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후보

        비복신경이식을 이용한 긴 거리의 말초신경 결손부 수복

        이종호,이세영,김명진,이은진,안강민,김성민,최원재,명훈,황순정,서병무,최진영,정필훈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2003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5 No.2

        The surgery of oral and maxillofacial area poses the risk of cranial nerve damage such as trigeminal nerve or facial nerve. Inferior alveolar nerve is prone to damage in the third molar extraction, implant installation, orthognathic surgery, open reduction and rigid fixation, and tumor ablation surgery. On the other hands,facial nerve is likely to be damaged or sacrificed with trauma or parotidectomy. In case of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the incidence is reported to be about 1.3%. The nerve function will almost recover in minimal damage, but it won't recover at last in total damage of a part of nerve unit. In latter cases, nerve regeneration in intended by allograft as nerve substitute or various route of merve condit. But the recovery with autograft is believed to be most relialbe mrthod in the rapair of long-span(longer than 15㎜)nerve defect. We have performed autologous sural nerve graft in the repair of nerve defect, which is caused by resection of benign or malignant tumor. Hereby we report the method of nerve harvesting, recovery of defected peripheral nerve and the complications of donor site with the discussion of sural nerve anatomy.

      • KCI등재후보

        하치조신경 및 설신경 손상 평가를 위한 한국인 정상 성인의 하순-이부 및 혀의 감각 조사

        이종호,이세영,송승일,이은진,안강민,김성민,명훈,황순정,서병무,최진영,정필훈,김명진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2003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5 No.2

        In the head and neck area, there are so many sensory nerves, which are sometimes injuried iatrogenically or inadvertently so that involved patients complained of the loss of sensations. In such cases, it is important to judge the degree of injuries and regeneration of nerve for better diagnosis and treatment. Seddon and Sunderland's classification, which is commomly used, is focused on histological change and nerve conduction. As times goes by, it is difficult to access patient's sensory disturbance by this method. Until now, so many methods such as contract threshold, direction, two-point discrimination, pin prick, thermal discrimination and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have been introduced for sensory evaluation. However, there hasn't been enough information regarding each methodology nor integrated standard methodology for the measu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Korean adult normative sensory values of lower lip,chin and tongue using modified methods of contact thershold, ditection, two point discrimination, pin prick, thermal discrimination and assess degree of regeneration of sensory nerve damage.

      • 우울증 환자 치료에 있어서 Tianeptine과 Sertraline의 효과와 안전성 비교

        이민수,강성민,기백석,연병길,오병훈,이철,채정민,백인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2

        연구목적: 주요 우울증의 치료에 있어서 티아넵틴과 써트랄린의 임상적 효과와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DSM-IV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주요 우울증의 진단기준에 부합되고 17항목 해밀턴 우울척도 점수가 14점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40명의 환자를 무작위적 방식에 따라 티아넵틴 치료군과 써트랄린 치료군으로 분류하였다. 선탠된 환자에서 다른 항우울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7일 이상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 후 티아넵틴과 써트랄린을 각각 6주간 투여하였으며, 기준점, 1주후, 2주 후, 4주 후, 6주 후에 HAM-D, MADRS, 그리고 CGI, COVI 등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기간 중 발생된 모든 부작용은 부작용의 발생 및 소실 시기, 심한 정도, 발생 빈도, 관련 조치 및 결과에 대하여 증례기록서에 기록하도록 하였다. 결과: 30명(티아넵틴군 15명 ; 써트랄린군 15명)이 6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고 티아넵틴 치료군에서는 1일 37.5mg을 투여하였으며 써트랄린군에서는 1일 평균 64.0±22.5mg을 투여하였다. 본 연구 결과 HAM-D, MADRS, CGI 상에서 두 군 모두에서 치료 1주 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2주 후, 4주 후, 6주 후에도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고 두 군간에 항우울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활력징후, 일반 혈액학, 생화학, 심전도 검사 등에서는 두 군 모두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티아넵틴과 관련된 부작용으로 흔히 보고한 증상은 오심(33.3%), 복부 불쾌감(26.7%), 구강 건조(20.0%), 두통(13.3%)등 이었고 써트랄린 치료군에서는 구강 건조(53.3%), 두통(46.7%), 오심(33.3%), 그리고 식욕 부진(33.3%)등으로 티아넵틴군에서 보다 적은 발현빈도를 보였다. 결론: 티아넵틴은 우울증의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이고, 내약성이 우수한, 안전한 항우울제이다.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ianeptine and sertralin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depression. Method: The study was done on th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diagnosed by DSM-IV, who had a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AM-D) score ≥ 14 on the first 17 items of the HAM-D. A total of 40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ianeptine group and sertraline group. Tianeptine and sertraline were prescribed to each group. 6 weeks of each medication was carried out after 7 days of drug excretion period. Evaluation using 17 item HAM-D, Montgomery and Åsberg Depression Rating Scale(MADRS), 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 (CGI), and Covi Scale was done on the baseline and after 1 week, 2 weeks, 4 weeks, and 6 weeks. Regrding all side effects that had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our study such as their developed/disappeaed time, severitien, incidences, managements and results have been recorded. Results: A total of 30 patients(tianeptine group 15 ; sertraline froup 15) finished the 6 weeks of research. 37.5mg of the daily dose was regularly prescribed to the tianeptine group, the average amount of 64.0±22.5mg of the final daily dose was prescribed to the sertraline group. Total 17 item HAM-D scores, total points of MADRS and CGI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fter 1 week in each treatment froup and continous decrease after 2, 4 and 6 weeks ; and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ianeptine group and sertaline group in the antidepressant efficacy.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vital sign, CBC, chemistry, and EKG in each treatment group. The common reported side effects of tianeptine were nausea(33.3%), epigastic distress(26.7%), dry mouth(20.0%), headache(13.3%) and those of sertraline were dry mouth (53.3%), headache(46.7%), nausea(33.3%), anorexia(33.3%).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ianeptine wa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depressive symptoms and was well tolerated and safe in patients with depression.

