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一部都市地域婦人의 性比, 現存子女數, 理想子女數, 追加희망子女數 實態에 關한 調査硏究
趙美映,朴淳永 中央醫學社 1974 中央醫學 Vol.26 No.3
For the purpose of ascertaining the current concept on the sex ratio, pregnancy, -the number of live-birth, the number of living children, the ideal number of child ren, and additional children desired, among Korean women residing in urban area. The authors conducted a series of survey towards 625 "eligible women (currently family planning practice group; 208, none family planning practice group; 417) of reproductive women aging from 20 to 39, whom picked up as the visitors in Kyung Bee Medical Center and Dongdaemoon Ku Health Center, Seoul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 sex ratio of infant child was 115.9 (currently family planning practice group is 285.71 and none practice group is 91.2). The population sex ratio was 104. 4 (112.5 and 99.4). 2) The mean of family size is 3.97 persons (4.56 and 3.67). 3) The mean number of pregnancy was 2.91 (3.85 and 2.44). 4) The mean number of live-birth was 1.99 (2.63 and 1.67). 5) 63.4 percent (52.4 percent and 68.8 percent) out of total respondents had experienced the induced abortions. The mean number of the induced abortion experienced by the respondents has been -computed as 0.69 times (1. 00 times and 0.53 times). And the mean number of induced abortions among those who had one or more induced abortions has been computed As 1.87 times (2.09 times and 1.70 times). The rate of the experienced abortion was seen to be more increasing according to -the young age than the old age above 39 years. The induced abortion experience rate rose with the rise of the high educational backgrounds of the respondents. 6) About 14.7 percent (13.5 percent and 15.3 percent) of the 625 women investigated reported. having had one or more experience in spontaneous abortions. Mean for spontaneous abortions was 0.20 (0.17 and 0. 22). 7) Number of living children of the currently family planning practice group was averaged 2.52 (son: 1.49 and daughter: 1.03) and none practice group was averaged L"65 (0.86 -and 0 79). 8) The respondents of the currently family planning practice group wished to have more child by 0.35 (son: 0.21 and daughter: 0. 14) and none practice group wished to have more child by 0.86 mean number (0.55 and 0.31). 9)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of, the currently family planning practice group was 2.61 (1.59 and 1. 02), none practice group was 2.45 (1.36 and 1. 09) and specially 20-29 age group was found of a composition of 1 son and 1 daughter, and 30-39 age group was found of 2 sons and 1 daughter.
청소년이 바라는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간에 대한 탐색적 연구: 마포구 청소년 인터뷰를 중심으로
조미영,장여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4 청소년시설환경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이 바라는 공간과 관련하여 실제적인 일상을 조사하고 청소년수련시설에서 청소년들이 이용하고 싶은 공간에 대한 생각과 의견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수련시설을 알고 있거나 이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 30명을 선정하여 2023년 8월 30일부터 9월 16일까지 그룹별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인터뷰 질문은 연구진간 논의를 거쳐 만든 반구조화 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의 대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 21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일상에서의 일화’에서는 마음 편하게 휴식할 공간을 찾아서, 폐쇄적 공간부터 개방적 학습공간까지, 골목에서 체육시설까지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둘째, ‘부족한 청소년 공간’에서는 휴식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공간 부족, 고비용과 알맞지 않은 학습공간, 거리‧환경의 제약 없는 스포츠공간 부재가 드러났다. 셋째, ‘바라는 이용공간의 형태’에서는 머무를 수 있고 자유로운 휴식공간, 집중할 수 있고 학교급이 분리된 학습공간, 청소년 전용 실내 스포츠 공간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휴식공간의 확장과 적극적 홍보 방안 모색, 청소년 친화적 학습공간 구성, 청소년이 바라는 스포츠 공간으로의 재구성 등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바라는 휴식, 학습, 스포츠공간과 관련하여 실제 청소년들의 일상 경험을 조사하고 탐구하면서 그 실상을 드러나게 하였으며, 청소년수련시설의 기능 중 하나인 청소년 이용 시설 측면에서 휴식, 학습, 스포츠 기능을 갖춘 공간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daily life in relation to the space desired by youth in the community and to explore in-depth thoughts and opinions about the space that youth want to use in youth training facilities. To this end, 30 youth who know or have used youth training facilities were selected and a focused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each group from August 30 to September 16, 2023. The interview questions in this study used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created through discussions between resear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3 main topics, 9 sub-themes, and 21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irst, 'everyday incidents' derived from finding comfortable spaces for relaxation, ranging from enclosed areas to open study spaces, from alleys to sports facilities. Second, 'the lack of youth spaces' revealed a shortage of spaces for relaxation and stress relief, inadequate and inappropriate study spaces due to high costs, and a lack of sports spaces without constraints of distance or environment. Third, 'the desired forms of utilization spaces' included a comfortable and free relaxation area, a focused and school-grade separated study space, and a dedicated indoor sports space for youth.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were held on expanding youth relaxation spaces, exploring active promotional strategies, creating youth-friendly study environments, and reconstructing sports spaces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you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specific plan for a space with rest, study, and sports functions in terms of youth facilities, one of the functions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조미영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9
