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정환의 번역동화 「호수의 여왕」에 대한 고찰

        이정현 ( Jung Hyun Y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7 동화와 번역 Vol.13 No.-

        방정환은 1921년에 오스카 와일드의 동화 「행복한 왕자」를 번역, 발표한 이후 계속해서 동화를 번역하여 발표하게 된다. 1922년 7월에는 『사랑의 선물』을 간행함과 동시에 『개벽』 7월호와 9월호에 2회에 걸쳐 아나톨 프랑스의 작품 「호수의 여왕」을 번역하여 발표했다. 아나톨 프랑스의 작품 중에는 「호수의 여왕」이라는 제목의 작품이 존재하지 않지만, 이 제목과 동일한 제목의 작품이 아나톨 프랑스의 창작 동화로써 『세카이도우와호교쿠슈(世界童話寶玉集)』에 쿠스야마 마사오(楠山正雄)의 번역으로 실려 있다. 필자는 졸론 「방정환의 번역동화와 『모한가테이분코(模範家庭文庫)』에서 『사랑의 선물』의 다섯 번 째 동화 「한네레의 죽음」이 『세카이도우와호교쿠슈(世界童話寶玉集)』에 실려 있는 미즈타니 마사루(水谷勝)역 「한네레노 쇼우텐(ハンネレの昇天)」을 저본으로 해서 번역한 것에 대해 논했다. 방정환은 「호수의 여왕」에도 「한네레의 죽음」과 같이 일본어 저본에 실려 있는 3점의 삽화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어, 「한네레의 죽음」의 번역에 연이어 「호수의 여왕」을 번역해 개벽에 실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 삽화는 모두 오카모토 키이치(岡本歸一)의 그림으로 졸론 「방정환의 번역동화와『킨노후네』」에서 논한 바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쿠스야마역과 방정환역의 삽화의 비교 및 내용의 비교분석을 함으로써 쿠스야마역 「湖水の女王」을 방정환역의 저본임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작업을 통해서 근대 한국에의 아나톨 프랑스의 수용에 있어서의 근대 일본의 아동문학의 영향에 대해서 고찰함과 동시에 방정환의 번역의 특징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했다. 이상의 목적으로 고찰한 결과, 방정환의 번역동화 「호수의 여왕」의 저본에 있어서 삽화의 일치, 그리고 내용 면에서도 완역에 가깝게 충실히 번역되어 있는 것 등의 근거로 쿠스야마 마사오역 「湖水の女王」가 그 저본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필자는 쿠스야마가 사용한 저본이 아나톨 프랑스의 원작 "Abeille"가 아닌 앤드류 랑의 "The Story of Little King Loc"임도 확인했다. 방정환은 다만 쿠스야마가 제목까지 바꾸어 번역해 놓은 일본어역을 저본으로 번역을 했을 뿐이다. 내용면에서는 방정환이 1921년에 번역한 「왕자와 제비」를 결말 부분을 재화한 것과 1923년에 번역한 「성냥팔이 소녀」를 번역할 때 한국의 당시 상황을 고려해 번안한 것에 비해 등장 인물인 소인의 성격을 조금 바꾸어 묘사한 것을 제외하면 거의 완역에 가깝다. 그리고 문체의 면에서는 어린이를 생각하여 어린이들이 읽기 쉽게 전문을 한글로 표기하여 한자는 괄호 안에 넣어서 표기하는 등의 배려가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이 작품 뿐 아니라 방정환의 동화에 전반적으로 보이는 특징으로 보이지만 이 작품에서도 그러한 특징이 눈에 띈다. 마지막으로 1920년대 초에 한국에 아나톨 프랑스의 이름과 그의 동화를 소개한 것에는 큰 의의가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fter Bang Jung-hwan translated and announced Oscar Wilde`s fairy tale "The Happy Prince" in 1921, he started to translate more fairy tales frequently. Bang Jung-hwan published Gift of Love on July, 1922, translated and announced Anatole France`s work "Queen of the Lake" over two times in Gebyuk, July issue and September issue at once. Among Anatole France`s work, title that is "Queen of the Lake" does not exist. But this title has created by Kusuyama in Sekaidowahogyokusyu which is a translation of Anatole France`s original fairy tale. The writer discussed that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and the 5th story of "Gift of Love" in Mohankayeibunko` were the origin of Mizutani Masaru a part of "Hannere`s Ascension". It is conjectured that Bang Jung-hwan used the same three illustrations in "Queen of the Lake" as same as "Hannere`s death" which are from original Japanese work, After translation of "Hannere`s death" he translated "Queen of the Lake" then announced in Gebyuk. All these illustrations created by Okamoto Kiichi, and it have mentioned already in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and Kinnohune, so it`s not mention in main contents. Also, I wished to investigate about that investigate about Anatole France`s effect of modern age Japanese juvenile literature in accommodation to modern age Korea through this work and at the same time Bang Jung-hwan`s characteristic of translation. Results investigating by purpose of singularity, queen of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Queen of the Lake" that was translated nearly faithfully into complete version, and contents of illustration by Kusuyama Masao "Queen of the Lake" is an origin of Bang Jung-hwan`s translation. And the writer confirmed Bang Jung-hwan used Andrew Lang`s "The Story of Little King Loc" as an origin not from Anatole France`s original work "Abeille". Bang Jung-hwan used original work for the translation, instead of using direct Japanese translation which Kusuyama translated. It is almost complete translation except the end part of "The Happy Prince" that Bang Jung-hwan translated in 1921 and "The Little Match Girl" that translated in 1923 which is considered the circumstance at that time of Korea and changed the personality of the part in that story. Also, used full text in Hangul readably and put all the Chinese characters inside of parenthesis for the children. Commonly these characteristics are seen by visible characteristics in Bang Jung-hwan`s animation as well as this work. Finally, we can evaluate that it was large sense to introduce Anatole France`s name and his fairy tales in Korea in early 1920s.

