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정과 연계한 동화 극화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지성애,김희정,김치곤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연계한 동화 극화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 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5세 유아 50명이며, 평균 월령은 71.08개월이었 다. 실험집단에서는 가정과 연계한 동화 극화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서는 유아들이 동화를 들은 후 관련 확장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창의성은 Torrance(1990)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도구(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중 도형 창의성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그리기 표상능력은 지성애(2001)의 ‘그리기 표상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측 정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t-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 단이 비교집단보다 창의성 및 그리기 표상능력 점수가 높게 나타나, 가정과 연계한 동화 극 화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리기 표상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home related dramatic activities based on storybook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fifty 5 year-old children who attended a kindergarten in Gyeonggi-do.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71.08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home related dramatic activities based on storybook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related activities after listening to storybooks. 'The Figural Area of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orrance, 1990)' and 'Drawing Representation Inventory(Chi, 2001)'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It also used t-test to analyze the data.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the post-test scores.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ome related dramatic activities based on storybooks are effective in promot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 KCI등재

        보육교사 자격제도의 실시 현황과 과제

        지성애,최미숙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atus and task on the system for child care teacher's license. To this purpose; First, the system for child care teacher's license, pre-education for child care teacher and in-service edu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Child Care Act. Seco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was used for the collection of data. The subjects used in this investigation were 112 child care teachers. Chi-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ird, some task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보육교사 자격제도의 실시현황과 과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영유아보육법에 근거한 보육교사 자격제도, 양성교육제도, 보수교육에 대해 분석하였다. 둘째, 보육교사 자격 및 양성제도, 그리고 보수교육 실시 상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보육교사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보육교사의 연령, 자격증 유형, 보육경력, 학력 그리고 근무하고 있는 시설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료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하고 발전적 방향에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ㆍ성인애착과유아의 스트레스ㆍ사회성에 관한 연구

        지성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nd differences among parenting stress, adult attachment, child stress, and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8 five-year-old children (mean age 73.84) who atten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and their mother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Self 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Korean Preschool Children Daily Stress Scale’, and ‘Social Skill Situation Measurem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Regression, One-way ANOVA, and Scheffé.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 stress,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was the predicted variable that has the most significant relative effect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 stress was an additional predicted variable.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tress related to the assailment with reproaches’ that is subordinate factor of child stress has the most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regulating emotion’ that is subordinate factor of social ability and ‘stress related to self-esteem’ that is subordinate factor of child stress were additional predictor of mother’s parenting stress. Las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hild stress and social ability,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mother’s types of adult attachment. The results found that the children of mothers who showed the secure attachment showed a lower level of stress and a higher level of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the mothers themselves showed a lower recognition of parenting stress.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성인애착 그리고 유아의 스트레스와 사회성 간의 관계성과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평균 월령 73.84개월)와 어머니 각각 178명이었다. ‘부모 양육스트레스검사’, ‘유아 일상적스트레스검사’, ‘유아 사회성검사’ 그리고 ‘성인애착검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One-way ANOVA, Scheffé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간에는 정적상관, 유아의 사회성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사회성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부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스트레스가 추가적인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인 단계별 중다회귀분석 결과, 유아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비난공격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유아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감정다루기’ 및 유아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자존감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성인애착 유형에 따라 유아 스트레스와 사회성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안정애착 유형의 어머니의 자녀들은 스트레스가 낮고, 사회성이 높으며, 어머니도 양육스트레스를 적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놀이와 창의성능력에 관한 고찰

        지성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4

        놀이를 영유아를 위한 보육프로그램에 적합하게 제공하므로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유아의 놀이는 창의성능력을 증진시킨다. 이에따라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놀이가 미치는 영향과 유아놀이와 창의성과의 관계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수십년에 걸쳐 발표되어 왔다. 본 논문은 현대의 유아놀이 이론을 정리하고, 유아놀이와 창의성능력에 관한 기존의 인구들에서 나타난 결과들은 제조망하고 비교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제시되었던 유아놀이와 정의에 관하여 서술하였고 이어서 유아놀이에 관한 현대 이론들은 분석하여 소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유아놀이와 창의성에 관한 관계연구, 기술연구, 그리고 실험 및 훈련연구 등의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결과들을 비교하였다. 이들 연구들에서 나타난 주된 종속법인 즉 창의성과 발산적사고를 하위목록으로 나누어 유아놀이와 창의성능력에 관한 고찰을 하고 있다.

      • KCI등재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인식 및 실태 분석

        지성애,이은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1

        본 연구는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62명이었다.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 및 전문가 협의 등을 통해 ‘다문화교육 인식’, ‘다문화교육 실태’의 2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총 17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를 연구대상에게 배부하고 회수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x2-검증을 통해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실태는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discuss how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and arrangements with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two items of 17 questions related to ‘general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statu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2 kindergarten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χ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inally, the ways to promote efficien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환경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지성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여 유아 환경교육 이해와 효과적 운영에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환경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집단, 유치원 교사와의 협의를 통해 연구도구인 설문지를 개발한 후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환경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 ‘환경교육 실태’, ‘환경교육에 대한 요구’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교사 214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카이검증, t-검증,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cheffé 검증을 통해 추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환경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과 실태는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mongst young learners, and to discuss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nvironmental education amongst young learn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and discussions with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4 items of 71 questions related to ‘general aware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teaching efficacy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requirem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4 kindergarten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χ2-tes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 groups, with regard to the status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learners. The study also posited ideas on how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learners.

