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학생 전환과정 지원 방안 연구

        김형일,김경진,김은주,김종무,김주영,류문화,박경숙,이유훈,정동영 국립특수교육원 2001 연구보고서 Vol.- No.5

        본 연구는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로의 전환에 성공한 장애인들의 성공요인이 앞으로 사회에 전환해야 할 다른 장애학생들의 전환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이라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장애영역별로 전환에 성공한 대상자들을 전국에서 발굴하여 이들에 대한 면담과 관찰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과 관찰 결과를 통하여 이들의 성공적 사회 전환에 영향을 미친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 그리고 앞으로 전환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요구 사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의 종합적인 시사점은 전환과정 지원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외국의 전환교육 운영 실태와 전환교육에 관한 이론적 배경은 전환과정 지원방안 도출에 참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과정 지원방안의 기본방향에서는 긍정적인 지원환경 체제 구성, 우리 나라의 전환교육 실정 고려, 장애영역과 장애수준에 따른 지원, 직무체험중심의 현장성 강조, 실무 중심의 평가체제와 기관간 연계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장애학생 전환과정 지원방안은 전환준비단계, 취업 및 진학단계, 전환유지단계, 결과(현재)의 단계로 전환의 시기별 지원을 강조하였고, 이 과정에는 환경적 지원체제, 내용 및 연계체제가 전환 시기별로 일관되게 관련되는 것으로 모형을 구안하였다. 셋째, 전환과정의 긍정적인 지원환경에서는 우선 취업기회를 확대하여야 하고, 전환 지원시설과 인력의 확보 및 상·하부 부처간 업무 연계 및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지원 환경에는 지역적 특성에 기반을 둔 소규모 지원 환경체제의 구축과 전환 시기별로 가정, 학교, 직장, 관련기관들의 지원책임과 역할이 각각 다르게 강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환과정 지원내용 및 연계체제는 지원 시기에 따라 내용과 수준을 달리해야 한다. 넷째, 전환준비단계에서는 장애인 본인의 직무태도와 잠재능력 개발과 더불어 자기결정 능력이 신장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가정에서는 자녀의 부모에 대한 긍정적 태도, 자녀에 대한 교육적 준비가 필요하고, 학교에서는 소질 개발을 위한 평가체제와 더불어 교육과정 준비를 위하여 특성과 적성에 따른 개별 전환 교육과정 현장과 직장 경험중심의 기능적 교육과정, 직종의 다양화와 특성화, 의사소통 능력 신장, 지속적 인성교육 강화, 여가시간 활용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직장에서는 장애인 이해가 우선되어야 하고, 회사내 직업상담원 배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기관간에 연계를 위한 사전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취학 및 진학 단계에서는 현실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인적요인과 관련기관들이 체계적인 협력과 정보 교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교내 진로정보센터 설치 및 활성화, 취업 및 진학을 위한 중간 연결기관을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여섯째, 전환유지단계에서는 현재의 전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개인의 직무기능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여야 하고, 직장내에서 건강 및 여가활용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가정에서는 직장유지를 돕는 가정환경과 지속적인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에서는 직업담당 교사의 효과적인 전환유지 지원을 위하여 교사 업무 부담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전환 유지를 위한 훈련방법으로 교내-작업기술 훈련, 교내-현장 병행훈련, 실습위주 훈련 등이 수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직장에서는 업체가 주도하여 적응훈련을 실시하고, 장애인을 배려한 직장체제와 분위기를 조성해 주어야 한다. 또한 효과적인 전환유지를 위해서는 기관 인사들간의 연계와 역할 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전환의 현재는 전환교육 성과에 대한 평가의 의미와 미래의 방향에 대한 출발점이다. 현재 사회 전환결과인 고용상태, 주거환경, 경제적 여유, 여가 문제 및 정서적 안정과 만족감이 장애인들의 바람직한 삶의 질을 지향할 수 있도록 전환과정의 지원들이 총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에 제시한 장애학생 전환과정 지원방안들이 실현되려면 장애인 본인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장애학생의 전화과정에 관련되는 여러 사람들과 기관 그리고 행정체제 및 긍정적인 환경요인이 종합적으로 시기에 적절하게 지원될 때 바람직한 전환결과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ariables which influence successful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se variables would have application to transi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search for a job position in future after their graduation. To fulfill this purpose,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s implemented. First,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with disabilities, their family members and related people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with disabilities were selected nation-wide by recommendation of key persons and institutes throughout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 areas. The participants with disabilities have successfully moved from school to work and currently work in competitive employment. The interviewees were offered specific protocol for the interview. The interview protocol is made up with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 for pilot study. The contents of interview have been analyzed in-depth. The study has been designed to analyze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for successful transitional process and to identify what better transition program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in Korea need.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has been expected to illustrate the demands for transitional program and related community services from school to work to help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lies in the special education services system as a whole. Previous students and other countries models of transition have been reviewed to develop transition service system in Kore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in the basic principle for transition process, this study stressed the establishment of the positive service environment system, consideration fo the present transition education of the Korea service system for each disability domain and the level of ability, on-the-job site experience-based training, job-based assessment system and collaboration importance of interagency. Second, in the development of transition service for students with disavilities, the this study emphasized periodic service which consists of the stage of transition preparation, the stage of getting job and entering higher schools, the stage of transition maintenance, the stage of transition outcome(present). In this frame of study environmental service system, transition contents and collaboration are connected to each stage. Third, in positive service environment of transition process, first of all, job opportunity should be extended offering of assistant facilities and human source, cooperation between the upper agencies or the low agencies, connection with each agencies should be guaranteed. In the assistant environment, local assistant environmental systems based on regional traits have to be established. Responsibility and roles of home, school, work place and ralated agency are also important. Therefore, the contents of transition process, and the system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each service assist period. Forth, in the stage of transition preparation, self-determination with job attitude and potential ability should be developed. In the home,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 parents and parents' educational assistance should be developed. Schools need to develop curriculum for individualized transition curriculum by their traits and aptitude, the assessment system for fostering students' ability, on-the-job site functional curriculum, diversity and properties of jobs communication ability. They also need to reinforce continuous personality education, and education of leisure time. In the work place, understand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taken first of all place and job-counselors should be placed, pre-plan for collaboration between agencies should be sot up agencies. Fifth, in the stage of getting job and entering higher schools, to overcome the present poor condition of transition education, Exchange of information and systematic collaboration between agencies should be extended, career information center should be set up inside schools related service centers should be used sustain for getting job and entering higher schools. Sixth, in the stage of transition maintenance, to maintain current condition of transition environment for improving individual student's job skill and speciality should be established. They also should learn how to maintain health and skills for leisure activities in work places. In the home, positive environment to help maintain a present job and continuous educa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the school, vocational teachers' over-burden of workload should be reduced so that they can assist transition maintenance effectively. In school vocational skill training, school-based training, school-field-based training snd field-based training should be implemented by the company. The company should create positive atmosphere and job system considering conditio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lso, there should be role coordination and connection between individuals of agencies for effective transition maintenance. Seventh, the present condition of transition is starting point of the direction to future and meaning of assessment of the transition outcome. The stabilization of livelihood, leisure and emotional satisfaction should be fulfilled with comprehensive assistant service for transition process in order to achieve desrrable lif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o develop a support service system of transition process presented above, besides the efforts of by themselves, administrative assistance of agencies, positive environment, efforts of many people related to transition proc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ut-together totally, timely and appropriately for the desirable outcome of transition.

