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도의 봄>과 <시집가는 날>의 의사-로칼리티(Pseudo-locality) 表象

        전우형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4 No.3

        이 논문은 解放을 전후로 이병일이 演出한 두 작품, <반도의 봄>(1941)과 <시집가는 날>(1956) 사이의 反復과 差異를 규명하기 위해 씌었다. 이것은 영화 연출가로서 이병일 고유의 問題意識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동시에 解放 이후 韓國映畵史가 겹쳐 쓰고 다시 쓰는 文脈을 짚어내기 위한 課題이다. 두 영화의 공유항은 朝鮮色(또는 조선적 로칼리티)이라고 하는 로칼리티의 서사적 재현과 다른 세계의 가능성을 암시하는 엔딩이다. 전자가 조선영화, 또는 한국영화의 자질에 관한 문제제기라면, 후자는 그것이 가능한 시공간적 조건에 관한 映畵的 表象이다. <반도의 봄>에서 이 양자의 결합은 불가능성이라는 비극적 결말로 치닫는 반면 <시집가는 날>에서 이것은 이미 가능한 것으로 전제된 채 희망적 분위기로 소비된다. 解放 이전과 이후, 연출가로서 이병일이 집요하게 문제 삼았던 한국영화의 資質로서 로칼리티는 不在하거나 따라서 항상 代替 가능한 기호로서의 의사-로칼리티pseudo-locality라는 연속성을 지니며, 이는 한국영화사에서 解放이 단절이라기보다 연속된 창이자 굴절된 거울임을 확인해 준다. As is well known 이병일’s film <시집가는 날(The Wedding Day)> is an adaptation of 오영진’s original scenario written in Japanese 「孟進士邸の慶事(The Festivity of Maeng Family)」 published in the 『國民文學(National Literature)』 during colonial Korea’s 1943. And The Festivity of Maeng Family is written as a colonial accommodation to imperial Japan’s new geopolitical order between Japan and their colonies. Focusing this fact, recently a few studies have argued that The Wedding Day does have contradictory characters in its anti colonialism being derived from colonialism. Even though this might be right, Those arguements seems to be problematic because there could not be found 이병일’s willing and inherent motivation as a director. So this essay will establish what is distinctively characteristic of 이병일, who as a director, overwrote and rewrote <반도의 봄(The Spring of Korean Peninsula)>(1941), which was directed before the liberation that transitioned to The Wedding Day after the liberation. This is adjacent to the propositions of the ‘political unconscious’. If political unconscious is revealed during a process to resolve social contradiction symbolically and imaginatively because the inherent social contradiction continues and cannot be determined;notwithstanding the contradiction have been solved autwardly after liberation, 이병일’s productions still appear to depend on the symbolic and the imagination, which is in fact another cinematic contradiction. This essay will answer to the following question via such demonstration. As much as the language that instructed our film changed from “조선영화(Chosun Film)” to “한국영화(Korean Film)”, did films after the liberation appropriate the strict meaning of liberation to a complete break, ‘severance’? We can only give a skeptical response. This essa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the absence of the signified/ or its contradictory symbol that Korean film language devised in order to apply and interpret the same phenomenon differently.

      • KCI등재

        심훈 영화비평의 전문성과 보편성 지향의 의미

        전우형 대중서사학회 2012 대중서사연구 Vol.- No.28

        이 글은 식민지 조선에서 영화비평의 첫 장면을 구성하고 있는 심훈의 영화비평을 통해 당대 영화비평의 특성과 그의 비평적 태도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심훈의 영화비평은 그 자체로 영화비평이기도 하면서 영화비평에 대한 메타비평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흥미롭다. 심훈의 영화비평에서 눈여겨 볼만한 것은 ‘객관적 준거를 통한 전문화와 보편적 해석을 통한 대중 지향’의 성격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영화비평을 통해 드러나는 그의 이러한 관점은 비록 낮은 수준이고 영화비평 초기의 작은 부분에 불과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의 일관된 태도는 영화비평의 시작을 주도했던 문인들의 행태에 대해 대타적으로 정립된 것이라 일종의 저항적 기표로 읽힐 가능성이 있다. 다른 예술에 대한 간섭이 절대적으로 자유로웠던 문인들의 자의적 비평에 맞서 심훈은 영화를 구성하는 객관적 준거를 통한 전문적 비평을 제안한다. 아물러 영화 <아리랑>의 흥행 성공으로 조선영화의 관객대중이 형성되는 시점과 연동하여 비평으로 하여금 조선영화와 관객을 매개하는 역할을 기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조선영화 발전의 토대를 구축할 것을 당부한다. 영화비평을 둘러싼 그의 이러한 태도는 문학과 영화, 영화와 현실 사이에 내재하는 간극에 대한 비교적 날카로운 인식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며, 따라서 문단이라는 권위의식의 역학을 문제시하고 조선영화의 후진성을 극복하려는 노력과 연동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초기 조선어 발성영화 <미몽> 각색에 나타난 혼종적 토착화(Hybrid Vernacularization) 양상

