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 도덕・윤리 교과교육 연구활동의 변천

        서강식(Kang Sik Su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광복 이후의 도덕교육은 사회과의 공민에 포함되어 시작되었다. 제3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과가 교과로 설정되었고, 이후부터 도덕․윤리교과와 관련된 전공학위 논문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여 제7차 교육과정시기에는 거의 18 배 정도 증가하였다. 도덕․윤리교과 연구는 국민윤리학회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졌는데, 제4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덕교육에 인지적 접근이 도입되면서 콜버그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1980년대 초에 전국 국립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국민윤리교육과가 설치되었고, 전국 교대 윤리교육과 교수들을 포함하여 동과 소속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를 창립함으로써 새로운 교과교육연구집단이 등장하였다. 1996년에는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가 창립되었고, 전국 교대 교육대학원에 윤리교육전공이 개설됨으로써 교과교육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98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창립되면서 도덕・윤리교과 교육과정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교육의 접근 기조가 통합적 접근으로 바뀌었는데, 이 시기 동안 교과 교육연구는 양적 및 질적 도약을 가져왔다. 앞으로 도덕․윤리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도덕교육이론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등에 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1945, July 15th, moral education was done within civic subject education. At 1972 Augs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established, and many moral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by KEDI. At the 3rd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form of a moral subject education. It was titled 「moral」and was taught 2 period per week in school. Since 3rd moral curriculum era, numbers of thesis for moral education was increased steadily. At the 4th moral curriculum era,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in moral subject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many studies was centered on Kohlberg's moral education theory. In 1980s, there were established many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in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Professors of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established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KSMEE)'. In 1996,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KEMES)' was established by professors of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In 1998,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was established. Really many moral subject education was conducted by KICE. At the 7th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studies have got a great jump in quantity and quality. But we have to study for moral education theory, teaching-learning theory,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ory and so on. We should make a strong basis for moral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종래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도덕과 교과서 개발의 역정

        정세구(Jung Se-K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교사용 지도서 포함)의 개발 역정을 제3차 교육과정기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밝힌 것이었다.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전담했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학년별 1권씩 3권이 편찬되었는데 교과서 내용선정원칙은 전통적인 윤리학설과 4개 생활영역에 근거하였고,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는 전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반공교육과 발달과업 실현의 원리와 가치관 형성의 원리에 따라 편찬되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 모두 국판의 소형, 흑백 인쇄의 수준이었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교과서 개발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담당한 역할 분담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권수나 내용 선정원칙 모두 제3, 4차와 거의 같았다. 고등학교 ‘국민윤리’ 교과서는 종전과 같이 3개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인으로서 바람직한 윤리관이나 윤리체계를 갖게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종전과 별 차이가 없었다. 제6차와 제7차의 교육과정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중학교 ‘도덕’교과서와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의 개발을 둘 다 담당한 시기였다. 제6차에서 중학교 ‘도덕’은 종전처럼 3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의 연구 결과에 따라 내용선정원칙을 정하였다. 고등학교 ‘윤리’는 전 학년 1권인데 내용선정 원칙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윤리적 인식체계와 이념적 시각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제7차에서는 교육과정체계가 근본적으로 변경되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가 ‘도덕’, 고등학교 2~3학년에는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의 3개 선택과목을 개설하였다. 그에 따른 새 교과서가 편찬되었고, 교과서는 종전에 비해 거의 2배 크기의 판형, 총천연색 사진과 고급지질 등 모든 면에서 선진국형 수준의 교과서를 편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extbook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edited from the 3rd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3rd(1973, 1974-1981) and 4th curriculum periods(1981-1987, 1988) were the time whe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 3 books for each school year, were develop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i.e., the deontological and the teleological, while the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1 book for 3 years, was developed on the principle of anti-communism education plus the realization of values formation The 5th curriculum period(1987, 1988-1992) was the time when KEDI and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hared the responsibility of developing secondary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principle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mor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3rd and 4th curriculum period, while that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high school was drastically changed to the extent that desirable ethical views and ethical systems of Korea were very emphasized. The 6th(1992-1997) and 7th curriculum periods(1997-2007) were the time when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the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s students for the 6th curriculum period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5th curriculum but those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s were drastic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6th curriculum: the new 7th curriculum designed 'Moral Education' from the 1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to the 1st grade in the high school(4grades) plus 3 selective courses of 'Citizen Ethics', ’Ethics and Thoughts', 'Traditional Ethics'. The textbook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 showed a very dramatic progress in its appearance and quality of edition to the extent that we can usually meet in the most of development countries.