      • KCI등재

        장애인의 전생애 단계별 특수교육지원체제 확립을 위한 국립특수교육원의 기능 강화

        이효자 국립특수교육원 2010 특수교육연구 Vol.17 No.2

        국립특수교육원의 아산 신청사 개청과 안산청사의 「장애인 교육복지정보지원센터」로의 활용을 통해 국가의 책무성을 강화하고 장애인의 전생애 단계별 교육지원체제 구축을 위한 여건을 마련하였다. 향후 국립특수교육원은 아산 신청사에서 특수교육 정책 개발과 기초연구 수행, 특수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및 교수·학습자료 개발, 특수교육 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학술·정보 활동을 강화하고, 「장애인 교육복지정보지원센터」에서는 그동안 수행하지 못했던 사업 중심으로 특수교육 정보 및 보조공학 지원 사업 강화, 교원 이외 장애인 및 관련인을 위한 연수, 진로·직업교육 및 평생교육 사업 수행, 대국민 장애인식 개선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다. 이를 통해 국립특수교육원은 장애인의 성공적인 사회통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생애 단계별 교육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가고자 한다.

      • KCI등재

        장애인의 전생에 단계별 특수교육지원체제 확립을 위한 국립특수교육원의 기능 강화

        이효자 국립특수교육원 2010 특수교육연구 Vol.17 No.2

        국립특수교육원의 아산 신정사 개정과 안산정사의 「장애인 교육복지정보지원센터」로의 활용을 통해 국가의 책무성을 강화하고 장애인의 전생애 단계 별 교육지원체제 구축을 위한 여건을 마련하였다. 항후 국립특수교육원은 아산 신청사에서 특수교육 정책 개발과 기초연구 수행, 특수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및 교수 · 학습자료 개발, 특수교육 교원의 전문성 항상을 위한 연수,학술·정보 활동을 강화하고장애인 교육복지정보지원센터」 에서는 그동안 수행하지 못했던 사업 중심으로 특수교육 정보 및 보조공학 지원 사업 강화, 교원 이외 장애인 및 관련인을 위한 연수, 진로·직업교육 및 평 생교육 사업 수행, 대국민 장애인식 개선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다. 이를 통해 국립특수교육원은 장애인의 성공적인 사회통합과 삶의 질 항상을 위한 전생애 단계별 교육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가고자 한다. In 2010,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KNISE) rnake a new leap forward giant development io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history through. opening of the KNISE’s New building in Asan and the changes of the old building to 「Educational Welfare and Information Support Center for Persons with a Disabilities」. Under the altered environment, the KNISE will strengthen national accountability on the rnacro level, and suggest its conditions establish educational support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stages. Firstly, in the new KNISE's building in Asan all researchers will pursue its new challenges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policies, various fundamental studies, curriculum and guide books of text books for special school, trainings/ courses for enhancing teachers' professionalism, cooperation and exchanges in academic and information on special education. Secondly, the old KNISE building, 「Educational Welfare and information Support Center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ill implement information and accessive technology on special education, trainings/courses for other person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such as assistants, pson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teachers, promoting of life-long learning project, recognition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the nation. Therefore, the KNISE will do its best to construct successful social inclus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furthermore special educational support system by stages for their whole life ..

