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과 고독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장숙희 ( Sook Hee Jang ),박재경 ( Jae Kyoung Park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과 고독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 능감의 조절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를 토 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자의 행복정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직업과 자아 이미지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먼저 직업을 살펴보면, 상업, 사업, 서비스를 가진 직업군에서 행복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업의 분포가 너무나 많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비교라 할 수 없겠다. 대상자 중 57.5%가 전업 주부였는데, Park과 Kim (2009)의 연구에서는 전업주부와 직장이 있는 주부는 행복에 대한 지각의 차이가 없으며, 직업을 가진 주부에서도 직업의 종류가 아닌 직업의 성취 정도가 행복에 영향을 미침을 보고하였다. 이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상업, 사업, 서비스의 직업군에서 행복정도가 높게 나온 것 은 아마도 대상자가 자유롭게 봉사를 할 수 있는 시간적, 경제 적 여유가 있는 직업성취도가 높은 구성원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된다. 다른 하나는 대상자의 자아 이미지 만족정도였는데, 대상자 가 자아 이미지에 매우 만족할수록 행복이 높음을 나타내 주었다. 이는 자아 이미지에 대한 만족정도와 행복과의 관계는 순 상 관성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 이미지란 개인이 대상인 객체 로서의 자기 자신과 관련해서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느낌의 총 체로서(Rosenberg, 1979), 인간은 의식적이든 무의식 적이든 생활경험에 근거하여 자기의 구성요소들을 끊임없이 평가하며, 그 평가 결과는 자존감의 기초가 된다. 자기평가에서 중요한 한 가지 기준은 이상적 자기상이며 자신이 지녀야 한다고 생각하는 특성들을 의미한다. Moerretti와 Higgins (1990)는 실제적 자기상과 이상적 자기상의 격차가 적을수록 긍정적 자존감과 주관적 안녕이 증가함을 보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 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긍정적인 자아 이미 지를 위해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필요하며, 자신이 가치 가 있다는 태도와 신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대상자의 고독감정도를 분석한 결과는 월수입이 100만 원 미 만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는 경제적 수준이 낮으면 고독감이 높은 것으로 이는 여러 선행연구들의 결과들(Lee, 2004; Yang & Hong, 2003)과 일치하며, 수입원인 직업이 없을 때 고독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입과 고독감간의 관련성을 나태 내고 있는 Kwon (1998)의 연구와도 맥락을 같이한다. 아마도 경제적 수준은 대상자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중요 한 수단이므로 낮은 경제력을 가진 집단에서는 대상자의 다양한 기본적인 욕구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저소득 집단에서는 자 기계발과 목표를 추구하는 것이나 사회적으로 안정된 지위를 얻고 인정을 받는 것이 고소득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태이므로 저소득 집단에서의 높은 고독감은 예상할 수 있는 결과로 보여 진다.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정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문직의 직 업군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전문직의 과제가 단순한 직무가 아니라 다양한 기술과 역량을 필요로 하며 개인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어 직업가치 인식 수준이 높아 지기 때문에 이러한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자기효능감이 다른 직업 종사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해석되며, 높은 자기효능감 을 가진 집단이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집단보다 직업 가치 인식수준이 높다는 Lee (2003)의 연구가 이를 뒷받침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취미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로서의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미활동은 휴식과 재미를 줌으로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고, 강요가 아닌 스스로 선택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대상자에게 높은 자기효능감이 내제되어 있었을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가설 1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이 고독감에 영향(β=-.450) 주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으나,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인 자기효능감의 교호작용을 투입한 결과는 유의하지 않아(p>.05), 가설 2는 행복과 고 독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 되어 기각되었다. 그러므로 봉사자에게 자기효능감이 없어도 행복만으로도 고독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Yoon (1996)은 노인들이 자원봉사 활동을 함으로써 고독감이나 소외 감이 해소된다고 밝힌 바 있는데 그 이유가 봉사 기관에 대한 소속감을 갖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소속감이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이 높아진다는 Lee (2008)의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노인 고독감의 저하의 이유가 주관적 안녕 즉 행복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이 고독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해준다. 하지만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행복이 높다는 여러 연구결과 (Koo & Kim, 2006; Park & Kim; 2009)들을 근거로 행복과 자기효능감의 교호작용시 고독감에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계적 분석에서 오직 행복만이 고독감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고독감 해소를 위해서는 행 복을 더욱 증진시켜야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봉사자의 고독감을 감소하기 위해서 행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한 후 이를 적용한 행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 하다고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roll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ppiness and lonely-ness of hospice volunte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hospice volunteers in G City. This study uses the happiness scale that Lee and Yu developed, the loneliness scale that Russell revised and Park translated, and Bandura`s self-efficac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OVA, and hierarchal regression by using SPSS 12.0. Results: The happiness scale of the subjects, based on general traits, was significant in occupation and image. The loneliness scale was significant in monthly income. The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 in monthly income, occupation, and hobby. The happiness of the volunteers affected loneliness.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ppiness and loneliness of the volunteers, self-efficacy did not have controlling influence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happiness can affect loneliness without the controll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As such, it would be beneficial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happiness of hospice volunteers.

