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갈대 생육지에서 질소 시비가 사초의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서성,박진길,김원호,김맹중,이상학,정종성,박형수,성하균,이종경,Seo, Sung,Park, Jin Gil,Kim, Won Ho,Kim, Meing Jooung,Lee, Sang Hak,Jung, Jong Sung,Park, Hyung Soo,Sung, Ha Guyn,Lee, Joung Kyo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질소(N) 시비가 부존 조사료자원인 갈대(Phragmites communis)의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12년에 충남 천안과 경기 안산지역에서 실시되었다. 천안 국립축산과학원 갈대 재배지에서는 N 무시비구, N 50 kg/ha구, N 100 kg구 등 3처리를 두고 4월 30일 시비, 6월 21일 수확하였으며, 안산 시화간척지 갈대 자생지에서는 N 무시비구, N 60 kg/ha구 등 2처리를 두고 5월 1일 시비, 8월 1일 수확하였다. 갈대의 초장과 엽색은 N 시비구에서, 그리고 N 시비수준이 높을 때 양호하였다. 건물률은 N 시비구에서 약간 낮아지는 경향으로 천안지역은 무시비구 39.8%, N 시비구 37.6%, 36.7%, 안산지역은 무시비구 39.4%, N 시비구 37.6%였다. 천안지역의 건물수량, 조단백질 수량 및 가소화 건물수량은 무시비구에서 ha당 각각 4,026 kg, 235 kg, 1,850 kg, N 50 kg 시비구는 각각 4,658 kg, 306 kg, 2,388 kg, N 100 kg 시비구는 각각 5,622 kg, 446 kg, 3,143 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안산지역은 무시비구에서 각각 2,802 kg, 177 kg, 1,288 kg, N 60 kg 시비구는 각각 3,876 kg, 294 kg, 1,853 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천안지역의 조단백질 함량, 건물 소화율 및 상대사료가치 (RFV)는 무시비구에서 각각 5.85%, 45.96%, 64.0 (품질 5등급), N 50 kg 시비구는 각각 6.58%, 51.27%, 72.3 (5등급), N 100 kg 시비구는 각각 7.94%, 55.91%, 72.7 (5등급)로 높아졌으며, 안산지역도 무시비구에서 각각 6.30%, 45.98%, 70.2 (5등급), N 60 kg 시비구는 각각 7.59%, 47.80%, 78.3 (4등급)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갈대 생육지는 시비가 가능한 조건이라면(하천변이나 강변 등 수질오염이 우려되는 지역이 아닌), ha당 N 60~100 kg을 생육기에 시용해 주는 것이 생산량과 사료가치를 크게 개선시켜줄 수 있어 바람직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trogen (N) fertilization on the forage growth, production and quality of native reed (Phragmites communis) grasses.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Cheonan and in Ansan, 2012. Treatments were control (no N fertilization), 50 kg/ha and 100 kg/ha in Cheonan plots (fertilization on April $30^{th}$, and harvest on June $21^{st}$). Treatments in Ansan plots were control (no N fertilization) and 60 kg/ha (fertilization on May first, and harvest on August first). Forage growth and leaf colors were improved in N fertilized plots. However, the drymatter (DM) percentage was slightly decreased with N fertilization. Forage yields, in terms of DM, crude protein (CP) and digestible DM (DD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N fertilization in both sites. In Cheonan, DM, CP and DDM yields per ha were 4,026 kg, 235 kg and 1,850 kg,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and were 4,658 kg, 306 kg and 2,388 kg, respectively, in the N 50 kg plot, and 5,622 kg, 446 kg and 3,143 kg, respectively, in the N 100 kg plot. In Ansan, DM, CP and DDM yields per ha were 2,802 kg, 177 kg and 1,288 kg,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and were 3,876 kg, 294 kg and 1,853 kg, respectively, in the N 60 kg plot. Forage quality in terms of CP content,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and relative feed value (RFV) were also increased with N fertilization in both sites. In Cheonan, the CP content, IVDMD and RFV were 5.85%, 45.96% and 64.5 (grade 5),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6.58%, 51.27% and 72.3 (grade 5), respectively, in the N 50 kg plot, and 7.94%, 55.91% and 72.7 (grade 5), respectively, in the N 100 kg plot. In Ansan, the CP content, IVDMD and RFV were 6.30%, 45.98% and 70.2 (grade 5),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and 7.59%, 47.80% and 78.3 (grade 4), respectively, in the N 60 kg plot. In conclusion, N fertilization of 60~100 kg/ha was desirable for greater forage production, with a higher quality of native Phragmites communis achievable. This should only be applied if the fertilization area is not located at a riverside/streamside or in riparian land where there is a high risk of water pollution by fertilization.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SCIEKCI등재

