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리더십에 대한 국내 학위논문 연구동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28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리더십 관련 국내 석사와 박사학위 연구논문의 동향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10월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리더십 관련 석.박 사 학위논문 120편을 대상으로 연구문제에 따라 발표시기별, 학위유형별, 연구의 내 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최근 10년간 유아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급 격하게 증가되어 왔다. 둘째, 유아리더십과 다른 변인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와 유아 리더십 증진을 위한 교육활동 및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 으나, 유아리더십의 본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셋째, 유아리더십에 영향에 미 치는 요인은 주로 유아 자신과 어머니와 관련된 변인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사와 관련 된 연구는 미흡하였다. 넷째, 유아리더십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활동은 주로 ‘리더 십’과 ‘셀프리더십’을 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다섯째, 셀프리더십, 창의리 더십, 글로벌리더 모형, 서번트리더십, 대인관계리더십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여섯 째, 유아리더십 검사도구가 개발되었으나, 유아리더십 교육의 방향성이 모호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리더십 관련 국내 석사와 박사학위 연구논문의 동향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10월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리더십 관련 석.박 사 학위논문 120편을 대상으...

      본 연구는 유아리더십 관련 국내 석사와 박사학위 연구논문의 동향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10월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리더십 관련 석.박 사 학위논문 120편을 대상으로 연구문제에 따라 발표시기별, 학위유형별, 연구의 내 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최근 10년간 유아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급 격하게 증가되어 왔다. 둘째, 유아리더십과 다른 변인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와 유아 리더십 증진을 위한 교육활동 및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 으나, 유아리더십의 본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셋째, 유아리더십에 영향에 미 치는 요인은 주로 유아 자신과 어머니와 관련된 변인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사와 관련 된 연구는 미흡하였다. 넷째, 유아리더십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활동은 주로 ‘리더 십’과 ‘셀프리더십’을 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다섯째, 셀프리더십, 창의리 더십, 글로벌리더 모형, 서번트리더십, 대인관계리더십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여섯 째, 유아리더십 검사도구가 개발되었으나, 유아리더십 교육의 방향성이 모호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studies related to this era’s “Young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trends, scrutinizing the current state of “theses for a degree in Young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reviews 120 research papers, written from January of 2005 to October of 2014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It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in this area escalated after 2011, due to the high level of importance attached to having a master’s degree. Second,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practical research and not just research on foundations. Another gap in this research concerns the lack of studies on the educational goal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It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general view, that the educational approach which combines various concepts of leadership has been adopted to identify the leadership skills of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 and to develop assessment tools and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leadership. Third, practical research shows that the points that have become mainstream regarding young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are the following: Self-Leadership Program, Creative Leadership Program, Leadership Program based on the “Global Leader Model,” Servant Leadership Program, Inter-Personal Relation Leadership Progra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irection of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should be encouraging children to develop a general nature and capability that a leader should have.
      번역하기

      This paper investigates studies related to this era’s “Young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trends, scrutinizing the current state of “theses for a degree in Young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in...

      This paper investigates studies related to this era’s “Young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trends, scrutinizing the current state of “theses for a degree in Young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reviews 120 research papers, written from January of 2005 to October of 2014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It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in this area escalated after 2011, due to the high level of importance attached to having a master’s degree. Second,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practical research and not just research on foundations. Another gap in this research concerns the lack of studies on the educational goal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It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general view, that the educational approach which combines various concepts of leadership has been adopted to identify the leadership skills of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 and to develop assessment tools and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leadership. Third, practical research shows that the points that have become mainstream regarding young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are the following: Self-Leadership Program, Creative Leadership Program, Leadership Program based on the “Global Leader Model,” Servant Leadership Program, Inter-Personal Relation Leadership Progra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irection of children’s leadership education should be encouraging children to develop a general nature and capability that a leader should ha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효정,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 Yukl, G., "현대조직의 리더십 이론" 시그마 프레스 2004

      3 노민정, "한국-뉴질랜드 부모의 양육태도, 유아의 놀이성 및 리더십에 대한 비교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4 안정숙, "학교장의 리더십 연구동향과 과제" 26 (26): 67-84, 2007

      5 이명숙,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적합한 유아 리더십 교육" 3 (3): 141-159, 2005

      6 서정수, "트니트니 프로그램 참여 유아의 셀프리더십에 대한 조사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7 Gardner. H., "통찰과 포용" 북스넛 2007

      8 박재진, "코칭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성과변인에 관련된 학위 논문 연구동향 분석" 8 (8): 107-131, 2012

      9 김정화, "정서지능 증진 활동이 유아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이정희,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연구" 동국대학교 2010

      11 공현정, "장난감 없는 교실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2 이행선, "자연친화 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2011