      • KCI등재

        한국 시민윤리교육 실태조사(Ⅱ)

        박효종(Park Hyo-Chong),손경원(kyungwon Son),김항인(Hang-In Kim),서은숙(Seo Eun-Soo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6

        시민참여는 책임있는 민주시민의 중요한 자질이다. 시민참여는 실천적 참여경험을 통해 학습되기에 청소년들의 시민참여에 대한 태도와 경험여부는 성인기의 시민참여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한국의 14세 학생들의 시민윤리적 참여와 행동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 학교, 시민윤리적 단체의 참여기회에 대한 학생의 견해를 조사하고, 시민윤리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조사 결과 향후 시민윤리교육에 대한 낙관적 전망과 개선의 요구가 동시에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14세 한국 학생들은 사회운동참여에 적극적이며, 학교참여효과에 대해 긍정적이며, 시민윤리학습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낮은 정치적 관심을 보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 영역 전반에 부정적 태도를 보인다. 더욱이 시민윤리적 참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개방된 교실분위기에서의 토론의 경험이 적은 것으로, 학생회조직 및 각종단체의 참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민윤리 교육을 위한 두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학생들에게 더 많은 시민윤리와 연관된 참여 기회를 확대하며 동시에 참여의 종류와 참여들간의 연계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관습적 정치참여에 대한 관심을 높일 대응책이 요구된다. 둘째, 시민참여에 긍적적 영향을 주는 토론을 위한 개방적 교실 분위기를 만들고, 토론의 참여를 권장하는 계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견해가 다른 타인의 이해 및 선거참여에 대한 학습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student's views of opportunities for civic engagement in classrooms, schools and civic related organizations as well as student's civic engagement and political activities at age fourteen. It also looks into implication of civic education We found the negative aspects as well as optimistic for the future civic education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Firt of all, the result indicats the optimistic aspect. Korean youth at age fourteen appear to have positive view of social movement and the value of participation in organized school groups, and they respond to have the opportunity of civic 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egative implication in civc Education. They represent to have low political interest and negative attitude of politics. They respond to have scarcely had the chance of discussion with open classroom climate, and had relatively low in civic participation. This study points out improvement to be made in future civic education. First, teachers have to try to expand the opportunity of participation concerned to civic Education for student. Also, they need make an effort to connect youth's interest of social- movement related engagement with convention engagement. Second, they must Foster an open climate classroom for discussion, and encourage student to participate. It require to strengthen Civc Curriclum that prescrive for youth to learn to another with different view, and the importance of voting.