      • 캔음료중 epichlorohydrin 의분석법에 관한 연구

        이광호,곽인신,최재천,전대훈,김형일,강경모,최병희,김귀정,이철원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캔식품중에 잔류하는 epichlorohydrin을 분석하기 위한 pu링e & trap-Cc/uf통D 분석법을 확립하여 캔의 lacauer 코팅제에서 식품으로 이행되어 잔류하는 epichtorohydfn을 측정하고, 식품유사용매에 의한 용출시험을 통해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하였다. epichlorohydrin의 검량선은 y=0.0006x+0.OO6?(R큰0.9983)의 직선성·라 0.05#ga의 검출한계를 나타내었다. 각종 음료 및 식품유사용매에 일정량의 epichlorohydrin을 첨가한 후 분석하였을 때 회수을은 72~91%였으며, 실제 시판되는 f5건의 캔음료 중 잔류하는 epichlorohydrin을 측정한 결과 모든 캔음료에서 검출한계(0.1#94) 이하였다. 제관업체에서 구입한 modifed epoxy, epoxy phenolic, vinyl organosol, epoxy phenol ester 등의 BADGE(bisphenol A diglycidyt ether)형 에폭시수지로 lacquer 코팅된 식품용 캔에 식품윤사용매인 10% 또는 95% 에탄올을 층L진한 후 90~121'c의 드라이오븐에서 30분~2시간동안 용출시켰을 패 캔의 lacquer 코팅재에서 식품유사용매로 이행되는 epichBorollydirn은 코팅재질, 그리고 가열온도 및 시간에 문관하게 모든 캔에서 검출한계(0.4#ga)이하 였다. 위의 용출결과를 FD.f_의 "Recommendation for Chemistry Data for Indirect Food Additive Petition" 윽 일일추정섭취량 산출법에 적용하여 얻은 epichtorohydrin의 일딜추정 섭 취 량은 0.2r조persorday이하였다. A sensitive ana1?~7tical method based on gas cl)romatogFapy~mass spectrometry with a selected ion monitoring (GE/hfS-Slhf) and the purge-and-trap concentrator ))·asdeveloped for determining ot'epicillorohydrin in canr;ed be)#erages coated with eporl· resin. Thecalibration rurve in the ranre of 0.j ~50nr had'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83 and detection limit of 0.Osrga. Recoveries of epichlorohydrin spiked to beverages were in the range of 72 ~91% with detection limits of 0.1 #ga. fn survey of epichlorohydff in twenty commercialcanned beverage samples, epichlorohydrin was not found in all the samples with the detectionlimit of 0.1 r9a. In migration test of various cans coated with BADGE-based coating cans;modifed epoxy, epoxy phenolic, vinyl organosol, epox?· phenol ester were exposed to the foodsimulants of 10% ethanol and 95% ethanol. flfo delectable epichlorohydrin migrated to foodsiHulants was found in aTl the cars with detection Jimit of 0.4 #9/L. Using the miEration data,along uTith the applicstion of food and beverage cans complied with FDA's "Recommendationfor Chemlstry Data f,3r Indirect Food Additive Petition" , the potential dietary exposure toepichlorohydrin was estlmated to be under 0.2rf/person/day.

