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6)

        김재홍,황동규,전재홍,김윤석,김중환,김용준,이창균,임동진,김현수,조창근,김경문,박상훈,전우형,김희성,이호정,차명수,김갑형,김형석,김석우,황지환,박병순,권오상,이민수,송기훈,성소영,이인섭,부태성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2

        Background :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e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m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Objective &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D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an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Results: In 1996, 139 strains of N. 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53(39.0%) were PPNG.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s that after a peak of 74.3% in 1993,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is gradually declining.

      • BEZ235 (PIK3/mTOR inhibitor) Overcomes Pazopanib Resistance in Patient-Derived Refractory Soft Tissue Sarcoma Cells

        Kim, Hee Kyung,Kim, Sun Young,Lee, Su Jin,Kang, Mihyeon,Kim, Seung Tae,Jang, Jiryeon,Rath, Oliver,Schueler, Julia,Lee, Dong Woo,Park, Woong Yang,Kim, Sung Joo,Park, Se Hoon,Lee, Jeeyun Neoplasia Press 2016 Translational oncology Vol.9 No.3

        <P><I>BACKGROUND:</I> Although pazopanib treatment has become the standard chemotherapy in salvage setting for metastatic sarcoma patients, most patients progress after pazopanib treatment in 4 to 6 months. After failure to pazopanib, patients have limited options for treatment. Therefore, subsequent therapy in patients who failed to pazopanib is urgently needed and the use of patient derived cells or patient derived tumors for accompanying testing with various pharmacological inhibitors could offer additional treatment options for these patients. <I>METHODS:</I> Patient derived tumor cells were collected from ascites at the time of progression to pazopanib and a 13-drug panel was tested for drug sensitivity. We confirmed the results using <I>in vitro</I> cell viability assay and immunoblot assay. We also performed the genomic profiling of PDX model. <I>RESULTS:</I> The growth of patient derived tumor cell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exposure to 1.0 μM AZD2014 compared with control (control versus AZD2014, mean growth = 100.0% vs 16.04%, difference = 83.96%, 95% CI = 70.01% to 97.92%, <I>P</I> = .0435). Similarly, 1.0 μM BEZ235 profoundly inhibited tumor cell growth <I>in vitro</I> when compared to control (control versus BEZ235, mean growth = 100.0% vs 7.308%, difference = 92.69%, 95% CI = 78.87% to 106.5%, <I>P</I> < .0001). Despite the presence of CDK4 amplification in the patient-derived tumor cells, LEE011 did not considerably inhibit cell proliferation when compared with control (control vs LEE011, mean growth = 100.0% vs 80.23%, difference = 19.77%, 95% CI = 1.828% to 37.72%, <I>P</I> = .0377). The immunoblot analysis showed that BEZ235 treatment decreased pAKT, pmTOR and pERK whereas AZD2014 decreased only pmTOR. <I>CONCLUSION:</I> Taken together, upregulation of mTOR/AKT pathway in sarcoma patient derived cells was considerably inhibited by the treatment of AZD2014 and BEZ235 with downregulation of AKT pathway (greater extent for BEZ235). These molecules may be considered as treatment option in STS patient who have failed to pazopanib in the context of clinical trials.</P>

      • 노인의 영적 간호요구

        최미혜,김경희,김귀옥,김기숙,김수강,김정신,김춘숙,노흥진,박지연,성혜연,오명선,이선희,이원옥,이윤영,이현수,장명재,차혜경,채정선,홍상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간호과학연구소 2001 중앙간호논문집 Vol.5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 the aged's needs for spiritual nursing care. The purpose was to serve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nursing practic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degree of needs for spiritual nursing care as area was that needs of love and relationship mean 22.0, needs of meaning and object mean 28.2, needs of forgiving mean 13.5. Total needs for spiritual nursing care mean 63.7, which was on the upper middle level. The needs of meaning and object was rated highest. 2.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eeds of love and relatiohship wasn't significanlty different. 3.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eeds of meaning and objec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wo factors : age(F=7.260, p=0.001), religion(F=5.275, p=0.001). Higher needs of meaning and object was possessed by the older than the younger, by the one who have religion than the other. 4.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ur factors made a significantly difference to needs of forgiving : sex(t=-2.851, p=0.006), age(F=8.201, p=0.001), religion(F=6.928, p=0.000), disease(t=2.327, p=0.024). Higher needs of forgiving was possessed by man than woman, by the older than the younger, by the one who have religion than the other, by the one who have disease than the other.