      • KCI등재

        초·중·고 도덕 윤리 교사 교육 체제의 변천

        임용경(Lim Yong Kyou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본 고에서는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서의 도덕 ․ 윤리 교사교육 체제가 해방 이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그 변천사를 고찰하였다. 초등교원양성은 1950년대에는 사범학교에서, 60년대는 2년제 교육대학에서, 그리고 80년대부터는 4년제 교육대학에서 이루어졌으며, 1990년대에는 교대 대학원에 ‘초등도덕교육’ 전공과정이 개설되어 보다 전문화되기에 이른다. 1945년부터 1980년 ‘국민윤리교육과’ 개설 이전까지 중등의 도덕․윤리교사교육 체제는 사범대학, 일반대학 교직과정, 단기 중등교원양성기관, 일반대학 교과교육과, 교육대학원, 그리고 한국교원대학교 등 여러 기관에서 중등교원을 양성하였다. 1981학년도부터는 전국 13개 국립대학 사범대학에서 ‘국민윤리교육과’를 신설하고 교과 전담 교사양성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1999년부터 도덕․윤리교사 자격증 수여학과가 도덕․윤리과목에 대한 관련 학과인 국민윤리교육과와 국민윤리학과에다 교육학과와 철학과가 추가되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nge of teacher education syste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moral education from the Liberation to today. The teacher education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have been dramatically developed through high school level, college level and university level. Before the Liberation, th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had been implemented in the system of a normal school for teacher training and various short-term training courses. In 1962, the system was upgraded into two year college level. Besides, supporting education system and temporary teacher training center had took a role as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system. In 1980, colleges of elementary education had changed into 4 year university system. In 1990s, the specialized departments were implemented in both college and graduate levels. From 1945 to 1980, teacher education for secondary moral education had been implemented in colleges of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urses 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consist of the liberal arts, specialized courses and teacher education courses. In 1981, thirteen colleges of education in national university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and have started to educated secondary moral education teachers. From 1999, the departments of education and philosophy could have educated mor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uture, it is requested to develop the curriculum which focus on specialized knowledge and morality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mor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도덕과에서 과학기술윤리교육의 내용체계 및 지도방법 연구

        정창우(JEONG CHANG W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5

        본 연구에서는 통제되지 않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현대기술문명사회에 던진 근본적인 문제 를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과학과 윤리의 관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과학과 윤리학 간의 긴 밀한 학문적인 소통’이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책임 있는 시민성과 도덕성 발달을 촉진시 키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교과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탐색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 에서는 과학기술윤리교육의 교육적 실천을 위해 기존 방식과 같이 ‘과학교육’을 통한 적용과 더불어, 도덕교육, 특히 ‘도덕교과’를 통한 과학기술윤리교육의 적용 방안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도덕교과를 통한 과학기술윤리교육이 과학과 윤리학 간의 학문적인 소통의 장으로 서, 그리고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대인이 새롭게 직면하게 된 윤리문제들에 대한 민감성 과 판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의 통로로서 기능하기 위해 어떤 주제로 교육내 용을 구성해야 하고, 실천적 적용을 위한 기본 틀(framework)을 어떻게 마련할 수 있는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In modern society,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outcomes have generated the growing number of which affect our lives and society seriously. Almost every day, mass media report social influences and responsibilit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cluding the ethical problems surrounding , and impacts of the development of life sciences, life science engineering, genetic engineering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human beings. In this situation, this article examines which school subjects are more effective for promoting responsible citizenship and morality in a world growing increasingly more dependent on science and technology. As a result, in addition to ‘science’ subject matter researchers have drawn the most attention so far,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subject matter of ‘moral education’ can promote an understanding of the moral dimens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foster students' concerns about ethic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mpower students to act responsibly in the realm of science and technology. An then, In order to develop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EEST) programme through the subject matter of ‘moral education’, we attempts to present educational objectives and goals of EEST programme and select and organize educational contents in a systematic way. Especially this study proposes a set of core thematic areas and issues in the area of eth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of national standards in several countries and UNESCO’s programme. Additionally, in this article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framework for teaching and learning EEST through mor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독일의 윤리교육과 『윤리』교과서 분석