      • KCI등재

        유아 환경 신념과 태도 검사도구 타당화 연구

        지성애,신금호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유아 환경 신념과 태도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 278명과 유아교육전문가 8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환경 신념과 태도 검사도구는 평균, 표준편차,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계수, Cronbach's α를 구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문항내용 이해도가 4.25, 문항내용 적합성이 4.12로 내용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오염예방, 자원절약, 자연친화, 동식물 관심/보호)이 추출되었다. 유아 환경 신념과 태도 검사도구의 총점과 하위 영역 간, 하위 영역의 총점과 문항들 간의 상관계수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문항내적 일치도가 .779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환경 신념과 태도 검사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검사도구 임을 입증한 것 이라 하겠다. This study verifie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Scale (YCEBA).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78 children attending 10 kindergartens in K province, and 80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xamin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ronbach's a.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evaluat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professors, was high. As a result of the EFA, 4 factors (pollution prevention, resources conservation, nature affinity, and animal and plant concern/protection) were extracted from the scal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also found to be high.

      • KCI등재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질적 평가

        지성애,김형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7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파악할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보육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전문성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평가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보육시설 설치지역과 보육시설 유형에 따라 무선표집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였으며, 개발된 평가척도를 근거로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질적 수준과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가척도에 문항에 따라 표준편차를 구하고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과 추후분석으로 Duncan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본 연구대상 보육시설장의 전문성의 전체적인 전문성의 질적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영역별 보육시설장의 전문성은 영유아 보육을 뒷받침하는 확고한 철학과 신념이 있는가를 평가한 ‘보육신념과 철학’영역에서 전문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보육운영과 계획수립’, ‘영유아관리’, ‘영양 건강 안전관리’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지역사회의 연계’영역에 대한 전문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평가영역별 뿐 아니라 각 변인에 따라서도 보육시설장의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전체적인 전문성도 전문적 업무를 수행하는데 미달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영역별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보육시설장과 마찬가지로 ‘보육신념과 철학’에서 전문성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영양 건강 안전관리’. ‘교육활동지도’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전문성이 가장 낮게 나타난 영역은 ‘지역사회와의 연계’영역으로 밝혀졌다. 평가영역별 뿐 아니라 보육시설 설치지역과 시설유형에 따라서도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후보

        놀이감 구조성에 따른 유아의 놀이행동 비교

        지성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structure of play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social behavior and problem solving behavior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40 girls and 40 boys who attend two children's centers in G city. The mean age of the boys was 5years and 3 months, and the girls was 5years and 2months. Every child was observed on different occasions for 10minutes per occasion, one time each with role play material and sand play material. They were assigned same-sex group on each occasion. It used the Bronson Socal and Task Skill Profile in the collection of data. A 2(type of play materials) x 2(sex) repeated measures (2 observations per each child)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Significant effects for type of material,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ype of materials and sex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both the role play material and sand play material exert distinct effects on social behaviors and problem solving behavior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sex and play materials. 본 연구는 놀이감 구조성에 따라 나타나는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문제해결 행동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K시에 위치한 두 곳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남아 40명과 여아 40명 총 80명의 유아들이었으며 남아의 평균 연령은 5년 3개월이었고 여아는 5년 2개월이었다. 놀이감 구조성의 근거에 따라 ‘역할놀이감’을 구조성이 높은 놀이감으로 또한 ‘모래놀이감’을 구조성이 낮은 놀이감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놀이감을 가지고 놀이에 참여한 연구대상 유아들을 각각 10분 씩 총 20분 동안 Bronson 척도를 사용하여 사회적 행동과 문제해결 행동을 관찰 평가하였다. 2(역할놀이감모래놀이감) x 2(남아여아)의 ANOVA를 사용하여 수집된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놀이감의 구조성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문제해결 행동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놀이감 유형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영유아 보육시설장과 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조사연구

        지성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7

        본 연구는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파악하고 정리하며 전문적 자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먼저 대도시에 소재한 보육시설을 시설유형 별로 유충 표집하여 총 108곳의 영유아 보육시설을 선정하였다. 자기-평가에 따른 반응성향 및 편파적 오류 발생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평가하고자 같은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를 짝을 지어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서로 상대의 전문적 자질을 평가하는 방법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자기-평가’ 방법을 통해 전문적 자질을 평가하도록 하고, 이를 다른 보육전문인(보육교사 혹은 보육시설장)에 의한 평가 결과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신뢰도도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가척도 문항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집단간 또한 전문적 자질 영역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 ANOVA와 추후분석으로 LSD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조사 결과,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반적인 전문적 자질은 낮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은 전문적 자질 영역간 또한 보육시설 유형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시설장은 자신의 전문적 자질을 함께 근무하는 보육교사가 평가하는 것보다 높게 평가하고 있는 반면, 자신의 전문적 자질에 대한 보육교사의 평가는 함께 근무하고 있는 보육시설장에 의한 평가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성별 차이에 따른 보육시설장의 전체적인 전문적 자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전문적 자질의 5개 하위 영역에 하나인 ‘보육종사자와의 관계수립과 리더쉽’ 점수는 남성 보육시설장이 여성 보육시설장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