      • 특수교육대상자 실태 조사도구 개발

        노선옥,김현진 국립특수교육원 2008 특수교육대상자 실태 조사도구 개발 Vol. No.

        특수교육실태조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배치 계획, 특수교육교원의 수급계획 등 특수교육정책의 수립을 위하여 실시하는 국가적 통계이다. 그 중에서 특수교육요구학생 실태조사는 2001년과 2006년도, 2007년도에 각각 한 부문에서 횡적 조사방법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시계열적 통계 자료 제공을 통한 장기적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2008년도 특수교육대상자 실태조사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시행에 따른 특수교육대상자의 장애 범주 확대, 연령 범위 확대 및 특수교육의 지원 내용 확대 등에 따른 정확한 대상인원수와 교육 실태의 파악을 위하여 실시되는 전국 규모의 조사이다. 따라서 특수교육대상자수의 정확한 파악을 위한 도구와 그들의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환경과 교육 요구 등을 파악하고, 장차 3년마다 시행될 조사에서도 종적인 정보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이상과 같은 조사도구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자 실태조사도구는 특수교육대상자수의 정확한 파악을 위한 특수교육대상자 선별조사표와 특수교육대상자와 미취학 학령기 장애인의 교육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특수교육대상자 보호자용 조사표, 미취학학령기 장애인 조사표 등의 조사도구를 개발하는 한편 정보화 시대의 특성을 반영하여 응답의 비밀이 보장되며, 응답하기 쉽고, 응답 결과의 집계도 손쉬운 인터넷조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조사도구의 개발을 위하여 관련 국내 문헌을 분석하고 외국의 장애 범주별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를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 협의회, 전문위원 협의회 및 검토, 본원 전문직 검토, 협력조사위원 및 응답자에 의한 현장검토, 학회 검토, 관련 기관 방문 협의 및 자료 수집 등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제작된 조사표는 통계청의 협의 승인을 획득하여 국가통계로서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게 하였다. 협의 승인의 절차는 통계청 홈페이지의 통계정책시스템을 활용하여 신청하였으며, 그 발급번호는 제11214호이다. 이 조사도구가 2008년도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 실태조사 뿐만 아니라 향후 3년마다 실시될 특수교육실태조사를 위한 기초 자료와 현장에서의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로 널리 사용되리라 믿는다.