      • KCI등재

        청소년 도덕적 품성화 검사 도구 개정 연구(2차년도)

        류숙희 ( Sook Hee Ryue ),이인재 ( In Jae Lee ),김영한 ( Young Han Kim ),박균열 ( Gyun Yeol Park ),홍성훈 ( Seong Hoon Hong ),전종희 ( Jong Hee Jeon ),윤영돈 ( Young Don Y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29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들의 도덕적 품성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2011년도에 개발된 검사 도구를 수정 및 보완한 것이다. 즉, J. Rest가 주장한 도덕성의 제4요소인 도덕적 품성화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도덕적 품성화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였고, 1차년도에 설정한 도덕적 품성화의 구성 요소를 개인품성과 관계품성의 두 항목으로 재설정하였다. 또한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스토리와 문항을 수정하였다. 응답의 편포성을 완화하기 위해 2차년도에는 7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예비조사는 전국 중학교 2학년생 409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본조사는 전국 6,216명의 중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개발된 검사도구의 신뢰도계수(문항 내적 일치도인 크론바흐 알파)는 .90이상으로 신뢰할만했다.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했는데, 도덕적 품성화 능력 검사는 1개 문항을 제외하고 모든 문항이 예정된 요인으로 묶였다. 그리하여 2차년도 연구를 통한 최종 스토리는 총 세 개(과제, 놀이공원, 작품)로 확정되었고, 각 스토리별 문항수는 과제 10개 문항, 놀이공원 9개 문항, 작품 10개 문항으로 총 29개 문항으로 확정되었다. 2차년도 연구결과 개정된 검사 도구는 2011년 검사 도구에 비해 더 안정된 검사도구로서 향후 청소년의 도덕적 품성화 측정을 위한 연구와 실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s to revise Moral Character Test I which was set for adolescents based on Rest`s four components model in 2011 and make standardized final morality test. In theory, this study is based on the four components theory of James Rest who invented DIT (Defining Issues Test) to measure the moral judgment. The four components are composed of moral sensitivity, moral judgment, moral motivation, and moral character (or moral implementation, moral action). This study focused on moral character. This 2nd year study could get some significant outcomes. To make test form, 3 components relating teams have closely exchanged informations. Because teams have to share same real life stories as follows: “homework inspect”, “on going to park”, “broken art work”. The questionnaire used seven likert type to lessen the far epistemological tendency. To represent moral character, research team used personal character and interpersonal character. To get final form of morality test, this study was made two sequential steps. First one was pre-test which was for 409 respondents. Second main one was for 6,216 respondents. For moral character, the reliability was highly coefficient with Cronbach`s alpha(>.90). The validity was also much improved and stable. But just in the story “on going to park”, the factor analysis shows a little bit limitation result. Even though, 1st and 2nd researches have common weak point which is highly dependent upon not factor but story. Through these processes, to test moral motivation, this study shows 3 stories and 29 questions. And this recommends that just one simple story might be developed for one component(moral character).

