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광주지역 중학생의 식행동 인식 조사

        장미나(Mi Na Jang),황금희(Kum Hee Hwang),정난희(Lan Hee Jung)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2 生活科學硏究 Vol.2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ant adolescents right recognition about body shape through analyzing the investigation about eating behaviors recognition and provide the fundamental resources to be used as the education about adolescents eating habit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The study was performed by analyzing the organized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224 second grades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Gwangju. Out of 224 questionnaires, 192 were analyzed finally. The analysis of resources was taken statistics by SPSS program.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 The frequency of breakfast is that 6~7 times in a week is highest in all-weight groups. The regularity of breakfast is that the ratio of both boys and girls in low-weight and standard-weight group is highest, and that of students in high-weight group is lower. The eating amount is that boys tend to eat the meal a little fully in all weight groups, and girls eat the meal normally in all weight groups. All weight groups tend to have an unbalanced diet according to the sorts of food. Beans are highest as the target of an unbalanced diet. Most students tend to eat the salty meal. The frequency of out-eating is that 0~1 time is highest and the sort is mostly Korean food. The frequency of snack is regularly spread, rather the students in over-weight group tend to eat the snack less. The eating time is that 70% students eat the meal during less than 15 minutes, through that we know students eating speed is very fast. Their exercising habits are that 2~3 times in a week is highest for both boys and girls, especially girls in low-weight group tend to exercise 0~1 time in a week.

      • KCI등재

        慵齋 成俔의 對外認識과 自己認識

        장미나(Jang mi na)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본고는 성종-연산군대 활약했던 대표적 지식인인 慵齋 成俔(1439~ 1504)을 통해 조선 전기 문인들의 대외인식과 자기인식의 일면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그의 직간접적 해외체험을 통해 창작된 작품에 주목하여 그가 당시 동아시아의 타자로부터 조선을 어떻게 인식하고 위치시켰는지 살펴보았다. 성현은 네 번의 사행을 통하여 연경에 확고하게 자리 잡은 천자의 도읍을 목도하였고, 이를 통해 그들이 지향해야할 바의 문명의식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또 야인과 접해있는 국경이나 왜인이 거주하는 삼포 등을 직접 방문하였으며, 나아가 예조의 직책 등을 수행하며 왜ㆍ야인이 끼치는 실질적인 폐해를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직간접적인 경험의 토대 위에서 성현은 대외인식과 자기인식을 확립하였다. 그는 명나라를 지향해야 할 문명으로, 왜ㆍ야를 교화시켜야 할 대상으로 인식하며 조선의 문명의식을 정립해 나갔다. 밖으로 중화를 지향하는 것은, 그 타자들과의 비교를 통해 안으로 주체성을 세우고 자국의 문명을 스스로 인식해 나가는 과정이었다. 이에 대응하는 방식은 성현이 중국 사신을 접대했던 일화와 그가 참여했던 국가적 편찬사업 등에 잘 나타난다. 성현을 비롯한 조선 전기 관료문인들은 중국 사신과의 성공적인 시문 수창을 통한 '文章華國'을 추구했을 뿐만 아니라, 명나라로부터 '문헌의 나라'ㆍ'예의의 나라'라는 문명국가임을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성현은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문학, 음악, 지리 등 다방면에서 수성기에 접어든 조선의 제도와 문물을 완비하는 일에 기여하였다. 어느 시기를 막론하고 조선이 형세적ㆍ문화적으로 동아시아의 비교자장을 벗어나 있지 않다는 점을 생각해볼 때, 원명교체기부터 변화하여 대명의리론이 지배하는 중ㆍ후기로 이행하는 과정에 있는 조선 전기의 대외인식을 고찰해보는 것은 반드시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는 조선 전기의 그것이 후기에 비해 다채롭지 못하다는 인식 때문이기도 하겠거니와, 전기를 훈구-사림의 구도로만 규정하던 기존의 연구 시각에서 기인한 문제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건국 초부터 조선의 제도와 문물을 완비했던 실질적 주체인 관료문인들의 지향은 조선을 둘러싼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그들의 문학과 사상도 그에 대응하기 위해 형성된 것임을 분명하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Yongjae Seonghyun(1439~1504)'s foreign-perception/self-perception and specific response, through his experience of envoys visiting Ming(明) and indirect experience neighboring countr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ns conceptualized 'the others' in the process of the identification or the self, which resulted in the acceptance of the idea of Little-China. At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Korean had very clos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Ming Dynasty. Seonghyun and a whole official literary men of the earlier Joseon Dynasty, tried to frame Joseon society according to Confucianism and aimed at politics through the Chinese law and institutions. And In the process, Seonghyun and a whole official literary men of the earlier Joseon Dynasty, recognized should be for the purpose of the standard of Wenming(文明), he was tried to realize Wenming of ming in Joseon Dynasty. Therefore they recognize Joseon close to 'Zhonghua(中華)-Ming', while putting other neighboring countries like Jurchen and Japan into the others, 'the barbarians'. Seongjong generation's the idea of Little-China is by comparing with other established form an identity. They was accommodating Ming's advanced system like literary, culture and institutions was trying to apply to the Joseon. They oriented efforts to Wenming, and about their 100 years since the nation integrated culture and literature's capacity, they were a proud when compared to Ming doesn't fall behind.