      • KCI등재

        『오지랖씨』(Mr. Nosey) 번역에 따른 문화적 어려움

        윤소영 ( So Young Yoo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6 동화와 번역 Vol.11 No.-

        아동문학은 다른 나라의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는 하나의 통로이다. 특히 아동문학의 특성, 아이들에게 사회적 교훈과 규범을 작품을 통해 노출시킴으로써 사회적 존재로서의 아이들에게 도덕성, 문화적 규범을 인지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은 아동문학의 한 목적이기도 하다. 그러한 사회 문화적 요소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아동문학 작품의 내용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한편 다른 사회에서 읽히는 아동문학 작품을 번역하여 또 다른 사회의 아동에게 읽히게 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즉 아동문학 번역에 있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은 언어적 측면뿐 아니라 특히 사회,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 많다. 아동 문학 작품을 번역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많겠지만 특히 문화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이 번역가에게 있어 가장 큰 어려움이라 하겠다. 번역가의 번역언어와 원전언어의 차이는 물론 언어학적 다름에서 빚어지는 다양한 현상을 보여준다. 문법적으로 다른 어순, 요소 등에서부터 문화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차이까지 짧은 아동문학서 한 권으로 다룰 수 있는 내용은 구체적이고 다양하다. 『미스터 맨』(Mr. Men)시리즈는 영국에서는 아이들에게 많이 읽히는 동화이다. 길이가 짧고, 다양한 인물 군상을 소개하여 아이들에게 교훈적인 내용을 설파하고 있는 대표적인 동화라 할 수 있다. 각 인물의 이름을 제목으로 취하고 있는 이 시리즈물은 그 제목의 번역에서부터 번역가의 세심한 노력이 요구된다. 각 권의 제목은 인물의 이름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문화적 특성을 담고 있다. 제목은 각 권의 내용을 결정할 정도로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되는 작품은 그 중 『오지랖씨』로, 작품의 그림에서 보이는 이 인물에 대한 모든 것에 착안하여, 번역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화적, 언어적 차이, 어려움을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2장에서는 Mr. Nosey의 성격에 기초한 문화적 특성에 대해 분석을 할 것이고, 3장에서는 언어학적 차이에서 빚어지는 어려움을 논할 것이고, 4장에서는 번역전략상 취하게 되는 손실(loss)과 보충(compensation)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도출해 내고자 하는 바는 번역가의 해독능력의 중요성과 번역가 정신이다. 이는 번역물이 하나의 문화이식이 아닌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리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부각시키면서 동시에 번역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함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고려시대 국학고전의 번역 현황과 과제

