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攸比鼎>의 특징과 명문의 새로운 해석

        박재복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3 문화와예술연구 Vol.1 No.-

        본고는 선행연구의 연구 성과들을 토대로 본기물의 銘文에 대한 여 러 이견을 정리함과 동시에 새로운 각도에서 글자를 隷定하고 현대어 역과 역주를 진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새로운 의견을 도 출해 내었다. 먼저, 기물의 명칭은 그동안 < 比鼎>․<鬲攸从鼎>․<鬲攸比鼎> ․ <鍋攸从鼎>․ < 攸从鼎>․ < 攸从鼎>․< 攸從鼎>․ < 傱鼎>․ < 从鼎>․< 攸比鼎>․< 攸比鼎>․<攸比鼎> 등과 같이 다양하 게 불러졌는데, 본고에서는 자형분석을 통해 < 攸比鼎>으로 비정하 였다. 둘째, 기물의 연대에 대해 선행연구에서는 대체로 厲王․宣王․西周후 기로 분류하고 있는데, 기물의 기형과 문양, 명문의 내용과 서풍을 토 대로 < 攸比鼎>을 西周후기 厲王 32년에 제작된 기물로 추정하였다. 셋째, ‘ ’자의 해석에도 ‘鬲’․‘鍋’․‘ ’․‘ ’․‘ ’․‘ ’ 등으로 다양한 이견이 존재하였는데, 자형을 근거로 ‘ ’자로 예정하고, 商周시기 기 물과의 비교를 통해 이 글자가 ‘盉’의 初文임을 새롭게 증명해 내었다. 넷째, 比는 攸衛牧과의 소송에서 승소하고 이미 ‘攸’땅을 돌려받 았기 때문에 ‘ 攸比’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돌아 가신 할아버지 丁公과 아버지 惠公을 위한 존귀한 鼎을 만들게 되었 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섯째, 皇祖는 商代의 유풍과 같이 干支를 사용하여 ‘丁公’이라 하고, 皇考는 周代의 풍습을 따라 ‘惠公’이라고 호칭하였다. 어쩌면 比의 조상은 상나라 계통으로 서주 초․중기에는 殷遺民으로 상의 풍습을 계승해 오다가 아버지 때에 와서 주나라 방식으로 시호를 바 꾸어 완전히 서주에 동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虽然不知道< 攸比鼎>的发现时间和地点,但可推测最迟到淸晚期 已经被发现,并被陆心源、端方等金石收藏家为收藏。此后在许多著 录上收录拓本和相关内容,铭文的具体考证是从杨树达先生最早开始 进行的。 有关本器物的名称是有< 比鼎>、<鬲攸从鼎>、<鬲攸比鼎>、 <鍋攸从鼎>、< 攸从鼎>、< 攸从鼎>、< 攸從鼎>、< 傱 鼎>、< 从鼎>、< 攸比鼎>、< 攸比鼎>、<攸比鼎>等。目前 学界对该器物的名称也还有不同的意见,所以本文通过对字形的具体分 析可确定为< 攸比鼎>。 有关本器物的年代,先辈学者将其大体归属于西周晚期的厉王、宣王 时期。本文将其器物的器形、纹饰和铭文的内容、书风来分析,< 攸 比鼎>的年代可推定为西周晚期厉王三十二年。 ‘ ’为作器者的族氏,而其也有‘鬲’、‘鍋’、‘ ’、‘ ’、‘ ’、‘ ’等多 样的解释。本文中对先辈学者们的论点一一进行了考证,以字形的结构 来分析,可以隶定为‘ ’,并且通过比较目前所出土的商周时期器物的 器形,可以证明其字形是‘盉’字的初文。两字用法略有不同,即‘ ’为象 形字,主要用于氏族的名称;‘盉’为形声字,主要用于器物的名称。 < 攸比鼎>的铭文皆为10行98字,其中‘虢旅’没有重文符号,只有 ‘子孙’两字中有重文符号,因此本铭文实际是10行100字。本文在前辈 学者们的研究成果的基础上,与有关‘ ’的< 比盨>(25年)和< 比簋盖>(32年)的铭文对比,将每一个字重新地隶定,再用韩文翻译,将其 中较难理解的字加了注释。铭文的主要内容是‘ 比’和‘攸卫牧’之间关于 攸地诉讼的事情。比向厉王告发攸卫牧,厉王让史南和虢叔旅来负责 这件事。比最终胜诉,收复‘攸’地,因而称为‘ 攸比’。不仅为了纪念 这一件事情,还为了祭奠皇祖丁公、皇考惠公,铸造了这一件尊鼎。 本铭文记录了西周晚期诸侯之间关于土地诉讼的情况,为研究西周时 期的法制、土地提供了参考资料。特别值得注意的是,皇祖以干支定为 ‘丁公’,用为商代遗风的谥法;皇考用周代的谥法来定名惠公。这些可 推测也许比的祖先是商系统,到西周时期变为殷遗民,皇祖时仍然继 承商遗俗,到皇考时才吸收周的风俗,那时才真正同化为周人了。

