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의 주관성 연구

        박은영 ( Eun Young Park ),이은남 ( Eun Nam Lee ),강지연 ( Ji Yeon Kang ),주현옥 ( Hyeon Ok Ju ),김삼숙 ( Sam Sook Kim ),최은정 ( Eun Jung Choi ),김학선 ( Hack S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보완대체의학은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총체적인 접근법의 하나로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교육에 있어서도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을 의학이나 간호학의 정규 교과과정 내에 포함시키는 대학이 늘어남에 따라 미래의 건강관리 제공자인 간호학생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을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은 4개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유형은 실용적 확신형, 견제형, 가치 인정형, 제한적 수용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의 명명에서 볼 수 있듯이 간호학생들은 인식에서 약간씩은 차이가 있지만 보완대 체의학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들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음을 보고한 Kim (2004), Kim, Erlen, Kim 과 Sok (2006), Uzun과 Tan (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실용적 확신형’으로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를 단순히 인정하기보다는 실용성에 초점을 맞춘 유형이다.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이를 오히려 실용적인 측면으로 인식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는 사람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치료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자신한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효과가 없거나 의미 없는 행위이며 의학적 치료를 방해하거나 효과를 믿을 수 없다는 데는 강하게 반대를 했다. 간호학생의 보완요법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Kim (2004)의 연구에서도 보완대체요법이 엉터리 치료법이라는 데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간호학생의 주관성을 조사한 Hwang (2004)의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인식이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긍정적 인정형’으로 명명된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이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도움이 되며,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몸을 보호하며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엉터리 치료법이고 환자의 치유에 방해가 되므로 사용을 피해야 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뢰할 수 없다는 데대해서는 강한 반대의 의사를 표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용적 확신형’으로 명명된 대상자들과 유사한 인식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용적 확신형’의 사람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효과를 한꺼번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실용적인 면을 강조한 점이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유형은 ‘견제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의 부작용에 대한 염려와 효과에 대한 정확한 작용기전의 뒷받침을 요구하는 유형으로, Hwang (2004)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은 체계적인 검증 후에 정통적인 치료와 병행해서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고 하여 ‘객관적 수용형’으로 명명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Son (2002)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현대의학을 보완해주는 치료법으로 고려하면서 과학적인 근거를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것과 일치한다. Ernst (2000)도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대해서 알고자 하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건강관리자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때 안정성이 확립된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견제형’ 유형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견제형’의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보완대체요법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기 이전에 임상적인 효율성에 대한 정확한 근거와 과학적인 검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강조한 유형이다. 이러한 견해는 최근 의학이나 간호학 교육에서 근거중심의 행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유형은 ‘가치 인정형’으로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과학적 신뢰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보완대체요법의 건강증진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형이다. 의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Jang 과 Park (2003)의 연구에서 62.2%는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보완대체요법은 효과가 있다’고 하여 작용기전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대상자의 ‘가치 인정형’과유사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Kim, Kim과 Cho (2007)의 연구에서 40.5%가 ‘과학적인 검증의 부족으로 치료효과가 의심된다’고 지적하였지만 학교보건실무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72.1%가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78%가 보완대체요법의 적용이유로 ‘증상완화, 치료보조의 효과’ 때문이라고 답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학생들에게 보완대체요법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조사한 Kim (2005)의 연구에서도 ‘건강유지증진을 위해 일반 대중들도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에 대해 5점 만점에 3.7점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완대체요법이 체계적인 지식체로 인정하기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신체의 자연 치유력과 면역력을 증가시켜 건강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치 인정형’과 유사하다고 할 수있다. 제4유형은 ‘제한적 수용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유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Gwon 등(2008)의 연구에서 ‘부작용을 예측할 수 없다’가 37.7%로 가장 높았고, 23.2%가 ‘비과학적이다’라고 응답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 효과를 볼 수는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 효과에 대한 객관성 부족 및 작용기전에 대한 체계적 검증의 필요성을 언급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적 수용형’ 대상자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toward CAM and put the outcomes into use as basic facts and figures in developing and applying a curriculum associated with CAM. Methods: Q methodology was employed to explore the nursing students` subjectivity from their rank-order statements. For the Q popul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Finally, 30 participants completed 40 Q statem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current survey that probed into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relative to CAM abstracted four categories, namely, practical and convinced type, keep-under-control/wait-and-see type, merit acknowledging type and limitedly accepting type.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hift the awareness of CAM on the part of the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set forth in the current study.

