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급성 단순하부요로감염의 경험적 치료로써 레보플록사신 3일요법의 효과

        이지열,이승주,이상돈,정희창,오봉렬,김세웅,최한용,조용현,윤문수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4

        목적 : 급성 단순요로감염의 원인균에 대한 내성증가에 따른 경험적 1차치료의 선택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최근 미국의 Infectious Disease Society of America(IDSA)에서는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IDSA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그 지역의 TMP-SMX에 대한 내성균주의 비율이 10-20% 이상일 때는 급성 단순요로감염의 경험적 1차치료제로 플루오로퀴놀론제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단순하부요로감염 환자에 있어서 레보플록사신에 대한 임상적, 미생물학적 유효성 및 안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시험은 전향적, 비맹검, 공개, 비비교, 다기관 임상시험으로 시행되었고 전국 5개 대학병원을 방문한 56명의 급성 단순하부요로감염 환자에게 레보플록사신 100㎎을 1일 3회, 3일간 경구 투여하여 1-3일 후에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 : 평가가 가능하였던 53명의 환자 중 50명의 환자에서 치료 후 5-7일 후에 증상이 소실되었거나 호전되어 94%의 임상적 유효성을 보였으며, 51명의 환자에서 치료 후 1-3일 후에 원인균이 제거되어 96%의 미생물학적 유효성을 보였다. 약물 관련 이상반응은 2%의 환자에서 나타났으나 이로 인한 치료 중단 사례는 없었으며 심각한 생화학적 또는 혈액학적 이상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레보플록사신 100㎎ 1일 3회 3일 요법은 임상적, 미생물학적 유효성이 뒤어나며 안전한 치료요법으로 급성 단순하부요로감염의 경험적 1차 치료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increasing frequency of clinical failure of uncomplic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UTIs) may be due to emerging resistance to commonly prescribed antimicrobials.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guidelines state that uncomplicated UTIs should be treated empirically with a fluoroquinolone, if the proportion of trimethoprim/sulfamethoxazole-resistant isolates in the community is >10%-20%.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levofloxacin were assessed in patients with acute, uncomplicated lower urinary tract infection. Methods : The study was a multicenter, prospective, open label, non-comparative, non-blinded trial. Fifty-six patients with acute, uncomplicated symptomatic lower urinary tract infections from five university hospitals were treated with levofloxacin 100㎎ tid for 3 days and were followed up for 1 to 5 days. Results : Fifty-three of the 56 patients were evaluable. Ninety-four per cent of patients were symptomatically cured or improved by the fifth to seventh day after therapy started. Bacteriological eradication of initial pathogen was achieved by 1 to 3 days in 96%. Drug related adverse experiences were seen in 2% of patients. None necessitated cessation of therapy. No significant biochemical or hematological abnormalities occurred. Conclusion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empirical 3-day levofloxacin for acute, uncomplic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 야생 설치류의 한타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연구