        Effect of Non-animal-Derived Nitrogen Sources on the Production of Hyaluronic Acid by Streptococcus sp. KL0188

        Lee, Gil-Yong,Ha, Suk-Jin,Jung, Jong-Hyun,Seo, Dong-Ho,Park, Jong-Yul,Kim, Su-Rin,Park, Nam-Woo,Kweon, Dong-Keon,Park, Sang-Hoo,Park, Cheon-Seok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 2009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52 No.3

        Hyaluronic acid (HA) is a linear high-molecular-weight polysaccharide with useful biomedical applications. Streptococcus zooepidemicus, a typical HA-producing bacterium, requires an animal-derived nitrogen source such as tryptone, peptone or sheep blood as a nutrient. Sixteen non-animal-derived (NAD) nitrogen sources were tested as a replacement for the expensive animal-derived nitrogen sources, which may have safety issues. Among the sixteen tested NAD nitrogen sources, a yeast-derived nitrogen source (YE 0251) showed the highest HA productivity, which was equivalent to the control HA production medium containing tryptone in a 5-L jar and in 3,000-L industrial fermentations. In the 3,000-L fermentation, YE 0251 increased cell mass (dry cell weight) and HA production by 11% and 8%,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HA production medium. The fmal specific volumetric productivity (0.41 g/L h) was improved by about 70% after reducing the fermentation time from 20 h to 12 h,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oduction medium.

      • SCISCIESCOPUS

        Interaction betwee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Val66Met Polymorphism and Recent Negative Stressor in Harm Avoidance

        Kim, Seog Ju,Cho, Seong-Jin,Jang, Ha Min,Shin, Jonghan,Park, Pil-Whan,Lee, Yu Jin,Cho, In Hee,Choi, Jung-Eun,Lee, Heon-Jeong S. Karger AG 2009 Neuropsychobiology Vol.61 No.1

        <P>There have been controversial results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Val66Met polymorphism and anxiety-related traits such as harm avoidance (HA). We aimed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I>BDNF</I> Val66Met polymorphism and negative life stressors in HA. <I>BDNF</I> Val66Met polymorphism was genotyped in 391 community-dwelling Koreans (152 males, 239 females; 43.2 ± 14.1 years old).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for Depression Scale (CES-D) were self applied.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axis I disorders and face-to-face interviews investigating negative life stressors within the last 6 months were also perform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CI score, major depressive disorder prevalence and CES-D score among the 3 genotypes (94 Met/Met, 188 Val/Met and 109 Val/Val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CI scores between subjects with stressors and those without stressors, while more common major depressive episodes (p = 0.03) and higher CES-D scores (p < 0.001) were found in subjects with stressor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I>BDNF</I> genotype and negative life stressors in HA (p = 0.02). Only subjects with the Val/Val genotype showed higher HA with recent negative stressors. Our finding suggests that <I>BDNF</I> Val66Met polymorphism might influence HA by interacting with recent negative stress experience.</P><P>Copyright © 2009 S. Karger AG, Basel</P>

