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evelopment of a bivalent live vaccine against duck hepatitis A virus types 1 & 3 and vaccine program for breeder ducks in Korea

        Jae?Hee Roh(노재희),Min Kang,Bai Wei,Se-Yeoun Cha,Jeong-Gon Cho,Hyung-Kwan Jang 한국가금학회 2017 한국가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7 No.11

        어린 오리에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오리바이러스성간염의 예방을 위해 혼합생백신 개발, 백신의 방어기전 연구 및 종오리백신 프로그램의 개발로 질병방어 및 제어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국내에는 1형과 3형이 동시 유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3형의 발생보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1형과 3형의 복합감염사례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효율적인 질병관리를 위해 국내에 발생하는 오리간염 1형과 3형을 동시에 방어하는 혼합백신을 개발하고 그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운반 및 보관 용이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번째, 오리감염 생백신의 3-5일 만에 조기면역을 획득하는 특성분석을 위해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을 평가하였다. Cytokine이 백신접종 그룹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IFN-α에서 강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항체가 평가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바와는 다르게 백신 후 3일째에 항체를 획득하였고, 10일째에는 최고수준의 항체가 수준을 나타냈다. 세 번째, 1주령이하의 어린 일령에 치명적인 질병의 특성상 모체이행항체에 의한 예방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종오리백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농장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종오리 농장 4개동 4천수의 종오리를 대상으로 백신을 실시하였으며, 모체의중화항체가(VN titer) 8 log2이상에서 후대병아리 14일령까지 100% 방어효능을 확인하였다. 모체이행항체의 전달률은 11%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후대병아리의 항체가를 개체별 추적하여 계산한 결과 모체이행항체 반감기는 3-5일령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리에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오리바이러스성간염 예방을 위한 혼합생백신 개발에 관한 연구로 기존의 국내 상용화백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국내에 유행하는 혈청형들을 단회백신으로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혼합생백신을 개발하였으며, 백신의 특성상 조기면역에 대한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기전을 평가하였다. 또한 종오리백신 프로그램을 국내에 적용하여 모체이행항체에 의한 후대 병아리의 우수한 방어 효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Correlation Between Primary Si and Silicide Refinement Induced by Ultrasonic Treatment of Multicomponent Al–Si Alloy Containing Ti, Zr, V, and P

        Jae‑Gil Jung,Young‑Hee Cho,Tae‑Young Ahn,JaeHee Yoon,Sang‑Hwa Lee,Jung‑Moo Lee 대한금속·재료학회 2019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Vol.25 No.5

        The correlation between primary Si and silicide refinement induced by ultrasonic treatment (UST) of multicomponent Al–Sialloy containing Ti, Zr, V, and P was investigated. UST significantly refined the primary Si phase owing to cavitation-inducedwetting and deagglomeration of MgAl2O4particles. Lowering the UST finish temperature caused deterioration of the degreeof primary Si refinement, instead leading to silicide refinement. Cavitation-induced silicide nucleation on wetted MgAl2O4consumed the MgAl2O4particle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primary Si nucleation. Similarly, the formation of an AlP phaseon the silicide phase reduced the nucleation efficiency of the AlP phase. Poisoning of the MgAl2O4and AlP phases by thesilicide phase was responsible for the deterioration in primary Si refinement. Room-temperature tensile strength and hightemperatureelongation were increased by UST and were dependent on the size of primary Si.

      • β-Carotene과 알코올을 섭취한 쥐의 혈액 성분변화의 상관관계

        고재웅,조만희,이상한,우기민,염윤기,김창세 순천향의학연구소 2000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6 No.2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arotenids and β-carotene on the hematological changes caused by alcohol administration into the rat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everal statistical methods; SPSS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the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one way ANOVA for the test of significance, Duncan method for post HOC multiple comparison, and Pearson method for measur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 from those statistical analysis. 1. ALB and TB were shown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blood compositions f개m the basic dietary groups. 2. BUN and CHO were shown to have the mos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ose from the carrot-fed groups. 3. CA and AG were shown positively correlated, and CHO and IP negatively correlated, respectively among those from the cheese-fed groups. 4. AP was shown positively correlated among those from the alcohol-administrated groups. 5. CHO, CA and BUN were shown positively correlated, and CA was negatively correlated among those from the β-Carotene -fed groups. 6. TB and TP were not affected b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blood composition from all the experimental group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분리 유채단백의 용해도와 소화율에 미치는 Phytate의 영향