        신안식 ( An Sik Shi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7 동화와 번역 Vol.14 No.-

        In Korea`s history, the Koryo Dynasty lasted for 474 years. Despite the long-lasting period of the Koryo Dynasty, it has been less recognized than the Ancient Society and Chosun Dynasty.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professional researchers` academic achievements, people in general feel a lack of knowledge about the Dynasty. With little historical investigation on the Koryo Dynasty, it is difficult to disseminate information about the Dynasty to the general public. In this respect, mor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needed. In particular, more information and translation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status quo. Read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 good source of information for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for researchers. However, it is not easy for those, who are not fluent in Chinese,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due to the fact that the source texts were written in Chinese. As a solution, translating activities are adopted for those who cannot fully comprehend the meaning and the conte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conclusion, suggestions for its systematic management are raised more importantly in order to overcome a variety of difficulties in the translation processes. Most of all, inspection of existing translations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reliability on the precise conte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hat is more significant is that mistranslation should be corrected for genuine understanding to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is can lead to convergence between history and Korean studies.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ities, investigations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strengthened. In addition, for more productive and culturally enhanced aspect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tudies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hould go beyond the realm of (mis)translation and academic approaches.

      • KCI등재
      • KCI등재

        동화콘텐츠의 기독교적 정체성 연구 -루이스의 『나니아』와 페로동화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김정란 ( Jeong Lan Kim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11 동화와 번역 Vol.21 No.-