      • KCI등재

        경북 봉화 지역 소나무림에 대한 수관연료 특성과 연료량 추정

        장미나 ( Mi Na Jang ),이병두 ( Byung Doo Lee ),서연옥 ( Yeon Ok Seo ),김성용 ( Sung Yong Kim ),이영진 ( Young Jin Lee ) 한국임학회 201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경북 봉화 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수관의 수직적 구조, 수관연료밀도, 수관특성을 분석하고, 수관연료량 추정을 위한 회귀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소나무림에 대한 수관의 수직적 구조에서 연료량 비율은 수관의 중간부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관연료량에서 잎과 가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잎 25%, 직경 1 cm이하 가지 33%로 수관화 확산 시 이용 가능한 수관연료량은 총 5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화 지역 소나무림에 대한 평균 수관연료밀도는 0.45 kg/m3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잎과 1 cm이하의 이용 가능한 연료밀도는 0.27 kg/m3으로 나타났다. 선형회귀식과 비선형회귀식을 이용하여 이용 가능한 수관연료량과 전체 수관연료량을 추정한 결과, 선형회귀식의 경우 결정계수(R²)가 각각 84%, 88%로 나타난 반면에, 비선형회귀식의 경우 결정계수가 각각 90%, 95%로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상대생장식은 봉화 지역 소나무림의 산불관리와 수관화모델에 대한 정량적인 연료량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rown vertical structure, crown bulk density, and to develop regression models for predicting crown fuel load using the data from 10 destructively sampled Pinus densiflora trees in Bonghwa, Gyeongbuk. The fuel loads were observed higher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crown followed by the lower portion and upper portion of Pinus densiflora, respectively. Approximately 25% crown fuel load was found in the needle while 33% was observed in the branches with <1cm diameter with a total of 58% available fuel loads. The average crown bulk density was 0.45 kg/m3, and 0.27kg/m3 of this was available in the needles and branches with <1 cm diameters. The resulting models in linear equations were able to account for 84% and 88% of the observed variation, while the allometric equations with diameter at breast height as the single predictor showed better results to account for 90% and 95% of the observed variation in the available crown fuel loads and total crown fuel loads, respectively. The suggested equations in this study could provide quantitative fuel load attributes for crown fire behavior models and fire management of red pine stands in Bonghwa areas.

      • KCI등재

        강원도 지역의 생물물리학적 및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산불 취약지 선정

        장미나(Mi Na Jang),이영진(Young Jin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3