        전우형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9 중앙사론 Vol.0 No.49

        Contact zones are fields of différance weaved with spatial difference and temporal delay. This différance strengthens the hybridity of Contact zones. Différance is often referred to as transculturation, which explains the nature of contact zones that colonies invent or derive from the process of borrowing from the empire. This essay focuses on translation, adaptation, and re-mediatio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how to use the empire's representation style, and how to appropriate oneself through conversation and intervention in the process. Focusing on early Korean-language talkie Sweet Dream(1936) which was adapted from A Doll’s House(1879) the Henrik Ibsen’s Drama, The ultimate goal of this essay was to identify the way the film intervenes in the narrative of the origins of modern women and its effect. Through this, this essay tried to find out the aspect of hybrid vernacularization between the West and East Asia, the empire and the colonies contributing to the possibility of the change of relationship.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nslations on Sweet Dream, that is, the actively intervention of the adaptation, reverts the separation of the house and the public place given to the woman since A Doll’s House to unidentifiable. Through this, Sweet Dream went back to the history of female enlightenment, suspected the validity of translation and enlightenment originating from the West, and recalled the discourse of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 to the vacancy. However, this Wise Mother an Good Wife was distant from the Chosun Dynasty or the traditional women of East Asia. It first appeared i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enlightening women in Japan, where first adopted Western civilization in East Asia, and this was also a translation of the Western civilization discourse. This fact suggests that the translation is a representation style reinforcing the hybridity of contact zones between Korea the colonies, and the dynamics of hybrid vernacularizing things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In addition, this essay points out that the discourse of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 discourse of Japan leads to the colonialist discourse that places the women of the colonial Korea as inferior. It is notable that the contemporary context of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 discourse. In the mid-1930s, Japanese imperialism was at the height of the fascist regime. The characteristic of Japanese imperialism at this time was that it declared the national-familyism which was to be abolished from the West and to be concluded with the World as One Famil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er East Asia Commonwealth.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 of Sweet Dream was related to national responsibility and ethics beyond the ethics of home or family. The reason why the Japanese imperialist speech was able to intervene without any interruption in Sweet Dream is because it was the early Korean-language talkie that made the audience a target of low-level audience. In the end, due to these media attributes, Sweet Dream became a premature “enlightenment theater”, and the popular culture of the colonial Korea, which is represented by the film, has become a promising actor in the total dictatorship system. This historical contingency also confirms that contact zones of the colonial Korea was the place of différance.