      • KCI등재

        구조조정기 노사분쟁의 사례비교연구 : 현대자동차와 발전회사의 분규를 중심으로 the Cases of Hyundai Motor and Power Generation Companies

        이병훈 한국노동경제학회 2004 勞動經濟論集 Vol.27 No.1

        이 논문에서는 구조조정을 둘러싼 두 개 기업(현대자동차와 발전회사)의 노사분규 사례를 중심으로 교섭행위론의 관점에서 그 발생 배경, 노사 쟁점과 교섭 과정, 그리고 분규양태 및 수습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발전회사의 노사분규에서는 정부 및 정치권의 개입을 통한 타율적인 분규사태 수습, 노사 상호간의 높은 불신과 배제적 교섭태도, 합의도출이 불가능한 노사의 교섭요구안, 그리고 노사분규의 사후적인 학습효과 결여 등과 같은 특징적 공통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 사례비교 연구를 통해 국내 기업 차원의 노사관계가 노사불신 → 교섭요구의 이해상충 → 배제적인 교섭태도 → 적대적 분쟁 경험으로 이어지는 퇴행적인 순환 과정을 통해 노사갈등 구도를 확대·고착화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노사관계 혁신의 단초를 마련하기 위해 노사갈등이 확대재생산되는 악순환을 노사협력의 선순환으로 대체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노·사·정, 그리고 언론에 의해 기울여져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two cases of labor disputes(Hyundai Motor in 1998 and Power Generation Companies in 2002) in the period of restructuring, by applying the behavioral theory of labor negotiations as a comparative framework. The paper compares th ba ckgrounds of the labor disputes, core issues, bargaining processes, and evolution ary patterns and conequences of the labor disputes at the two cases. The common f eatures, found in the two dispute cases, are strong mistrust and exclusive b argaining attitude between labor unions and management, little feasibility of contrac t zone in bargaining proposals by the tow parties, heteronomous dispute resolutio n by the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lack of learning effect gained f rom the experience of labor disputes. This comparative case study identif ies that the confrontational labor-management relations at the firm level is re-pro duced by a regressive process of the following circulation: labor-management distr ust → interest conflict in bargaining demand → exclusive bargaining attitude → the experience of antagonistic dispute → deepened distrust. In conclusion, four par ties → labor unions, management, the government, and public press-are required to make much effort to replace the vicious circle of labor-management c onfrontation by a virtueous cycle of labor-management cooperation.