      • KCI등재

        논문 : 강원도 양양지역 소나무림의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수관층 연료특성에 관한 연구

        김성용 ( Sung Yong Kim ),이영진 ( Young Jin Lee ),장미나 ( Mi Na Jang ),서연옥 ( Yeon Ok Seo ),구교상 ( Kyo Sang Koo ),정성철 ( Sung Cheol Jung ),김경하 ( Kyung Ha Kim ) 한국임학회 201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양양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수관층 연료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하월천리 일대 소나무림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13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양양지역 소나무림의 줄기밀도(g·cm-3)는 0.347~0.409, 지상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1.251~1.419의 범위로 나타났다. 지상부 연료량은 총 161.6 Mg·ha-1로 나타났으며, 줄기 126.4 Mg·ha-1, 가지 29.3 Mg·ha-1, 잎 5.9 Mg·ha-1로 나타났다. 수관층 연료특성 인자에 관한 연구에서는 수관화 확산 시 연소될 수 있는 연소가능 연료(잎~1 cm이하 가지)의 비율은 45.2%로 나타났고, 연료량을 수관체적으로 나눈 연소가능 연료밀도(kg·m-3)는 평균 0.17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 및 탄소 흡수량 추정과 수관화 위험성을 연료적 관점에서 평가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bove-ground biomass and crown fue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stands in Yangyang, Gangwon province. A total of thirteen representative trees were destructively sampled in Yangyang reg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em density (g·cm-3) was 0.347~0.409, whereas the above-ground biomass expansion factors ranged from 1.251~1.419. In terms of crown fuel biomass, the above-ground biomass was 161.6 Mg·ha-1 while the stem biomass, branch biomass and needle biomass were 126.4 Mg·ha-1, 29.3 Mg·ha-1 and 5.9 Mg·ha-1, respectively. Needles and twigs with less than 1 cm diameter accounted 45.2% of the total crown fuel load. The available crown bulk density, which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crown fuel load to the crown volume, was 0.178 kg·m-3.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biomass and carbon stocks estimation of the Pinus densiflora together with the crown fire hazard assessment based on crown fuel loads are very significant information for the forest managers.