        백락주,송진원,송기준,박광숙,최영주,강주일,이용주 대한감염학회 1997 감염 Vol.29 No.6

        목적:국내 야서중에 한타바이러스의 숙주는 등줄쥐와 집쥐로 알려져 있으나,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야생 설치류를 채집하여 한타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검사를 실시하여 새로운 혈청형의 한타바이러스가 있는지를 혈청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 설치류를 1995년 10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7종 551수의 야시와 4종 97수의 소형동물을 채집하여 한타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검사를 간접형광항체법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1) 야서 7종 551수와 소형동물 4종 97수를 대상으로 한탄바이러스의 감염율은 등줄쥐 17.2%(29/162), 흰넓적다리붉은쥐 8.7%(2/23), 대륙밭쥐는 25%(2/8), 그리고 땃쥐는 7.1%(1/14)이었다. 그리고 야생토끼는 8.8%(7/80)가 서울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었다. 등줄쥐의 양성혈청중 대부분은 서울바이러스와 일부는 푸말라바이러스, 프로스펙트힐바이러스, 뉴욕바이러스와도 교차반응이 있었다. 흰넓적다리붉은쥐 2수와 대륙밭쥐 2수는 5가지 한타바이러스 모두에 교차 반응이 있었다. 2) 다람쥐는 9.5%(28/283)가 채집지역에 관계없이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었고 항체기는 1:16 내지 1:256으로 비교적 낮았으며 서울바이러스, 푸말라바이러스, 프로스켁트힐바이러스와 뉴욕바이러스에 각각 반응하는 것도 일부는 교차반응을 보이는것도 있다. 청설모는 10.3%(7/68)가 한탄바이서르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었으며 항체가는 1:16 내지 1:1,024이었으며 일부는 교차반응이 있었다. 3) 야생토끼의 서울바이러스에대한 항체양성율은 8.8%(7/80)이었으며 이중에 2수는 한탄바이러스와 교차반응이 있었고, 푸말라바이러스, 프로스켁트힐바이러스, 뉴욕바이러스와는 교차반응이 없었다. 항체가는 1:16 내지 1:64로 비교적 낮았다. 결론:등줄쥐는 한탄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지만 흰넓적다리붉은쥐, 대륙밭쥐, 다람쥐 그리고 청설모의 일부는 한탄바이러스가 보다 다른 한타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가 높았고 특히 일부 다람쥐 혈청은 푸말라바이러스 혹은 프로스켁트힐바이러스에만 반응하였다. 그리고 야생토끼는 서울바이러스에 대한 감염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국내에 한탄바이러스와 서울 바이러스 이외에 새로운 혈청형의 한타바이러스가 있는 것을 사료된다. Background: Hantavirus are widley distributed in rodents populations even in geographical areas where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HFRS) has not been reported. Multiple species of Murid and Arvicolid rodents serve as the natural reserviors of hantaviruses. Serologic diagnosis using hantaviral antigens indicates that hantaviruses are widley distibuted in wild rodents. This study were designed to find the distribution of hantaviruses among wild rodents and small mammals in Korea, 1995-1996. Methods: Rodents were trapped alive in selected areas. A total of 551 wild rodents from 7 species and 97 small mammals from 4 species were captured in Korea. Serologic evidence for hantavirus infection were tested using five hantavirus antigens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chnique(IFA). Among 162 Apodemus agrarius, 23 Apodemus peninsulae, 8 Clethrionomys regulus, 6 Microtus fortis, 1 Mus musculus, 283 Tamias sibiricus, 68 Sciurus vulgaris, 14 Crocidura laciura, 80 Lepus sinensis, 2 Capereolus capereolus and 1 Nyctereutes procyonoides. Results: 29 A. agrarius, 2 A. peninsulae, 1 C. laciura, 2 C. regulus, 27 T. sibiricus and 7 S. vulgaris were sero positive agaist hantaan virus and 7 L. sinensis were IF antibody positive against Seoul virus. Some of Tamias sibiricus were only seropositive against puumala virus or prospect hill virus. Conclusion: This data suggests that new serotypes of hantavirus might distribute among rodents in Korea.

      • KCI등재후보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s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gallinarum Isolated in Korea

        Ki-seuk Kim,Young-ju Lee,Yong-kuk Kwon,Ryun-bin Tak 대한수의학회 2003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4 No.2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s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gallinarum Isolated in KoreaYoung-ju Lee, Ki-seuk Kim1,*, Yong-kuk Kwon and Ryun-bin Tak1Avian Disease Division,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Anyang 430-824, Korea1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702-701, KoreaReceived February 13, 2003 / Accepted April 30, 2003J. Vet. Sci. (2003), 4(2), 161-166JOURNAL OFVeterinaryScience*Corresponding author: Ki-seuk Kim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702-701, Korea Tel: 82-53-950-5962, Fax: 82-53-950-5955 E-mail: kimkiseuk@knu.ac.kr

      • KCI등재

        국내외 음악영재기관의 현황

        이성주,김용환 민족음악학회 2001 음악과 민족 Vol.2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usic institutions for young gifted students in Korea as well as other countries. In part I, we examined music institutions for talented youth in Korea. Different types of schools are as follows; 1)Preparatory school,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2)Music Academy of Talented Youth, Seoul Arts Center. 3)Bee House Ensemble 4)Continuing Education Center, e.g. Sejong Conservatory 5)Community music programs 6)Private Institutions In part Ⅱ, Specifically two music institutions from other countries are examined as models; 1)United States, The Mannes College of Music, Preparatory School 2)Canada, The Royal Conservatory of Music This study suggests that music programs for talented youth need to consist of regular classes in theory, history, and appropriate repertories of music, as well as instruction in performance. Also the preparatory schools should maintain a curricular program for various levels of students. Furthermore, the institutions must support and offer performance opportunities for ensemble. Above all, the primary purpose of all the preparatory schools is to provide the best environment for musical training of young musicians, which fosters an understanding of the arts and an attitude of respect for their potential contribution to society. Our hope is that this study may help establish music institutions for young gifted students in Korea to make students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impact of music on their lives.

