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앨리스』의 언어유희를 통한 전복의 미학과 주체화 -토끼굴로 내려가 새로운 언어의 세계에서 놀다-

        윤소영 ( So Young Yoon ),이우학 ( Woo Hak Le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10 동화와 번역 Vol.19 No.-

        ??앨리스??에서 가장 특징적인 문학적, 언어적 요소는 언어유희이다. 언어유희가 발생하는 것은 소리음의 유사성으로 인해 생기는 청자의 오인이 주된 것이다. 이 현상에 착안해, 소리음(기표)의 유사성이 초래하는 새로운 기의의 대두가 색다른 기표를 발생시킨다는 것의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즉 언어유희가 발생할 때 기표가 부재하게 된다. 언어유희는 언어를 아버지와 접목시킬 때 기표의 부재가 갖는 의미를 아버지의 부재라는 주제와 결부해 살펴볼 수 있다. 언어유희를 경험하는 것은 아버지가 부재하고 있는 환상공간에서 아버지의 언어를 전복하는 놀이를 통해 새로운 언어에 대한 통제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는 주체로서 언어를 획득하는 과정이 말장난이 발생하는 상황과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언어유희와 주체화의 관계를 기표의 부재라는 틀로 조망해 봄으로써 그 의미와 양상을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또한 말장난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과연 언어적 권력이 존재하고, 언어의 주도권이 이동하는지를 살펴봄과 동시에 언어적 권력의 주도권이 누구에게 있는가에 따라 어떠한 양상의 말장난이 일어날 수 있는가를 설명할 수 있다. 환상의 공간에서 만나게 되는 다양한 존재들과 소통하는 앨리스는 색다른 언어의 세계 즉 언어유희를 통해, 아버지/ 언어의 세계를 전복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부연하면 언어를 아버지의 세계라 할 때 앨리스가 대화하고 유희하는 세계는 바로 말장난의 세상이다. 환상공간에서 펼쳐지는 언어세계는 기표의 증식과 대체 및 기의의 미끄러짐 등 언어의 놀이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기표의 부재와 재생산에 걸친 제반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앨리스??를 언어/ 아버지의 의미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더불어 앨리스가 경험하는 환상세계의 언어가 앨리스의 주체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가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It is well known that Alice in Wonderland(1865) by Lewis Carroll is filled with a variety of wordplay. It is a salient text to investigate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wordplay. Among diverse functions of wordpla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play and subjectification.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meaning of absent fa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language, and how Alice accomplishes subjectification as a speaking subject. When wordplay occurs, speakers’ signifiers are replaced with listener’s different words with similar sound effects. In so doing, after the former signifiers became absent, the latter different signifiers are newly expressed. If wordplay includes absence of signifiers, absent signifiers can be referred to as absent father. Also, it can be seen the possibility that the spot wordplay occurs can be a place of hegemonic shift of language power between characters. In this respect, wordplay functions as a tool for subversion of language power. Diverse characters in Wonderland, such as a caterpillar, Griffon and Mad hatter, play important roles for Alice to learn new rules and order in the fantastic place through their own languages. In particular, subjectification of Alice as a speaking subject can be achieved through experiencing a variety of wordplay and managing to digest tricky phrases. In conclusion, wordplay in Wonderland is so-called play on words, thus carrying a vehicle to try to subvert father’s language in fantastic space. Like playing with words down the rabbit hole, Alice can achieve subjectification through playing with words in Wonderland.

      • KCI등재

        중년기,노년기 여성들의 경험적 성생활에 관한 질적연구

        이소원 ( So Won Lee ),김찬우 ( Chan Woo K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성을 기능중심 관점에서 해석함에 따라 세대 간 성인식 분절화 현상을 심화시켜왔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세대 통합적 맥락에서 중년기와 노년기 여성들이 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년기와 노년기에 속한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질적분석방법을 통해 두세대 간 성생활 인식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되지 않은 성’, ‘소통의 시공간’, 성 주체간의 역동성,성생활 지속성과 관련한 삶의 경험 , 타 세대에 대한 성인식..과 같은 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고, 각 상위범주 별 성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공통점으로는 성생활의 첫 경험과 관련하여 생소한 경험, 당황스러움과 쾌감이 공존한다는 것, 또한 성생활을 소통의 시공간으로 인식한다는 점이다. 둘째, 세대 간 차이점으로는 중년기 여성들은 성적 욕구를 표현하고 거부할 수 있는 권리가 있음을 강조하고, 노년기 여성들은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기 어려우며 배우자의 욕구에 순응할 의무가 있다고 보았다. 셋째, 성생활 지속성과 관련한 삶의 경험으로는 중년기는 경제적 안정을 우선시하였고, 노년기는 배우자의 건강상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년기는 타 세대의 성에 대한시각이 차이가 있고, 노년기는 성이 전 세대를 아우르는 삶의 이야기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년기와 노년기 여성의 성적 웰빙(sexual well-being) 관련 담론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ceptions on the sexual relationship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Though sex has been a critical theme of human-beings over their whole lifetimes, the previous studies have distinguished sex of the aged from the one of the middle-aged by focusing mainly on the physical aspects of sexual functioning. Viewing sex as a lifetime issue, this study implemented the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the in-depth retrospective interviews on 12 middle-aged or elderly women. From this analysis 5 key categories were founded including ‘uneducated sex’, ‘time and place of communication’, ‘dynamics between sex actors’, ‘sustainability of sex’, and ‘sexual perception toward other generations’. The study results are followed : First, for both aged-groups the first experience of sex was unnatural and unfamiliar experience but pleasurable, so-called ‘uneducated’. Second, Although both aged-groups perceived sex as ‘time and place of private communication with their partners, the middle-aged showed less reluctance to express their sexual desire and denial than elderly women. Third, the middle-aged women pointed economic security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f sustaining sexual relationship while the elderly mentioned healthy functioning. Lastly, the elderly viewed sex as a whole lifetime story. These findings provoke implications in providing relationship-based interventions to family welfare practice along with the recognition of lifetime approaches with regard to sex of women.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KCI등재