      • KCI등재

        2010 해남, 평창, 원주지역 갈대 등 야초류의 이용실태와 사료가치 평가

        서성(Sung Seo),한대덕(Dae Duk Han),장선식(Sun Sik Jang),김원호(Won Ho Kim),정민웅(Min Woong Jung),최진혁(Jin Hyuck Choi),김진숙(Jin Sook Kim),김하영(Ha Young Kim),이종경(Joung Kyong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2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부존 조사료자원 이용으로 수입사료를 줄이고 사료비를 절감하고자 2010년도에 전남 해남(간척지), 강원 평창(강변), 원주(섬강변), 전남 영광(와탄강변) 등 4개 지역에서 갈대와 억새 등 야초 자생지를 탐색하고, 수확·이용실태 조사와 함께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전남 해남 해남목장 내 갈대(Phragmites communis) 위주의 야초 자생지는 300 ha로 예년에는 2회 곤포작업하여 연간 사일리지로 2,300~2,500톤(ha당 8톤)을 생산하였으나 2010년도는 1회 곤포조제로 사일리지 2,000톤(ha당 7톤)을 생산하였다. 유통가격은 롤 당 53천원으로 ㎏당 110원이었다. 곤포는 전량 자가소비하며, 외부 작업단에 롤 당 26천원의 작업비를 지불하였다. 연간 조수입은 2억 2,260만원이며, 소득은 1억원 수준(345천원/ha)이었다. 초장 150 ㎝의 갈대는 조단백질 8.4%, 상대사료가치 71.9 (건초 5등급), 건물 소화율 60.1%로 사료가치는 볏짚에 비해 약간 나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갈대 사일리지의 사료가치와 유기산 함량은 동일 지역에서 동일한 재료로 사일리지를 조제하더라도 수확시기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CP 4.7~6.4%, RFV 62.2~78.9, 건물 소화율 41.9~53.9%), 갈대 사일리지의 품질은 수단그라스에 비해 불량하였다. 강원 평창 강변 자생갈대의 사료가치는 초장이 79, 117, 121, 142㎝로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져, 조단백질은 각각 13.9%에서 7.6%로, 상대사료가치는 90.7 (건초 3등급)에서 76.1 (건초 4등급)로, 건물 소화율은 72.9%에서 54.7%로 감소하였다. 원주 섬강 주변 야초류는 곤포수확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초장 130 cm의 갈대는 조단백질 8.5%, 상대사료가치 82.3 (건초 4등급), 건물 소화율 70.2%로 사료가치는 높았으며, 220㎝의 성숙한 갈대는 조단백질 10.2%, 상대사료가치 65.1 (건초 5등급), 건물 소화율 48.9%로 볏짚 대비 조금 나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남영광지역에서는 와탄천 주변에 자생하는 갈대를 수거 이용하고자 시도하였으나 경제성이 없어 중단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갈대, 억새 등 야초류는 현 상태에서 최대한 수거·이용하되, 사료가치를 유지하고 가축 기호성이 양호한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하며, 최소한 볏짚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사료가치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7월 중순 이전(늦어도 7월까지)에 수확·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10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and forage quality of native grasses, such as Phragmites communis which might reduce the cost of feeding domestic cattle. The regions surveyed were the Haenam ranch in Haenam, Pyeongchang, Wonju, and Yeonggwang. In Haenam, yearly silage production harvested from 300 ha was 2,000 MT (7 MT/ha). All of those round bale silages were self-consumed in that region, and marketing price was 50,000 55,000 won per roll (110 won/㎏). Phragmites communis of 150 ㎝ in length contained 8.4% crude protein (CP) with relative feed value (RFV) 71.9 and 60.1%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which was somewhat more favorable than forage quality of rice straw. The silag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varied greatly by the time of harvest (CP 4.7 6.4%, RFV 62.2 78.9, and IVDMD 41.9 53.9%), even with the same district and of the same original forage materials. Generally, th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silage of was poorer than that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 In Pyeongchang, forag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was decreased from 13.9% to 7.6% in CP, 90.7 to 76.1 in RFV, and 72.9% to 54.7% in IVDMD, as plant was getting mature, from 79 ㎝ to 117 ㎝, 121 ㎝ or to 142 ㎝ in length. In Wonju, the quality values of Phragmites communis of 130 ㎝ in length were 8.5% CP, 82.3 RFV and 70.2% IVDMD, while those of matured grasses of 220 ㎝ in length were lower (10.2% CP, 65.1 RFV and 48.9% IVDMD), but this was a little more favorable than quality of rice straw. In Yeonggwang, feeding Phragmites communis was tried in a Hanwoo feed, but stopped due to low profitability. In conclusion, the overall quality of most native grasses including Phragmites communis in this survey was poor. Therefore, we recommend that Phragmites communis and native grasses should be harvested on June or July to obtain richer forage quality in forage values than rice straw.

      • Proliferation Effect of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Lymph Node Stromal Cells

        Lee, Sang-Han,Moon, Sung-Hoon,Ha, Sang-Chul,Ma, Jin-Yeul,Kim, Min-Sook,Lee, Jin-Man,Kwon, O-Yu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2 Journal of Life Science Vol.12 No.1

        CS21 lymphoma cells that preferentially metastasize to lymph nodes after s.c. inoculation into BALB/c mice were grown in vitro in the presence of CA12 stromal cells isolated from lymph nodes. To obtain fundamental data 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soluble factor(s) produced by CA12 stromal cells,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profile of the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CAl2 stromal cells. CAl2 conditioned medium has no affinity with Con A. CAl2 conditioned medium is associated with the proliferation of splenic T- and thymic T-cells with-out adding mitogen, although the conditioned medium cannot induce the differentiation of thymocytes. Additionally, we showed that H-7, not HA-1004 inhibits CS21 cell prolife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l2 conditioned medium has a specific soluble factor(s) produced by lymph node stromal cells.

