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아세트酸-물 溶媒系에 의한 木材의 有機酸 蒸解效果

        李宣鎬,趙炳默 江源大學校 林科大學 森林科學硏究所 1993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9 No.-

        무공해 대체 펄프화법 개발의 일환으로 비교적 최근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아세트산-물 용매 중해법을 이용하여 현사시나무와 소나무를 펄프화 하였다. 펄프 특성의 변화에서 현사시나무는 거의 모든 아세트산 중해조건에서 우수한 펄프화 경향을 보였지만 소나무는 저온에서 중해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현사시나무의 최적 중해조건은 중해농도 95%, 중해온도 185℃, 중해시간 0.5hr이었다. 구성당 성분의 거동은 현사시나무와 소나무에서 glucose만이 소량 감소하는 반면 그외의 당성분들은 다량 용출되었다. 폐액중의 용출 아세트산 리그닌에 대한 기초적인 성질을 살펴본 결과 현사시나무의 아세트산 리그닌의 원소조성은 C가 63.88%, H가 5.45%, O가 30.67%이며 C의 formular는 였고 소나무의 아세트산 리그닌의 조성은 C가 61.85%, H가 6.14%, O가 32.01%이며 C의 formular는 이었으며 두 수종의 아세트산 리그닌 중합 평균분자량은 현사시나무가 731이며 소나무는 725였다. There are a lot of serious problum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pulping processes, such as kraft and sulfite. In order to tackle these difficulties, organic acid pulping of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and Pinus densiflora S. et Z. have been investigated as on alternative method. The acetic acid cooking of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achieved good delignification with pulp yields of 55-65% under almost all cooking conditions. In the acetic acid cooking of Pinus densiflora S. et Z., it was not cooked at a low temperature. The strength properties of the acetic acid pulps from Pinus tomentiglandulosa T. Lee showed the optimum with 95% acetic acid concentration at 185℃ maximum cooking temperature for 0.5hr cooking time. The strength properties of the acetic acid pulps from Pinus densiflora S. et Z. displayed excellent tear strength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other softwoods. In the process of acetic acid cooking, glucose has been removed a little, but other sugars have been eliminated. The elemental compositions and formulas of acetosolv lignins from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were 63.88% carbon, 5.45% hydrogen and 30.67% oxygen and . The elemental compositions and formulas of acetosolv lignins from Pinus densiflora S. et Z. were 61.85% carbon, 6.14% hydrogen and 32.01% oxygen and . The Wt.av.MWT's of the acetosolv lignins from Pinus tomentiglandulosa T. Lee and Pinus densiflora S. et Z. were 731 and 725.

      • 광대역 고출력 공간 전력 증폭 소자에 관한 연구

        이성호,권세웅,이병무,윤영중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2 논문집 Vol.33 No.2

        In this paper, spatial amplifier using wideband printed dipole antennas is proposed for spatial power combining. The input and output printed dipole antennas have wide bandwidth of 22 %(5.44 ㎓∼6.75 ㎓) and 26.3 %(5.2 ㎓∼6.78 ㎓), respectively. Gain of the designed amplifier is 9.5 ㏈ at 6 ㎓. As a result, the proposed spatial amplifier using wideband printed dipole antennas and amplifiers shows that the gain is 16.8 ㏈ at 6 ㎓ and 3-㏈ gain bandwidth is 1.04 ㎓.

      • 자동차검사 서비스 품질 현황과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 자동차 검사 이원화제도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Dual Automobile Inspection System

        이병찬,김승호,김진홍 한국의사결정학회 2000 경영과학연구 Vol.9 No.-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the regular automobile inspection system by investigating systematically the condition of service quality in the regular automobile inspection system. Through such an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factors and customers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of service quality factors and customers satisfaction between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direct control organization(KTSA) and Public Permission-Appointed Organization(PAO). The results were high correlations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customer satisfaction has high correlations with human service quality. Especially, KTSA has high correlations with process service quality. PAO has high correlations with physical service quality. But human service is very important to both ca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TSA and PAO in the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t-test results appeared to higher value KTSA to PAO. For a satisfaction of customers on service quality it is especially necessary to enhance human service factor through continuous employee education and training about etiquettes and kindness. Summing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ervice quality including physical service and process service appeared to be importantfactors for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of automobile inspection system.