본 연구는 엔데믹 시대를 살아감에 있어 포용과 연대, 그리고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교육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실천방안들을 모색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장기화되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야기되고 심화된 문제점으로 코로나 디바이드와 인포데믹을 들 수 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빈부격차가 심화되었고,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불안과 두려움을 증폭시키는 미지(未知)의 위험요인인데, 대중은 이러한 미지의 위험으로 인해 인포데믹(Infodemic)과 같은 거짓정보에 쉽게 현혹되어 절망적인 예측에 시달리고 사회적 혼란을 겪기도 했다. 또한 혐오라는 맥락으로 변주되는 각종 가짜뉴스와 허위정보는 특정 국가에 대한 비난으로 그치지 않고 종교, 인종, 소수자 등의 문제들로 이어나가게 된다. 엔데믹 사회를 살아가면서 공동선(common good)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느끼고 있다. 바이러스가 창궐한 시대에 타자를 배려하며 보살피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인간상이 요청된다. 자신의 귀중함과 고유함을 아는 동시에 타인 역시 존엄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는 기독교의 생명 사상은 팬데믹 위기 속에서 더욱 요청되는 중요한 핵심이 될 수 있다. 또한 서로가 받아들여지고 마음의 담이 허물어지는 포용을 통해 진정한 상호소통이 이루어지고 서로를 필요로 하는 상호의존적인 존재임을 자각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포용과 연대의 개념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심화된 배제와 혐오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더불어 미디어 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교육을 통해 분별력을 키우고 정보의 홍수 속에서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처럼 기독교의 성서적 토대 및 신학적 함의들을 고찰하여 포용과 연대를 지향하는 기독교교육, 면역력을 기르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엔데믹 시대에 기독교교육의 방향과 역할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uture directions and action plans through Christian education centered on embrace, solidarity, and critical media literacy education in living in the endemic. The prolonged COVID-19 situation has resulted in the Corona Divide and Infodemic.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has deepened due to the pandemic, and the COVID-19 virus is an unknown risk factor that amplifies anxiety and fear. Due to this unknown risk, the public is easily deceived by false information such as the infodemic, leading to despair. We suffered from hopeless predictions and experienced social chaos. In addition, various fake news and false information in the context of hatred do not stop at criticizing a specific country, but lead to issues such as religion, race, and minorities. As we live in the endemic, we feel more keenly than ever the need to make efforts for the common good. The human image of a good Samaritan who is considerate and takes care of others is needed. The Christian idea of life, which recognizes one's own preciousness and uniqueness while at the same time recognizing that others are also dignified, can become an important core that is even more requested in the midst of the pandemic crisis. The Christian concept of embrace and solidarity can be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the deepened exclusion and hatred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hrough education that fosters media literacy, we can develop discernment and approach critically amid a flood of information. In the endemic, the direction and role of Christian education were suggested through Christian education that pursues embrace and solidarity,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that fosters immunity.
조미영,조재진,조태준,임정묵,이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3 Molecules and cells Vol.35 No.5
Embryonic stem (ES) cells can be valuable for monitoring differentiation processes and for improving applications in basic developmental biology. The application of ES cells can be a useful tool for drug discovery and toxicology. Therefore, we suggest the high-throughput screening (HTS) system based on ES cells in this study. Firstly, we optimized the feeder-free condition and seeding cell number which can maintained for at least 7 days without over-con-fluency. We analyzed the system by cell viability, proliferation activity, RT-PCR and morphologic/immunohistochemical evaluations. The optimal cell seeding number was 30/well that was maintained the typical colonial morphology over 9 d with 1,000 U/ml LIF in the limited space. The cell in optimized condition expressed ALP, SSEA-1, Oct 4 and Nanog and the genetic expressions showed similar to protein expressions. The cell lineage marker expressions showed faint or none. The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activity were increased in time-dependent manner in our optimized HTS system. In conclusion, the novel HTS system using ES cells can by useful for developing models for drug discovery as well as toxicological screening in the near future.
