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울릉도 해송림 지역의 생태관광 자원화를 위한 군집구조 분석

        정성철(Sung-Cheol Jung),구교상(Kyo-Sang Koo),김용걸(Yong-Geol Kim),허태철(Tae-Chul Hur),주성현(Sung-Hyun Joo) 한국산림휴양학회 201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울릉도 해송림의 생물종 다양성 보존과 생태관광 자원화를 위한 생태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해송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였다. 울릉도 해송림의 Cluster 분석 결과 해송-섬피나무림(군집 A), 해송-섬벚나무림(군집 B), 해송 우점림(군집 C)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 상관관계에서는 섬벚나무는 섬단풍, 마가목은 섬피나무, 섬단풍은 섬피나무, 우산고로쇠는 삼나무, 섬피나무는 쪽동백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해송과 동백나무는 약한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군집별 목본식물의 종다양성은 군집 A에서는 1.1811, 군집 B는 1.2202, 군집 C는 0.8713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ecological resources which is need for species diversity, ecotourism resource at Pinus thunbergii Forest in Ulleung-do. As a result of analyzing 31 clusters of Pinus thunbergii Forest, it was classified as three groups- Pinus thunbergii-Tilia insularis community (A), Pinus thunbergii-Prunus takesimensis community (B)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 (C).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Prunus takesimensis and Acer takesimense, Sorbus commixta and Tilia insularis, Acer takesimense and Tilia insularis, Acer okamotoanum and Cryptomeria japonica, Tilia insularis and Styrax obassia, and relatively weak nega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Pinus thunbergii and Camellia japonica.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woody plant by communities showed that community A was 1.1811, community B was 1.2202 and community C was 0.8713.

      • KCI등재

        해안 곰솔림 내 아까시나무의 분포확대 억제요인

        정성철 ( Sung Cheol Jung ),구교상 ( Kyo Sang Koo ),김경하 ( Kyong Ha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5

        본 연구는 해안 곰솔림에 생육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분포특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아까시나무의 생장특성과 임내 환경을 조사 분석하였다. 해안 곰솔림 내에 분포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분포확대 억제요인을 분석한 결과, 염분농도가 높은 0m 지점에서 잎의 갈변, 위조, 조기낙엽 현상이 나타나 염분이 아까시나무의 생장억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토양특성과 광환경은 식재지점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아까시나무의 생장에 있어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해안측에 생장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수평근 연륜분석결과, 2년생 개체의 근주에서 0.1~0.2m 떨어진 수평근 연륜에서도 1년 밖에 형성되지 않아 아까시나무의 수평근으로 영양공급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수평근의 신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수평근의 신장과 개체의 신생이 이루어지지 않아 해안측으로 아까시나무의 분포확대가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environment in the forest and growth characteristics for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Robinia pseudoacacia distribution in a Pinus thunbergii forest at the coast. As a result of analyzing inhibitory factors of Robinia pseudoacacia distribution in a Pinus thunbergii forest at the coast, it is considered that the salt level included in a sea wind is supposed to be the primary factor of the slow growth for Robinia pseudoacacia since brown leaves, wilting and early leaf fall have appeared in the 0m spot from the artificial dune which has the high salt level. However, the soil properties and light environment hardly have a effect on the growth of Robinia pseudoacacia because there is no difference among planting places. Also, the growth ring of the horizontal root in 2year individuals 0.1~0.2m away from the dune have been formed for 1 year only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growth rings of Robinia pseudoacacia growing on the coast. It can be infered that the nourishment of the horizontal root from individuals growing on the coast have been provided for the first 1 year only. It is estimated that, in case of the nearby areas on the coast, it is not enough to provided nourishment to the horizontal root due to obstructing the growth of new individuals by a sea wind, so the growth of the horizontal root would be hamper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mpedient Robinia pseudoacacia distribution in a Pinus thunbergii forest at the coast is caused by making no growth of new horizontal roots and newborn individuals.

