎍/mL. Conclusion : We observed possible antimicrobial effect of lidocaine, thrombin, and epinephrine in vitro against pathogens such as S. aureus, S. pneumoniae, K. pneumoniae, P. aeruginosa, which are common respiratory microorganisms. The use of these agants could affect the result of bacterial culture.

      • 가상상태 및 Backstepping 기법을 이용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 설계

        박승규,김성환,안호균,김민찬,김명현 國立 昌原大學校 產業技術硏究院 2004 産技硏論文集 Vol.18 No.-

        This paper Backstepping design with Sliding Mode Control for AC Servo Systems. The robustness of sliding mode control can be used for backstepping technique to solve the uncertainty problem. A scalar design using Lyapunov function is developed for high-order systems. The result can be easily extended to non-linear system and used with many other sliding mode control results.

      • 분편 인플루엔자백신(split influenza vaccine)의 임상효과 및 면역원성에 관한 연구

        우흥정,김동림,정희진,천병철,이주연,안정배,김지희,박찬,신영규,김우주,김민자,박승철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1

        목적 : 아단위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백신의 인플루엔자 예방효과, 인플루엔자 방어 항체형성, 인플루엔자 백신의 안전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총 571명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하였고, 이들 접종자에서 인플루엔자 양질환의 이환을 조사하여 인플루엔자 백신의 인플루엔자예방효과를 알아보았고, 백신의 접종 전 및 접종 4주 후 혈청에서 혈구응집억제물(Hemagglutination Inhibition : HAI) 항체 검사를 실시하여 백신의 방어항체생성을 조사하였고, 백신의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해 백신접종 후 1주일 이내의 부작용을 조사하였다. 결과 :백신 접종군과 백신 비접종군에서 인플루엔자 양 질환의 이환을 조사한 결과 접종군 28.35%, 비접종군 35.88%으로 나왔으며, p 값이 0.001로 통계적으로 접종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인플루엔자 양 질환의 예방 효과는 20.97%를 보였다. 백신의 방어항체 형성의 평가를 위해 유럽의 인플루엔자 백신 허가 기준을 조사하였는데 B/Guangdong/5/94균주의 백신접종 후 항체가 40이상의 비율을 제외한 다른 기준은 모두 만족 시켰다. 부작용은 전체 조사자 521명중 149명(29%)으로 주로 접종 부위의 국소 부작용을 호소했고, 전신 부작용은 2% 내외였으며 특별히 심각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 분편 인플루엔자 백신은 인플루엔자양질환의 예방과 방어항체생성에 효과 있으며 안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influenza vaccine are well known in developed country. The influenza vaccination has been recommended as one of the tentative immunization schedule for indicated persons since 1997 in Korea. But there are still no available data about them, even though nearly 5 million doses of influenza vaccine were used in 1997-1998 season. So it is immediately needed to investigate the safety. efficacy and immunogenicity of influenza vaccine among Korean. Methods : We studied the clinical efficacy of influenza vaccine by monitoring Occurrence of influenza-like illness in influenza risk group(vaccination ; 300, non-vaccination; 215) from December in 1997 to March in 1998. We used the split quadrivalent influenza vaccine containing 15 microgram of hemagglutinin of A/Beijing/262/95(HlNl), A/Wuhan/359/95(H3N2), B/Mie/1/93 and B/Guangdong/5/94. Hemagglutination inhibition(HA1) antibody titers were determined before immunization and 1 months after vaccination And we evaluated adverse effect of influenza vaccination at 7 days after vaccination. Results : Influenza vaccination was associated with si@icant reductions in influenza-like spptoms(vaccination group; 28.35%, non-vaccination group, 35.88%, p=0.001). The preventive effect of influenza-like i3lne.s among influenza risk goup was 20.97%. And immunogenicity of influenza A and B exceeded all of the European licensure criteria for immunogenicity except postvaccination proportion of titers 240 of B/Guangdong/5/94 strain. And the adverse effects were mainly local injection site problem and no serious adverse effect was noted. Conclusion : Split influenza vaccine is safe, inmunogenic and eff'tive in influenza risk group in Korea.