      • KCI등재후보

        간암 환자에 합병된 Citrobacter braakii 패혈증 1례 보고

        이해미,배성하,이수남,이정우,신아영,류시영,이수연,윤문희,한선영,한남익,이영석,유진홍 대한감염학회 2010 감염과 화학요법 Vol.42 No.3

        Citrobacter species is a gram-negative bacilli that can cause opportunistic infections in immunocompromised hosts. Citrobacter braakii refers to the genomospecies 6 of the Citrobacter freundii complex. There are no detailed studies on infections caused by this newly identified specific genetic species in Korea. We herein report a case of a patient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who, after undergoing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developed biloma which later progressed to C.braakii sepsis and did not respond to treatment.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in Korea on C. braakii infection resulting in septic shock in a patient with malignancy in Korea.

      • 맥주박 바이오차 처리가 암모니아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이재한(Jae-Han Lee),최하연(Ha-Yeon Choi),박성용(Seong-yong Park),천진혁(Jin-Hyuk Chun),강윤구(Yun-Gu Kang),윤여욱(Yeo-Uk Yun),이기범(Gibum Yi),오택근(Taek-Keun Oh)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암모니아(NH₃)는 대기 중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등과 반응하여 황산암모늄, 질산암모늄과 같은 2차 미세먼지를 생성하는 주요 미세먼지 원인물질이다. 2017년 기준 국내에서 NH₃는 총 308,298 ton year<SUP>-1</SUP> 배출되었으며, 농업부문에서 약 79.3%의 비율로 가장 많이 배출되었다. 토양에 질소질 비료의 시용 시 발생되는 NH₃의 대기로 배출은 토양 내 질소 손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바이오차는 넓은 표면적과 표면의 작용기를 가지고 있어 토양 내에서 중금속이나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온도에서 열분해된 맥주박 바이오차 처리가 NH₃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바이오차는 충분히 건조된 맥주박을 300, 500, 700°C에서 각각 1시간 동안 열분해하여 제조하였다. 각 바이오차를 토양에 3% (w w<SUP>-1</SUP>)씩 혼합 후 NH₃ 포집을 위해 자체 제작한 아크릴컬럼에 작토층 높이인 20 cm 까지 토양을 채웠으며, 토양 수분함량은 20%로 조절하였다. 질소질 비료는 작물별 시비처방기준의 배추를 기준으로 요소를 각 처리구에 320 kg ha<SUP>-1</SUP>로 처리하였다. NH₃의 포집은 요소 처리 후부터 약 30일간 실험실 내에서 실시하였다. 배출되는 NH₃는 0.05 N H₂SO₄으로 포집하여, Indophenol blue method로 비색정량하였다. 그 결과, 시험 기간 중 총 NH₃ 배출량은 BB<SUB>700</SUB>처리구가 약 11.83 kg ha<SUP>-1</SUP>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BB<SUB>300</SUB>처리구의 총배출량은 약 7.34 kg ha<SUP>-1</SUP>로 가장 낮았으며, N처리구에 비해 약 30.5% 저감 되었다. BB<SUB>700</SUB>처리구는 N처리구에 비해 NH₃ 총배출량이 약 12% 증가하였는데, 이는 바이오차의 높은 pH에 의한 alkali effect로 판단된다. 실험 후 토양 분석 결과, 모든 바이오차 처리구에서 pH, EC, Av. P₂O<SUB>5</SUB>, T-C, T-N 등이 증가하였다. 특히, BB<SUB>700</SUB>처리구는 처리된 바이오차의 높은 탄소 함량으로 인하여, 토양 내 탄소 함량이 약 3.44%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열분해한 BB<SUB>300</SUB>의 토양 처리가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NH₃를 감축할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는 실제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NH₃를 감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몬순기후와 복잡지형의 특성을 갖는 광릉 산림유역의 물과 탄소순환에 대한 교차규모 연구로부터의 교훈