      • KCI등재

        비정규 노동의 개념정의와 유형화에 관한 연구

        이병훈,윤정향 한국산업노동학회 2001 산업노동연구 Vol.7 No.2

        이 글에서는 노동의 비정규화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제시하고, 비정규 노동에 대한 개념정의와 유형화를 시도하고 있다. 근대 자본주의 기업들에 의한 관료제적인 노동통제체계의 성립을 통해서 자본-노동간의 내부화되었던 포드주의적 고용관계가 1990년대에 들어 전세계적으로 자본축적 환경의 재편과 경제활동주체-자본과 노동 그리고 국가-들에 의한 대응방식의 변화에 기반하여 시장매개적인(market-mediated) 방식으로 다양한 비정규 노동의 활용증대를 추구하는 "탈포드주의적 고용구조"로 전환되는 변화 경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형식적이고 법해석적이며, 잔여적인 접근 방식에 따른 기존의 개념정의가 자본의 외부화된 노동수취방식에서 비롯되는 비정규 노동의 본원적 특성을 밝히지 못하는 문제점을 비판하며, 비정규 노동에 대해 "자본의 시장의존적(market-dependent) 노동수취 전략에 따라 기업의 내부노동시장 또는 관료적 포섭-관리체계로부터 배제 또는 외부화되어 있는 노동자집단" 이라는 새로운 개념정의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현실 직업세계에 있어 실로 다양한 고용형태들을 포괄하고 있는 비정규 노동에 대해 탐색적인 방식으로 직무특성, 보장체계, 고용관계 형성의 자발성과 공식성, 고용형태의 시대성, 직업위세, 고용의 이동가능성, 성별 편중성 등을 기준삼아 다측면적인 유형화를 논의하고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theoretical analysis regarding the non-regularization of labor and attempts to define and categorize non-regular labor. The Fordistic employment relations, was established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bureaucratic labor control system, has been transformed toward the post-Fordistic model in the 1990s. The post-Fordistic employment relations, which pursues the increasing utilization of various non-regular labor in the market-mediated way, has come to fore against a background of changing environment of capital accumulation and newly evolving strategic interactions between industrial actors - employers, labor unions, and the state. It is criticized that the existing definition, which is based on the formalistic, legally-interpretative, and residualistic approach, dismiss the essential attribute of non-regular labor, derived from the externalized labor appropriation strategy of capital. In this paper, non-regular labor is conceptualized as "the worker group excluded or externalized from the corporate hierarchy of bureaucratic incorporation and control (or internal labor market) in accordance with employers' market-dependent employment relations strategies". Moreover, multi-dimensional categorization regarding non-regular labor is explored, particularly by offering various criteria, such as job attributes, provision of welfare, patterns of employment relations(whether voluntary, formal, and non-traditional), occupational prestige, job upgradability, and gender orientation.

      • 노동복지의 국가별 접근유형에 관한 비교연구 : 북유럽,미국,일본을 중심으로

        이병훈,류만희 한국산업노동학회 2002 산업노동연구 Vol.8 No.2

        이 논문에서는 북유럽 국가(스웨덴과 노르웨이), 미국, 그리고 일본을 중심으로 노동복지에 대한 국가별 정책적 접근유형을 비교하고 있다. 스웨덴·노르웨이는 강력한 노동조합운동의 정치적 영향력과 사민당 정부의 보편주의적 사회복지정책기조를 배경으로 제한적인 비중의 민간 기업복지 조차 국가복지로 '도약'하여 수렴됨으로써 국가복지 수렴형의 노동복지체제로 특징지을 수 있다. 반면에, 미국의 경우에는 실리주의 노선의 노동조합운동 전통과 국가복지 확대에 대한 정부의 미온적인 정책입장 등으로 인해 민간 기업복지 중심의 시장의존적인 노동복지체제, 즉 기업들의 시장지배력에 연동되어 노동자들에 대한 부가급여의 제공수준이 결정되는 기업복지 주도형의 복지모델이 고착화도어 왔다. 그 결과, 스칸디나비아국가에서는 노동자계층 내부의 복지격차는 원천적으로 억제될 수 있었던 것에 반해, 미국에서는 이러한 노동복지의 격차문제가 방치되거나 오히려 확대되는 것을 정책적으로 조장하기까지 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전후 경제성장연대의 기간에는 민간 기업복지 중심의 노동복지체계가 구축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 복지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의 일환으로 사회보장체계의 점진적 확대적용을 통한 법정화된 기업복지의 비중 중대와 중소기업근로자복지서비스센터에 대한 설립 및 운영의 지원이 이루어지면서 준공공복지의 영역이 확대되어 취약한 국가복지를 보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글의 결론에서는 일본의 준 공공복지 보완모델이 국내 노동자계층내부의 복지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언하고 하고 있다. This study compares and classifies national policy approaches to labor welfare among Northern European states(i.e. Sweden and Norway), US, and Japan. In Sweden and Norway, the labor welfare regime is categorized as the “state welfare-convergency” model, in that the limited private company welfare has been frog-leaped and converged into the public state welfare against the backdrop of labor union’s strong political influence and the SDP-led government’s univeralistic welfare policy. By contrast, the “private company welfare-driven” model, in which the level of welfare compensation, given to workers, i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market power of companies, has been forged in the US, because of the tradition of business unionism and the government’s inactive position on the expansion of public state welfare. As a consequence, the welfare gap in the working class has to a large extent been constrained in those Scandinavian countries, whereas the discrepancy of labor welfare in the US has been taken for granted and even widened by the government’s policy to encourage the diffusion of private welfare packages. In Japan, where the private company welfare-dominated model was formed during the post-war period of economic development, the semi-public welfare system has since 1980s been expanded by assisting the weak state welfare with the government’s policy to gradually increase companies’ legal contribution of social welfare and promot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on-government labor welfare service centers for workers of small-sized companies. It is suggested as a conclusion that the “semi-public welfare-aided” model, illustrated in Japan, need to be considered as a meaningful policy approach for resolving the widening discrepancy of labor welfare among workers in Korea.