      • KCI등재

        음경에 발생한 기저세포암 1예

        이용주,최혜자,윤석권,김한욱,임철완 대한피부과학회 2004 大韓皮膚科學會誌 Vol.42 No.3

        Basal cell carcinoma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skin cancer in Korea. The lesions are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head and neck region. But penile basal cell carcinoma is very rare and there are only 29 other reported cases. We report a rare case of basal cell carcinoma of the penis in a 76-year-old man. He had a well circumscribed 1.3㎝×1.3㎝ thick scaly plaque with central ulcer in right penile root area for 4 years. The lesion was completely excised and no recurrence for four months. (Korean J Dermatol 2004;42(3):350~352)

      • KCI등재후보

        구내신연장치를 이용한 치조골증대술 후 임프란트 매식 : 치험 5예 REPORT OF 5 CASES

        이용욱,박충열,송종운,박홍주,김영운,오희균,유선열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2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4 No.2

        Successfu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by distraction osteogenesis method has been reported previously. There are several types of devices for alveolar ridge augmentation. In this paper, a new intraoral distraction device was used on the severe atrophic mandible in order to distract an alveolar ridge vertically in 5 patients. Mean amount of distracted alveolar ridge was 7.4㎜ (5∼9.5㎜). Dental implants were placed in the distracted alveolar bone and good osseointegration was obtained in all patients. Mean follow up period is 2years 6months (7months∼4years 9months). No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or resorption was observed in all patients. Alveolar ridge augmentation by gradual distraction seems to be a safe, simple and reliable procedure.

      • CT기술의 지역가입자망 적용방안

        이은주,조용환,오창석 충북대학교 컴퓨터 정보통신 연구소 1997 컴퓨터정보통신연구 Vol.5 No.1

        CT-2(Cordless Telephone-II) 서비스는 통신망 구축의 용이성, 저렴한 사용료, 기지국 설치의 용이성, 주파수 활용 용량의 증가 등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발신전용이라는 제약을 갖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착신전용 서비스인 무선 호출 서비스와 연계하여 착발신이 가능한 양방향 전화서비스가 개발되고 있어서, 셀룰러 전화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전화에 대비하여 상대적인 기능 부족을 만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지역 무선 가입자망 구성을 위한 유력한 대안으로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CT계열의 최종목표인 착발신은 물론 데이터 전송 등 다양한 기능이 가능하며, 저렴한 보행자 위주의 협대역 개인 휴대 통신의 실현과 향후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시 기존에 포설된 CT계열의 지역 무선 가입자망을 통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지역 무선 가입자망 적용을 위한 방안이 제시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T 계열 통신 서비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시 기존에 포설된 CT 계열 서비스를 지역 무선 가입자망을 통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설계와 핵심기능 및 기술항목을 도출하고 CT기술의 지역 가입자망 적용 방안을 제시한다.

      • 멀티미디어 기반의 발성훈련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이용주,양옥렬 圓光大學校 1996 論文集 Vol.31 No.2

        본 고는 발성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갖게 되는 발음교정과 언어학습의 어려움을 컴퓨터를 통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프로그램을 사용한 교육이 되도록 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기반의 발성훈련 시스템을 설계하여 그들의 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대부분의 음성언어 훈련기의 사용은 최근 들어 많이 발생하는 교통사고 등 심각한 뇌 손상을 입은 실어증(Aphasia) 환자의 치료용을 목적으로 하는 생리음성학적 측면에선의 치료용과 선천적인 발성장애를 가진 어린이의 초기교육에서 발성언어의 발화되어지는 특징을 교정하고자 하는데 연구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어린이용 음성언어 훈련기는 어린이의 흥미를 높일 수 있으면서도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형태로 개발되어져야 하며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여 보여주는 VUI(Visual User Interface)의 측면을 고려한 개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학습과정에서 컴퓨터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CAI(Computer-Aided Instruction) CourseWare의 형태와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훈련의 역활을 할 수 있는 CBT(Computer-Based Training)의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학습과정 동안에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국내의 사회적 환경을 고려한 적합한 일상 언어 체계에 부합되는 한국형 발성훈련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주요 사용자가 어린이 특히 청각장애를 가진 어린이들이므로 학습자의 상황을 세밀히 분석하고 이를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이미 기록되어진 개인 학습 환경 정보들과 현재의 학습자의 반응을 종합 분석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든다. 또한 사용자가 능동적 참여를 통해 자연스러운 흥미유발이 가능한 언어장애 교정 프로그램을 시험적으로 설계하여 시스템화 하는 후속 연구의 기반이 되도록 하였다. In Korea, at present, speech training tool for disabilities of speaking or listening have been using foreign countries' speech training tools. So, Korean speech training tools or software programs are needed for Korean disabilities. The Multimedia-based Auto Speech Training System was designed because of that kind of user-requirements. This system is scientific training program through. CAI(Computer-Aided Instruction) courseware types. The speech training program in this research was aimed for young children. Therefore, we propose the system using GUI(Graphic User Interface) and VUI(Visual User Interface: graphic, animation, moving picture etc.)-type formation. In this paper, we described user-requirement, system hardware interface requirements and program design requirement for Multimedia-based Korean Auto Speech Train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