      • KCI등재후보

        1990년 이후 구보 텍스트 재매개의 계보학

        전우형 구보학회 2015 구보학보 Vol.0 No.12

        This study is genealogical approach to remediation of Gubo that called as a new aesthetic subject through Journalism since the lifting of writers who have gone to North Korea. The Gubo-text around the year 1990 is crucial change as much as sudden rising of Park, Taewon in the Korean research field at that time. Moreover this is more extensive and dynamic than the reproduction of Gubo the novel into novels. This study explores two text, one is Joo, Inseok’s Watching Movies of Gubo the Writer(1997) and Watching People of Gubo the Writer(1997), the other is Thinking about World of Gubo the Philosopher(2005) by Moon, Sungwon. Joo’s ‘Gubo’ and ‘Watching’ means politic unconsciousness of generation who encountered disparate reality and were eager for escaping from internalized suppression. Moon’s union of ‘Gubo’ and ‘Thinking’ is like a petit bourgeois’ murmuring that the one who encountered the animalized world without authenticity expressed his despair. So his thinking without the sincerity of writing seems to reflect the reality being absence of authenticity. The route from ‘Watching’ to ‘Thinking’ as a writing in the Gubo-text above represented the reality of 1990s’ provisional coexistence of alternative and wish to 2000s’ always coexistence of retrogression and anxiety in Korean Society. 이 글은 월북작가에 대한 해금 조치 이후 저널리즘을 통해 한국문화의 새로운 예술가적 주체로 호명된 ‘구보’라는 재매개 현상에 관한 계보학적 탐색을 목적으로 씌었다. 1990년을 전후로 탄생한 이 저널리즘과 결합한 ‘구보 텍스트’들은 해금 이후 한국문학 연구의 주제로 급부상한 박태원만큼이나 중요한 변화였으며, 소설 내에서 재생산되던 것보다 훨씬 광범위하고 역동적인 관계를 형성했다. 게다가 소설이 최인호와 주인석의 작품 두 편에 그쳐 역사화된 것과 달리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며, 그래서 박태원에 관한 연구의 시간과 거의 동시적이다. 이 글에서 다룬 두 편의 텍스트는 각각 소설가 주인석의 「소설가 구보씨의 영화구경」(1997)과 「소설가 구보씨의 사람구경」(1997), 그리고 철학자 문성원의 『철학자 구보 씨의 세상 생각』(2005)이다. 주인석을 통해 호명된 1990년대의 소설가 구보와 그의 구경은 시공간의 감각 등 전혀 새로운 세계와 맞닥뜨린 상황에서 이전의 내면화된 억압으로부터 벗어나고자한 한 세대의 정치적 무의식이었다. 그렇다면 문성원에 의해 호명된 철학자 구보와 그의 생각은 한층 더 동물화된 세계에서 진정성과 대면한 시대로 돌아갈 수도 없고, 선뜻 진정성의 주체로 나설 수도 없는 소시민적 웅얼거림 같은 것으로서, 글쓰기의 진정성마저 부재하는 한갓 ‘생각’으로 후퇴하고 말았다. 1990년 이후 구보 텍스트는 저널리즘과 소설가, 그리고 강연/출판과 철학자의 만남 등으로 재매개되었다. 이 구보 텍스트들이 ‘구경’에서 ‘생각’으로 이어지는 이 과정은 어쩌면 한국사회의 1990년대와 2000년대를 압축적으로 표상하는 장치로 볼 수 있다. 두 텍스트의 관계는 해금 자체도 그렇거니와 변화와 희망의 잠정적 공존 상태로서 1990년대와 퇴행과 불안의 항상적 공존 상태로서 2000년대 한국사회를 거울처럼 반영하고 있다.

      • KCI등재

        1980년대와 한국영화사 담론의 접촉지대

        전우형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3

        This article attempts to confirm a knot of the 1980s and to examine its resources and dynamics as a result of the emergence of new discourse about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This paper verified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independent film groups in the 1980s and the Removal of ban on the North Korean artists and their works as resourses, and the balance between the creation and criticism of Korean films and the study of interdisciplinary film studies as dynamics. This paper is meaningful to discover various points of contact within and outside Korean cinema in the 1980s as another approach to the existing debate on this, which simplifies the emergence and influence of nation/people discourse. At the end of the journey from the anti-imperialism through the Third World Film Movement to the North Korean and Communist film theory in the 1980s, the independent film group's publication encounters the film movement of KAPF, however coincidentally, a separate interpretation is required. This, in turn, is the process of theorizing the historical resources of Korean independence films and expanding them into social movements by refracting the theoretical radicality of the discourse of nation, people, and democracy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Korean film history, newly described as a product of contact zones, not only created knots in Korean film history, but also created a nodule in the boundaries between the disciplines. The incident then revealed that the history of the film, which is the subject of the masses in later film history, should be further revealed, the boundaries between the disciplines of science and science should be further broken down, and above all, the people found in the contact zone at that time need to be further subdivided. It continues to raise. This is the current meaning of the knot of Korean film history that appeared in the 1980s. 이 글은 한국영화의 역사에 관한 사유가 새롭게 등장하면서 생긴 1980년대의 한 결절을 확인하고 그것의 자원 및 역학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 글은 1980년대 독립영화 그룹의 형성과 월북작가에 대한 해금(解禁)이라는 역사적 사실에 주목하고 한국영화의 창작과 비평 사이의 균형감각과 탈분과학문적 영화연구를 그 동학의 한 예로 검증했다. 이 글은 새로운 한국영화사 담론과 관련한 기존의 논의가 민족/민중 담론의 출현과 그 영향으로 단순화되는 것에 대한 다른 접근으로서 1980년대 한국영화 안팎의 다양한 사회적 접촉지대를 발견하려는 데 의의가 있다. 1980년대 독립영화 그룹의 간행물들이 반제국주의로부터 제3세계 영화운동을 거쳐 북한 및 공산권의 영화이론에 이르는 여정의 끝에 카프의 영화운동과 만나는 지점은 아무리 우연일지라도 별도의 해석이 요구된다. 이는 결국 한국영화사에 대한 새로운 담론의 출현이 역사적 자원을 소환함으로써 1980년대 독립영화의 영화사적 위치를 발명하고 비평과 창작의 균형감각을 선취하는 것임과 동시에 당대 한국사회의 민족/민중 담론의 이론적 급진성을 내화함으로써 사회운동으로 확대되는 과정이기도 했다. 접촉지대의 산물로서 새로 서술된 한국영화사는 기존의 한국영화사에 결절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분과학문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 자체에도 하나의 결절을 만들어 냈다. 한국영화사 담론의 1980년대식 전회는 한국영화 및 영화사를 규정해왔던 낡은 경계와 위계를 탈구축하는 접촉지대의 산물이다. 그때의 그 사건은 이후의 영화사에서 민중이 주체가 되는 영화의 역사는 더 밝혀져야 하고, 분과학문 사이의 경계는 더 무너져야 하고, 무엇보다 그때의 접촉지대에서 발견한 민중은 더욱 세분화될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이것이 1980년대에 등장한 한국영화사에 관한 사유의 결절이 갖는 현재적 의미이다.

