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경계 중환자의 APACHE III와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의 타당도 검정

        서민숙,김희정,김현정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5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test the evaluation of the clinical usefulness of APACHE Ⅲ & CPSCS for neurological ICU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APACHE Ⅲ & CPSCS in predicting mortali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of 187 neurological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of C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08 to May 2009.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hi-square test, t-test, Kruskal-Wallis, goodness of fit test, and ROC curve. Both APACHE III and CPSCS measurements were taken 24 hours after patients were admitted to the hospital Results: In accordance with patients' general and clinically related characteristics, patient mortality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source of admission, endotracheal intubation, central venous catheter, and severity of grade by APACHE Ⅲ & CPSCS. Result of Hosmer-Lemeshow goodness of fit test was APACHE III (chi-square=12.435, p=.133), and CPSCS (chi-square=10.309, p=.244). The discriminate test results using the ROC curve were APACHE III, .812 (p<.001) and CPSCS, .900 (p<.001). Conclusion: APACHE III and CPSCS were found to be valid mortality prediction models. APACHE III discrimination was accurate and CPSCS discrimination was very accurate for neurological ICU patients. 본 연구는 신경계 중환자의 APACHE Ⅲ와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2008년 1월부터 2009년 5월 까지 서울 소재 C 대학 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만 18세 이상의 신경계 환자 187명의 의무 기록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는 APACHE Ⅲ와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를 사용하였다.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검정과 t-검정, F-검정,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하였고 적합도는 Hosmer-Lemeshow 검정, 판별력은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 하 영역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APACHE Ⅲ의 평균 점수는 58.2점이었고 고혈압 여부, 기관 내 삽관 여부, 중심 정맥관 삽입 여부 그리고 중증도에 따라 사망률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환자 분류도구의 평균 점수는 111.8점이었고, 입원경로, 기관 내 삽관 여부, 중심 정맥관 삽입 여부, 중증도에 따라 사망률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Hosmer-Lemeshow의 적합도 검정 및 ROC의 곡선 하 영역을 활용한 판별력 검정 결과 APACHE Ⅲ와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단점 .4에서 곡선 하 영역은 APACHE III .812(p<.001)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 .900(p<.001)으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β-Glucan이 첨가된 제형과 미세다륜침(MTS)이 안면피부 관리에 미치는 영향

        서민숙 ( Min Sook Seo ),최태부 ( Tae Boo Choe ),김혜란 ( Hae Ran Kim ),조찬휘 ( Chan Hwi Cho ),임은진 ( Eun Jin Im ) 한국미용학회 2011 한국미용학회지 Vol.17 No.5

        The experiment had been treated for 8 weeks with 36 women in her 30`s and 40`s who are proceeding under skin aging. The experimental group A used the product including β-Glucan, B used the product including β-Glucan with MTS(Microneedle Therapy System)treatment once a week and contra group used the product not including β-Glucan every morning and evening. As a result of above treatments, the experimental group A that the number of pores, black heads and pigmentation on the skin was decreased (p<0.5). And the brightness of skin was increased (p<.05). On the other hand, all of treatment parts for the contra group were rather increased than experimental groups as that the number of pores, big pores, black heads and pigmentation.. And the brightness of skin was decreased (p<.05). Consequently, β-Glucan of the schizophyllum commue has an effect on the pore, the pigmentation and the brightness of skin. And to use the MTS of 0.25 mm which had been treated by home care once a week for 8 weeks will be effectively considered to increase absorption of a cosmetic ingredient.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행위와 삶의 질

        서민숙 ( Min Sook Seo ),박경숙 ( Kyung Sook Park ),박형무 ( Hyung Moo Park ),박현옥 ( Hyun Ok Park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추출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다문화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예측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S, D, J시에 거주하는 다문화 결혼이주여성으로 총 1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지는 일반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건강행위, 사회적 지지, SF-12로 구성되었으며 총 33문항이다. 분석은 SPSS/WIN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tiple Regrat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일반적 요인과 건강관련 요인은 나이가 많을수록, 대졸 이상일수록, 출신 국가가 중국인 경우, 핵가족일수록, 폐경을 경험하지 않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건강행위관련 요인은 규칙적인 운동, 저염식사가 삶의 질이 높았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결론: 최종적으로 다문화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소금 섭취, 가족 형태, 출신국가, 최종 학력, 사회적 지지, 나이 등으로 판명되었으며 설명력이 24.0%이었다. 따라서 다문화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 관련 삶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와 함께 사회문화적, 경제적 제반 환경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 사회적 지지 기반을 고려한 포괄적 접근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169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3 citi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using 33 questionnaires. The SPSS/WIN 18.0 program was also us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all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eneral influencing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are age, education career, nationality, family type, menopause, exercise, salt intake and social support.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nursing intervention and social - cultural, economical and social support network, including the consideration of a comprehensive approach, is needed in order to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J Korean Soc Menopause 2013; 19:112-121)