        A Review on the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 in Food Processing and Packaging

        Seong-In Cho,Yong-Rok Kim,Joon Woo Lee,Dae-Sup So,Yong-Jin Cho,Hyun Kwon Suh,Tu San Park,Seoung-Im Oh,Ji-Eun Im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0 산업 식품공학 Vol.14 No.4

        Currently, nanotechnology is widely appli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is rapidly emerging as a promising future technology. In food industries, nanotechnology is used to enhance food quality and safety. Numerous cutting-edge studies on the advantages of nanotechnology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food processing, food ingredients and additives, food packaging, and food engineering for optimal health. The market for these areas of research has grown steadily, 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do so. Because of this, R&D for nanotechnology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in food industries is being performed by several companies, as well as in academic research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This review describes the recent global R&D trends that have been in progress for two key areas: food processing and food packaging.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6)

        김재홍,황동규,전재홍,김윤석,김중환,김용준,이창균,임동진,김현수,조창근,김경문,박상훈,전우형,김희성,이호정,차명수,김갑형,김형석,김석우,황지환,박병순,권오상,이민수,송기훈,성소영,이인섭,부태성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2

        Background :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e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m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Objective &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D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an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Results: In 1996, 139 strains of N. 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53(39.0%) were PPNG.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s that after a peak of 74.3% in 1993,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is gradually declining.

      • 메조포어 물질을 이용한 TiO_2의 제조와 광촉매 산화반응에의 적용

        이한수,윤봉국,우창수,김소영,He, NongYue,이호인 한국공업화학회 2003 응용화학 Vol.7 No.1

        TiO_2-loaded mesoporous materials were prepared by sol-gel method. Mesoporous materials suppressed the phase transformation of TiO_2 from anatase to rutile and increased the bandgap of TiO_2 which was explained in terms of the quantum size effect. Several kinds of nano-sized TiO_2 with particle sizes of 5∼20 nm, were obtained through the removal of the mesoporous materials by etching in 2 M NaOH or the calcination under air condition. They showed good activites in the photocatalytic oxidation of 2-isopropyl-6-methyl-4-pyrimidinol.

      • KCI등재

        8.3% Carbamide Peroxide 함유 펜 형 자가미백제인 BIancTis Forte의 색조개선 및 안전성에 관한 임상연구

        이진경,민선홍,홍성태,오소람,정신혜,황영혜,유성엽,배광식,백승호,이우철,손원준,금기연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2