        조희경,윤재영,이서래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2 생명과학연구논문집 Vol.3 No.-

        식물성 식품중의 영양 저해 인자로 알려진 phytate를 제거한 분리 유채단백(low-phytate rapeseed protein isolate)을 제조하여 pH 및 phytate 첨가량이 이들 분리 유채다백의 용해성과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리 유채단백의 phytate 함량은 1.5%로서 탈지 유채분말보다 66%가 감소되었으며 protein: phytate ratio는 58:1이었다. 분리 유채단백의 용해도는 pH2.0과 pH11.5에서는 매우 높았으나 pH5.0에서는 매우 낮았다. 그 용해도에 미치는 phytate 첨가량의 영향을 보면 pH5.0과 pH 11.5 에서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pH2.0에서는 phytate 첨가량이 많을수록 그 용해도가 감소하였다. 분리 유채단백의 pepsin 소화율에 미치는 phytate의 저해적 영향은 phytate 함량이 증가할수록 더 커졌다. 소화기간 초기에는 그 영향이 매우 컸으나 소화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영향은 점점 감소되었으며 평균소화율은 24%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유채단백을 식품소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phytate 함량이 낮은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그이 기능성과 영양가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ed phytate and pH on the solubility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low-phytate rapeseed protein isolate. Phylate content of low-phytate rapeseed protein isolate was 1.5%, as a result of 66% removal from defatted rapeseed flour and the protein: phytate ratio was 58:1. Solubility of rapeseed protein isolate at pH w.0 and pH 11.5 was much higher than near the isoeletric point. pH 5.0. it's solubility was lowered by adding an increased amount of phytate especially at pH 2.0. The inhibitory effect of phytate toward pepsin digestibility of rapeseed protein isolate decreased by the increasing amount of phytate added. It is suggested that the production of low-phytate rapeseed protein isolate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nutritional value in order to utilize it as food material.

      • 새로운 열방성 액정중합체의 합성과 PET와의 블렌드

        조정대,김희종,최재곤,조병욱,유지강 조선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1997 生産技術硏究 Vol.19 No.1

        Blends of new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TLCP) with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were prepared by the coprecipitation from a common solvent. The thermal, mechanical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the blends(2wt%, 5wt%, lOwt% and 20wt% TLCP/PET) were examined. In the blends, liquid crystalline phase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macrophase separation and thermal degradation at the processing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scanning electron micrograps, the TLCP domains in matrix were found to be more or less finely dispersed with 0.2㎛ to 0.4㎛ in size and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the TLCP and matrix polymer was excellent. Results of mechanical property measurement show that modulus of TLCP/PET blend was enhanced with increasing TLCP content.

      • KCI등재

        대합(Meretrix lusoria Ro¨ding)의 간췌장에 기생하는 Rickettsia-like organisms 에 대한 연구

        조미영,박수일,송재희,양원석 한국어병학회 2001 한국어병학회지 Vol.14 No.3

        대합, Meretrix lusoria의 폐사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1999년 2월부터 12월까지 전북지역의 대합을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직학적 검사결과 대합의 아가미와 간췌장의 상피세포에서 구형 또는 타원형의 호염기성 봉입체가 관찰되었다. 감염 조질은 상피세포의 비대 또는 세포용해 현상과 심한 경우 소화맹낭 조직이 파괴되어 있었다. 세포내 봉입체를 투과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rickettsia-like organisms(1.2∼2.0㎛ or 0.27∼0.58×1.18㎛)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주변의 괴사 조직에서 크기가 매우 작고, 세포벽을 가지고 있으며 미네랄화된 nanobacteria(146∼600×261∼625nm)가 다수 관찰되었다. nanobacteria가 감염된 조직에서는 심한 세포질의 공포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다수의 크리스탈성 과립도 함께 관찰되었다. The histopathological survey was performed to search for the cause of mass mortality of the hard clam Meretris lusoria in 1999. Histological section showed spherical or elongated intracellular basophilic inclusions in the gill filaments and digestive diverticula of the moribund clams. The hypertrophy and lysis of epithelial cells and multifocal necrosis were observed in affected tissues. TEM demonctrated two different rickettsia-like organisms; the one was large, coccoidal (1.2~2.0㎛ in diamenter) organisms observed in the nera nuclei and the other was polymorphic, rod-shaped (0.27~0.58×1.18㎛)organisms tightly packed within cytoplasmic vacuoles or scattered throughout the cytoplasms. Moreover, the smallest, mineralized, cell walled nanobacterias (146~600×261~625nm)were found in various tissues of the moribund hard clams. In nanobacteria-infected tissues cytoplasmic vacuolization and numerous crystalline deposits were found.