      • KCI등재

        자기장 저속 냉동보관법을 이용한 쥐 치아 치주인대세포의 활성도 검사

        안현정,김의성,김진,김덕원,김기열,이찬영,이승종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흰쥐 상악 대구치를 발거하여 자기장 저속 냉동보관법을 이용하여 냉동 시 치주인대세포의 활성도 및 세포 사멸도를 MTT검색법과 TUNEL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암컷 Sprague-Dawley계 된 쥐의 상악 좌우 제1,2대 구치를 발거하여 각군 당 12개의 쥐 치아를MTT검색에 이용하였고 6개의 치아를 TUNEL 검사에 이용하였다. 실험군은 5개군으로 대조군은 즉시 발치군이며 4℃냉장고에서 1주일간 보관한 냉장군, 발치 후 동해방지제 처리과정을 거쳐 -196℃의 액화질소에 넣어 급속 냉동한 액화질소군, 21.7 ㎃, 60 ㎐, 1 G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0.3℃/min 의 속도로 -20℃까지 냉동 후 -196℃로 급속 냉동한 자기장군, -0.3℃/min의 속도로 -20℃까지 냉동 후 -196℃에 급속 냉동한 저속 냉동군으로 나누었다. 보존액은 F medium을 사용했으며 동해방지제로 10% dimethyl sulfoxide (DMSO)를 사용하였다. 치근면을 단위면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해 MTT측정값을 Eosin 염색 후 530 ㎜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으로 나누었다. TUNEL 검사 시 각 조직슬라이드에서 400배 크기의 현미경 시야에서 임의로 세 부분을 지정하여 정상 세포수와 양성 세포수를 세어 그 비율을 계산하여 각 실험군 당 평균치를 구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 one way ANOVA를 시행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Scheffe와 Tukey HSD방법을 썼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MTT검색에 의한 흡광도를 Eosin염색 후 측정한 흡광도로 나눈 값에서는 자기장군은 즉시 발치군보다 낮은 세포활성을 보였고 (p < 0.05) 액화질소군, 저속 냉동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자기장군은 액화질소군, 저속 냉동군과 함께 냉장군보다는 높은 세포 활성도를 보였다 (p<0.05).TUNEL검사 결과도 자기장군은 즉시 발치군보다 치주인대의 세포사멸도가 높았으나 (p < 0.05) 저속 냉동군과 액화 질소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기장군은 냉장군보다 세포사멸도가 낮았으며 냉장군은 모든 군 중에서 세포 사멸도가 가장 높았다 (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iabil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 in rat teeth using slow cryopreservation method with magnetic field through MTT assay and TUNEL test. For each group, 12 teeth of 4 weeks old white female Sprague-Dawley rat were used for MTT assay, and 6 teeth in TUNEL test. The Maxillary left and right, first and second molars were extracted as atraumatically as possible under tiletamine anesthesia.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groupl (immediately extraction), group 2 (cold preservation at 4℃ for 1 week), group 3 (rapid Cryopreservation in liquid nitrogen), group 4 (slow cryopreservation with magnetic field of 1 G), and group 5 (slow cryopreservation). F medium was used as preservation medium and 10% DMSO as cryoprotectant. After preservation and thawing, the MTT assay and TUNEL test were processed. One way ANOVA and Scheffe method were performed at the 95 % level of confidence. The value of optical density obtained after MTT analysis was divided by the value of eosin staining for tissue volume standardization. In both MTT assay and TUNEL test, it ha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 3,4, and 5. And group 3 had showed higher viabil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 than group 2. From this study, slow cryopreservation method with magnetic field can be used as one of cryopreservation methods.

      • SCIESCOPUSKCI등재
      • 항원 흡입에 의한 비특이적 기관지과민성: II. 화분

        김미경,엄재호,이동호,조명찬,이상도,윤세진,궁성수,김승택,이복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2 忠北醫大學術誌 Vol.2 No.1