        유럽 문화의 바탕에는 적어도 두문화, 즉 히브리-기독교 전통과 헬라-로마전통이 공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동화콘텐츠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기독교문화로 동화의 정체성을 찾아본 연구이다. 페로동화를 대표자료로 전래동화와 기독교적 전통이 상대적으로 잘 드러나 있는 판타지동화 『나니아』의 공유성을 기독문화의 관점으로 동화학이라는 자율학문 영역을 타진하기 위함이었다. 페로와 루이스가 관심을 표명한 <프시케>신화에서 두 작가 모두 신과의 대면문제에서 기독교적 해석을 하고 있었다. 그리스 신화는 신과 마주하면 벌을 받고 불행해지는 이야기이나 페로와 루이스는 신과 마주하는 자리가 인간이 참 행복을 누리는 제자리임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텍스트 내용해석방법으로 『나니아』를 읽은 결과 동화나라의 특징은 존재하나 보이지 않는 다른 세계, 즉 천국과 창조주를 상상의 그림자나라와 사자 아슬란으로 보여주는 이야기로 정의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페로동화나 『나니아』를 맛보는 것은 문학과 역사를 탐구하는 것보다는 천국의 참맛을 상상하고 감동하는 상상문화의 영역이 되어야 할 것이다. 모든 문학이 다 상상문화일 수 있지만 동화는 상상의 영역이 천국이라는 점에서 일반문학과 분리되는 기독상상문화에서 자율학문의 영역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작중인물들은 참아슬란과 대면하는 천국의 제자리를 찾아 영원한 행복을 누리는 인물들과 딴자리로 간 인물들로 나눌 수 있었다. 기독교적 유추가 상대적으로 더 직접적인 『나니아』의 주인공들은 아슬란이 초대하고 훈련을 받은 인물들로 승천하신 참아슬란과 함께 천국의 아침을 맞이하는 인물들이다. 반면 딴 자리에 간인물들은 아슬란을 부인하거나 상관없다 생각하는 인물로 전쟁과 사망과 폐허를 택한 인물이다. <옛날 옛적에>는 천국에 대해 두 동화가 공유한 표현으로 시공을 초월한 다른세계로 들어가는 지표가 되는 표현이었다. <그리고 행복하게 살았다>라는 표현을 페로동화와 『나니아』에서는 직접 사용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두 동화왕국은 시작과 끝이 있어 잠시 머무르는 천국의 모형 또는 그림자나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국은 이 세계의 끝에서 맞이하는 영원한 참왕국의 아침잔치에서 동화저자가 할 수 있는 표현이 있다면 그것은 “그곳에서 그들은 영원히 행복하였다” 일뿐임을 밝혀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페로동화와 루이스의 『나니아』는 300년이라는 시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옛이야기 맛을 살리며 천국을 보여준 기독교 상상문화에 속하는 작품이라는 공통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성경이라는 밥을 소화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어려서 즐겨마시던 부드러운 옛이야기라는 음식으로 내어놓은 동화는 진리를 옛이야기맛으로 동경하는 것으로도 성경과 같은 생명력을 보장받을 것이다. 또한 끝이 있기에 소망을 가질 수 있는 동화왕국은 누구나 참왕국으로 향하는 과정에서 한 때머물렀던 그 기억만으로도 제자리 본향인 참왕국으로 기쁘게 향할 수 있는 세계관을 심어주는 귀하면서도 값진 문학과 신학의 중간지대 문화의 영역이 될 것이다. 페로동화와 『나니아』는 어느 매체에 그 콘텐츠를 담던 기독교문화로서의 진리와 기쁜 잔치집의 재미가 나란히 가야 할 것이다. son monde et choisissent la guerre, la mort et la destruction selon les desirs de la sorciere. L`examen des diverses manieres d`exprimer la notion de paradis mises en œuvre par Lewis et Perrault permet de reperer en particulier l`expression suivante: ≪il etait une fois≫. Elle indique une transcendance du temps et de l`espace vers un autre monde. Par contre, l`expression ≪et ils vecurent heureux pour toujours≫ n`est reprise ni par Lewis, ni par Perrault. En effet, les royaumes decrits dans leurs œuvres n`ont pas d`ancrage dans le temps ni dans l`espace. Cependant, en definitive, les seules expressions utilisees par les deux auteurs pour decrire le veritable royaume de l`eternite implique la notion de ≪vivre heureux pour toujours≫. En conclusion, le Narnia de Lewis et les Contes de Perrault, bien que publies de 300 ans d`intervalle, donnent une vision commune du paradis a travers leurs references aux contes de fees, reprenant ainsi l`imagerie traditionnelle de la culture chretienne. Les auteurs offrent leur verite sous la forme adoucie d`une histoire qui peut etre facilement appreciee et integree par un public qui aurait ete par ailleurs plus refractaire aux histoires extraites de la Bible. De plus, le royaume des contes de fees qui offre un but represente une zone transitoire entre la litterature et la theologie. De meme, c`est une zone transitoire qui donne une nouvelle dimension au monde et prepare a accomplir joyeusement le pas vers le royaume reel. La verite et la joie, en tant qu`aspects de la culture chretienne, devraient s`accorder avec le contenu des Contes de Perrault et du Narnia de Lewis, quelque soit l`image propagee par les medias. Dans la culture europeenne, coexistent au moins deux traditions: judeo-chretienne et greco-romane. Toutefois, peu d`etudes de contes de fees ont ete realisees dans une perspective chretienne. La presente etude a principalement pour but de mettre en evidence les caracteristiques communes entre les Contes de Perrault et The Chronicles of Narnia de C.S. Lewis. sous l`angle de la perspective chretienne. Etant donne l`interet partage de Perrault et de Lewis pour le mythe de Psyche, la relation des hommes au divin est interpretee dans une perspective chretienne et non pas selon la tradition greco-romaine. Alors que la mythologie greco-romaine souligne les risques de la confrontation au divin, Perrault et Lewis choisissent d`interpreter le lieu de cette confrontation comme un endroit ou les etres humains doivent retourner pour satisfaire leur quete du bonheur. D`apres notre interpretation methodique des deux textes, Lewis et Perrault se referent a un ``Shadowlands`` lorsqu`ils evoquent le royaume du paradis celeste. Dans Narnia, certains personnages retournent a leur territoire propre du veritable bonheur tandis que les autres vont ailleurs. A l`oppose, les autres personnages de Narnia, ceux qui aboutissent a ≪d`autres endroits≫, sont ceux qui ont rejete Aslan ou bien sont indifferents a