        김남준(Kim Nam-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6

        본 연구는 독일의 윤리교육의 성격과 위상, 실시 상황, 목표, 유형(내용) 등을 분석하고, 독일 초등학교 『윤리』교과서와 중등I단계 『사람으로 사는 과정의 모험』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독일의 윤리교육과 윤리교과서가 우리나라 도덕과교 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일의 윤리교육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일의 윤리교과는 역사적으로 종교교과 의 대체과목으로 출발하여, 현재 몇몇 주에서 선택의무교과 또는 필수의무교과로서 종교교과와 동등한 위상을 얻고 있다. 2) 독일의 윤리교과의 명칭은 ‘윤리’, ‘철학’, ‘삶의 설계-윤리-종교’, ‘가치와 규범’ 등으로 상이하지만, 윤리교과는 독일의 모든 주에서 실시되고 있다. 3) 독일 윤리 교과의 목표는 학생들에게 책임 있고 윤리적 가치의식에 토대를 둔 도덕 판단 능력과 행위 실 천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4) 독일의 윤리교육은 실천철학으로서의 윤리교육, 삶의 지침으로서 의 윤리교육, 도덕적 교화 내지 가치교육으로서의 윤리교육, 윤리적 성찰로서의 윤리교육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독일의 윤리교육은 전체적으로 도덕적 판단, 도덕적 탐구, 도 덕적 성찰 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독일의 윤리교과서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일의 윤리교과서는 가치 관계 확장 또는 생활 영역 확장에 따라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2) 독일의 윤리교과서는 도덕적 탐구, 도 덕적 성찰, 도덕적 추론 및 토론 등을 강조하는 구성방식을 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독일 윤리교육의 현황, 한계, 변화에 대한 분석과 윤리교과서 분석은 우리나라 도덕과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1) 우리나라 도덕과교육은 현재와 같이 필수의무교과 로 설정, 유지될 필요가 있다. 2) 우리나라 도덕과교육은 주요 가치와 덕목을 토대로 공동의 교 육과정을 수립하고, 각 교과서는 이를 기준으로 자율성과 다양성을 추구해야 한다. 3) 향후 우 리나라 도덕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각 교과서의 분량과 내용 구성의 적절성을 검토해야 한다. 4) 향후 우리나라 도덕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가치의 다원성을 인정하고 가치중립성의 원칙을 준수 하는 것이 중요하다. 5) 향후 우리나라 도덕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도덕적 사유, 도덕적 탐구, 도 덕적 성찰, 도덕적 추론 등을 강조하는 내용 구성의 적절성과 교육적 효과를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 status, situation, goal, contents of ethics education in Germany and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namely Ethik in elementary school(Grundschule) and Abenteuer Mensch sein in middle school(Sekundarstufe I).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uggestions of ethics education and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o our ethics subject education. The analysis of ethics eduction in Germany is as follows. 1) Ethics education in Germany can be characterized as alternative subject of religion subject education, quasi-compulsory subject or compulsory subject. Today, ethics education in Germany become a equal status of religion subject education. 2) Although ethics education in Germany is called differently(e.g. Ethik, Philosophie, Lebensgestaltung-Ethik-Religion etc), ethics education is taught in all states of Germany. 3) The goal of ethics education is to foster moral competence(e.g. moral judgment, moral practice etc). 4) Ethics education in Germany can be classified as practical philosophy(Praktische Philosophie), guidelines of life(Lebenshilfe), moral education(Moralerziehung) and moral reflection(Moralische Reflexion). In short, moral judgment, moral investigation, moral reflection etc are emphasized in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is as follows. 1) Textbooks are written based on the principle of value relationship. 2) Moral judgment, moral investigation, moral reasoning, discussion etc are emphasized in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he suggestions of ethics education and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o our ethics subject education are as follows. 1) Ethics subject education should be a compulsory subject. 2) A common curriculum for ethics subject education should be formed based on core values and virtues. Based on this common curriculum, we can pursue autonomy and diversity of textbooks. 3) We should review the propriety of amount and contents of textbooks. 4) We should recognize a diversity of values and observe the principle of neutrality when we write textbooks. 5) We should review the propriety of emphasis on moral thinking, moral investigation, moral reflection, moral reasoning in relation to textbook for ethics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동양 윤리교육의 현황과 진로 -2007 개정교육과정의 윤리교과와 관련하여-