        This clinical study evaluated the whitening effect and safety of polymer based-pen type BlancTis Forte(NIBEC) containing 8.3% carbamide peroxide. Twenty volunteers used the BlancTis Forte whitening agent for 2 hours twice a day for 4 weeks As a control. Whitening Effect Pen (LG) containing 3% hydrogen peroxide was used by 20 volunteers using the same protocol. The change in shade (ΔE^(*) color difference) was measured using Shadepilot™ (DeguDent) before, during and after bleaching (2 weeks, 4 weeks and postbleaching 4 weeks). A clinical examination for any side effects (tooth hypersensitivity or soft tissue complications) was also performed at each check-up.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displayed a noticeable change in shade (ΔE) of over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 (p>0.05) implying that the two agents have a similar whitening effect. 2 The whitening effect was mainly due to changes in a and b values rather than in L value (brightnes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change in b value thus yellow shade than the control(p < 0.05) 3 None of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f tooth hypersensitivity or soft tissue complications confirming the safety of both whitening agents 8.3%의 carbamide peroxide를 함유한 펜형 코팅용 미백제인 BlancTis Forte (NIBEC, Seosul & JinCheon)를 실험군으로, 3% hydrogen peroxide를 함유한글 Whitening Effect Pen (LG. Seoul) 제재를 대조군으로 각각 피험자 20명에게 2시간씩 1일 2회 제조사의 지시대로 치아표면에 4주간 적용하도록 지시하고 색조개선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미백 효과는 미백 전 및 미백 2주, 4주 및 미백 종료 4주 후에 Shadopilot™을 이용하여 색 변화를 측정하였고, 매 내원시기마다 모든 환자는 치수생활력 검사와 치주 및 치태 검사를 통해 부작용 여부 (치아과민증 및 구감 내 연조직의 부작용)를 기록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실험군 및 대조군의 색 변화량 (ΔE)은 2이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색 변화를 보였으며, 두 제품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p > 0.05) 유사한 미백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2,미백효과는 명도의 개선보다는 주로 a. b값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특히 실험군에서 b값의 변화, 즉 황색조의 개선효과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0.05). 3.치아나 치은의 과민증이나 이상증상을 호소하는 피험자는 없어 두 제품 모두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사지 체벽 복합기형 1례

        우종진,조석재,박소정,박재복,김용진,조경일,이헌수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3 계명의대학술지 Vol.12 No.3

        Limb body wall complex(LBWC) has been included in the spectrum of defects seen in early amnion rupture sequence. LBWC is a complicated fetal malformation with essential features of exencephaly or encephaloceles associated with facial clefts, lateral body wall defects with evisceration of organs, and limb defects. Our case i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craniofacial anomalies and normal development of urogenital system comparing with other repoerted cases. We present a case of LBWC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백혈병환자에서 Liposomal Amphotericin B로 치료된 파종성 Fusarium 감염 1예

        이지연,김성범,박대원,신성희,김용현,윤소영,엄중식,최철원,정희진,김우주,김준석,김장수,이갑노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5

        Fusarium spp.는 사람에서 드물게 각막염, 조갑진균증, 상처나 화상부위감염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면역저하자에서 기회감염의 원인균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면역저하자에서 파종성 감염이 있는 경우에 예후는 치명적이나, 증례가 많지 않고 진단방법이 제한되어 있어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쉽지 않다. 그러나 특징적으로 피부병변의 동반이 흔하여 면역저하자에서는 피부 병변의 면밀한 관찰과 함께 Fusarium 감염을 조기에 의심하여 피부생검이나 배양을 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파종성 Fusarium 감염의 치료로는 감염 부위의 국소적 외과적 절제와 전신적 항진균제의 사용이 필요하고 현재까지는 amphotericin B가 비교적 효율적인 항진균제로 알려져 있으나 면역저하자에서 이에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관해유도화학요법 시행 후 호중구감소상태에서 피부병변과 폐침윤이 발견되었고 피부의 중심부 궤양을 동반한 구진성 병변에서 배양검사를 통해 파종성 Fusarium 감염을 진단하였으며 liposomal amphotericin B (AmBisome )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Fusarium spp., basically a superficial pathogen, is a newly emerging fungal pathogen of opportunistic infections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At present, although Fusarium spp. are relatively resistant to amphotericin B, the combination of amphotericin B and surgical debridement appear to be optimal treatment for disseminated infection. Recently we experienced a 32-year-old neutropenic patient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for acute myelocytic leukemia presented with skin lesions and infiltrations in both lungs. We diagnosed with disseminated fusariosis by skin culture and successfully treated the patient with liposomal amphotericin B. We emphasize a high index of suspicion for skin lesions especially in immunocopromised patients.

      • 加工用 菜蔬에 關한 硏究 (Ⅰ) : 加工用 오이의 品種에 關하여 On varieties for processing cucumber

        李愚昇,朴小守 慶北大學校 1972 論文集 Vol.16 No.-

        In order to select the better varieties for pickling use, the authors studi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yields of cultivated cucumber varieties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Yields per plant was the highest in Sa-Yeup, Sung Ho Won-Chung Jang, Sung Ho Won-New No. 1, KeRyang-Seoul Madi and Chung Yong-Sam chuck in order. 2. The nember of fruit set per plant was the most in Sung HO Won-Chung Jang, Sung Ho Won-New No. 1, KeRyang-Seoul Madi, Sa-Yeup and Chung Yong-Sam chuck in order. 3. Yields percentage of salt pickling was 62% to 72%. 4. The varieties of Sung Ho Won-Chung Jang, Sung HO Won-New No. 1 and KeRyang-Seoul Madi were similar in the plant growth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fruit. On the other hand, Sa-Yeup and Chung Yong-Sam Chuck were similar. 5. It was postulated that Sa-Yeup variety was the best in processig because sarcocarp was delicacy, placenta was small, and yield was the most among the varieties used for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