        본 연구는 산불 발생으로 인한 피해적 관점을 고려하여 산불에 대한 생물물리학적 취약성과 사회경제적 취약성을 동시에 고려한 산불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지역으로 산불 취약성은 인구, 경제, 정보, 입지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설명하기 위해 각 요인별대리변수를 사용하였다. 산불 취약성 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최소 통계구역 단위인 집계구 단위로산불 취약성 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시·군 및 읍·면·동에 대한 산불취약지 지도를 작성하였다. 산불 취약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산불 피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대적 피해액과 산불발생 건수는 인구 및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보다는 산림과 인접한시골에서 상관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산불 취약성 지도는 지역의 산불 예방 및 대응을 위한 계획 수립에 있어 우선순위 선정 시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forest fire vulnerability by considering both biophysical and socioeconomic factors. The forest fire vulnerability index was mapped on a census tract level based on population, economy, information and location factors in Gangwon Province. The proxy variables for the index include ‘people older than 65 years, people younger than 15 years; rental houses, houses of 60㎡ or less, houses over 20 years old, people with 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or less, forest-urban interface areas within 30m, and coniferous areas.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mount of forest fire damage and the number of fire occurrences to identify the impact of each factor of forest fire vulnerability. Both the damage amount and the frequency of forest fires were higher in areas adjacent to forests than in urban areas where population and buildings are concentrated. The forest fire vulnerability map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assign priorities in practices concerning forest fire prevention and response.

      • 오대산 소나무림의 유기탄소 분포 및 수지

        장미나 ( Mi Na Jang ),김성용 ( Sung Yong Kim ),( Azyleah C. Abino ),김창현 ( Chang Hyun Kim ),이중효 ( Jung Hyo Lee ),이영진 ( Young Jin Lee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백두대간에 위치하고 있는 오대산 국립공원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2012년 6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지상부와 지하부 현존량, 낙엽생산량, 낙엽층의 낙엽량과 토양의 유기탄소 분포를 조사하였으며, 탄소수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토양호흡을 측정하였다. 오대산 소나무림에서 조사된 총 유기탄소량은 230.11 ton C/ha으로, 지상부와 지하부의 유기탄소량은 각각 182.78 ton C/ha, 45.70 tonC/ha이었으며, 낙엽층과 토양의 유기탄소량은 각각 5.98 ton C/ha, 45.40 ton C/ha이었다. 오대산 소 나무림에서 연간 광합성을 통하여 식물체에 고정되는 유기탄소량은 17.76 ton C/ha/yr로 임내 층위에 따라 유기탄소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조사기간 동안 낙엽을 통하여 임상으로 유입되는 유기탄소 량은 3.233 ton C/ha/yr이었다. 토양호흡을 통하여 방출되는 탄소량은 5.76 ton C/ha/yr으로 이 중미생물호흡을 통해 방출되는 탄소량은 3.11 ton C/ha/yr이고, 뿌리호흡을 통하여 방출되는 탄소량은2.65 ton C/ha/yr이었다. 그 결과, 오대산 소나무림에서 연간 대기로부터 순 흡수하는 유기탄소는 14.65 ton C/ha/yr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carbon sequestration and carbon budget of Pinus densiflora stands in the Mt. Odae National Park. Above and below ground standing biomass, litter layer, soil organic carbon, and soil respiration were measured to estimate the amount of carbon and the carbon budget from June 2012 through May 2013. Total amount of carbon was 230.11 ton C/ha attributed to above (182.78 ton C/ha) and below (45.70 ton C/ha) ground biomass, litter layer (5.98 ton C/ha) and soil organic carbon (45.40 ton C/ha). This was equivalent to 17.76 ton C/ha/yr from above and below ground biomass, shrub and herb. In addition,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returned to the forest through litterfall was 3.233 ton C/ha/yr. The amount of carbon evolved through soil respiration was 5.76 ton C/ha/yr to which 3.11 ton C/ha/yr was accounted for microbial respiration while the remaining 2.65 ton C/ha/yr was due to root respiration. Based on the estim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Net Primary Production and microbial respiration, the amount of atmospheric carbon sequestered by Pinus densiflora stands was 14.65 ton C/ha/yr.