      • 캔음료중 epichlorohydrin 의분석법에 관한 연구

        이광호,곽인신,최재천,전대훈,김형일,강경모,최병희,김귀정,이철원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캔식품중에 잔류하는 epichlorohydrin을 분석하기 위한 pu링e & trap-Cc/uf통D 분석법을 확립하여 캔의 lacauer 코팅제에서 식품으로 이행되어 잔류하는 epichtorohydfn을 측정하고, 식품유사용매에 의한 용출시험을 통해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하였다. epichlorohydrin의 검량선은 y=0.0006x+0.OO6?(R큰0.9983)의 직선성·라 0.05#ga의 검출한계를 나타내었다. 각종 음료 및 식품유사용매에 일정량의 epichlorohydrin을 첨가한 후 분석하였을 때 회수을은 72~91%였으며, 실제 시판되는 f5건의 캔음료 중 잔류하는 epichlorohydrin을 측정한 결과 모든 캔음료에서 검출한계(0.1#94) 이하였다. 제관업체에서 구입한 modifed epoxy, epoxy phenolic, vinyl organosol, epoxy phenol ester 등의 BADGE(bisphenol A diglycidyt ether)형 에폭시수지로 lacquer 코팅된 식품용 캔에 식품윤사용매인 10% 또는 95% 에탄올을 층L진한 후 90~121'c의 드라이오븐에서 30분~2시간동안 용출시켰을 패 캔의 lacquer 코팅재에서 식품유사용매로 이행되는 epichBorollydirn은 코팅재질, 그리고 가열온도 및 시간에 문관하게 모든 캔에서 검출한계(0.4#ga)이하 였다. 위의 용출결과를 FD.f_의 "Recommendation for Chemistry Data for Indirect Food Additive Petition" 윽 일일추정섭취량 산출법에 적용하여 얻은 epichtorohydrin의 일딜추정 섭 취 량은 0.2r조persorday이하였다. A sensitive ana1?~7tical method based on gas cl)romatogFapy~mass spectrometry with a selected ion monitoring (GE/hfS-Slhf) and the purge-and-trap concentrator ))·asdeveloped for determining ot'epicillorohydrin in canr;ed be)#erages coated with eporl· resin. Thecalibration rurve in the ranre of 0.j ~50nr had'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83 and detection limit of 0.Osrga. Recoveries of epichlorohydrin spiked to beverages were in the range of 72 ~91% with detection limits of 0.1 #ga. fn survey of epichlorohydff in twenty commercialcanned beverage samples, epichlorohydrin was not found in all the samples with the detectionlimit of 0.1 r9a. In migration test of various cans coated with BADGE-based coating cans;modifed epoxy, epoxy phenolic, vinyl organosol, epox?· phenol ester were exposed to the foodsimulants of 10% ethanol and 95% ethanol. flfo delectable epichlorohydrin migrated to foodsiHulants was found in aTl the cars with detection Jimit of 0.4 #9/L. Using the miEration data,along uTith the applicstion of food and beverage cans complied with FDA's "Recommendationfor Chemlstry Data f,3r Indirect Food Additive Petition" , the potential dietary exposure toepichlorohydrin was estlmated to be under 0.2rf/person/day.