      • 보행환경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

        조강희,유재욱,김봉옥,윤승호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8 충남의대잡지 Vol.25 No.2

        Fall-related accidents account for more than 800,000 injuries and 13,000 fatalities a year in North Americain. And also it is estimated that one-third of all persons 60 years old and older suffer falls each year. The Balance and posture are affected by vision, vestibular system and somatosensory system(proprioception). Three influences related to the older population's risk of falling are normal aging progress, pathology that increases with ag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on kinetic characteristics of initiation of gait and standing postur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s(VGRF), center of pressurc(COP), postural analysis and psychologic index were evaluated in 20 men with no history of neuromusculoskeletal abnormality. The results are 1) VGRF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not significant change. 2) Temporal analysis of IOG according to carpet and wood floor are significantly slowed in wooden floor. 3) Temporal analysis of IOG with or without shoes are not significnat change. 4) The effects of illumination to balance increased maximal oscillation by decreased of illumination

      • KCI등재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기분장애 환자의 측두엽크기 측정

        조인희,나철,이재우,박두병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5

        목 적 : 본 연구는 기분장애 환자에서 측두엽의 신경해부학적 이상을 관찰하고자 수행되었다. 방 법 : 중앙대학교 부속 용산병원과 필동병원 신경정신과 입원 환자 중에서 DSM-Ⅲ-R에 의거하여 진단된 조증 환자 13명, 정신병적 삽화가 있는 우울증 환자 14명, 정신병적 삽화가 없는 우울증 환자 23명으로 구성된 기분장애 환자 50명과 성별과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정상대조군 50명을 대상으로 측두엽이 포함된 뇌자기 공명 영상 6∼8개의 단면을 이용하여 측두엽의 면적과 용적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군에서의 소견은 다음과 같다. 1) 전체 측두엽 및 우측 측두엽의 용적에서 환자군과 대조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기분장애 환자의 좌측 측두엽의 용적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적었다(p<0.05). 3) 기분 장애 환자를 조증과 우울증으로 나눈 뒤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우울증에서만 좌측 측두엽 용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우울증을 다시 정신병적 삽화의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눈 후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정신병적 삽화를 동반한 우울증의 경우에서만 대조군에 비해 좌측 측두엽의 용적이 유의하게 적었다(p<0.05). 결 론 : 기분장애는 측두엽 용적에서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본 연구에서 나타난 좌측 측두엽 용적의 감소는 정신병적 삽화를 동반한 우울증 환자군에 의해서 나타난 것으로 이 환자군은 기분장애의 다른 진단 아형들과 구분되어 정신분열증과 기분장애의 사이에 위치한 스펙트럼을 갖는 질환으로 구분될 수 있다는 이전의 가설들을 지지해 주며 기존의 기분장애와 좀 더 다른 진단적 구분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Object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neuroanatomical change in the temporal lobe in the patients with mood disorder. Methods : The study groups were consisted of 13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 psychotic feature, 23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out psychotic feature, 13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and 50 age-matched control group. We used DSM-Ⅲ-R criteria for classifying our patients. We estimated the area and volume of the left, right and total temporal lobe in selected 6-8 coronal MR images including the boundary of the temporal lobe. We compared the results of both patients with mood disorder and control group.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olume of total and right temporal lobe between the patients with mood disorder and control group. But the average volume of the left temporal lobe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pati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subtype, the patient group w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average volume of the left temporal lobe in the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was small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etween the patients with bipolar and control group. Among the subtype of depressive diseases, the patients with psychotic feature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control subjects in the volume of left temporal lobe. Conclusion : Finally, we could find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smaller volume in left temporal lobe only in th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 psychotic feature. This findings support the previous hypothesis that in contrast to other subtype of mood disorder,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 psychotic feature should be classified to be the spectrum disease lying between schizophrenia and mood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