      • 특수학교 교사 양성체제 개선방안

        김병하,김승국,김영환,김원경,이유훈,정동영 국립특수교육원 1997 연구보고서 Vol.- No.4

        Ⅰ. 연구의 의의와 목적 o 시대의 변화에 따라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특수학교 교사 양성체제의 마련 o 특수학교 교사 양성기관의 전문화·다양화 방안 모색 o 특수학교 교사 자격증 표시의 합리화 방안 모색 o 특수학교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의 표준모형 설정 Ⅱ. 특수학교 교사 양천현황 및 문제점 o 특수학교 교사 양성기관 - 근대 특수교육 초기:현장견습을 통한 특수교육 담당교원 확보 - 1950년 국립맹아학교에 3년제 사범과 설치 - 1961년 한국사회사업대학(현 대구대학교)에 특수교육과 설치 - 1992년 교육대학원(특수교육전공)을 양성기관으로 지정 - 1997년 현재 8개 대학과 5개 교육대학원에서 특수학교 교사 양성 o 특수학교 교사 자격제도 - 1953년 특수교사 자격 명문화(국민학교, 중학교 구분) - 1953년 특수교사 자격을 1급정교사, 2급정교사, 준교사료 구분 - 1964년 장애영역별, 교과별로 세분, 특수학교 교사로 자격 통합 - 1969년 정신박약과 지체장애 추가 - 1973년 중통학교 교사자격 표시과목으로 특수교육 추가 - 1978년 중등학교 교사자격 표시과목으로 특수교육 폐지 - 1992년 특수학교 교사 정교사(1급) · (2급) ·준교사 구분, 대학 특수교육과 졸업자·관련학과 졸업자중 교직과정 이수자·일반교사 자격증 소지자중 보수교육 이수자·일반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대학원 석사학위 소지자·자격검정 합격자에게 자격 부여 o 특수학교 교사 양성과정 - 초등교과+기초과목+특수교육과목 - 특수교육과목=특수교육 일반 영역+시각장애영역+청각장애영역+정신지체영역+지체부자유영역+정서장애영역 - 양성기관별로 개설과목의 수, 명칭, 학점이 일치하지 않음 Ⅲ. 주요 국가의 특수교육 담당교사 양성체제 o 미국 - 학사학위 또는 석사학위 과정에서 특수교육 당당교사 양성하고 있음 - 일반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특수교육 담당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할 경우 일반교직과목을 이수할 필요 없으며, 다른 장애영역의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장애영역과목을 이수해야 함 - 점차 장애영역을 구분하지 않은 통합 자격증을 발급하는 추세임 o 영국 - 일반교사 양성과정 수료 이후 특별과정을 통해 특수교육 담당교사를 양성함 - 대학의 학사과정에서 양성되는 특수교육 담당교사는 극소수임 o 독일 - 종합대학, 교육대학, 교육대학과 종합대학이 제휴하여 특수교육 담당교사 양성함 - 대학의 교육학과 전공-특수교육학 이수-제1차 특수학교 교원 시험-특수학교 근무-제2차 특수학교 교원시험 후 자격증을 부여함 - 일반교원은 대학에서 2년 이상 특수교육학 이수 후 국가시험 통해 자격 부여함 o 일본 - 국립교사양성대학, 문부대신의 교원자격인정대학, 일반학교 교사자격증 소지자 대상의 1년 임시교원 양성과정, 검정인정시험 등을 통해 특수교육 담당교사 양성 Ⅳ. 특수학교 교사 양성체제 개선방안 o 특수학교 교사 양성기관 - 4년제 대학과 대학원의 특수교육과와 관련학과로 전문화·다원화 - 치료교육 및 직업교육 담당교사 양성과정 등을 기능별로 특성화 - 학부중심 양성체제에서 대학원 중심 양성체제로의 발전적 전환 유도 o 특수학교 교사 자격제도 - 특수학교 교사:정교사(1급)·정교사(2급)·준교사로 구분 - 특수학교 정교사(2급):유·초·중등 구분 표시, 장애영역 표시하지 않음 - 특수학교 정교사(1급):유·초·중등 구분과 장애영역 구분 표시 ·유치:장애영역 구분 표시하지 않음 ·초등:괄호 안에 장애영역 구분 표시 ·중등:파목 표시 다음 괄호 안에 장애영역 구분 표시(장애영역은 특수교육진흥법 제10조에 규정되어 있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장애종별에 따라 구분) ·치료교육과 직업교육 담당교사:괄호 안에 전공영역 표시 o 특수학교 교사 양성과정 - 대학 교육과정 모형 (표는 원문 참조) · 교직과정을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으로 대별하여 150학점 이상으로 편성 · 특수교육 교직은 특수교육 전공 중 기본 이수영역 중심으로 편성 - 대학원 교육과정 모형 공통과정 (최저 10학점 이상) ·특수교육 역사 및 철학 ·특수아 심리 및 진단 ·특수교육 연구법 심화과정 (최저14학점 이상) ·장애영역별 전문성과 특수성 반영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따른 전문성과 특수성 반영 ·장애 영유아의 조기 특수교육을 위한 전문성과 특수성 반영 ·장애아동의 치료교육 활동을 위한 전문성과 특수성 반영 ·특수교육 공통과정과 심화과정으로 대별하여 일반학교 교사자격증 소지자는 34학점 이상, 특수학교 교사자격증 소지자는 24학점 이상 이수하도록 함 ·공통과정은 최저 10학점 이상, 심화과정은 특수성에 따른 전공과정을 최저 14학점이상 이수하도록 함 Ⅴ. 제 언 o 앞으로 대학원 중심 양성체제로의 발전적 개편을 위해 특수학교 교사 양성기관의 제반 여건을 내실화하는 조치를 자체적으로 강구해야 함 o 특수학교 교사 양성체제의 개선에 요구되는 각종 법규를 개정하여 제도가 정착되도록 해야 함 o 특수학교 교사 양성체제의 효율화를 위해 양성기관의 책임있는 제도 운영 의지와 행정기관의 엄정한 감독기능이 확대되어야 함 o 특수학교 교사 양성체제의 정착을 위해 양성기관은 기능별로 개방과 경쟁을 통해 발전을 도모해 나가야 함