      • 선천성 슬개골 탈구 및 치료 1례 보고

        이호승,배병권,윤희석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1

        선천성 슬개골 탈구는 드문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 없이는 정복이 불가능하며 다른 선천성 원인에 의한 재발성 슬개골 탈구와 구별되어야 한다. 본 증례는 생후 5개월 된 남아로 좌측 슬관절 신전 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이학적 검사상 좌측 슬부의 20도 굴곡구축, 좌측 경골의 외전 및 좌측 족부 모든 족지의 외측편위 등의 소견이 동반되어 있었다.단순 방사선 사진상 특이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양측 슬부의 초음파검사에서 좌측 슬개골이 대퇴골 외과(lateral condyle)의 외측으로 탈구된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수술 소견상 슬개골은 슬부 외측으로 탈구되어 있었고 대퇴골 외과는 저형성되었으며 슬개골 외측 지대와 외측 광근의 심한 구축으로 인하여 도수정복이 불가능하였다. 저자들은 선천성 슬개골 탈구 1례에 관하여 슬부의 광범위 외측 유리(release), 대퇴 사두근 중 내측 광근의 전진, 슬개 건 종지부의 내측전이를 이용하여 좋은 수술적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ongenital dislocation of the patella is a rare condition that can not be reduced without operative treatment.It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recurrent or habitual patella dislocation. We experienced a case of congenital patella dislocation.Five months old male admitted for the extension lag of the knee.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flexion contracture of the knee, external rotation of the tibia and lateral deviation of the all toes of the ipsilateral foot.Plain knee radiographs revealed no abnormal findings.An ultrasonographic image demonstrated that the patella was dislocated laterally to the lateral femoral condyle.On the operative field, the dislocated cartilaginous patella and lateral femoral condyle seemed to be hypoplastic, and the lateral retinaculum and the vastus lateralis were contracted.Because of tightness of the lateral retinaculum and the vastus lateralis, the dislocated patella failed to be reduced in any efforts of closed manipulation.After the extensive lateral release, the advancement of the vastus medialis and the medial transfer of entire patella tendon, the patella could be relocated within patella groove of the femur. We report a case of congenital patella dislocation that treated by the operative procedur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주요우울증에 대한 벤라팍신의 효과 및 안전성

        이민수,남종원,강성민,연병길,오병훈,이철,정인과,채정민,백인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6

        연구목적 : 주요우울증 환자에서 벤라팍신의 치료 효과와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해 다기관 개방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DSM-IV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주요우울증으로 진단된 환자중 벤라팍신 투여에 동의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선택된 환자에서 다른 항우울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14일 이상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벤라팍신을 6주간 투여하였으며, 기준점, 1주, 2주, 4주, 6주 후에 HAM-D, MADRS, 그리고 CGI등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기간중 발생된 모든 부작용은 부작용의 발생 및 소설 시기, 심한 정도, 발생 빈도, 벤라팍신과의 관련성, 관련 조치 및 결과에 대하여 증례기록서에 기록하도록 하였다. 결 과 : 총 14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94명(66.7%)이 6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고, 47명(33.3%)이 중도탈락하였다. HAM-D총점수는 벤라팍신 투여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2주,4주, 6주후에도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다. MADRS의 총점수도벤라팍신 투여 1주 후부터 유의한 호전을 나타내었으며, 2주, 4주, 6주 후에도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다. CGI에서도 기준점, 1주, 2주, 4주, 6주 후 각각의 시점 사이에 유의한 호전이 보였다. 활력징후, 일반 혈액학, 생화학, 심전도 검사 등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벤라팍신과 관련된 부작용으로 흔히 보고한 증상은 오심(10.6%), 소화불량(9.5%), 변비(8.5%), 현기증(8.5%)등 이었다. 결 론 : 다기관 개방연구를 통해 주요우울증 환자에 대한 벤라팍신의 투여는 우울증상의 호전에 효과적이었으며 안전하였다. Objective : A Multicenter open-labe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venlafaxine for the tretment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Method : The study was don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diagnosed by DSM-IV who accepted venlafaxine medication. In cases of the patients taking other antidepressants, 6 weeks of venlafaxine medication was carried out after 14 days of drug excretion period and evaluation using HAM-D, MADRS, and CGI was done at baseline, and after 1, 2, 4, and 6 weeks. Regarding all side effects that had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our study such as their developed/disappeared time, severities, incidences, relationship with venlafaxine, managements and results have been putted into the records. Results : A total of 141 patients were enrolled. Among 94 of them finished the 6 weeks of research and 41 of them did not make it through the research. Total HAM-D score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fter 1 week of venlafzxine medication and continous decrease through the study period. Total scores of MADRS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1 week and continuous decrease through the study period. Similarly, CGI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baseline, 1, 2, 4, and 6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vital sign, CBC, chemistry, and EKG. The commonly reported side effects of venlafaxine were nausea(10.6%), indigestion(9.5%), constipation(8.5%), and dizziness(8.5%).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venlafaxine was effective and saf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하치조신경 및 설신경 손상 평가를 위한 한국인 정상 성인의 하순-이부 및 혀의 감각 조사

        이종호,이세영,송승일,이은진,안강민,김성민,명훈,황순정,서병무,최진영,정필훈,김명진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2003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5 No.2

        In the head and neck area, there are so many sensory nerves, which are sometimes injuried iatrogenically or inadvertently so that involved patients complained of the loss of sensations. In such cases, it is important to judge the degree of injuries and regeneration of nerve for better diagnosis and treatment. Seddon and Sunderland's classification, which is commomly used, is focused on histological change and nerve conduction. As times goes by, it is difficult to access patient's sensory disturbance by this method. Until now, so many methods such as contract threshold, direction, two-point discrimination, pin prick, thermal discrimination and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have been introduced for sensory evaluation. However, there hasn't been enough information regarding each methodology nor integrated standard methodology for the measu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Korean adult normative sensory values of lower lip,chin and tongue using modified methods of contact thershold, ditection, two point discrimination, pin prick, thermal discrimination and assess degree of regeneration of sensory nerve damage.