      • KCI등재

        도시림 조성·관리 방안에 관한 시민-공무원 인식조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정성철(Sung-Cheol Jung),이민하(Min-Ha Lee),구교상(Kyong-Sang Koo),조은경(Eeung-kyung Cho),한상열(Sang-Yoel Han),허태철(Tae-Chul Hur),주성현(Sung-Hyun Joo) 한국산림휴양학회 201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4 No.3

        도시림 조성·관리 방안에 관한 시민과 공무원 집단간의 인식차이를 조사한 결과, 대구광역시 도시림의 양에 대한 인식정도는‘가로수’와‘자연공원’은 보통,‘ 주택가 녹지’,‘ 공단주변 녹지’등은 부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도시림 관리상 문제점에 대해서 시민들은‘도시림 감소’,‘ 인력부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공무원들은‘인력부족’및‘주민민원’이높게나타났다. 도시림관리를위해보완되어야할사항에대해서시민들은‘시민참여’,‘ 재정적지원’이높게나타났으며, 공무원들은‘재정적 지원’,‘ 제도적 뒷받침’,‘ 인식전환’이높게 나타났다. 가로수 인지도에 관한 설문결과, 시민들은 공무원들보다 가로수 식재정도가 적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가로수를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가로수 조성·관리에 대한 인식정도에 있어서 시민들은 공무원들에 비해 부정적인 반면 공무원들은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bout understanding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 this study shows that citizens and municipal officials have recognized the amount of urban forest in Daegu as follows; ‘Street trees’ and ‘Natural parks’ are normal, and ‘Green zones of housing and industrial areas’ are not enough. For the administer problems in urban forest, citizens pointed out ‘decrease of urban forest’ and ‘deficiency of manpower’ as main reasons. On the other hand, municipal officials indicated ‘deficiency of manpower’ and ‘civil petition’ as the highest reasons. In the features to be complemented for the administration of urban forest, citizens argued that ‘participation of the public’ and ‘financial support’ be needed. And public service explained that ‘financial support’, ‘institutional backing’ and ‘cognitional change’ were required. As a result of the survey about the awareness of street trees in Daegu, citizens thought that the planting amount of the street trees was less than municipal officials thought, and the more street trees are needed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overall awareness degree for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street trees, citizens are negative about it to compared with public service, while municipal officials are affirmative about it.

      • KCI등재

        논문 : 강원도 양양지역 소나무림의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수관층 연료특성에 관한 연구

        김성용 ( Sung Yong Kim ),이영진 ( Young Jin Lee ),장미나 ( Mi Na Jang ),서연옥 ( Yeon Ok Seo ),구교상 ( Kyo Sang Koo ),정성철 ( Sung Cheol Jung ),김경하 ( Kyung Ha Kim ) 한국임학회 201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양양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수관층 연료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하월천리 일대 소나무림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13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양양지역 소나무림의 줄기밀도(g·cm-3)는 0.347~0.409, 지상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1.251~1.419의 범위로 나타났다. 지상부 연료량은 총 161.6 Mg·ha-1로 나타났으며, 줄기 126.4 Mg·ha-1, 가지 29.3 Mg·ha-1, 잎 5.9 Mg·ha-1로 나타났다. 수관층 연료특성 인자에 관한 연구에서는 수관화 확산 시 연소될 수 있는 연소가능 연료(잎~1 cm이하 가지)의 비율은 45.2%로 나타났고, 연료량을 수관체적으로 나눈 연소가능 연료밀도(kg·m-3)는 평균 0.17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 및 탄소 흡수량 추정과 수관화 위험성을 연료적 관점에서 평가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bove-ground biomass and crown fue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stands in Yangyang, Gangwon province. A total of thirteen representative trees were destructively sampled in Yangyang reg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em density (g·cm-3) was 0.347~0.409, whereas the above-ground biomass expansion factors ranged from 1.251~1.419. In terms of crown fuel biomass, the above-ground biomass was 161.6 Mg·ha-1 while the stem biomass, branch biomass and needle biomass were 126.4 Mg·ha-1, 29.3 Mg·ha-1 and 5.9 Mg·ha-1, respectively. Needles and twigs with less than 1 cm diameter accounted 45.2% of the total crown fuel load. The available crown bulk density, which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crown fuel load to the crown volume, was 0.178 kg·m-3.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biomass and carbon stocks estimation of the Pinus densiflora together with the crown fire hazard assessment based on crown fuel loads are very significant information for the forest managers.