      • KCI등재

        청소년 도덕적 동기화 검사 도구 개정 연구(2차년도)

        전종희 ( Jong Hee Jeon ),이인재 ( In Jae Lee ),김영한 ( Young Han Kim ),박균열 ( Gyun Yeol Park ),윤영돈 ( Young Don Yoon ),류숙희 ( Sook Hee Ryue ),홍성훈 ( Seong Hoon H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29

        본 연구는 J. Rest의 4구성요소 모형을 바탕으로 1차년도(2011년)에 개발된 도덕적 동기화 검사를 보다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개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보완하여 도덕 동기화의 구성 요소를 도덕지향성과 도덕적 정서귀인 등 두 항목으로 재설정하고, 스토리와 문항을 수정하였다. 개발된 세 개의 스토리(과제, 놀이공원, 작품) 별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90 내외의 높고 수치를 보였다. 응답의 편포성을 완화하기 위해 2차년도에는 7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예비조사를 위해서는 전국 중학교 2학년생 409명을 대상으로 했고, 본조사를 위해서는 전국 6,216명의 중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개발된 검사도구의 신뢰도계수(문항 내적 일치도인 크론바흐 알파)는 .90이상으로 신뢰할만했다.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제 스토리와 놀이공원 스토리의 일부 문항이 가정한 요인으로 잘 묶이지 않았는데 이 문항들을 제거하고 요인분석을 다시 실시해본 결과 기대하는 바를 충족했다. 그리하여 2차년도 연구를 통해 최종 스토리는 총 세 개(과제, 놀이공원, 작품)로 확정되었고, 각 스토리별 문항수는 과제 9개 문항, 놀이공원 9개 문항, 작품 10개 문항으로 총 28개 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수정 확정된 도덕적 동기화 검사도구는 상당히 안정적인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기에, 향후 우리나라 청소년의 도덕적 동기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 활용되기에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aims to revise Moral Motivation Test I which was set for adolescents based on Rest`s four component model in 2011 and make standardized final morality test. In theory, this study is based on 4 components theory of James Rest who invented DIT (Defining Issues Test) to measure the moral judgment. The 4 components are composed of moral sensitivity, moral judgment, moral motivation, and moral character (or moral implementation, moral action). This study focused on moral motivation. This 2nd year study could get some significant outcomes. To make test form, 3 components relating teams have closely exchanged informations. Because teams have to share same real life stories as follows: “homework inspect”, “on going to park”, “broken art work”. The questionnaire used seven likert type to lessen the far epistemological tendency. To represent moral motivation, research team used moral orientation, moral emotion attributions. To get final form of morality test, this study was made two sequential steps. First one was pre-test which was for 409 respondents. Second main one was for 6,216 respondents. For moral motivation, the reliability was highly coefficient with Cronbach`s alpha(>.90). The validity was also much improved and stable. But just in the story “homework inspect”and “on going to park”, the factor analysis shows a little bit limitation result. Eliminated those question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was more stable and reliable. Through these processes, to test moral motivation, this study shows 3 stories and 28 questions. And this recommends that just one simple story might be developed for one component(moral motivation).