      • KCI등재

        Surgical technique for single-port laparoscopy in huge ovarian tumors: SW Kim`s technique and comparison to laparotomy

        ( Jeong Sook Kim ),( In Ok Lee ),( Kyung Jin Eoh ),( Young Shin Chung ),( Inha Lee ),( Jung-yun Lee ),( Eun Ji Nam ),( Sunghoon Kim ),( Young Tae Kim ),( Sang Wu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60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 method to remove huge ovarian tumors (≥15 cm) intact with single-port laparoscopic surger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and to compare the surgical outcomes with those of laparotomy. Method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patients who underwent either SPLS (n=21) with SW Kim`s technique using a specially designed 30×30-cm2-sized 3XL LapBag or laparotomy (n=22) for a huge ovarian tumor from December 2008 to May 2016. Perioperative surgical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In 19/21 (90.5%) patients, SPLS was successfully performed without any tumor spillage or conversion to multi-port laparoscopy or laparotom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tumor diameter and total operation time, between both groups.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than for the laparotomy group (median, 2 [1 to 5] vs. 4 [3 to 17] days; P<0.001). The number of postoperative general diet build-up days was also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median, 1 [1 to 4] vs. 3 [2 to 16] days; P<0.001).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score was lower in the SPLS group (median, 2.0 [0 to 8] vs. 4.0 [0 to 8]; P=0.045). Patient-controlled anesthesia was used less in the SPLS group (61.9% vs. 100%). Conclusion SPLS was successful in removing most large ovarian tumors without rupture and showed quicker recovery and less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in comparison to laparotom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could be a feasible solution to removing huge ovarian tumors.

      • SCOPUSKCI등재

        Clinicopathological role of kidney injury molecule-1 in immunoglobulin A nephropathy

        ( Yu Ho Lee ),( Yang-gyun Kim ),( Sang-ho Lee ),( Ju-young Moon ),( Kyung-hwan Jeong ),( Tae-won Lee ),( Chun-gyoo Ihm ) 대한신장학회 2014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33 No.3

        Background: Urinary kidney injury molecule-1 (KIM-1) is an early and sensitivebiomarker of acute kidney injury, but it is unclear if it is a biomarker of chronicglomerulonephritis. We evaluated whether urinary KIM-1 levels in patients withimmunoglobulin A (IgA) nephropathy can be a marker to reflect clinicopathologicalseverity and predict the prognosis. Methods: We measured urinary KIM-1 levels in 40 patients (15 males; mean age36.6712.9 years) with IgA nephropathy and 10 healthy people (5 males; mean age37.379.6 years) as controls. The correlation of urinary KIM-1 levels with patients’clinical parameters, histological grades, and follow-up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odified H. S. Lee grading system and tubulointerstitial change scores. Results: Urinary KIM-1 levels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thanhealthy controls (P¼0.001).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showedthat urinary KIM-1 levels had a direct correlation with H. S. Lee grade andtubulointerstitial inflammation (P¼0.004 and P¼0.011, respectively). Conclusion: In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urinary KIM-1 has a significantcorrelation with histopathologic severity.