      • KCI등재후보

        검여 유희강의 인장에 대한 연대고증 및 성향분석

        박재복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와예술연구 Vol.18 No.-

        검여 유희강(1911-1976)은 북위 서풍으로 현대 한국서단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한 서예가이다. 그는 전각에서도 두각을 나타냈지만 그의 전각작품을 심도있게 고찰한 논고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검여의 유품 중에 전해지는 인장 실물과 그의 서화작품에서 확인되는 낙관의 인영을 총 정리하고 제작연대와 작 품성향을 분석해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내용을 도출해냈다. 첫째, 검여가 직접 새긴 인장은 33점 23세트로, 1952-1966년 사이에 집중되며, 1962년 검여서원 개설을 기점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눌 수 있다. 본고에서는 검여 서화작품에서 20점 14세트의 인장을 새롭게 찾아내어 정리했다. 둘째, 전기는 등석여와 조지겸을 중심으로 청대 서가들의 전각을 두루 섭렵해 전각을 본격적으로 학습했으며, 후기는 오창석의 각풍에 주로 심취하면서도 금문과 한인의 자형 결구에 등 석여의 필세를 가미해 중후한 자신의 각풍을 구사하고 있다. 셋째, 검여의 전각돌은 대부분 한국 해남석을 사용했고, 전각기 법은 청대 서예가의 영향을 받아 충도법을 주로 사용했다. 특히 후기에는 오창석의 각풍을 구사하면서 한인과 육조 해서의 강인 한 필선을 전각에도 도입해 중후한 전각 기법을 구사했다. 넷째, 지인이 검여에게 새겨 준 인장은 21점 11세트로, 1964-1973년 사이에 집중된다. 또한 대부분 인장 실물이 현재까지도 보존되어 있어 1964년 이후 우수서와 좌수서 서화작품 에서 모두 확인된다. 다섯째, 검여의 작품에서 자신이 새긴 1-3번 인장과 여초가 새긴 24-26번 인장, 철농이 새긴 27번 인장이 검여의 우수기와 좌수기의 작품에서 낙관인으로 자주 사용됐고, 석봉이 새긴 32번 인장과 석불이 새긴 33번 인장이 두인으로 종종 사용됐다. Geomyeo(劍如) Yoo Hee-gang(柳熙綱, 1911-1976) is a calligrapher who led a new change in the modern calligraphy part of Korea with Běiwèi(北魏) calligraphy style. Although he excelled not only in calligraphy but also in seal engraving, there have been no articles that have studied his seal engravings in depth so far.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eal seal handed down among the remains of Geomyeo(劍如) and the imprint of signature confirmed in his calligraphy and painting works are summarized, and the production date and work tendency are analyzed to derive the following meaningful contents. First, the seals engraved by Geomyeo(劍如) are 23 sets of 33 works, concentrated between 1952-1966, and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starting with the opening of Geomyeo's calligraphy academy in 1962. Among them, the seals of 14 sets of 20 pieces were newly found and organized in this paper. Second, in the first half, he studied all the seal engravings of Qing dynasty calligraphers, centered on Dèngshírú(鄧石如) and Zhàozhīqiān(趙之謙). In the latter period, he is immersed in WúChāngshuò(吳昌碩)'s style, but uses his own profound angular style by adding the stroke of the brush of Dèngshírú(鄧石如) to the shape of the epigraph and Han seal(漢印). Third, most of the engraving stones of Geom-yeo(劍如) used Korean Haenamseok(海南石), and the engraving technique mainly used the Chungdo method(沖刀法), influenced by the calligraphers of the Qing dynasty(淸代). In particular, in the latter period, he used the engraving style of WúChāngshuò(吳昌碩) and introduced the strong brush strokes of Han seal(漢印) and the Liù Cháo(六 朝) into the engravings to make full use of the profound engraving technique. Fourth, the seal given to Geomyeo(劍如) by an acquaintance was 11 sets of 21 works, which were concentrated between 1964 and 1973. In addition, most of the seals have been preserved to this day, and can be found in both right-handed and left-handed calligraphy and paintings since 1964. Fifth, seals 1-3 engraved by Geomyeo(劍如), seals 24-26 engraved by Yeocho(如初), and seals number 27 engraved by Cheol-nong(鐵農), It was often used as the imprint seal in the works of Geomyeo(劍如)’s in both right-handed and left-handed calligraphy works. And seal 32 engraved by Seokbong(石峯) and seal 33 engraved by Seokbul(石佛) were used as a stamped seal on the top of work(頭印).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국 요고의 연원과 변화양상 고찰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목제 요고의 특징과 연원을 함께 논함-