코로나 19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전략 수준, 자기 통제감과 학업 소진 정도와의 상관성 연구
조미영,백영림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22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7 No.2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전략 수준과 자기 통제감, 그리고 학업 소진 정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3개월 이상 경험한 간호 ㆍ 보건계열 전공 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전략 수준, 자기 통제감, 그리고 학업 소진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대면 온라인 수업이 길어질수록 자기주도 학습 전략 수준은 저하되었고 자기주도학습 전략 수준과 자기 통제감은 양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어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 통제감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학업 소진의 경우는 학업에 대한 열정과 흥미, 미래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에서 높은 소진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비대면 온라인 수업 초기에는 낯선 방식에 적응하기 위해 학업에 집중하였기에 학업 소진의 정도가 낮았으나 지속되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학생들은 자기 통제감이 저하되면서 학습 소진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학습자들이 좀 더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과목 특성에 적합한 강의 방식과 다양한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조정을 통한 실물과 디스플레이 출력 얼굴 동영상의 얼굴 인식 성능 유사성 향상
조미영,정영숙,전병태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6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1 No.2
As face recognition technology, unlike other biometric methods, is more direct, user friendly, and convenient, it is applicable to many areas including security systems and service robot. However, the performance of face recognition systems in a real service environment does not always satisfy the expectations of users, because the performance of face recognition systems is influenced by the user's pose, expression change and lighting in the real environment. So, there is the performance gap between a real service and laboratory environment. To reduce the gap, there are many approaches using such as an algorithm, a mannequin and a high-definition photograph. Unfortunately, it has a limitation to construct a test environment in which the various situations faced by a user and an face recognition system are created similar to those encountered in real environment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splay device and capture devices,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high-quality face video output from the display device in place of the actual human face to are proposed. In this paper, we demonstrate the similarity enhancement of face recognition performance between real face and facial videos from display device through gamma adjustment.
교육정책 변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청소년 봉사활동 활성화에 관한 질적 연구
조미영,장여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3 청소년시설환경 Vol.21 No.1
본 연구는 교육정책의 변화로 위축되고 있는 청소년 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봉사활동을 운영하는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청소년 봉사활동에 필요한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에서 봉사활동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교사 6명을 선정하여 2022년 9월 21일에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인터뷰 질문은 연구진간 충분한 논의를 거쳐 도출한 반구조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서 3개의 대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 9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제도 변화에 대한 교사의 소회’에는 봉사활동 축소 및 위축에 대한 우려 그리고 안타까움, 배움이 필요한 봉사의 교육기획 상실과 신규제도 접목에 대한 난감함, 봉사활동의 질적 변화 및 수업과정 편입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드러났다. 둘째, ‘봉사활동 운영의 현실적 난제’에는 교육과정 실현의 구체성 및 여력의 부재, 소집단 봉사활동 실현의 교사 책임 집중 및 기록방법의 부재, 교육계획 수립의 현실성 및 실현성 부재가 제시되었다. 셋째, ‘봉사활동 운영을 위한 제안’에는 학습효과와 내실을 갖추기 위한 봉사과목 도입 및 자유학기제 연계, 더 큰 도약을 위한 지역사회 관련 기관 및 전문가와의 연계, 의미 있는 봉사활동을 인정하기 위한 제한 사항 완화가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봉사과목 개발, 동아리 및 진로활동에서 봉사활동을 추진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 마련, 지역사회 관련기관 및 교사가 함께 하는 봉사활동 전문가 간담회, 사회문제 발견 및 사회참여 측면에서 봉사활동의 질적 접근 필요 등이 논의되었다.
보육교사의 인성이 칭찬리더십과 교수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조미영,김영은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3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on praise leadership and teaching metacogni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improve the personality of childcare teach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surveyed 25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K cit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6.0 (ver.) statistical program. Looking at the results, first, when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was 3.88, praised leadership was 3.89, and the teaching metacognition level was 3.88. Second, among the personality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communication, creative disposition, humor/wit, initiative self-achievement, and altrui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aise leadership in that order. Third, among the personality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communication, creative disposition, initiative self-fulfillment, job performance attitude, and self-develop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iog metacognition in that order.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some of the personality factors affect praise leadership and teaching metacognition, which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s to improve the personality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