      • KCI등재

        강소천 장편동화의 서사학적 연구 -장편동화 「해바라기 피는 마을」을 중심으로-

        이종호 ( Jong Ho Le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8 동화와 번역 Vol.15 No.-

        This study provides narr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Kang Sho-cheon’s full-length fairy tales by analyzing the Kang Sho-cheon’s, “Village Where the Sunflower Blooms” in terms of layered stories, characters and narrations.” First, “Village Where the Sunflower Blooms” is narrated in a unitary story structure, based on Jung-hee’s narration, and can be defined not only as a ‘consecutive plot’ in time sequence, but also as a ‘fortunate plot.’ In the present work, ‘Jung-hee’ finds courage and hope to overcome bitter trials while reconnecting family ties that were dissolved due to the Korean War. She unravels a complicated matter among her friends, thereby suggesting a prospect of resolving the matter. In addition, poor s and rich characters are described as opposing each other, thereby questioning the historical and social problems confronting the dissolution of family relations directly after the Korean War. This simultaneously generates ideological significance, importing that interest and love such as recovery of family relations are extremely urgent to children. In this regard, other significances are built in that children can live bravely, fairly and hopefully. In the meantime, “Village Where the Sunflower Blooms” is narrated through multiple focalization that primarily include external and internal focalizations, thereby featuring “narration outside the story ? zero focalization ? others’ story” by which various characters can be focalized. By virtue of these focalizations and narrations, the values and world views of imported writers can be understood by maintaining a friendly and affirmative attitude of narration with respect to ‘Jung-hee’ as a heroine and characters maintaining friendly relations with her.

      • KCI등재

        중국어 동화문체의 3인칭대명사 조응결속과 번역

        백수진 ( Su Jin Bae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7 동화와 번역 Vol.13 No.-

        In this paper I analyze how the third person pronouns in a Chinese version of Snow White are translated differently into Korean language by comparing two Korean translated versions of the same fairy tale. The Korean translations used in this analysis differ from each other in that: one is a literally translated text; whereas, the other text is modified according to Korean narrative style. According to the findings, in the original Chinese narrative, third person pronouns are more frequently used in anaphora, while proper nouns and zero-anaphora are seen less often. The Koreanized narrative uses no pronoun at all, while the literally translated version employs as many as three personal pronouns erroneously. The Koreanized version used five zero-anaphoras and five proper nouns for the ten third person pronouns used in the original Chinese text. In addition to that, in the Koreanized version of the Chinese fairy tale, two pro nouns were adopted in place of anaphora of the third person pronouns and proper nouns.

      • KCI등재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의 동물동화 연구

        현온강 ( On Gang Hyun ),이윤희 ( Youn Hee Le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8 동화와 번역 Vol.16 No.-

        In phantasy material, animals have the oldest history. Starting from the era of mythology, human beings -and especially children- have always showed interest in animal stories. In my thesis, I would like to reveal that animal stories in the school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System for Elementary Schools can be classified into fabulous, transactional, human reliable, instrumental or independent materials. To achieve a better life, this material is used to stress the importance of improving virtues of each and every person; textbooks contain 45% related to individual lives, 2% of love, 34% is related to subjects like school, neighbors, social life and virtues to establish personal relations with other people; retribution, freedom, etc. account for 19%, and there is nothing at all related to the country or nationalism. In spite of this fact, animal stories are beloved. Animals are easily prejudiced by us, for the well known facts; and this will not chan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