      13 송민서, "자기조절능력, 교사-유아관계 및 가정환경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14 김은희, "인형극활동이 유아 리더십 및 감성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5 우영수,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6 강희규, "융합 프로젝트 중심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7 김정희, "유태인 어머니 자녀 교육 중심으로 한 어머니 리더십 모형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18 최나은, "유치원 반일제·종일제 유형이 유아의 창의성, 다중지능,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9 김영선,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과 개인지능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0 강현주,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연구" 광주대학교 2008

      21 최현혜, "유아의 창의·인성리더십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사례연구 : 인내"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22 여명금,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리더십에 따른 정서지능" 충북대학교 2014

      23 신지혜, "유아의 정서조절과 도덕성 및 리더십의 관계" 동국대학교 2013

      24 이광자, "유아의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 또래 상호작용과 유아리더십의 관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25 임호진,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 및 리더십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6 박민영,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어머니의 명령적 언어통제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2014

      27 김효정, "유아의 인기유형과 성별에 따른 리더십 유형과 놀이성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8 박미숙,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9 이윤정,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 성역할 인식과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리더십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0 임경임,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 사회적 지지, 의사결정력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31 최선희,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어머니 및 교사변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32 김보균,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12

      33 최경미, "유아의 사회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2010

      34 송연희, "유아의 리더십이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은평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2008

      35 김혜옥, "유아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2

      36 김민영,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조절능력 및 대인관계형성능력의 관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37 정지혜, "유아의 리더십과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2011

      38 장윤희,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이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9 강현수, "유아의 리더십과 인기도 및 다중지능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0 서기남,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41 이현아, "유아의 리더십과 갈등해결전략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4

      42 박성아, "유아의 리더십, 친사회적 행동 및 기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3 이화정,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른 또래 간 상호작용 및 창의적 리더십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44 허채원, "유아의 또래놀이 행동 및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리더십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45 임연자, "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른 리더십 및 마음이해능력의 차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46 송연희, "유아의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서번트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3

      47 김수림, "유아의 다중지능과 조망수용능력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8 이자윤, "유아의 다중지능과 리더십간의 관계 연구" 동국대학교 2013

      49 김민영, "유아의 다중지능 및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 리더십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0 우정순, "유아의 기질과 유아 리더십 관계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1 홍희숙,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2 이복동, "유아의 기질과 놀이성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3 김현희, "유아의 기질, 인기도, 리더십 유형간의 관계" 대진대학교대학원 2012

      54 강은아, "유아의 기질 유형에 따른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 효과" 아주대학교 2010

      55 황성원, "유아의 공유적 리더십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95-324, 2008

      56 이소희, "유아용 순종 리더십(followership) 척도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23 (23): 75-94, 2011

      57 민혜진, "유아셀프리더십과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8 박상희, "유아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조망수용능력과 주장성행동에 미치는 효과"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9 신수원, "유아리더십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0 이난주, "유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기질 및 교사-유아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1 이소희, "유아리더십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9

      62 임혜성, "유아리더십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63 유연일, "유아를 위한 그림책에 나타난 리더십"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65-288, 2004

      64 정지현, "유아교육 리더십 연구의 문헌적 고찰과 한국 내 발전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미국과 한국의 연구 문헌들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71-194, 2005

      65 노수남, "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교사효능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66 손희진,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질의 순차적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2014

      67 이경화, "유아 창의적 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35-161, 2010

      68 김경숙, "유아 창의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69 오은옥, "유아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언어 통제 유형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0 이명숙, "유아 승-승(Win-Win)리더십 척도 개발" 3 (3): 49-67, 2005

      71 최자윤, "유아 셀프리더십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72 김유경, "유아 셀프 리더십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 간의 관계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3 김미선,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4 정유정,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원광대학교 2008

      75 이명숙,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7

      76 신주연, "유아 성별에 따른 어머니 부모역할지능과 유아의 셀프리더십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77 최남례, "유아 서번트리더십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78 김문자, "유아 서번트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인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영신학대학교 2013

      79 김경연, "유아 사고력 증진 프로그램이 셀프리더십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1

      80 허소영, "유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정환경 변인 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81 이은미, "유아 리더십과 부모 양육태도 관계 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2 최은혜, "유아 리더십과 놀이성,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0

      83 김보영, "유아 리더십과 기질 및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84 지나영,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5 김미진,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 셀프리더십과 개인지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6 박연경, "유아 리더십 유형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87 김성숙,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대학원 2009

      88 이은진, "유아 대인관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89 이진미, "유리드믹스 프로그램이 유아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만 5세 유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90 전경철, "외식산업 관리자의 리더십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19 (19): 223-240, 2006

