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살 시도의 심각도와 혈청 지질농도의 관련성

        이헌정,최낙경,김린,이민수,김용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6

        연구목적 : 낮은 혈청 콜레스트롤 농도와 자살과 같은 폭력적 행동에 관한 관련성에 관한 논란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자살 시도 후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에서 혈청 총 콜레스테롤 농도만이 아닌 전반적인 혈청 지질 농도의 저하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자살 시도 상황을 평가하는 객관적 척도를 통하여 자살 시도 상황에서 자살 시도의 심각도와 혈청 지질 농도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 법 : 1998년 7월부터 1999년 6월 사이에 자살 시도후 고려대학교 의료원 응급실로 내원한 50명의 자살 시도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정신과 의사의 면담을 통하여 정신과적 진단을 받았으며 동시에 위험-구조척도(RRR). HDRS, BPRS 등이 평가되었다. 또한 동 기간에 본원 정신과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자살 시도가 없었던 환자중, 대상군과 나이, 성별, 진단을 맞추어서 50명의 환자를 선정하여 정신과 환자 대조군으로 하였다. 자살 시도군과 대조군의 혈청 지질농도가 t-test를 통하여 비교되었으며, RRR점수와 혈청 지질 농도, HDRS,BPRS와의 사이의 연관성 Spearman순위 상관계수로 분석되었다. 결 과 : 자살 시도자중 주요우울증이 29명, 정신분열병이 2명, 인격장애가 19명이었으며, 자살 시도군의 혈청 총 콜레스트롤 농도(t=---3.29, p=.001). 총 지질 농도(t=-2.62, p=.01), LDL농도(t=-2.64, p=.011)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진단별로는 주요우울증에서는 총 콜레스트롤 농도, 총 지질 농도, LDL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으나, 인격장애에서는 혈청 콜레스트롤 농돤이 대조군보다 낮았다. 자살 시도군에서 RRR 점수는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γ=.-293,p=.039), BPRS(γ=.544, p<.001)와 HDRS(γ=.488, p=.001)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자살 시도군에서 혈청 지질 농도 중 총 콜레스테롤, 총 지질, LDL농도가 유의하게 저하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살의 심각도를 평가한 RRR 정수가 혈청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유의하게 상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낮은 혈청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심각한 자살 시도와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Objectives :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suicide is related to low serum cholesterol level, whereas conflicting results have also reported.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determine whether suicidal attempters have low lipid concentra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attempt severity and serum lipid levels. Methods: Subjects were 50 suicidal attempter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in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between July 1998 and June 1999. All subjects had been interviewed by psychiatrist and evaluated with Risk-rescue rating, HDRS and BPRS. They were diagnosed as major depressive disorder(n=29), personality disorder(n=19), and schizophrenia(n-=2). Serum lipid levels in 50 suicidal attempter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50 nonsuicidal psychiatric inpatients corresponding to the age, sex and diagnosis of the suicidal attempters. We also examined the Spearman's rank correlations between serum lipid levels and risk-rescue score. Results : The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t=-3.29, p=.001), total lipid level(t=-2.62, p=.01), and LDL level(t=-2.64, p=.011) in suicidal attempters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nonsuicidal controls. In major depressive patients, total cholesterol level, total lipid level, and LDL level in suicidal attempte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nsuicidal controls. In personality disorder patients, however, only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Risk-rescue rating sco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p=.-293, p=.039),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BPRS(p=.544, p<.001), and HDRS(p=.488, p=.001). Conclusion : The lipid levels in suicidal attempter were significantly lower. Suicidal attempt severity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ow serum cholesterol should be related with severs violent suicidal attempt.

      • KCI등재

        전수면박탈이 정상인의 청각 사건관련전위에 미치는 영향

        이헌정,전호석,김린,서광윤,Lee, Heon-Jeong,Chun, Ho-Seok,Kim, Leen,Suh, Kwang-Yoon 대한수면의학회 2003 수면·정신생리 Vol.10 No.2

        목 적:본 연구는 청각 사건관련 전위를 이용하여 전수면박탈이 인간의 신경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고려대학교 재학생 중 건강한 자원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38시간의 수면박탈을 시행하였고 2일간 아침, 저녁으로 총 네 차례 청각 사건관련 전위를 실행하였다. 결 과:P300과 N200의 잠복기가 유의하게 길어졌으며(p<0.001) 진폭도 수면박탈의 결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수면박탈에 따라서 P200의 진폭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N100에서는 수면박탈에 따라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결 론:청각 사건관련전위중 P300과 N200가 수면박탈 상태를 반영하는 표지자로 생각된다. 향후 수면박탈이 사건 관련전위에 미치는 영향의 신경생리학적 기전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physiological effects of total sleep deprivation by using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Methods: Twenty four healthy college students (18 men, 6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remained awake for 37 hours under continuous surveillance. In the morning and the evening of two consecutive study days,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were checked. Results: The latencies of P300 and N200 were significantly prolonged (p<0.001) and their amplitudes decreased (p<0.05) as a consequence of sleep deprivation. The amplitude of P200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leep deprivation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N100. Conclusion: Among the components of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P300 and N200 are good indicators of sleep-deprived status.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elucidate the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 of these findings.