      • KCI등재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를 받은 곰솔 원목의 열처리 소요시간 예측

        한연중 ( Yeon Jung Han ),서연옥 ( Yeon-ok Seo ),정성철 ( Sung-cheol Jung ),엄창득 ( Chang-deuk Eom ) 한국목재공학회 2016 목재공학 Vol.44 No.3

        제주도 지역에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를 받은 곰솔 원목의 이용확대를 위하여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열처리는 처리원목의 중심부가 소나무재선충의 사멸온도인 56℃를 30분간 유지하여야 한다. 곰솔 원목의 초기함수율과 말구지름은 각각 46% ∼ 141%, 180 mm ∼ 500 mm의 범위이고, 기본비중과 전건비중은 각각 0.47, 0.52이었다. 105℃ 조건에서 함수율과 말구지름에 따라 열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은 7.7 h ∼ 44.2 h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다양한 함수율 및 지름을 갖는 곰솔 원목의 열처리 소요시간을 예측하기 위하여 열처리 진행 중 처리목 내부의 온도분포를 유한차분법을 적용한 2차원 열전달 해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열전달 해석을 위한 목재의 열적 특성은 함수율에 따른 열전도계수와 비열을 적용하였으며, 자연대류와 강제대류를 합한 형태의 혼합대류에 의한 혼합대류계수를 적용하였다. 실험값과 예측값의 오차는 3 ∼ 45%의 범위로 분석되었다. 곰솔 원목에서 초기함수율이 50%이고, 말구지름이 200 mm, 300 mm,400 mm인 경우, 예측된 열처리 소요시간은 각각 10.9 h, 18.3 h, 27.0 h이었다. 초기함수율이 75%일 때, 지름에 따라 각각 13.6 h, 22.5 h, 32.8 h이고, 초기함수율이 100%일 때, 지름에 따라 각각 16.2 h, 26.5 h, 38.2 h이었다. 이러한 열처리 소요시간의 예측방법에 소나무와 잣나무 등 다른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물리적 특성을 적용하면, 함수율과 말구지름에 따른 열처리 소요시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black pine log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in Jeju-do were heat-treated to extend the utilization of domestic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The heat-treatment of wood requires wood to be heated to 56℃ for 30 min at the core.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and top-diameter of the black pine logs were ranged from 46% to 141% and from 180 mm to 500 mm, respectively. And the basic specific gravity and oven-dry specific gravity of the black pine logs were 0.47 and 0.52, respectively. The time required for heat-treatment at 105℃ temperature was ranged from 7.7 h to 44.2 h, depending on moisture content and top-diamete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used to predict the time required for heat-treatment of black pine log with various moisture contents and top-diameters using finite difference method. The thermal properties of wood including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specific heat in accordance with moisture content were calculated. Heat transfer coefficient for mixed convection in form of adding natural convection and forced convection was used for heat transfer analysis. The error between the measured and predicted values ranged from 3% to 45%. The predicted times required for heat-treatment of black pine log with 50% moisture content and 200 mm, 300 mm, and 400 mm top-diameter were 10.9 h, 18.3 h, and 27.0 h, respectively. If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black pine log is 75%, heat treatment times of 13.6 h, 22.5 h, and 32.8 h were predicted in accordance with top-diameter. And if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black pine log is 100%, heat treatment times of 16.2 h, 26.5 h, and 38.2 h were predicted in accordance with top-diameter. When the physical properties of log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are presented, these results can be applicable to the heat-treatment of red pine and Korean pine logs as well.

      • KCI등재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 아고산 침엽수종(분비나무, 구상나무, 가문비나무)의 분포 현황과 임분 변화 특성