      • KCI등재

        구직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병훈 한국노동경제학회 2002 勞動經濟論集 Vol.25 No.1

        본 연구는 구직자의 직업탐색행위와 관련하여 3차년도의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서구의 선행연구들이 구분하는 간접·공식의 구직경로 범주에 각각 포괄되는 세부적인 요소들이 구직자의 개인속성 변수와 여타 영향요인들에 따라 상충되는 인과성의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직업탐색의 활동패턴에 대해 일관된 형태로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가 구직자의 학력임을 밝히고 있다. 구직방법의 활용폭에 대해 구직자의 사회적 연결망(유력인사 친척관계)이 유의하게 작용하고있는 것으로 드러난 한편, 구직경로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부친의 학력이 구직자의 직업탐색 활동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resents an empirical analysis of job search behaviors by using the 3rd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data. The first finding of the study is that specific job search methods, respectively categorized as the indirect and the formal pattern, show the contrasting consequences of causality, as given job searchers'personal attributes and other social factors. Secondly, this analysis confirms that job searchers' education level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ir behavioral patterns in a consistent manner. Moreover, it is evident in this exploratory study that job searchers' social network (particularly whether to have close ties with relatives of high social rank) is a statistically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the extent of job search methods in use, while their fathers' education level also significantly affects the choice of job search patterns.

      • KCI등재

        알코올중독과 감각추구 성향

        이병회,박상학,김상훈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1

        저자들은 알코올중독환자의 감각추구경향을 알아보고자 알코올중독환자 45명과, 정상대조군 45명에게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감각추구척도, 그리고 음주관련 설문지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알코올중독 환자집단이 대조군보다 평균음주량과 최대음주량, 월평균 음주빈도, 법적 제재 경험 유무, 가족력의 여부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음주문제를 더 많이 경험하였다. 2) 감각추구 성향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정도로 스릴과 모험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추구척도(ES 척도)에서 알코올중독군이 소량음주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알코올중독군이 비관습적이고 비동조적인 생활방식과 마음과 감각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태감과 무료감에 대한 취약성 척도(BS scale)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정도로 권태감 및 무료감에 더 많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감각추구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정도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탈억제 추구척도(DIS scale)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두 집단 모두가 평소 음주량과 최대 음주량이 DIS scale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권태감과 무료감에 대한 취약성 척도(BS scale)는 평균 음주량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경험 추구 척도는 평균 음주량 및 음주빈도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4) 탈억제 추구 성향을 포함한 감각추구 성향이 개인의 음주행동과 관련된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을 밝힘으로써 앞으로 알코올중독 및 일반 성인의 음주행동을 이해하고 예방하며 치료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하겠다. Objects : To investigate the sensation seeking tendency of alcohol dependency, the authors have examined 45 alcoholics, and 45 nonalcoholic persons as a normal control group with demographic questions, sensation seeking and questionnaire on alcohol related problems. Method : In sampling, they confined the subjects to same age, sex and education in the alcoholics and normal control group. That was to remove the possibility that the above three variations could affect the results. Result : 1) The alcoholics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drinking, average and maximum volume of alcohol than normal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legal punishment as well as the high incidence of family members with alcoholic problem. 2) In sensation seeking tendency, the alcoholics showed significant scores for thrill and adventures. BS, ES & Total scales were in significant tendency in the alcoholics compared with normal drinking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IS scale among groups. 3) Both of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IS scale in average and maximum volume of drinking. The tendency of boredom and weari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verage volume of drinking and so was the tendency of experience seeking with average volume and frequency of drinking. Conclusion : It is suggested that is desirable for the deal with the tendency of boredom and weariness and to develop tendency to seek new sensational experiences through unusual and unconventional life style and mental attitudes using other methods than alcohol. and all of the three groups seem to drink in order to avoid the social restra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