      • 특수교육 행·재정 지원 실태 분석

        정희섭,한현민,김향지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6

        본 연구는 1994년 특수교육진흥법의 전문 개정 및 그에 따른 통합교육의 확산 등과 같은 급격한 사회 환경의 변화에 부응하여, 특수교육의 교육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그 교육의 질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함을 목적으로 하는 특수교육 행정서비스가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인지, 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다. 특수교육 행정은 특수교육에 대한 '지원체제'(support system)이자 그 질의 관리'를 위한' '지원서비스'(support service)라는 가정 하에, 현재의 특수교육 행정서비스가 어떤 점에서 개선이 요구되는지, 그에 대한 사항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 행ㆍ재정 및 특수교육정책이 나아가야 갈 방향을 제안ㆍ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책, 법률, 조직, 교육과정, 학사ㆍ학생, 장학, 인사, 재무, 시설, 사무, 평가 등을 비롯한 교육행정의 광범위한 분야 중에서 법률관리, 조직관리, 인사관리, 재무관리 등으로 범위를 제한하여 그 현황과 함께 행정행위의 실태를 조사하기로 방향을 정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관련 주요 법률과 그 규정에 대한 분석과 해석, 관계 문헌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교원과 교육전문직을 참여자로 하고 웹(web)을 통하여 실시한 실태조사, 주요 기관ㆍ학교의 홈페이지 검색과 내용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수교육 관련법률의 현황은 특수교육진흥법을 중심으로 하여 관련법률의 주요 규정들을 조사하였으며 법률 규정에 따른 특수교육의 전개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행정기관 내의 특수교육 행정조직, 인사행정, 행정행위 등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특수교육 재정의 현황과 문제점은 그 확보ㆍ분배ㆍ운용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내용에 대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종합하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특수교육 법규 및 행정의 경우, 첫째, 현행 특수교육진흥법은 시대의 흐름에 맞게 개정되어야 한다. 이는 그 구성체제, 조문의 내용 및 배열 등 대폭적인 개정이 필요하기에 부분 개정보다 '전문 개정'의 방향이 되어야 한다. 최근의 추세ㆍ동향의 반영보다 '현실적 적합성'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특수교육은 중앙집권제에 따라 교육인적자원부(특수교육보건과)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인적자원부의 직제 개편을 통하여, 현재 교육인적자원부 내 "특수교육보건과"의 위상이 제고되어야 한다. '특수교육정책과'로의 분리 또는 "특수교육정책심의관" 등으로의 승격 등과 함께 특수교육을 '전담'(專擔)하는 '전문'(exclusive & professional responsibility) 인력이 대폭 충원되어야 한다. 셋째, 국립특수교육원(KISE: Korean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은 특수교육'연구'기관, 특수교육'행정'기관, 교원'연수'기관 등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고 있기에, 그 성격이 명확하지 못하다. 그 정체성(identity) 재정립이 필요하다. '국립특수교육연구원(NIKOS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Special Education)으로의 개칭과 위상의 강화 또는 한국교육개발원(KEDI: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이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과 같이 국무총리실 산하 '인문사회연구원 소속기관'으로의 격상 등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넷째, 시ㆍ도교육청과 지역교육청의 특수교육담당 장학관ㆍ장학사는 특수교육전담 장학관ㆍ장학사이어야 한다. 또한, 시ㆍ도교육청은 특수교육을 전담하는 기구를 신설하여야 한다. 지역 교육청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설치와 그 운영에 필요한 전문ㆍ전담인력(예, 특수교육교사, 치료 교육교사, 전문상담교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사회복지사 등)의 정원과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적극 지원하여야 한다. 다섯째, 특수학교나 일반학교를 막론하고, 단위학교의 역량을 크게 강화하여야 한다. 특수학교의 교장ㆍ교감은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장ㆍ교감을 임명하여야 한다.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유ㆍ초ㆍ중ㆍ고등학교는 가급적 일반교육 교장ㆍ교감자격과 특수교육 교장ㆍ교감자격을 함께 가지고 있는 교장ㆍ교감자격자를 임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교육인적자원부장관, 시ㆍ도교육감, 교육장, 학교장 소속의 각종 위원회(즉, '특수교육 운영위원회'와 '특수교육 협의체,' '학교운영위원회'와 '개별화교육운영위원회')의 활성화에 필요한 현실성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설치 확대와 전문인력의 배치 등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일곱째, '장애인이해교육'을 일반학생만을 대상으로 할 것이 아니라, 일반학생과 그 부모, 교 장ㆍ교감ㆍ교사 등 일반ㆍ특수교육 교원, 장학사·장학관 등 (특수)교육전문직, 지역사회 주민 등, 특수교육 및 (일반)교육의 교육 당사자 모두에게 실시하여야 한다. 일과성(一過性) 행사가 아닌, 지속성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장애학생을 자녀로 둔 부모에 대한 교육과 훈련(parent education & training) 및 일반교육과 특수교육 가릴 것 없이 모든 교원과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그 교육적 역량을 강화(empowerment)시킬 수 있는 직원개발(staff development)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수교육 재정의 경우, 첫째, 특수교육재정의 확보를 위한 다각도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 특수 교육재정확보를 위해서는 교육재정 전반의 확충이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 아울러 교육부 예산에서 책정되는 특수교육비의 안정적인 화보를 위해 당해 년도의 의무교육비의 일정 비율을 특수교육비로 하는 재원 확보 방안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특수교육재정의 분배 방식에 있어서 개혁이 필요하다. 특수교육재정의 분배 방식이 교육기회의 기본적 보장이라는 학급당 균등 배분 방식에서 벗어나 아동의 요구수준, 장애영역과 장애 정도에 따라 장애아동의 잠재력을 최대로 개발 할 수 있는 차원에서 분배 방식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우리나라 일선 교육기관에서의 특수교육재정 운용은 대체로 만족한 수준을 보이나 전반적 개선 사항이 요구되고 있다. 특수교육이 이루어지는 최일선 교육기관인 학교와 학급에서의 재정 운용 불만족이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으며, 특히 국ㆍ공립학교보다는 사립학교에서 재정 운용에 대한 불만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효율성ㆍ책무성 제고가 있어야 한다. 요컨대, 이상과 같이 특수교육의 질적 개선과 그 관리를 위해서는, 교육인적자원부, 시ㆍ도교육청, 지역교육청, 단위학교, 교원과 교육전문직, 학생과 학부모 등 교육 공동체 당사자 모두가 상호 협력하고 지원하는 체제의 마련이 시급하다. 이와 같이 특수교육 분야는 향후 해결하여야 하는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사항들을 특수교육행정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제시 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find solutions to a variety of problems recently occurring in administrational services for special education due to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revised in 1994, the lasting expans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rapid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s. Specifically, assuming that speci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hould be the support system and service,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existing speci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analyze its problems, and finally to suggest and/or present the directions toward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 policies, including administrational and financial policies in the future. The study limited its scope only to include the management of laws and regulations, organizations, personnel, and finance, though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cludes policies, laws, organization, curriculum, students and school affairs, supervision, personnels, finance, facilities and equipments, office affairs, and evaluation. Then, the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above areas and investigated the actual situations of the administrational activities. The methodologies used in the study included the analytic and interpretative approach to special education laws and its articles,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related literature, the Web-based survey to teachers and educational staffs, the search and analysis of homepages of major related institutes and schools, and so on. The investigations of the status of special education-related laws was primarily done through regulations analysis of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of 1997 (including Presidential Decrees and Enforcement Decrees of the Minister) and resulted in Korean special educational procedures regulated by the laws. Then, the present status-quo of administrational organizations,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administrational activities for the more efficient special education within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al institutes and the educational institutes and their problems were analyzed based on the legal regulation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 the