      • KCI등재

        간호사의 직장 내 약자 괴롭힘, 직무만족 및 자아존중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민숙(Seo, Min Sook),김정혜(Kim, Jeong Hye)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종합병원 304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장 내 약자 괴롭힘, 직무만족, 자아존중감 및 이직의도를 조사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이직의도는 평균 3.67±0.88이었고 직장 내 약자 괴롭힘이 심할수록(r=.214, p<.01), 직무만족이 낮을수록(r=-.550, p<.01),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r=-.144, p<.05)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순서는 직무만족, 연봉, 직장 내 약자 괴롭힘, 현부서 경력, 총 임상경력,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37%의 설명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간호사의 이직예방과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Three hundred four clinical nurses were recruited in th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A survey including workplace bullying, job satisfaction,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were completed.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was 3.67±0.88. Turnover intention was significant correlated with workplace bullying(r=.214, p<.01), job satisfaction(r=-.550, p<.01), self-esteem(r=-.144, p<.05). 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influence factors related to the turnover intention were job satisfaction, annual salary, workplace bullying, current career, total career and self-esteem. These variables explained 37% of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 for prevention and reduction of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 KCI등재

        집단따돌림, 스트레스 대처,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민숙(Seo Min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생 191명으로 일반적 특성, 집단따돌림, 스트레스 대처, 자아존중감 및 대학생활적응으로 구성된 자가보고식 질문지로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25.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평균 3.37±.63이었으며 자아존중감(r=.460, p<.001)에 양(+)의 상관관계, 집단따돌림(r=-.226, p<.001)에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자아존중감(β=.429, p<.001)이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의 설명력은 37.2%이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ffecting factors associated with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nursing students. A total of 191 students include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abou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roup bullying, stress coping, and self-esteem from November 1st to 30th in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5.0. The mean score of an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3.37±.63.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ha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self-esteem(r=.460, p<.001) an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group bullying(r=-.226, p<.001).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show self-esteem wer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explaining 37.2% the variance i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refore many programs need to develop for enhancing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 KCI등재

        부모세대와 자녀세대 간 결혼가치관의 영향요인 비교

        차혜경,서민숙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of view on marriag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generations. 195 parents and children were recruited respectively for th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The survey was including gender roles, gender attitudes, view on children and view on marriag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01, 2018 to June 30, 2018.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s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The scores of view on marriage were 3.45±0.43 for parents, 3.34±0.50 for children. View on marriage was significant correlated with conservative view on children (r=.660, p<.001), (r=.610, p<.001), open view on children (r=.640, p<.001), (r=.596, p<.001), gender roles (r=.386, p<.001), (r=.286, p<.001), gender attitudes (r=-.338, p<.001), (r=-.403, p<.001) in parents and children generations. 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influence factors related to the view on marriage of parents generation were open view on children, conservative view on children. In children generation, conservative view on children, open view on children, birth order and gender were influencing factors of view on marriage. The variables explained 58.5%, 46.0% of view on marriage of parents and children generations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programs for improving positive view on marriage.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의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부모 195명과 대학생 195명을 대상으로 성 역할 태도, 성 태도, 자녀가치관 및 결혼가치관을 조사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혼가치관은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에서 평균 3.45±.43, 3.34±.50이었고 보수적 자녀가치관일수록(r=.660, p<.001),(r=.610, p<.001), 개방적 자녀가치관일수록(r=.640, p<.001),(r=.596, p<.001), 성 태도가 낮을수록(r=-.338, p<.001),(r=-.403, p<.001), 성 역할 태도가 높을수록(r=.386, p<.001),(r=.286, p<.001) 전통적·보수적 결혼관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결혼가치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순서는 부모세대에서는 개방적 자녀가치관, 보수적 자녀가치관이었고 58.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또한 자녀세대에서는 보수적 자녀가치관, 개방적 자녀가치관, 출생 순위, 성별 순으로 46.0%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자녀세대의 결혼율과 출산율 향상을 위해서는 긍정적 결혼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