      • 오대산 신갈나무림의 낙엽생산과 유기탄소 동태

        장미나 ( Mi Na Jang ),김성용 ( Sung Yong Kim ),( Azyleah C. Abino ),김창현 ( Chang Hyun Kim ),이중효 ( Jung Hyo Lee ),이영진 ( Young Jin Lee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백두대간에 위치하고 있는 오대산 국립공원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2012년 6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지상부와 지하부 현존량, 낙엽생산량, 낙엽층의 낙엽량과 토양의 유기탄소 분포를 조사하였으며, 탄소수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토양호흡을 측정하였다. 오대산 신갈나무림에서 조사된 총유기탄소량은 93.07 ton C/ha으로, 지상부와 지하부의 유기탄소량은 각각 72.36 ton C/ha, 18.09 tonC/ha이었으며, 낙엽층과 토양의 유기탄소량은 각각 4.39 ton C/ha, 42.28 ton C/ha이었다. 오대산 신갈나무림에서 연간 광합성을 통하여 식물체에 고정되는 유기탄소량은 5.46 ton C/ha/yr로 임내 층위에 따라 교목층 4.26 ton C/ha/yr, 관목층 0.24 ton C/ha/yr, 초본층 0.95 ton C/ha/yr의 유기탄소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조사기간 동안 낙엽을 통하여 임상으로 유입되는 유기탄소량은 2.840 tonC/ha/yr이었다. 토양호흡을 통하여 방출되는 탄소량은 5.52 ton C/ha/yr으로 이 중 미생물호흡을 통해 방출되는 탄소량은 2.98 ton C/ha/yr이고, 뿌리호흡을 통하여 방출되는 탄소량은 2.54 tonC/ha/yr이었다. 그 결과, 오대산 신갈나무림에서 연간 대기로부터 순 흡수하는 유기탄소는 2.48 tonC/ha/yr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Litter Production and carbon budget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the Mt. Odae National Park. Above and below ground standing biomass, litter layer, soil organic carbon, and soil respiration were measured to estimate the amount of carbon and the carbon budget from June 2012 through May 2013. Total amount of carbon was 93.07 ton C/ha attributed to above (72.36 ton C/ha) and below (18.09 ton C/ha) ground biomass, litter layer (4.39 ton C/ha) and soil organic carbon (42.28 ton C/ha). This was equivalent to 5.46 ton C/ha/yr where 4.26 ton C/ha/yr is from above and below ground biomass, 0.24 ton C/ha/yr from shrub and 0.95 ton C/ha/yr from herb. In addition,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returned to the forest through litterfall was 2.840 ton C/ha/yr. The amount of carbon evolved through soil respiration was 5.52 ton C/ha/yr to which 2.98 ton C/ha/yr was accounted for microbial respiration while the remaining 2.54 ton C/ha/yr was due to root respiration. Based on the estim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Net Primary Production and microbial respiration, the amount of atmospheric carbon sequestered by Quercus mongolica stands was 2.48 ton C/ha/yr.

      • KCI등재

        우리나라 주요 침엽수종의 수관층 연료특성 평가

        김성용 ( Sung Yong Kim ),장미나 ( Mi Na Jang ),이병두 ( Byung Doo Lee ),이영진 ( Young Jin Lee ) 한국산림과학회 201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2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anopy fuel characteristics of five major coniferous species in Korea. This study was also developed allometric equations for the canopy fuel load and canopy base height of the major coniferous species using the allomeric equations of biomass developed by th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and the data from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Among the major coniferous fuel types, Pinus koraiensis stands had the highest mean canopy bulk density, 0.34 kg/m3, followed by Gangwon region Pinus densiflora stands 0.28 kg/m³, Pinus thunbergii stands 0.24 kg/m3, Pinus rigida stands 0.15 kg/m3, Central region Pinus densiflora stands 0.12 kg/m³ and Larix leptolepis stands 0.09 kg/m3. The adjusted multipl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e developed models ranged from 0.6321 to 0.9950 for canopy fuel load and 0.6390 to 0.8539 for canopy base height.

      • KCI등재

        잣나무림의 수관연료량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 개발

        김성용 ( Sung Yong Kim ),장미나 ( Mi Na Jang ),이병두 ( Byung Doo Lee ),이영진 ( Young Jin Lee ) 한국산림과학회 201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4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llometric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crown fuel biomass of Pinus koraiensis in Korea. A total of twenty four representative sample trees were destructively sampled in Gapyeong, Hongcheon, and Jeongseon. Crown fuels were weighed separately for each fuel category by size class and by living and dea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eedles contributed the largest biomass (16.6 kg, 34.7%), followed by live branches with size ranging from 2~4 cm (9.0 kg, 18.9%), 1~2 cm (6.6 kg, 13.8%), <0.5 cm (5.1 kg, 10.6%), 0.5~1 cm (4.9 kg, 10.3%), and dead branches (3.2 kg, 6.8%), while the live branches with 4 cm (2.4 kg, 4.9%) as the lowest. The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values were the highest ( = 0.6021~9742) and standard error of estimate were the lowest (S.E.E.=0.2018~0.7271) in allometric equation lnWt = β0+β1lnD. The available fuels that are consumed during crown fires (i.e., needles and twigs with diameter less than 1 cm) comprised 55.6% of the total crown fuel biomass.