      • SCISCIESCOPUS

        Identification of a sensitive urinary biomarker, selenium-binding protein 1, for early detection of acute kidney injury

        Kim, Kyeong Seok,Yang, Hun Yong,Song, Hosup,Kang, Ye Rim,Kwon, JiHoon,An, JiHye,Son, Ji Yeon,Kwack, Seung Jun,Kim, Young-Mi,Bae, Ok-Nam,Ahn, Mee-Young,Lee, Jaewon,Yoon, Sungpil,Lee, Byung μ,Kim, Hyung TAYLOR & FRANCIS 2017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Vol.80 No.9

        <P>Acute kidney injury (AKI)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rate in patients but clinically available biomarkers for disease detection are currently not available. Recently, a new biomarker, selenium-binding protein 1 (SBP1), was identified for detection of nephrotoxicity using proteomic analy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ensitivity of urinary SBP1 levels as an early detection of AKI using animal models such as cisplatin or ischemia/reperfusion (I/R). Sprague-Dawley rats were injected with cisplatin (6 mg/kg, once i.p.) and sacrificed at 1, 3, or 5 days after treatment. Ischemia was achieved by bilaterally occluding both kidneys with a microvascular clamp for 45 min and verified visually by a change in tissue color. After post-reperfusion,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t 9, 24, and 48 hr intervals. Urinary excretion of protein-based biomarkers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In cisplatin-treated rats, mild histopathologic alterations were noted at day 1 which became severe at day 3. Blood urea nitrogen (BUN) and serum creatinine (SCr)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day 3. Levels of urinary excretion of SBP1,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and a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 were markedly elevated at day 3 and 5 following drug treatment. In the vehicle-treated I/R group, serum levels of BUN and SCr and AST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sham. Urinary excretion of SBP1 and NGAL rose markedly following I/R. The urinary levels of SBP1, NGAL, TIMP-1, and KIM-1 proteins excreted by AKI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were compared. Among these proteins, a marked rise in SBP1 was observed in urine of patients with AKI compared to normal subjects. Based upon receiver-operator curves (ROC), SBP1 displayed a higher area under the curve (AUC) scores than levels of SCr, BUN, total protein, and glucose. In particular, SBP1 protein was readily detected in small amounts of urine without purification. Data thus indicate that urinary excretion of SBP1 may be useful as a reliable biomarker for early diagnosis of AKI in patients.</P>

      • 독성물질의 세포사 기전 및 세포사 유발물질의 검색법 개발에 관한 연구(Ⅰ) : 독성물질로 인한 파킨슨병 모델에서의 세포사 기전 연구 Study on the cell-death mechanisms of toxin-induced parkinsonism

        강태석,김종민,서경원,김영옥,김준규,오재호,이윤동,김규봉,오정자,송연정,임종준,전범석,문전옥,최광식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4 No.-