        이동희 ( Dong Heui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1

        근자 2007 개정교육과정(7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윤리교과``, 특히 ``동양윤리`` 부분에 대해 검토 및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교육``은 원래 ``국민윤리교육``이었는데, 그 교육목표는 불행한 근대 한국 역사에서 누락되고 지체(遲滯)된 근대적인 ``국민의식``의 배양, 주체적인 근대화와 국가 발전, 아울러 근대적 산업 발전에 맞는 근대적 ``시민의식``의 배양이었다. 동양윤리(동양의 전통 사상과 윤리 및 문화) 분야가 이 교육목표 아래 도입되었으므로 동양윤리 교육의 문제도 이 원래의 교육목표와 연관하여 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 이데올로기 부분 빠진 데 응용윤리로써 보충한다고 하지만, 전문지식이 요구되는 응용윤리를 윤리로써만 다루는 데는 한계가 있다. 물론 그러한 윤리교육이 윤리적 사고 교육에 계몽적인 역할은 충분히 할 수 있다. 동·서양 윤리 이론들이 적절히 함께 참여하도록 고려되면서 이슈(문제) 중심의 주제 설정과 사고력 배양 교육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셋째, 동양철학은 윤리교육이라는 측면에서 전통문화로서의 보호 전승, 시민윤리와의 접합 및 국가발전을 위한 전통의 혁신, 사상으로서의 장단점 분석 및 계승 발전이라는 세 가지 관점을 잘 구별하여 연구해야 한다. 동양사상의 현대적 해석에는 인류 보편의 문명사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동서비교철학적 방법도 원용해야 한다. 넷째, 전통윤리(동양윤리)의 학교 교육과 사회에서의 사회윤리(시민윤리) 교육은 상호 보완적이므로 병행되어야 한다. 사회윤리의 확립은 역시 서구의 시민사회의 윤리가 될 수 밖에 없다. 이것과 전통윤리의 절충이 바람직하나, 역시 시민윤리가 주가 되어야 하고, 전통윤리는 창의적 해석을 통하여 큰 지혜를 얻고, 한국인으로서의 문화적 토양으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동양윤리는 성리학이 보여준 우주에 대한 깊은 통찰, 유교 윤리의 인간과 사회에 대한 합리적 인식, 그리고 종교적 수양과 인격 함양, 그리고 한국 전통의 고급문화(양반문화)로서의 예의범절의 문화 의식은 중요한 내용이 된다. In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ethics curriculum``, in particular review and direction of ``Oriental ethics`` is presented as follows. We look to ways of an educational direction of ``Oriental ethics`` for practical school education preparing correction & supplement in the coming days or the revision of the 8th curriculum. First, ``ethics education`` was originally ``national ethics education``. That education aimed at developing modern ``public awareness`` missed & delayed in unfortunate Korean modern history, modernizing independently & developing the nation and building up ``civic awareness`` suitable for modern industrial development. It`s advisable that Oriental ethics education should be discussed connected to its original goal of education because Oriental ethics (traditional oriental thoughts, ethics and culture) is introduced under the same educational goal. Second, applied ethics is said to supplement a part which misses ideology in the 7th curriculum but there is a limit as to what applied ethics requiring specialized knowledge is dealt with as only ethics. The ethics education, of course, can play an illuminating role in education of developing ethical thinking. Considering Eastern and Western ethics theories are balanced well together, it`s good to combine setting up an issue (problem)-centered subject with education of developing thinking ability. Third, Eastern philosophy, in the side of ethics education, has to be studied distinctively in three aspects: conservation and transmission as traditional culture, tie with civic ethics & innovation of tradition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 succession & development as a thought. Modernized interpretation of Oriental thought has to keep the perspective of civilization of universalism and adopt the method of Eastern and Western comparative philosophy. Fourth, traditional ethics (Oriental ethics) education in school and social ethics (civic ethics) education in society should keep pace with each other because they are mutually complimentary. Establishing social ethics has no option but to follow ethics of Western civic society. It`s desirable civic ethics and traditional ethics should compromise, yet civic ethics has to play the most active part. Then we Koreans get the great wisdom from traditional ethics by creative interpretation and make it cultural soil. Therefore, Oriental ethics contains important contents including insight into the universe like Neo-Confucianism, Confucianism`s rational awareness towards human and society, cultivating one`s mind religiously & building up one`s character and cultural awareness about manners as traditional Korean high culture (yangba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