      91 박혜영, "영성교육 '지혜나라' 큐티 프로그램이 유아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2 김보람, "연령집단구성에 따른 협동학습이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93 김주형, "역할분담된 협동학습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2010

      94 홍해성,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만 4세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95 나미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리더십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2006

      96 이지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7 권말순,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리더십"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98 노인순,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99 정서연,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과 유아 리더십 간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00 신새롬,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 및 자녀와의 애착 관계가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1 안진민,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셀프 리더십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2012

      102 문채덕,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 리더십과의 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3 신은주, "어머니 양육신념 및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과 유아 리더십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4 김은경, "어린이 국악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2009

      105 김지연,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6 정현수,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2014

      107 김종호,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놀이참여와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8 권미선,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 리더십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9 김진혜, "아버지의 놀이참여 및 놀이성과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연구" 아주대학교 2009

      110 김채하, "아버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11 이미경, "스캐폴딩을 적용한 유아 즉흥무용 수업모형 개발 및 서번트 리더십과 창의성 검증"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112 Covey, S, R.,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김영사 2003

      113 유경희, "서번트 리더십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14 진지혜,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리더십간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15 변은진, "부모리더십과 유아리더십의 관련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16 김진영, "부모 놀이신념 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 및 리더십의 차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117 최순매, "모-자 상호작용과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2

      118 강양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동화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4

      119 박현정, "만 3세 유아를 위한 리더십교육 효과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20 황미영, "리더십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22 : 125-154, 2009

      121 김민지,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과 개인지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22 차동옥, "리더십 연구의 최근 동향: CEO 리더십을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29 (29): 179-227, 2005

      123 고선옥, "리더십 독서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 (1): 133-152, 2010

      124 Nanus, B., "리더십" 경문사 2007

      125 최권숙, "또래와의 협동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2013

      126 김기영, "또래 상호작용 속에서의 유아리더십" 숙명여자대학교 원격유아교육정보대학원 2006

      127 김민은, "동화를 통한 도덕교육활동이 유아 리더십 유형 및 만족지연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2011

      128 김진경, "동극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2014

      129 남희숙, "누리과정 예술영역에 기초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130 김복희, "농촌지역 유아의 공동체 리더십 연구"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31 박은식, "농촌 리더십 연구의 동향 논문" 11 (11): 321-341, 2004

      132 정혜영, "남녀아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리더십 유형"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33 김민선, "긍정적 유아 리더의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34 장정선, "글로벌리더 프로그램이 만 3세 유아의 인지·창의·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35 이진아, "글로벌리더 모형에 따른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6 변상우, "글로벌 리더십" 청람 2014

      137 유승희, "글로벌 리더 프로그램이 5세 유아의 인지·창의·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8 권지영, "글로벌 리더 모형에 기반한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39 임채희, "글로벌 리더 모형에 근거한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40 정남미, "그림책을 활용한 리더십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113-136, 2012

      141 김지희, "그림책을 활용한 LT협동학습이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42 정을상, "교수매체를 활용한 만5세 유아의 순종리더십 교육의 효과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43 조의선, "교사효능감 및 교사기질이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1

      144 장영숙, "교사평정용 유아 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5-22, 2009

      145 이현숙, "교사의 DAP 신념 및 교수활동과 유아의 셀프리더십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2008

      146 이채호,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 개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3-37, 2008

      147 김윤경, "교사용 유아 리더십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48 임진경,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놀이성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49 여연승,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수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50 이상호, "경영학계의 주요 리더십이론 및 국내 연구동향: 세 가지의 리더십 관점에서의 검토 및 제안" 24 (24): 1-40, 2001

      151 이상호, "감성지능과 리더십의 관계에 관한 연구동향" 사회과학연구소 (11) : 1-26, 2009

      152 양재희, "가정 내 변혁적 리더십 및 부모역할 행동과 유아의 셀프 리더십간의 관계"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53 Conger, J. A., "The practice of leadership: Developing the next generation of leaders" Jossey-Bass 2007

      154 Antonakis, J., "The nature of leadership" Sage 2004

      155 Katz D.,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 Wiley 1978

      156 Goleman, D.,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rockman, Inc 2002

      157 도순후, "MeFOT 창의적 사고훈련이 유아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58 Hersey, P.,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Prentice-Hall 1982

      159 Northous, P. G., "Leadership: Theory and practice" Sage 2004

      160 Rost, J. C., "Leadership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raeger 1991

      161 Jago, A. G., "Leadership : Perspectives in theory and research" 28 (28): 283-315, 1982

      162 Bass, B. M., "Bass & Stogdill's handbook of leadership: Theory, research, and managerial application" Free Press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