      • SCOPUSKCI등재

        간호실무에서 신봉이론(Espoused theories)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문자,김혜숙,이은희,박영숙,조경숙,강현숙,임난영,김주현,이소우,조복희,이명하,지성애,하양숙,손영희,권성복,김희진,추진아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1

        As a nursing practice involves nurses' actions in a specific context of health care, this study has focused on exploring the espoused theories in nursing practice within the action science perspectives, Espoused theories are the belief, principles, and rationale expressed by the practitioner as guiding her/his actions in a situation of practice. The data were analysed qualitatively and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of nursing action were identified and clustered into 6 categories. The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are as follows: The clinical nurse worked in wholistic and individual nursing, focussed on the patient's needed, comfort and supportive nursing (5 theories of nursing goal) ; excellent skills, knowledge based, assessment and data collection, explaining, educating or a scientific basis(6 theories of nursing intervention): advocacy, value oriented, treatment, account- ability and commitment(4 theories of nursing ethics) ; human respect. partnership, trust(3 theories of patient-nurse relationship) : knowledgable, accumulated clinical experiences and personally lived experiences. positive perspectives(4 theories of nurse), role of intervention. rewarding peer relationship(3 theories of situations) The above mentioned espoused theories are similar to that of nursing textbooks which students learned through basic nursing education and almost the same as the Acts ofa Nurse in Korean. However, we are doubtful whether nurses actually do as they think.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review the theories-in-use in order to and any discrepancies between the espoused theories and the reality of nursing actions

      • KCI등재

        암 병동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

        공성화,방찌야,서민숙,현신숙,김희정,이미애1,이미애2,유현희,허재경,김은애,박경숙 성인간호학회 2004 성인간호학회지 Vol.1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oncology ward nurses toward cancer pain management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al program for nurses. Method: A total of 209 nurses working at the oncology ward of three hospitals in Seoul and a Gyenggi Province. The survey instrument used was the 32-item scale for evaluating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originally developed by McCaffery and Ferrell'(1990). that was by Kim'(1997). Result: In terms of the nurses knowledge of pain managem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nurses scored an average of 67.8 out of 100 for phamacokinetics of opioids. 84.8 for classification of analgesics, 60.1 for pain assessment, and 70.7 for drug administration. 18.2% of the nurses hesitate to inject the narcotic agent because of concerns regarding the drug's potential side effec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nowledge of pai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in in terms of the nurses age(p=.001), position (p=.016). years of experiences(p=.002), experience of cancer pain education(p= .001). Conclusion: The also showed that nurses working at cancer ward lack knowledge. It is important to provide intensive education to nurses about cancer pain management.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KCI등재

        1990년대에 패션의 복고풍에 관한 고찰 : 1960년대 Mode의 재현을 중심으로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vival of 1960's Mode

        박종희,류숙희 服飾文化學會 1996 服飾文化硏究 Vol.4 No.2

        This study focuses on a comparative study of in 1960's retro look mode in terms of the past and present in order to find out in detail hoe it in the past is readjusted after it was appeared in the present. For such a study, in the first place the contents of the dress and its ornament of a retro-look fashion was refined through some literature, and then, some works of the dress and its ornament of retro look fashion was refined through some literature, and than, some works of the dress and its ornament revived in 1960's mode were analysed, based on some fashion magazines at home and abroad like Bazaar, Fashion ect News in 1990s After 1960's retro look mode which reappeared in 1990s was researched in terms of silhouette, detail, texture, color, and pattern,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periods of 1960s and 1990s and their cau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aspect of silhouette, it appears that the silhouette in 1960s is that of some what stiff, charming image in which Body is cxcluded and the silhouette in 1990s is that of an soft, feminine image in which Body is emphasized. It was understood that the cause of such a delicate difference comes from the influences of the change in aesthetic senses or awareness, naturalism, and neo-feminism. 2. In the aspect of detail, it appears that the detail in 1990s is of an are created new image in 1990s by means of presenting entirely ill-matched images The major cause of that is because of Antistandard fashion. 3. In the aspect of texture, it appears that a great feature is that the texture in 1990s is of that of 1960s. It was reviwed that the major cause of it is because of a result from the influence of naturalism and the technical growth in various fields which has brought the development of dress material. 4. In the aspect of color, it appears that the color in 1990s is an image of primary color which is far more sensual and feminine than that of 1960s. It was studied that the major cause of it comes from the influence of neo-feminism, etc. 5. In the aspect of pattern, it appears that the pettern in 1990s is of that of symbolism,transposition, and the ecletic feature of various modes which appear more deeply than that of 1960s. It was studied that the major cause of such changes is because of a trend of postmodernism which has brought the change of the spiritual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in the age of modernism. In conclusion, it was understood that the retro-look fashion is of an expression technic of dress and its ornament in that no dress in the past is simply imitated, but new reconstitution is done by using the elements in the past are revived as they were, dress and its ornament is governed by the social cultural environments of the day, and with this proof it can be said that the fashion in each age is of a reflection of social phenomena of that age.