study,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al institutes includ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OE), Metropolitan ("Si") Office of Education (SOE), Provincial("Do") Office of Education (POE), and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DOE). And the educational institutes refers to special schools and special dasses. The analysis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its problems of special educational finance focused on the guaranteeing, distributing and practically using of its finance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on the abov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SELF) of 1997 must be revised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Because the drastic changes such as the organizing system, the contents of many articles and their arrangement, and so on are required, the direction for revision must be all-out revising of full articles, not revising some articles. Above of all, the revision of articles in the law must give priorities to the relevance with actual educational conditions in Korea as well as recent trends in special education field.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and School Health Division of the MOE must strongly promote special education policies and related administration affairs. To accomplish these tasks, the status of th Division in the MOE must be lifted. The alternatives indude the new establish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Division through the separation of the Division's affairs and the its upgrade into "Special Education Policy Officer." Also, the more "Educational Specialists" and "Educational Researchers" should be recruited and be imposed the professional and exclusive responsibility to planning special educational policies. Third, the identity of the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KISE) must be reestablished through changing of its present name into, for example,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Special Education (NIKOSE). In another hands, the Korea Research Council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RCHS) under the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needs to incorporate KISE, together with the existing affiliated organizations, that is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and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Fourth, superviser-in general and superviser who ha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should be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in SOE, POE, and DOS. Also, SOE and POE must have a new organization that takes charge of special education exclusively and professionally. DOE should found and administer actively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 addition to place in the center various and professional service providers (for example, the therapeutic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teacher majors in counseling, the physical and the occupational therapist, the speech-language therapist, the social worker, and so on) necessary to administer the center substantially and efficiently. The central, metropolitan and provinci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provide financial assistances necessary to administer the center and provide various services. Fifth, in the school level, all schools across the country need to make efforts for developing their capacity to effectively teach all students inclu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al needs. Thus, it is most desirable that individual who has graduated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and/or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well as has met the criteria of certification for principal is nominated as the principal of the school with special class as possible and of the special school, in particular. Sixth, the plan with practical effect on activating all kinds of committees under the Deputy Prime Minister of MOE, the superintendent, and the school principal, say, the Committee on Special Education, the School Steering Committee, and the Committee on Individualized Education should presented. As mentioned above, to activat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can be an alternative. Seventh, the education for general students to understand disabilities and peers with disabilities needs to expand the scope of the target population to their parents, the principals and teachers of schools, especially of general schools and the supervisers of the DOE, further to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This education should be administered continuously, not temporary events. For the parents and familie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ent education and training need to be implemented, too. In addition, the various and practical sorts of staff development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and to be administered to empowerment all teachers and educational staffs. Eighth, many-sided supports must be given to secure finance of special education. There is no doubt that the overall expansion of educational finance will need in order to secure finance of special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ources security plan which is given special education expenses an invariable ratio in compulsory education of the year must actively be considered to stably secure special education expenses appropriated in budge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Ninth, the reformation needs in the sharing form of special education finance. The sharing form of special education finance must get out of the equal sharing form per class that is the basic security of education opportunity and must be searched for developing the latent ability of the disabled students at their maximum according to the extent of impediment and the level of the need of the students. Finally, the financial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is generally satisfactory level in the first-lin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nation but, the general matters for improvement is required. Dissatisfaction of financial operation is expressed diversely in schools and classes which are the first-lin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special education. Especially the private schools are more dissatisfied with financial operation than the national schools and the public schools. Based on this, the 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must be promoted. In sum, to improve and to efficiently manag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 educational community itself, including the MOE, SOE and POE, DOE,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staffs, students and their parents, should be systemized to cooperate and support each other. As such, the present special education confronts a number of problems and tasks that should be solved in the future.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speci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 finance practices and for further studies were presented, too.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 교육성과 실태조사 도구개발 연구