      • 폐암 환자의 활동상태,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의 관계: 불쾌감이론 기반으로

        김금순 ( Keum Soon Kim ),이명선 ( Myung Sun Yi ),방경숙 ( Kyung Sook Bang ),조용애 ( Young Ae Cho ),이정림 ( Jung Lim Lee ),이은 ( Eun Le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불쾌감 이론을 기반으로 생리적 요인(폐암 병기와 활동상태),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과 증상경험 및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관리하는 간호실무에 적용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은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합친 것으로 평균 12.62점이었다. 이는 일반 암 관련 증상을 살펴 본 Baek10)의 27.7점과 Lee와 Kim19)의 23.1점과 비교 시 낮았으며,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함께 측정한 Lee3)의 평균 17.15점보다 낮은 점수였다. 이러한 차이는 연령과 현재 치료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70세 미만으로 60대가 50.5%를 차지한 반면에 Baek10)의 연구에서는 60대 이상이 66.5%인 것을 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상이 심하다는 연구 결과7)를 지지하고 있다. 특히, 폐암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이 높아져 70대에서의 발생이 34.5%로 가장 높은 것을 볼 때 증상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2)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가 38.6%로 Lee3)의 43.9%와 전체 대상자가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Baek10)의 연구와 비교 시 낮았기에 증상경험이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상자가 지각하는 영양상태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증상경험은 낮은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자들의 56.4%가 암을 진단받은 지 2년이 경과하였고, 38.6%가 현재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양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하는 경우는 3.0%였으며 또한 지난 한달 간 4 kg 이상의 체중감소가 있었던 경우도 2.0%에 불과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80.2%가 현재 건강상태를 보통 이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추후에 대상자의 영양과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이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리적 요인인 폐암 병기,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폐암 병기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 환자에 있어서 병기는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이나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병기와 상관없이 현재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치료 중에 있는 대상자의 증상경험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19)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대상자의 증상점수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기에, 질병 관련 생리적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활동상태가 ECOG PS 0에서 2단계로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은 유의하게 높았고,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3,10,11) 심리적 요인인 불안, 우울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불안과 우울 모두 증상경험과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불안, 우울과 같은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증상경험이 심하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20,21) Lee3)의 연구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이 지각하는 불안과 우울과 같은 디스트레스는 증상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증상경험을 통해 삶의 질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NCC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의 권고와 같이 암의 진행단계마다 대상자의 불안과 우울을 평가하여 필요시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야 하며,22) 이때 환자의 내적 능력인 극복력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은 Lee3)의 연구에서 입증하였듯이 유용한 간호접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상황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사회적 지지와 증상 간에 유의한 직접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던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3,23) 그러나 Lee3)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극복력을 매개로 디 스트레스에 영향을 줌으로써 증상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20점 만점에 가족지지는 평균 17.69점, 친구지지는 13.63점, 의료인지지는 10.26점으로, 의료인 지지가 가장 낮으며,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3,10) 이는 직접간호제공자일 뿐 아니라 옹호자, 지지자로서의 간호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도전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의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적극적인 모색이 필요하며, 아울러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파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증상경험과 증상경험의 결과, 즉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의하게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여 증상경험이 심할수록 기능적 상태는 저하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발성 증상군의 경증군은 중증군에 비해 기능이 더 좋았다는 Lee와 Park4)의 연구결과와 호흡곤란 증상이 심할수록 기능상태는 저하되었다는 Mohan 등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부작용 증상을 심하게 호소할수록 기능적 상태가 저하되었다는 Baek10)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생리적 요인(활동상태),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증상경험의 57.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울에 의해 증상경험이 43.4% 설명되었으며, 우울과 불안에 의해서는 50.7%설명되었다. 이는 Lee3)의 연구에서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과 우울로 측정한 디 스트레스에 의해 증상부담이 62.8% 설명되었다는 결과보다는 낮았지만, 두 연구결과 모두 불안과 우울이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활동상태가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활동상태가 매우 저하된 중증의 환자에서의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간호사는 폐암 환자의 증상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기능상태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 영향요인들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 간의 관계를 종합해 볼 때, 불쾌감 이론은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설명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에 대한 평가와 환자상태에 맞는 간호접근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 간호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환자 지지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불쾌감 이론과 같은 중범위 이론의 간호실무 적용이 더욱 활성화된다면 이론과 실무의 차이를 줄이고 간호실무가 과학적인 배경을 가지고 더욱 발전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activity status,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01 lung cancer pat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for treatment or follow-up at one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to February 8, 2013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clinical records. To measure variables, the functional scale and symptom scale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re 30, EORTC QLQ-Lung Cancer 13,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software for Windows. Results: The symptom experience showed more severity in patients with lower activity status, higher anxiety and depression. With lower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functional status was lower. When anxiety, depression, and symptom experience were higher, functional status was also lower. Th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symptom experience were depression, anxiety,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which explained 57.8%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ymptom experience of lung cancer patients. Therefore, providing emotional support based on the patients` needs prior to providing symptom management could be a useful strategy for improving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 KCI등재
      • 합성수지 충전물을 이용한 충전탑에서 암모니아 처리에 관한 연구