        피부단자검사, RAST 및 항원 기관지유발검사(allergen bronchial provocation test, ABPT)결과 쑥, 잔듸, 나무화분에 감작된 기관지 천식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이들 화분이 비특이적 기관지과민도(non-specific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NSBR)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ABPT시의 조기 및 후기 천식반응(early, late asthmatic response, EAR, LAR)이 NSBR 생성에 관여하는지와 각각 화분의 항원성을 비교하고자, 감작된 화분으로 ABPT를 시행하고, 이를 전후하여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MBPT)를 시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기저 폐기능상 기도 폐색을 보인 환자는 없었으며, 알레르기성 비염만을 호소하였던 환자 11명 중 4명(31%)은 MBPT에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나, ABPT에는 11명 모두 양성반응을 보인 천식 환자였다. ABPT상 3명은 EAR, 2명은 ILAR, 8명은 LAR이였다. EAR만을 나타낸 경우는 ABPT 24시간 후 PC20이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다소 증가하였으나, ILAR을 나타낸 환자들은 24시간 후 PC20가 감소하여 3일 후 기저치로 환원된 반면, LAR에서는 24시간 후 PC20가 현저히 감소하여, 2주 내지 6주 후에야 기저치로 환원되었다. LAR을 보인 환자들 중 쑥에 감작된 환자들이 목초 화분에 감작된 환자에 비해 Pc20의 감소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화분 흡입에 의한 LAR에 의해 NSBR이 악화되며 지속기간이 상당히 긴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화분 중 쑥의 항원성이 목초보다 상당히 강한 것도 알 수 있다. 더불어 화분에 감작된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들의 대부분에서 천식이 잠재해 있음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천식의 증상이 없는 화분에 감작된 비염환자라 할지라도 MBPT 및 ABPT를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을 해야겠다. 본 연구에서 종래의 다른 연구 결과들과는 달리 쑥의 경우 ILAR의 경우도 NSBR을 악화시킴을 관찰하였는데, ILAR과 LAR의 차이가 단순한 기도폐색의 정도 차이인지, 기도 내에서 염증반응에 차이가 있는지는 향후 기관지 페포세척이나 조직 검사등을 통해 밝힘으로써, ABPT에 의한 NSBR의 발생 및 악화의 기전을 보다 확실히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s a fundamental characteristics in bronchial asthma. The pathogenesis of bronchial hyperreactivity has not been clearly understood, yet. We studied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with methacholine inhalation sequentially afterallergen provocation in pollen such as, alder, grass and mugwort-sensitzed allergic asthma and/or allergic rhinitis to investigate if there is any relation between allergen exposure and bronchial hyperreactivity, and compare the allergenicity of each pollen. 3 of 13 study subjects showed early asthmatic reaction, but 8 of them showed late(dual) asthmatic reaction, and the other 2 showed intermediate late asthmatic reaction.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activity was not increased in early asthmatic responder, however, it was increased upto 45 days after allergen inhalation in all late asthmatic responder and in intermediate late reactor, upto 3 days. In mugwort-sensitized late asthmatic responder NSBR decreased much longer than any others. Taken together, pollen-induced late asthmatic reaction is one factor which contributes NSBR in pollinosis patients.

      • 컴퓨터 작업 시 의자 등받이 위치가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우,변승진,이경은,정소영,조주영,최원자,최찬양,김경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再活科學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컴퓨터 작업시 의자 등받이 위치가 근육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6명의 근골격에 문제가 없는 성인 남녀가 참가하였으며 대상자들은 등받이가 뒤에 있는 의자와 등받이가 없는 의자, 등받이가 앞에 있는 우리들 의자를 무작위로 배정하고 동일한 컴퓨터 작업을 실시하게 하였다. 실험 중, 표면근전도기를 사용하여 의자에 따른 위등세모근, 머리널판근 그리고 척주세움근의 근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등받이가 앞에 있는 의자는 허리 근육의 부담을 줄이지만 목근육에 부담이 늘어나고 등받이가 뒤에 있는 의자와 없는 의자는 허리근육에는 다소 무리가 가지만 목근육에는 부담이 덜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환자의 증상에 다라 컴퓨터 작업을 하는 동안 의자 등받이의 위치를 조절하여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checked and observed people's change of body muscle and muscle activity who do computer work on different chairs. We set three kind of chairs which one is a stool and another one is the back is fixed, and the other one is the back is fixed in front of chair. Subject : Accounting for 36 health men and women, we divided these people to 3 groups and put them on the three cases(position 1, position 2, position 3). We measured muscl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Splenius Cervics, Erector Spinae from the groups by using surface electromyogram system. Methods : The standard of the electromyogram was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and we carried out 'one way anova' to compare muscle activity of three groups. Results : In position 1,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of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was 123.2821%, Splenius Cervics was 141.7526%, and Erector Spinae was 254.5233%. In position 2,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of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was 132.9395%, Splenius Cervics was 141.7526%, and Erector Spinae was 246.6540%. In position 3,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of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was 190.6487%, Splenius Cervics was 270.2332%, and Erector Spinae was 182.1021%. Both upper trapezius and Splenius Cervics muscle activity of position 3 group was higher than the others groups. In position 1 group, Erector Spinae muscle activity was hight than the other groups. And either was position 2 group's(p<0.05). Conclusion : Therefore the chair which is the back is fixed in front is more comfortable for waist muscle but it's not good for neck. And the other chairs are better in waist muscle but not in neck muscle. So far, when we do a computer work, it's prefer to sit on the group 1&2's chairs to reduce neck muscle's stress and sit on group 3's chair to reduce waist muscle's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