        이미선,강영택,김현진,안수경,유재연,이영숙,이준석 국립특수교육원 2010 특수교육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struments/items for surveying current status in the educational outcom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purpose, first,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domains and indicators for the educational outcom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basic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urvey instruments/items according to the indicators were established, and based on the directions, the survey instruments/items were chosen or newly developed. Third, consultant meeting with 18 experts including professors, teachers, administrators, researchers, and parents were held, and then review by them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nfirm the appropriateness of the potential domains, indicators, and instruments/items which had been chosen or newly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n, preliminary survey tes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s/items newly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5 special schools and 11 general schools. The respondents to the survey were consisted of 258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ir 141 teachers, and 16 school administrators. To verify the goodness and reliability of instruments/items and to confirm the proposed factor structures of them, item analysis including item-total correlation, internal consistenc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educational outcome domai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composed of 6 domains including cognitive abilities, social adjustment, independence, school engagement, education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The domain of cognitive abilities are divided into academic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Second, outcome indicators for those domains are scores and their improvement extent of (1) nation-leveled academic achievement test using statistics DB which are administrated every year, and (2) language comprehension subtest, language expression subtest, reading subtest, writing subtest, money concept subtest, se\f-direct subtest, social adaptive behavior subscale, and practical adaptive behavior subsca\e from adaptive behavior scales developed by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In addition, outcome indicators for those domains include (1) the number of school attendance and lateness day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2) scores of classroom behavior scale and attitude toward school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3) scores of parents satisfaction scale created in this study, and (4) results of career development survey developed in this study. The survey includes items related to going to the next stage of education, employment, and 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course without salary.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shows that the instruments/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reliable and internally consistent, and appropriate for collecting data on the indicators for educational outcom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이 연구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8조 제 l 항에 규정된 특수교육 대상자의 교육성과 실태조사 시 사용할 조사도구/문항을 선정 · 개발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대상자의 다양한 교육성과 영역과 지표 및 이들 지표를 중심으로 한 교육성과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성과 지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적절한 표준화 검사도구/문항이 국내에 있는 경우 이를 선정·제시하며, 국내에 적절한 표준화 검사도구/문항이 없는 경우에는 적절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있는 조사도구/문항을 신규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 는 첫째, 국내외 교육성과에 대한 다양한 학문 분야의 관점, 교육과정, 일반교육 과 특수교육 분야의 교육성과 영역과 지표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특수교육 대상자의 교육성과 영역과 지표를 개발하였다. 둘째, 교육성과 지표별 조사도구/문항 선정·개발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이러한 기본 방향에 기초하여 지표별 조사도구/문항을 선정 혹은 신규 개발하였다. 셋째, 전문가 18 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교육성과 영역과 지표 및 지표별 조사도구/문항의 적합성과 내용 타당도 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장애학생 학부모 258 명,이들이 다니는 학교의 담임교사 141 명과 학교 관리자 16 명(총 415 명)의 자료에 대해 문항 양호도를 분석하고,조사도구/문항의 문항내적 합치도 지수(alpha)와 구인 타당도를 검증한 후 최종조사도구/문항을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특수교육 대상자의 교육성과 영역은 크게 6 개 영역,즉 (1) 인지적 능력(2) 사회적적응 (3) 독립성(4) 학교 참여(5) 교육 만족도(6) 진로 상황 으로 구분되었다. 둘째,인지적 능력 영역은 2 개 하위영역,즉 (1) 학엽 능력,(2)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으로 구분되었다. 학업 능력의 성과지표는 특수교육 대상 자의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점수와 향상도, 그리고 언어이해,언어표현,읽기,쓰기,돈 개념 검사의 점수와 향상도이다. 이러한 지표별 자료수집은 각각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특수교육 대상자의 점수DB와 국립특수교육원 적응행동검사의 하위검사인 개념적 적응행동검사의 언어이해, 언어표현, 읽기, 쓰기, 돈 개념 검사를 이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예비조사 시의 의견 조사 결과, 동 적응행동검사의 소검사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성과지표는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검사 점수와 향상도이며,이러한 지표별 조사도구로서 동 적응행동검사의 자기지시 소검사를 제안하였다.