        박재복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9 문화와예술연구 Vol.14 No.-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origin and change patterns of Yo Goin China,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solidarity of wooden Yo Go excavated in July 1999 at Yi Seongsanseong Fortress in Hanam, Gyeonggi Province. Of the Yo Go objects currently unearthed on the Korean Peninsula, only two were a wooden Yo Go from Yi Seongsanseong Fortress and a pottery Yo Go excavated from the site of Naseong-ri in Yeongi-gun, South Chungcheong Province before the Goryeo Dynasty. Pottery Yo Go in Naseong-ri was currently belonging to the earliest that real data, but the form of features are an early form of Yo Go and instruments, because different. Used more about what a careful study is needed. There are two views on the production of the wooden Yo Go excavated from the fortress, which is now considered to be from the Goguryeo and Unified Silla periods. According to the formative features of wooden Yo Go, it is different from the waist-length version of Yo Go painted in the Goguryeo mural, but rather more similar to the shape of Yo Go by Shari-gi of Gamun Templ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t would have to be reconsidered to conclude that Yo Go excavated from Yi Seongsansong is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only with its current formative features.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 actual data related to Goguryeo cannot be directly verified. We hope that the actual data on Yo Go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ill be further excavated and reported so that the discussion on it can be further expanded. 본고는 1999년 7월에 경기도 하남시의 이성산성(二聖山城)에서 출토된 목제 요고(要鼓)의 특징과 사용연대를 규명하기 위해 중국 요고의 연원과 변화양상을 심도 있게 고찰한 것이다. 현재 한반도에서 출토된 요고 실물 중에서 고려시대 이전에 속하는 것은 2010년 충남 연기군 나성리 유적에서 출토된 도제 요고와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목제 요고 2점뿐이다. 전자는 백제(5세기 후반)의 것으로 현재 가장 이른 시기에 속하는 실물자료이지만 그 형태적 특징이 초기형태의 요고와 상이하기 때문에 악기로 사용된 것인지에 대해 좀 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목제 요고의 제작연대에 대해 현재 고구려와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보는 2개의 견해가 존재한다. 목제 요고의 형태적 특징을 보면, 고구려 벽화에 보이는 요고의 중간 부분이 가느다란 특징보다는 통일신라시대 감은사 사리기의 요고상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필자가 보기에 이성산성의 요고는 중국 북위시대(北魏: 386∼534)에 속하는 산서(山西) 대동(大同) 운강석굴(雲岡石窟)의 요고, 하남(河南) 공현석굴(鞏縣石窟)의 요고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진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목제 요고의 제작연대를 고구려(475년 이후)까지 소급할 개연성이 충분하다. 결론적으로 현재 형태적인 특징만으로 이성산성의 요고를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단정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다만 현재 고구려와 관련된 요고 실물 자료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쉽다. 차후 삼국시대 요고에 관한 실물 자료들이 추가적으로 발견되어 이에 관한 논의가 심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전기영동법 (SDS-PAGE, PAGIF)에 의한 잔디 분류에 관한 연구

        박재복,김영후,이수영 한국잔디학회 1991 한국잔디학회지 Vol.5 No.1

        This experiment was execu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taxonomic method through the isoelectric focusing with polyacrylamide gel and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ith seeds in the identification of turfgrasses. Th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seed proteins which were extracted from 18 cultivars of cool season turfgrass and 4 cultivars of warm season turfgrass. The isoelectric focusing with polyacrylarnide g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ctivity of the three isozymes of esterase, peroxidase and phosphoglucose isomerase which were extracted from 18 cultivars of cool season turfgrass and 4 cultivars of warm season turfgras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fference of the patterns of seed proteins was observed with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identification of intra-genus was easily detected. 2. The three isozymes of esterase, peroxidase and phosphoglucose isomerase were investigated through isoelectric focusing with polyacrylamide gel. As a result, esterase was most effective among three isozymes in the identification of turfgrass cultivars 3. In the past cultivar identification was primarily based on visual morphological characters, but there was a lot of difficulty. If we should use electrophoresis, we will be able to identifvturfgrass cultivars more effective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