        박고은,김은숙,정성철,윤충원,김준수,김지동,김재범,임종환,Park, Go Eun,Kim, Eun-Sook,Jung, Sung-Cheol,Yun, Chung-weon,Kim, Jun-soo,Kim, Ji-dong,Kim, Jaebeom,Lim, Jong-Hwan 한국산림과학회 202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1 No.1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에 서식하는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구상나무(A. koreana), 가문비나무(Picea jezoensis)의 분포 현황과 쇠퇴 및 갱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산림청의 전국 고산 침엽수종 실태조사 자료와 국립산림과학원의 아고산 침엽수종 생육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의 분비나무,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분포면적은 전국 분포면적의 약 74%(8,035 ha)를 차지하고, 백두대간 내 아고산 칩엽수종 임분은 대부분이 백두대간 핵심지역에 분포하여 백두대간 지역이 아고산 침엽수종의 보전과 복원의 핵심적인 지역임을 확인했다. 그러나 주요 산지 내 아고산 침엽수종의 입목쇠퇴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4년간 태백산 분비나무는 77.3%, 덕유산 분비나무 29.6%, 지리산 천왕봉 구상나무 45.2%, 지리산 천왕봉 가문비나무는 2년간 47.8% 증가)를 보이고 새로 유입된 어린나무의 양이 소실된 어린나무 양보다 적어서 해당 숲의 존속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했다. 한편 지리산 세석지역과 천왕봉에서는 일부 성목의 건강이 회복되고 어린나무 출현 빈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과거 어린나무 출현빈도가 적고 성목 쇠퇴도가 높았으나 현재 쇠퇴도가 회복된 지역에서 어린나무 출현빈도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성목의 쇠퇴도가 치수량의 변화와 상호 관련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고산 침엽수종의 보전전략 수립 및 이행시 고려할 요인들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Data from an investigation of vulnerable conifer species in the subalpine zone in Korea obtain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in 2017-2018 and monitoring research cond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ince 2014 were used to analyze the status of distribution and growing condition of three major conifer species (Abies nephrolepis, Abies koreana, and Picea jezoensis) in the subalpine zone in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studied species in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was ca. 74% (8,035 ha) of the total distribution area in Korea, indicating that Baekdudaegan is a core are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subalpine conifer species. From decline index [A. nephrolepis in Mt. Taebaeksan and Mt. Deogyusan increased by 77.3% and 29.6%, respectively; A. koreana in Mt. Jirisan (Chunwangbong Peak) increased by 45.2% in four years; and P. jezoensis in Mt. Jirisan (Chunwangbong Peak) increased by 47.8% in two years] and seedling frequency (lower frequency of newly recruited seedlings than dead seedlings) results, the studied species are expected to face difficulties in sustainability. In contrast, at Mt. Seseoksan and Chunwangbong Peak in Mt. Jirisan, the health of trees and seedling frequency showed a partial tendency to recover and increase. In addition,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line index and seedling frequency. These results will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conservation strategies for vulnerable conifer species in the subalpine zone.

      • KCI등재후보

        입산통제구역 지정 및 운영에 대한 등산객 인식조사

        구교상(Kyo-Sang Koo),이명보(Myung-Bo Lee),이병두(Byung-doo Lee),정성철(Sung-Cheol Jung),김범수(Bum-Soo Kim),한상열(Sang-Yoel Han),이민하(Min-Ha Lee) 한국산림휴양학회 201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현행 4단계의 산불방지정책이 시행된 이후, 산불위험지역에 대한 입산통제 및 등산로 폐쇄에 대한 등산객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입산통제 구역 등급 구분의 효과성을 파악하고, 산불방지에 있어서 요구되는 정책적 수단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대부분의 등산객들은 현재 산불조심기간동안 산불재난 위기경보 단계에 따라 입산통제구역 및 등산로 노선 폐쇄 정책에 대하여 잘 알고 있으며, 이를 수용하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또한, 현행제도(입산통제구역 및 등산로 폐쇄)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행 제도에 대한 불만은 심각한 수준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행 입산통제구역 및 등산로 폐쇄 제도는 구역과 등산로로 대별되어 있으나, 산불조심기간 동안에는 면적 개념인 구역 보다는 선형 개념인 등산로가 효과적인 통제수단이므로, 구역은 전면폐쇄하고 등산로만 부분 통제하는 단순화된 기준안을 검토해 볼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he research of climbers’ realization about the restricted area of mountain and closing trail, after enforcing the policy of forest-fire prevention in four stages. It offers a suggestion about the effect of classifying restricted areas and demanded forest-fire prevention in policies. As a result, the majority of the climbers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current forest-fire policies and get ready to receive. Also, since they prefer to the current policies the most, it is judged that the level of complaints about forest fire policies is not as serious as we thought. Even though the present policy about the restricted area of mountain and closing trail classify the district and trail, it is worth considering the simplified standard proposal that the district would be closed entirely and the trail would be partly restricted because the trail which is the linear concept is more effective controlling means rather than the districts which is the areal concept.