      • KCI등재

        Circadian Rhythm Hypotheses of Mixed Features, Antidepressant Treatment Resistance, and Manic Switching in Bipolar Disorder

        이헌정,손기훈,금동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3 PSYCHIATRY INVESTIGATION Vol.10 No.3

        Numerous hypotheses have been put forth over the years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bipolar disorder. Of these, circadian rhythm hypotheses have gained much importance of late. While the hypothalamus-pituitary-adrenal (HPA) axis hyperactivation hypothesis and the monoamine hypothesis somewhat explain the pathogenic mechanism of depression, they do not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ania/hypomania. Interestingly, all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display significant disruption of circadian rhythms and sleep/wake cycles throughout their mood cycles. Indeed, mice carrying the Clock gene mutation exhibit an overall behavioral profile that is similar to human mania, including hyperactivity, decreased sleep, lowered depression-like behavior, and lower anxiety. It was recently reported that monoamine signaling is in fact regulated by the circadian system. Thus, circadian rhythm instability, imposed on the dysregulation of HPA axis and monoamine system, may in turn increase individual susceptibility for switching from depression to mania/hypomania. In addition to addressing the pathophysiologic mechanism underlying the manic switch, circadian rhythm hypotheses can explain other bipolar disorder-related phenomena such as treatment resistant depression and mixed features.

      • KCI등재

        1960년대 양궁(洋弓)대회 참가를 둘러싼일본 궁도(弓道)계의 양상 ‒잡지 『弓道』와 참가자들의 대담 내용을 중심으로‒

        이헌정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3

        In this study, focus on 1967, Junji Miyata, a Kyudo player that participated in the Amersfoort International Archery Competition as a traditional Japanese bow. And analyzed talking that the player by Junji Miyata and supervisor by Hosoi Hidehiko. First, Hosoi and Miyata did not readily accept that archery was going to the archery competition. Because that Kyudo and archery were thought to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rules and competition rules. However, in Miyata, a considerable sense of challenge was demonstrated and actively engaged. As a result of the report prepared by Miyata after the contest and the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at the time, Miyata did not think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archery competition was simply a one-time event, and ordered development through scientific analysis. However, in 1968, the All Nippon Kyudo Federation withdrew completely from the archery and concentrated on archery as a tradition. No longer kyudo will go to the archery competition. Ultimately, the transformation of archery as an international game ended in a single attempt, but this series of events means that, at least at the stage of 1967, the archery is not merely an image of tradition. It also implies the possibilities of modern sports. When we look at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flow of postwar Kyudo was not simply a process of restoring, maintaining and inheriting the tradition. It is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archery’s identity and development. 본 연구에서는 1967년 일본의 궁도 선수인 미야타 준지가 아메르스포르트 국제양궁대회에 일본의 전통 활로 참가한 것에 착목하여 당시 대회에 참가했던 선수인 미야타 준지(宮田純治)와 감독을 맡았던 호소이 히데히코(細井英彦)의 대담을 분석하였다. 호소이와 미야타는 모두 궁도가 양궁시합에 나간다는 것에 대해서는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는 궁도와 양궁은 도구의 발달 방식과 경기규칙이 서로 다르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미야타가 대회 후에 작성한 보고서와 당시에 발간된 신문 기사들 또한 함께 본 결과, 호소이와 미야타는 궁도의 양궁대회에 참가에 대한 입장이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미야타는 양궁대회의 참가가 단순히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는 것으로 생각한 것이 아닌, 양궁과의 대등한 경기를 위해 궁구와 사법의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개발을 주문하기도 하였으며 호소이 또한 참가 자체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으나 이후의 발전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양궁 종목이 나왔을 때의 전궁련의 반응과 무관하지 않았다. 전궁련은 궁도의 양궁대회 참가를 생각하고 있었으며, 세계적으로 활약하는 일본 궁도에 대한 열망이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68년, 전일본궁도연맹은 양궁으로부터 완전히 철수하여 전통으로서의 궁도에 집중하게 되었다. 더 이상 궁도가 양궁대회에 나가는 일은 없게 된 것이다. 이를 보았을 때 전후 일본궁도의 흐름은 단순히 전통을 복원・유지하고 계승해가는 과정이 아닌, 궁도의 정체성과 발전의 방향을 정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수면박탈에 의한 P300 잠복기 연장과 성격요소와의 연관성