      • KCI등재

        솎아베기 강도가 리기다소나무림의 산불연료 수직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 : 수관층 연료를 중심으로

        이선주(Sun Joo Lee),장미나(Mi Na Jang),이영진(Young Jin Lee),권춘근(Chun Geun Kwon),이병두(Byung Doo Lee),김성용(Sung Yong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7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inning intensity on vertical distribution of crown fuel for wildfire in Pinus rigida stands. A total of 20 sample trees were harvested and used for development of a crown fuel vertical distribution model.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used to analyze the crown fuel vertical distribution by thinning inten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  ) for the suggested vertical distribution model ranged from 0.961 to 0.981 and the estimated paramet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Canopy base height was 3.7m at the control site (non-thinning) while those of 20%-thinning and 40%-thinning intensity sites were 4.9m and 5.7m, respectively. The needles and twigs with less than 1cm diameter accounted for 0.22 kg/m³ of the canopy bulk density at the control site, but 0.18 kg/m³ in 20%-thinning intensity site and 0.16 kg/m³ in 40%-thinning intensity site. 본 연구에서는 솎아베기 강도가 리기다소나무림의 산불 수관연료 수직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솎아베기가 실시된 충남 예산지역 리기다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총20본의 임목를 벌채하여 수관연료의 수직분포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솎아베기 강도에 따른 수관연료의 수직적 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수직적 연료분포모형은 부위별로 결정계수 0.96-0.98(  )의 범위였으며, 추정된 모수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다(P <0.05). 지표층에서 수관층까지의 거리는 대조구가 3.7m, 솎아베기(20% 강도) 처리구 4.9m, 솎아베기(40% 강도) 처리구 5.7m로 나타났으며, 수관연료밀도는 대조구 0.22kg/m³, 솎아베기(20% 강도) 처리구 0.18kg/m³, 솎아베기(40% 강도) 처리구 0.16kg/m³로 나타났다.

      • 35년생 잣나무림의 수관연료량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 개발

        김성용 ( Sungyong Kim ),장미나 ( Mi Na Jang ),( Azyleah C. Abino ),김창현 ( Chang Hyun Kim ),이병두 ( Byung Doo Lee ),이영진 ( Young Jin Lee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35년생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수관층 연료량을 추정하기 위한 상대 생장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경기도 가평군, 강원도 홍천군, 정선군 국유림 내 잣나무조림지로 선정하였으며, 총 24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관연료량 추정을 위해 수간, 잎, 가지로 분류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가지는 고사여부와 직경 크기별로 세분화하여 구분하였다. 상대생장식은 흉고직경 또는 흉고직경과 수고를 독립변수로 이용하는 회귀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수관 부위에서 ln Wt=β0+β1ln D 식이 조정결정계수가 가장 높고=(R2(adj)=0.6021-0.9742) 표준추정오차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S.E.E.=0.2018-0.7271). 한편, 수관화 확산 시 연소가능한 연료(잎과 직경 1 cm 이하 가지)의 비율은 총 수관에서 55.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llometric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crown fuel biomass of Pinus koraiensis in South Korea. A total of twenty four representative trees were destructively sampled in Gapyeong, Hongcheon, and Jeongseon. Crown fuel were weighed separately for each fuel category by size class and by living and dea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values were the highest =(R2(adj)=0.6021-0.9742)and standard error of estimate were the lowest ( S.E.E.=0.2064∼0.8578) in allometric equation ln Wtln Wt=β0+β1ln D The available fuels that are consumed during crown fires (i.e. needles and twigs with diameter less than 1 cm) comprised 55.6% of the total crown fuel biom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