        이동호 ( Dong Ho Lee ),김준 ( Joon Kim ),김수진 ( Su Jin Kim ),문상기 ( Sang Ki Moon ),이재석 ( Jae Seok Lee ),임종환 ( Jong Hwan Lim ),손요환 ( Yo Whan Son ),강신규 ( Sin Kyu Kang ),김상현 ( Sang Hyun Kim ),김경하 ( Kyong Ha Kim 한국농림기상학회 2007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9 No.2

        광릉 슈퍼사이트에서 대기와 식생간의 에너지와 물질교환 규명은 지형과 식생의 복잡성으로 인해 많은 기술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KoFlux 연구에서는 상호보완적인 다중 분야의 연구를 통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를 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KoFlux 연구의 예비결과 중 특히 광릉사이트에서의 물/탄소수지, 물과 탄소순환의 상호관련성 그리고 몬순기후하의 생태계에서 탄소순환에 미치는 수문학적 요인의 중요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광릉낙엽활엽수림의 순생태생산량 (NEP)은 광범위한 생태학적 연구결과에 따르면 약 ~2.6 t C/ha/y로 예상된다. 이를 미기상 플럭스 관측 결과와 함께 고려할 때 광릉 산림은 탄소의 중요한 육상흡원으로서 기능함을 예상할 수 있다. 다양한 생태수문 관측에 의해 규명된 유역단위 물수지에 의하면 연단위 전체강수량의 약 30-40%가 증발산 (ET)에 해당함을 나타내고 있다. 광릉산림의 대표적인 수종인 졸참과 서어나무의 잎에서 얻어진 탄소 안정동위 원소 조성에 근거하여 계산된 식물 성장기간의 평균 물 이용효율(WUE)은 약 ~12 μmol CO2/mmol H2O에 해당된다. 얻어진 증발산량과 물이용효율은 유역단위의 생태계 생산량을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나이테 성장량과 토양호흡량의 연단위 변화는 강수량과 강수의 패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보이고, 이는 몬순기후에 영향을 받는 동아시아 지역 생태계에서 탄소 순환과정이 수문학적 조건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짐을 지시한다. 연구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정량화하기 위해 관측지의 구조 및 기능적 단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시공간 규모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의 결과물을 체계적으로 연결 통합하고 나아가 보다 광역적인 규모에서 대표적인 물/탄소 수지를 산출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KoFlux Gwangneung Supersite comprises complex topography and diverse vegetation types (and structures), which necessitate complementary multi-disciplinary measurements to understand energy and matter exchange. Here, we report the results of this ongoing research with special focuses on carbon/water budgets in Gwangneung forest, implications of inter-dependency between water and carbon cycles, and the importance of hydrology in carbon cycling under monsoon climate. Comprehensive biometric and chamber measurements indicated the mean annual net ecosystem productivity (NEP) of this forest to be ~2.6 t C ha-1 y-1. In conjunction with the tower flux measurement, the preliminary carbon budget suggests the Gwangneung forest to be an important sink for atmospheric CO2. The catchment scale water budget indicated that 30~40% of annual precipitation was apportioned to evapotranspiration (ET). The growing season average of the water use efficiency (WUE), determined from leaf carbon isotope ratios of representative tree species, was about 12 μmol CO2/mmol H2O with noticeable seasonal variations. Such information on ET and WUE can be used to constrain the catchment scale carbon uptake. Inter-annual variations in tree ring growth and soil respiration rates correlated with the magnitude and the pattern of precipitation during the growing season, which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a monsoon climate on the catchment carbon cycle. Additionally, we examine whether structural and functional units exist in this catchment by characterizing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the study site, which will provide the linkage between different spatial and temporal scale measur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