        이헌정,전혜연,김용구,서광윤,김린,Lee, Heon-Jeong,Jeon, Hye-Yeon,Kim, Yong-Ku,Suh, Kwang-Yoon,Kim, Leen 대한수면의학회 2003 수면·정신생리 Vol.10 No.1

        목 적:수면박탈은 인지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며 이는 신 경생리학적 변화인 P300의 잠복기 연장과 진폭의 저하를 가져온다고 보고된다. 또한 이러한 수면박탈에 의한 변화 정도에 개인의 특성이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수면박탈에 의한 P300의 잠복기 연장 정도와 성격 특성의 관련성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18명의 피험자에게 37시간 동안 수면박탈이 시행되었으며, 2일간의 실험기간동안 아침 7시와 저녁 7시에 총 4차례 P300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첫날 10시경에 MMPI와 STAI-T 검사를 시행하였다. 총 4회의 P300의 변화 중 아침, 저녁의 검사 결과끼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수면박탈에 의하여 P300의 잠복기 연장이 심하지 않은 군(n=9)(Group A)과 심한 군(n=9) (Group B), 두 군으로 나누었으며, 두 군의 MMPI의 각 척도 점수와 STAI-T 점수를 t-test 통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수면박탈에 의하여 유의한 P300 잠복기의 연장이 있었다(p<0.005). 그러나 진폭에 있어서는 저녁시간에만 유의한 진폭의 감소가 있었다(p<0.005). 잠복기 연장이 심한 경우(Group B)와 심하지 않은 경우(Group A)를 나누어 MMPI 각 척도 값들을 t-test 시행한 결과, Group B가 Group A에 비하여 Mf척도(t=-2.16, df=16, p=0.046)와 Pa척도(t=-2.61, df=16, p=0.019)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으며, F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지만 Group B가 Group A보다 점수가 높았다(t=-2.11, df=16, p=0.052). 결 론:MMPI 소척도 중 F, Mf, Pa 척도가 높은 사람이 P300의 변화로 표현되는 수면박탈에 의한 정보처리 효율성의 저하에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즉, F 상승으로 표현되는 주관적인 심리적 호소가 많음, Mf의 상승으로 표현되는 예민, 수동, 의존적인 면 그리고, Pa척도의 상승으로 나타나는 예민하고 투사 및 외향화하는 성격이 수면박탈에 취약하다고 추정할 수 있겠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t of prolongation in P300 latency by sleep deprivation and personality variables. Methods: Eighteen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remained awake for 37 hours under continuous surveillance. In the morning and evening of two consecutive study days, P300 was checked four times. MMPI and STAI-T were checked in the morning of the first day. The 18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extent of P300 prolongation by sleep deprivation: Group A consisted of short P300 latency prolonged subjects, and group B of long latency prolonged subjects. The MMPI profiles and STAI-T scores of these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Group B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Mf subscale (t=-2.16, df=16, p=0.046) and Pa subscale (t=-2.61, df=16, p=0.019) than group A. Group B also showed higher F subscale scores at a marginally significant level (t=-2.11, df=16, p=0.052).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bjects with higher scores in F, Mf, and Pa subscales tend to have delayed cognitive process and decreased efficiency of mental process by sleep deprivation. It can be hypothesized that individuals who are sensitive, passive, dependent, and easily projecting are susceptible to the deterioration of cognitive function by total sleep deprivation.

      • KCI등재

        Period3 유전자다형성과 기분 및 행동 계절성 변동의 연관성

        이헌정,강승걸,김린,Lee, Heon-Jeong,Kang, Seung-Gul,Kim, Leen 대한수면의학회 2006 수면·정신생리 Vol.13 No.1

        Circadian rhythms have been observed to be disturbed in mood disorders, especially 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 Clock related gene variants also have been suggested to be associated with seasonality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This study tested the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a length polymorphism of Period3 gene and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297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genotyped for the Period3 polymorphism and were for evaluated the seasonal variation by Seasonal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 (SPAQ). The genotype frequencies were 0.76 for 4R/4R, 0.22 for 4R/5R and 0.013 for 5R/5R. The global seasonality score was not different among Period3 gene variants (4R/4R, 4R/5R and 5R/5R) except for 'sleep length' subscore. The 5R/5R genotype showed the higher 'sleep length' subscore than others (p=0.024). The comparison between seasonals (syndromal plus subsyndromal SAD determined by SPAQ) and non-seasonal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ies of genotyp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vestigated Period3 polymorphism may play a partial role in the susceptibility of seasonal variations in a Korean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