      • 특수교육 정보화 체제 구축 방안 연구

        김종무,강경숙,강대식,Kim-Sung, Kellie K. 국립특수교육원 2001 연구보고서 Vol.- No.8

        본 연구는 특수교육 정보화 관련 국내 · 외 문헌자료와 사례를 소개하고, 국내 특수교육정보화 실태 조사를 실시하여 첫째, 기초 통계자료를 확보하고 둘째, 효율적이면서도 실제적인 정보화체제 구축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추진되었던 교육정보화 사업에 있어서 전체 학교 학내망 설치와 같은 가시적인 정보화기반 구축 사업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성공적이라는 평가를하고 있지만 특정 수요 집단에게는 정보격차의 심화 및 접근성 문제의 심각성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특수교육 정보화 사례와 자료를 소개하고, 국내 특수교육정보화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특수학교 교사, 학생, 장애학생 부모, 장애인관련 단체 및 기관, 시 · 도교육청이었고, 조사 결과 특수학교 교사의 경우 컴퓨터 보유, 인터넷 사용 등에 있어서는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정보 활용기술에 해당하는 영역 즉, 장애학생을 교수하기 위한 자료의 제작과 교수-학습과정에서의 적용 수준에서는 저조하게 나타났다. 비장애학생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장애학생의 컴퓨터보유와 인터넷 사용 유 ·무에 관해서는 40~60%의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체계적인 지원이 수반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지원 체제 구축 방안으로 크게 예산지원과 행정지원을 포함하여 특수학교, 교사, 학부모, 장애학생, 행정가, 장애인관련 기관 등의 요소로 구분하여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소개된 지원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정보화 체제 구축을 위한 예산 지원은 외국의 사례에서도 나타났듯이 안정성과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초·중등교육법', '특수교육진흥법'을 통해 지원에 관한 세부 사항을 법으로 규정해야한다. 둘째, 특수교육 정보화 사업과 관련된 부처간 행정 협조체제의 수립과 사업 중복성 등을 피하기 위하여 전담기구나 기관의 지정이 요구된다. 셋째, 특수학교의 경우, 학내망 설치와 더불어 장애인 접근성 문제의 해결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하드웨어 장비의 지원, 교실간 네트워크 구축, 학교간 WAN 구축 등의 사업이 추진되어야 하며, 특수학급의 경우는 정보화 환경구축이 미흡하기 때문에 소속 교육청 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정보공유 및 행정업무의 연계가 필요하고, 다양한 교수-학습자료의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넷째, 특수교육 교사의 연수 기회를 확대하고 전문성을 키워줄 수 있는 연수내용과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학습자료 제작 기법, 장애인용 프로그램 사용법, 특수단말 장비 및 정보매체 활용 기법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집체+원격+화상 형태의 입체적인 연수가 요구된다. 다섯째, 장애학생 부모를 위한 정보화 지원은 학교-교육청간 협력하에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우선, 학교와 인근 지역의 장애인관련 기관을 활용하여 정보소양 교육을 실시하고, 언제, 어디서나 교육이 가능한 원격이나 사이버시스템 등을 매개로 부모의 여건을 배려해줄 수 있는 편리한 교육방법이 준비되어야 한다. 여섯째, 교육청별 특수교육 담당장학사의 정보화 수준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지만 특수교육 정보화를 위한 특수학교(급) 교사의 연수지원을 위한 예산규모의 확보나 프로그램 개발 지원 등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육부(국립특수교육원)를 중심으로 전체 교육청의 특수교육 정보화 업무를 단일 체제로 묶는 인프라를 구축하여 예산, 프로그램, 네트워크 등을 공유토록 하여 효율성을 확보해야 한다. 일곱째, 장애인관련 단체는 정보화 업무 담당자를 배치하여 장애인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활발한 정보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재정지원이 아직도 부족하고, 장애인용 프로그램과 기기의 보급이 부족하여 한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마찬가지로 장애인관련 기관을 하나로 묶는 인프라의 구축을 통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표준화시키고 예산지원의 중복성을 피해야하며 기관 이용자에 대한 관리의 편리성도 함께 도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collect baseline data and to present effective and practical methods of establishing special education IT system. An extensive review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case studies of best practices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as well as the evalu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echnology usage and adoption in special education in Korea. Previous nationwide educational technology projects have accomplished notable and successful results such as building Intranet for schools. However, such efforts have, in away, created and aggravated the disproportionate gap, often called as the digital divide, against certain groups of people with unique needs. Also, the accessibility to such technology and information has emerged as a serious problem as the role of technology expanded. This study introduced both domestic and foreign examples of technology in special education and relevant resources, and conducted a large-scale survey to examine the current stage of technology adoption and usage in special education in Korea.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udents,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disability-related organizations and relevant agencies, and to municipal and provincial department of education. The results found satisfactory levels of computer ownership and usage of Interne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However, utilizing and incorporating such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to classroom activities and into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were still limited. Although the data were not comparable to those from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bout 40 to 60 percent of the respon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computer ownership and Internet usag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ggesting desirable outcomes with appropriate systematic suppor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ed detailed methods of building broad financial or budgetary assistance systems for special education schools, teachers, parents, students, administrators, and disability-related organizations. First, as shown in the experiences of foreign countries,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o establish the system for the special edu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has to be mandated unde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 to ensure and enhance stability and continuity. Second, designation of a single commanding and responsible agency is called for to efficiently coordinate inter-agency collaboration among governmental agencies and departments, and to avoid redundancy of work. Third, for special education schools, tasks such as building school-wide Intranet, development of software solving accessibility issues, subsidizing funds for computer hardware purchase, connecting classrooms through networking system and establishing inter-school WAN are of critical importance. Fourth,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improved to professionalize teachers, and expansion of such opportunities are also called for. Fifth, IT support for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also important. Paren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active collaboration between local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chools, and such training programs may be offered at schools or disability-related facilities. Distance learning or online courses, which the parents can access regardless of time or location, are other feasible alternatives. Sixth, the results found that administrative staffs of special education at each local department of education displayed satisfactory competence levels. However, the amount of budget assign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or program development was seriously insufficient.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KISE) should build a universal infrastructure of IT, which encompasses and shares budget, program and network systems across all the IT offices of the local department of education. Seventh, although most disability organizations have IT specialist and offered IT education programs for both person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y have been experiencing continued problems of insufficient financial support and lack of adaptive technology devices and accessible programs. Therefore, building a universal infrastructure across disability organizations is called for to standardize programs, to prevent overlaps in funding, and thus, to enhance administrative efficiency.

      • KCI등재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발행 체제 개선 방안 연구

        정해동,김두영,백정기 국립특수교육원 2017 특수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the textbook publishing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extbook classification notices and to prepare the improvement plan of textbook publishing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193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32 professor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and conducted a secondary survey on 6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education textbook should basically maintain the basic framework of the current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ublishing system.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recognized textbook of special education that can complement the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Third, the learning material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recognized textbook and distributed to the site. Fourth, we need to introduce a free issuance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textbook. 이 연구는 교과용도서 구분 고시에 따른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국정 단일발행 체제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여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발행 체제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17년 특수교육 국정 교과용도서 편찬’에 참여하고 있는 특수교육교사 193명과 교수 32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고,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발행 체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교육과정 전문가 및 관련단체 담당자 6명에게 2차 서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교과용도서는 기본적으로 현행 국정 교과용도서 발행 체제의 기본 골격을 유지해야 한다. 둘째, 국정 교과용도서를 보완할 수 있는 특수교육 인정 교과용도서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인정 교과용도서의 범위와 인정권자를 확대해야 한다. 국립특수교육원과 시․도교육청 등에서 개발한 학습교재를 인정 교과용도서로 인정하여 현장에 보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정도서 승인에 관한 권한을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에 한해서 국립특수교육원장에게 추가로 부여하거나,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인정도서 승인을 국립특수교육원장에게 위임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넷째,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자유발행제를 도입하고, 특수교육 대상학생에게는 기존의 국정 교과용도서와 함께 중복 지급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시․도교육청 교과서 무상지급 규정을 개정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