      • KCI등재

        중년여성의 체형 분석 및 체형별 신체만족도

        박종희,류숙희 服飾文化學會 2004 服飾文化硏究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evaluation and the preference of tailored jacket according to the body typ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of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ree hundred and twenty three middle-aged women ranging from 35 to 50 years old. We measured their bodies and asked them report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iddle-aged women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ical types of body. The type 1 was tall and thin and had a front view silhouette with the form of a letter X. The type 2 was the tallest and the medium of fatness and had a front view silhouette with the form of a letter H th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is short. The type 3 was the medium of height and width and had a front view silhouette with the form of a letter A that the upper part of the body is short compared with their height. The type 4 were the shortest and the fattest and had a front view silhouette with the form of a letter Y that the lower and upper parts of the body is the longest. 2) Middle-aged women roughly tended not to be satisfied with part of their body. The results showed that a neck was the most satisfied body part and the weight was the least satisfied as well as overall leg shape among all 13 body parts. 3) The type 1 had the highes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ir face size, upper arm girth, waist, hip girth, weight and body shape, etc., excepting hip shape among 4 body types.

      • KCI등재후보

        인천광역시 고등학교 특수학급 졸업생의 직업실태 분석

        박희찬,정경숙 국립특수교육원 2004 특수교육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 고등학교 특수학급 졸업생(2000년-2003년도)을 대상으로 취업실태와 직무, 취업관련 경로, 직업특성을 조사·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학교용 조사지와 졸업생용 조사지의 두 종류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취업실태 면에서는 취업 68.9%, 미취업 22.2%, 교육·훈련 6.7%로 높은 취업률을 보였으며, 직무는 부품조립·생산제조 67.8%, 제과·제빵 14.5%, 서비스업 11.3%, 기타 6.5%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관련 경로 면에서는 한 번의 경로를 가진 졸업생이 70%로 가장 높았다. 셋째, 직업특성 면에서는 취업알선, 고용유형, 근무시간, 급여, 취업기간, 취업만족, 상호작용 대상을 조사·분석하였다. 취업실태조사 결과는 인천광역시 고등학교 특수학급을 졸업한 장애학생들의 취업률이 전국의 2003년 고등학교 특수학급 졸업생 취업률 40%보다 훨씬 그 비율이 높음을 보여 주었다. 이는 인천광역시 고등학교 특수학급 졸업생이 전국의 고등학교 특수학급 졸업생들보다, 평균적으로 볼 때, 직업인으로서 사회통합에 보다 근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지역사회 기반의 다양한 전환교육 실천 프로그램 모색, 전환교육 실천을 위한 전담교사의 필요성, 전환 모델 개발, 다른 시 도의 고등학교 특수학급 졸업생의 취업실태 조사 필요성 등이 제안되었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occupational status, job duties, tracks related to employment, and job characteristics of graduates of high school special classes in Inchon City. To collect data, a telephone survey was implemented using two types of questionnaire, on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other for graduates' family.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among the 90 graduates, employment rate was 68.9%, unemployment rate was 22.2%, and training and education rate was 6.7%. Second, regarding the tracks related to employment, 70% of the graduates had one track, 27.8% of them had two tracks, and 2.2% of them had three track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jobs, employment types, working hours, average monthly wag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interaction with the people were also surveyed.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ransition education practice programs in community based, the application of the survey in other cities and provinces, the importance of the qualified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expansion of the transition education focusing on adult community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