      • KCI등재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공존—미주 이민자 전낙청의 사랑에 관한 한 상상

        전우형 대중서사학회 2020 대중서사연구 Vol.26 No.2

        이 글은 근대 초기에 일어났던 이동과 접촉의 한 양상으로서, 한인 미주 이민자의 소설쓰기의 양상과 서사적 상상력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했다. 전낙청이 1930년대 쓴 소설들의 뒤늦은 귀환은 근대 초기 모빌리티의 다양성을 복원하고 기록과 기억에서 배제되었던 이민자들의 역사와 문화를 대면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소설들은 단순히 이민지라는 접경의 산물일 뿐만 아니라, 그곳을 새로운 역사와 문화, 제도와 가치 등을 생성하는 공간으로 상상하게 함으로써 지배와 종속, 중심과 주변 등의 이분법적 인식에 균열을 만들어 냈다. 이 소설들은 지적, 정서적, 윤리적으로 탁월한 인물들의 자유연애를 중심 사건으로 다루면서, 서양의 자유연애를 탈신비화하는 것과 동시에, 계급, 인종, 성별을 비롯한 여러 정체성에 의해 구획된 사회에서 벌어지는 분할과 경계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는 사랑의 공적인 역할을 발견한다. 전낙청의 소설쓰기는 잭이라는 인물을 통해 이민자와 선주민 공동체 사이의 적극적인 교호를 전경화함으로써, 이민자들의 유토피아가 아니라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공존하는 장소로서 헤테로토피아를 상상하게 한다. 이 소설들은 그간 종속되고 주변화된 접경에 관한 일종의 기억전쟁을 선포했다. 이민지라는 접경은 지난 세기 이래로 극심한 갈등과 불화들을 경험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유례없이 다양한 공동체와 지역사회들이 연결되는 장소로 기능하기도 했다. 접경은 분할과 점령의 대상이기 이전에 연대와 창조의 공공재였다. 이 소설들은 접경이 우리의 역사와 문화가 국가, 지역, 민족 사이의 대립항 속에서만 형성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경이나 경계와 먼, 그래서 고정 불변하는 교착상태가 아니라, 중심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운 세계로서 접경이야말로 다양한 만남을 통해 도래할 역사와 문화를 선취하는 시공간이었으며, 공동체였다.

      • KCI등재

        “Candlelight Documentary” as the Cultural Politics of Recording and Memorizing, and the Emergence of the Candlelight Plaza

        전우형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Korea Journal Vol.58 No.4

        The amateurism, spatial, and temporal expansions of the documentary films Gwangjang (Candle in the Wave) and Modeunnal-ui chotbul (All Day Candles), screened at Gwanghwamun Plaza in June 2016, dismantled the imaginary boundaries that existed between us and the Other. This paper examines how such dismantlement has moved to a new era and aesthetic strategy to bring the candlelight protests to the public’s eyes. The Sewol Ferry Disaster led to the rediscovery of reportage in Korean literature and the local art scene, and to the strengthening of amateurism in documentary films as a result of dismantling the authority of representation through omnibus and episodic formats in these two works. Beyond fostering our integration, they have played a political aesthetic role in increasing solidarity by revealing the boundaries of imagination created by our inner unconsciousness, where the dominant languages of integration and exclusion have been internalized. These two documentaries rewrite the origins of the Candlelight Plaza as cultural politics of recording and memorizing. In the two films, the movement and expansion of the plaza provide ways to make it accessible and visible to the indivisible beings standing on these boundaries to relieve the absurdities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영화제, 광장, 아카데미아 사이의 경합과 연대