      • 생활가전 고속 외관 SCAN 검사장비 개발

        송상훈(Song Sang Hun),정성철(Jung Sung Cheol),한훈(Han Hun)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생활가전 제품 공정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검사 대상물을 특정 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고, 비전검사 알고리즘에 따라 촬영한 이미지에 대한 상호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여 실시간으로 검사 대상물을 양품 또는 불량품 상태를 판단하는 시스템을 개발함

      • KCI등재

        제주도 토양에서 분리한 xylanase 생산 균주 Streptomyces glaucescens subsp. WJ-1의 동정 및 효소의 생화학적 특성 연구

        김다솜 ( Da Som Kim ),정성철 ( Sung Cheol Jung ),배창환 ( Chang Hwan Bae ),지원재 ( Won-jae Ch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7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5 No.1

        본 연구로부터 WJ-1 균주는 제주도에서 수집된 토양샘플로부터 동정되었는데, 형태분화관찰 및 16S rRNA 유전자염기서열분석과 DNA-DNA hybridization 분석을 통하여 S.glaucescens의 신아종으로 분류되었다. 균주 WJ-1의 주요cellular fatty acid와 게놈내 G+C 농도는 각각 C<sub>15:0</sub> anteiso(42.99%)와 74.73 mol%였다. 이 균은 배양액으로부터 준비된 조효소액의 xylanase 활성은 중성 pH 조건 및 55℃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S. glaucescens의 조효소액을 이용하여 xylan으로부터 xylotriose 및 xylotetraose를 포함하는 xylooligosaccharide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 glaucescens의 아종에 관한 최초의 보고이며, 관련 종에서 xylanase 활성에 관한 최초의 보고이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WJ-1 균주는 lignocellulosic biomass의 이용 및 기능성xylooligosacchade 생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xylan-degrading bacterium (strain WJ-1) was isolated from soil collected from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Strain WJ-1 was characterized as a gram-positive, aerobic, and spore-forming bacterium. The pre-dominant fatty acid in this bacterium was anteiso-C<sub>15:0</sub> (42.99%). A similarity search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suggested that the strain belonged to the genus Streptomyces. Further, strain WJ-1 shared the highest sequence similarity with the type strains Streptomyces spinoveruucosus NBRC 14228, S. minutiscleroticus NBRC 13000, and S. glaucescens NBRC 12774. Together, they formed a coherent cluster in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the neighbor-joining algorithm. The DNA G+C content of strain WJ-1 was 74.7 mol%. The level of DNA-DNA relatedness between strain WJ-1 and the closest related species S. glaucescens NBRC 12774 was 85.7%. DNA-DNA hybridization,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and the phenotypic and chemotaxonomic characteristics suggest that strain WJ-1 constitutes a novel subspecies of S. glaucescens. Thus, the strain was designated as S. glaucescens subsp. WJ-1 (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 accession number 92086). Additionally, strain WJ-1 secreted thermostable endo-type xylanases that converted xylan to xylooligosaccharides such as xylotriose and xylotetraose. The enzymes exhibited optimal activity at pH 7.0 and 55℃.

      • KCI등재

        백두대간 소백산국립공원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윤주완 ( Joo Wan Yun ),정성철 ( Sung Cheol Jung ),구교상 ( Gyo Sang Koo ),이중효 ( Jung Hyo Lee ),윤충원 ( Chung Weon Yun ),주성현 ( Sung Hyun Jo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6

        소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109개소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산림식생유형을 분류한 결과 최상위 단계에서 신갈나무군락군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군락군은 소나무군락하, 청시닥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소나무군락은 굴참나무군과 피나무군으로 세분되었고, 청시닥나무군락은 떡버들군과 사스래나무군으로 세분되었으며, 사스래나무군은 주목소군과 사스래나무전형소군이 하급식생단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백산국립공원 일대의 산림식생유형은 l개 군락군, 5개 군락, 4개 군, 2개 소군으로 분류되어, 총 8개의 식생단위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식생단위 분포는 해발고와 지형에 있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Sobaeksan National Park from May to October in 2008 using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s phytosociological analysi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community groups such a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was subdivided into 3 community such as Pinus densiflora community, Acer barbinerve community and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Pinus densflora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Quercus variabilis group and Tilia amurensis group. Acer barbinerve community was also subdivided into Salix hallaisanensis group and Betula ermani group(subdivided into Taxus cuspidata subgroup and Betula ermani typical subgroup). Artificial forest type indicated 2 communities such as Larix leptolepis community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y. Accordingly, the vegetation pattern of the surveyed areas were classified into 1 community groups, 5 communities, 4 groups, and 2 subgroups an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8 units in total. The vegetation unit distributions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sea level and topography in this research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