        김장호,김형호,김종수,김재홍,이경재 동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2003 硏究報告 Vol.25 No.2

        In this study, packed column was chosen so as to remove ammonia gases, kinds of odor generated from industrial fields. Random packing 35mm Pallring pp., that is suitable for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industry, was used because the packings are comparatively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Random packings 35mm Pallring, PP. has a form of lattice as plastic(po1ypropylene).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for packing by experiment of dry pressure drop, hydraulic pressure drop, liquid hold-up and mass transfer, packed column is made as 300 [mm] in diameter, 1400 [mm] in height, the applicable criteria to the noxious gas treatment process was presented as follows.

      • 알쯔하이머형 치매와 혈관성 치매환자에서의 ALDH2와 APOE 유전자의 다형성에 관한 연구

        김동홍,김영돈,이창화,엄기춘,김은식,윤경식,김동희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치매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매발병의 위험요소가 될 수있는 ALDH2와 APOE 유전자형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충남 부여군에 위치한 부여노인병원에 입원중인 65세 이상의 알쯔하이머형 치매와 혈관성 또는 혼재성 치매환자 59명(남:19, 녀:40)을 대상으로 ALDH2와 APOE 유전자형을 제한효소법에 의하여 조사하였고 치매유형에 따른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1) 알쯔하이머형 치매환자군에서 혈관성 또는 혼재성 치매환자군보다 ALDH2*(-/2)유전자형의 빈도가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2) 알쯔하이머형 치매화자군에서 혈관성 또는 혼재성 치매환자군보다 APOE*(-/ε4) 유전자형의 빈도가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3) APOE*ε4와 ALDH2*2를 알쯔하이머병의 균등한 위험대립유전자로 가정하고 각 유전자형의 대립유전자의 수를 점수화하여 각 치매환자군의 위험유전자 전체점수를 비교한 결과 알쯔하이머형 치매환자군에서 점수가 더 높게 나왔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알쯔하이머형 치매환자군에서 혈관성 또는 혼재성치매치매환자군보다 ALDH2*2와 APOE*ε4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높게 나왔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A study on gene polymorphism of ALDH2 and APOE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or mixed dementia.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gene polymorphism of ALDH2 and APOE, reported the risk factor of Alzheimer's disease, in korean dementia patients. Method : 59 Patients(male:19, female:40) with dementia, aged 65 and older in Buyeo geriatric hospital located in Buyeo-gun, chungnam, were finally included in this study. gene polymorphism of ALDH2 and APOE was typed with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esease and vascular or mixed dementia. Results :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allelic frequency of ALDH2 gene polymorphism betwee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or mixed dementia.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allelic frequency of APOE gene polymorphism betwee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or mixed dementia. 3) Supposing APOE*ε4 and ALDH2*2 were equal risk allele of Alzheimer's disease, the sum of score by counting each risk allele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than vascular mixed dementia,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e genotype frequency of ALDH2*(-/2) and APOE*(-/ε4)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lsheimer's disease than vascular or mixed dementia,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elic frequency of gene polymorphism of ALDH2 and APOE betwee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or mixed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