        전우형 대중서사학회 2022 대중서사연구 Vol.28 No.2

        1990년대 중반 우연히 국내에 상륙한 것처럼 보이는 국제영화제는 아래로부터의 역사적 산물에 가깝다. 엄밀히 말하자면 1980년대 국내의 문화운동과 1990년대 탈냉전의 세계 사이에 놓인 접촉지대의 혼종적이면서 동시에 토착적인 문화운동이었다. 1980년대 영화운동에서 시작해, 1990년대 예술영화전용관 설치, 그리고 1996년 국제영화제의 등장은 병렬적인 것이 아니라 하나의 서사적 긴장을 빚는 과정이었다. 이 글은 글로벌과 로컬의 결합으로서 국제영화제가 이 둘을 어떻게 매개하는지에 관해서는 별로 궁금해 한 적 없었던 기존의 논의를 넘어서고자 했다. 2000년대 이후 최근까지 지속되고 있는 국내 국제영화제의 변화는 글로컬한 사회적 의제를 제시하고, 배제와 차별을 넘어 연대하고 공존하기 위한 실천적 전략을 탐색하는 문화정치의 진화과정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이효석 소설의 할리우드 표상과유럽 영화라는 상상의 공동체

        전우형 대중서사학회 2013 대중서사연구 Vol.- No.30

        이 연구는 식민지 조선의 문학과 영화의 상호교섭 양상을 각각의 매체적 속성에 대한 모방 차원에서 살필 것이 아니라, 문학 작품의 상호텍스트적 기원으로서 구체적인 영화 작품의 인유 양상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이때 영화 작품이라 하면 당대 식민지 조선의 현실, 특히 문화의 지형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하는 할리우드와 유럽의 영화들을 말하며, 이들의 문학적 수용 사실이 뚜렷하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이효석의 소설들을 통해 영화가 매개하는 현실에 대한 인식과 그것을 활용한 재현의 제 양상을 규명하는 것을 이 연구의 목표로 삼는다. 그의 다양한 인용에는 당시의 영화 작품에 대한, 그리고 그 영화의 국적이자 스타일에 대한 그의 일정한 인식이 스며들어 있다는 점에서, 실제 영화 작품, 그리고 할리우드와 유럽 영화에 대한 본격적인 문학적 대응이라는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할 만하다. 아울러 이효석의 소설에 대한 이러한 접근방법은 그의 소설에 담긴 현실인식이나 그것을 재현하는 장치의 문화적 토대와 기원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이 논문은 이효석의 소설에 나타난 할리우드 인식과 유럽 영화 취향의 발원 사이의 상관성을 규명하는 것으로 식민지 조선 문학의 할리우드 표상이 갖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밝히는 시론(試論)의 성격을 지닌다. 이효석의 소설 속에 인용된 할리우드 영화는 상품화된 성(性)이나 애욕 그 자체이자, 유럽을 식민화하는 제국의 자본이기도 했다. 「오리온과 능금」이나 「주리야」 등, 그의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여성들을 은유하는 능금의 수사학은 분명 할리우드 영화 Morocco<모로코>(1930)로부터 비롯된 것이며, 그녀들이 보여주는 ‘능금의 철학’은 역시 그녀들의 ‘공설시장의 철학’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 성(性)의 자본주의적 악용과 전유의 산물로서 의미화된다. 그런데 한편 이효석의 이 능금의 수사학은 할리우드가 지배하는 세계에 대한 은유로 확장되며, 이 순간 할리우드에 의해 철저히 식민화된 유럽영화에 대한 애수를 자극하게 한다. 「여수」라는 소설의 재현을 통해 내비친 프랑스 영화 Pépé le Moko<망향>(1937)에 대한 그의 예찬은 사실 그의 타고난 유럽주의나 스타일의 차이에서만 비롯되었다기보다 할리우드를 타자로 하는 상상의 연대로부터 빚어진 것일 가능성이 크다. 그의 소설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영화 <모로코>와 <망향>의 차이가 실제로는 명확하지 않다는 점, 게다가 <망향>에서 ‘파리’라는 기표가 미국적인 삶으로부터의 구원이라는 상징적인 기의를 획득하는 장면 등이 이러한 가능성을 확인시켜 준다. 그러나 할리우드 영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유럽 영화 취향이라는 이효석의 대응에는 사실 조선과 유럽 사이의 차이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며, 현재에까지도 일정한 영향력이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 기원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