      • 우울증 환자 치료에 있어서 Tianeptine과 Sertraline의 효과와 안전성 비교

        이민수,강성민,기백석,연병길,오병훈,이철,채정민,백인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2

        연구목적: 주요 우울증의 치료에 있어서 티아넵틴과 써트랄린의 임상적 효과와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DSM-IV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주요 우울증의 진단기준에 부합되고 17항목 해밀턴 우울척도 점수가 14점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40명의 환자를 무작위적 방식에 따라 티아넵틴 치료군과 써트랄린 치료군으로 분류하였다. 선탠된 환자에서 다른 항우울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7일 이상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 후 티아넵틴과 써트랄린을 각각 6주간 투여하였으며, 기준점, 1주후, 2주 후, 4주 후, 6주 후에 HAM-D, MADRS, 그리고 CGI, COVI 등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기간 중 발생된 모든 부작용은 부작용의 발생 및 소실 시기, 심한 정도, 발생 빈도, 관련 조치 및 결과에 대하여 증례기록서에 기록하도록 하였다. 결과: 30명(티아넵틴군 15명 ; 써트랄린군 15명)이 6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고 티아넵틴 치료군에서는 1일 37.5mg을 투여하였으며 써트랄린군에서는 1일 평균 64.0±22.5mg을 투여하였다. 본 연구 결과 HAM-D, MADRS, CGI 상에서 두 군 모두에서 치료 1주 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2주 후, 4주 후, 6주 후에도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고 두 군간에 항우울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활력징후, 일반 혈액학, 생화학, 심전도 검사 등에서는 두 군 모두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티아넵틴과 관련된 부작용으로 흔히 보고한 증상은 오심(33.3%), 복부 불쾌감(26.7%), 구강 건조(20.0%), 두통(13.3%)등 이었고 써트랄린 치료군에서는 구강 건조(53.3%), 두통(46.7%), 오심(33.3%), 그리고 식욕 부진(33.3%)등으로 티아넵틴군에서 보다 적은 발현빈도를 보였다. 결론: 티아넵틴은 우울증의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이고, 내약성이 우수한, 안전한 항우울제이다.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ianeptine and sertralin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depression. Method: The study was done on th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diagnosed by DSM-IV, who had a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AM-D) score ≥ 14 on the first 17 items of the HAM-D. A total of 40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ianeptine group and sertraline group. Tianeptine and sertraline were prescribed to each group. 6 weeks of each medication was carried out after 7 days of drug excretion period. Evaluation using 17 item HAM-D, Montgomery and Åsberg Depression Rating Scale(MADRS), 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 (CGI), and Covi Scale was done on the baseline and after 1 week, 2 weeks, 4 weeks, and 6 weeks. Regrding all side effects that had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our study such as their developed/disappeaed time, severitien, incidences, managements and results have been recorded. Results: A total of 30 patients(tianeptine group 15 ; sertraline froup 15) finished the 6 weeks of research. 37.5mg of the daily dose was regularly prescribed to the tianeptine group, the average amount of 64.0±22.5mg of the final daily dose was prescribed to the sertraline group. Total 17 item HAM-D scores, total points of MADRS and CGI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fter 1 week in each treatment froup and continous decrease after 2, 4 and 6 weeks ; and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ianeptine group and sertaline group in the antidepressant efficacy.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vital sign, CBC, chemistry, and EKG in each treatment group. The common reported side effects of tianeptine were nausea(33.3%), epigastic distress(26.7%), dry mouth(20.0%), headache(13.3%) and those of sertraline were dry mouth (53.3%), headache(46.7%), nausea(33.3%), anorexia(33.3%).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ianeptine wa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depressive symptoms and was well tolerated and safe in patients with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