        MPTP 독성물질이 도파민성 신경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산화성 손상에 의한 신경세포사를 일으키는 것을 이용하여 파킨슨병의 동물모델을 만들고, 이를 통해서 아폼토시스를 비롯한 포사의 기전에 대한 연구 및 너코틴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여부를 판정하는 실험을 병행하고자 하였다. 파킨슨꾐의 동물모델을 MPTf 독성 물질을 이용하여 확립하였으며, MPTP(30mgag, i.p.)를 투여한 후 1, 2,3, 4, 5일째 흑질 조직을 채춰하여 tarm로 박걸하여 tyrosine hydroxylase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수행하여 cell countif우한 결과, control은 57.635ce11s, 1일째 친.OfDells,2일째 57.9±6cells,3일릴 없.3±죠ells, 4일째 49.0츠3cells, 5일째 39.4±Scells료 4, 3일째 뚜렷한 신경세포 수의 감소를 보였다. 신경세포사 기전 규명을 위한 아폼토시스 분걱에서는 벼PTP 투여 후 1, 2, 3, 4, 5일째 조직을 채취하여 Hoechst staining, TUNEL staining을 수곡하였는데 양성 반응을 보인 신경세포는 관찰되지 않아. 아폼토시스로 인한 세포사가 관찰되지 않았다. bIPTP 파킨슨병 동물모델에서 nicotine 보호효과 탐색에 관한 실험은 nicat푸e 0.2mgAg을 5일 퐁안 투여 후 리『fP(30mgag)를 CS7Bt/6 마은스에 복강 내주사로 nicotine과 병용 투여한 후 1, 2, 3, 4, 5일째 뇌를 적출하땄다. 신경세포사가 뚜렷이 관찰되기 시작하는 4, 5일째의 신경세포 수의 감소 정도를 20. 30% 정도 약화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nicotine 보호효과에 대한 추가 실헝이 현재 수행 중에 있다. The cause of Parkinson's disease (PD) is largely unknown. However, free radical toxicit? may plaf a role ip. the degeneration of substantia nigra, which is the Hajorfocus of pathological damages in PD. Recently, a neuroprotective effect of nicotine in PD has been suggested. Therefore, the mechanism of neurodegenerafion and protective potential o( nicotine in PD were investigated in the experimental modeB of Pll using a neurotoxin, C57BL/6mice were administered with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 30 mg/kg,j.p.). The degree of neurodegenerafion was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HB oftyrosine hydroxylase (TH). TH-positive cells on nigral sections were found 56.0 ±4, 57.9 ±6,52.315ce11s, 49.0±3cells, and 39,4±Scells at days 1, 2, 3, 4, 5, respectively (controls : 57.6±Scells). Hoechst and TUNEL staining showed no evidence of apoptosis. The exandnation on themice co-adrunistered with nicotine(0.2mgAg) and MPTP(30mgag) revealed a tendency ofnicotine protective effects. At days 4 and 5, the degree of TH-positive cells was decreased by20-30%, In corclusiffn, the role of apoptosis was not evidenced in this MPTP modeB of PB.The possible proteccon by nicotine should be elucidated with further studies.

      • KCI등재후보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한 저위험군 발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구 항균제 요법의 임상적 유용성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김연숙,이혁,기현균,김춘관,김신우,김성민,백경란,김원석,윤성수,이홍기,강원기,박찬형,박근칠,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1

        목적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을 동반한 발열이 발생하는 암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항균제와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합병증과 사망률의 발생가능성이 적은 저위험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기 72시간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구 항균제로 전환하는 요법의 유용성과 안정성을 평가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8년 2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본원에서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이 발생한 환자들 가운데 기저 암질환이 고형암이거나 림프종이고, 입원당시 패혈증의 증후가 없으며 입원 72시간이내에 해열되고 백혈구수치가 증가 추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72시간 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우 ciprofloxacin 750㎎을 하루 2회씩 투여하여 총 4일간 투여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열이 떨어지고 호중구감소증이 회복될 때까지 입원하도록 하였다. 결과 : 총 38명 환자의 40예가 등록이 되었고, 환자들의 기저암 질환은 고형함이 72.5%, 림프종이 27.5%였다. 입원당시 평균 호중구치수는 156/㎕였고, 호중구수치가 100/㎕미만인 경우는 65%였으며, 호중구감소증이 지속된 기간의 평균은 2.4일이었다. 40예 중 39예가 항균제의 변형이나 추가 없이 호중구감소증과 발열로부터 회복이 되어 97.5%의 성공율(95% 신뢰구간: 86.8-99.9%)을 보였다. 부작용으로 피부발진이 있었던 경우가 한 예 있었는데, 증상이 경하여 경구 항균제를 지속할 수 있었다. 심와부의 동통으로 복용을 지속할 수 없어서 대상에서 제외된 예가 또 한 예 있었다. 결론 : 항암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을 동반한 환자들 가운데 저위험군 환자들에서 항균제 72시간정주 이후 경구 항균제로의 전환요법은 효과적이고도 안전한 치료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Oral antibiotic therapy following empirical intravenous antibiotics may be effective and safe for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ith lowrisk for complications. Methods : We conducted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of oral antibiotic therapy in the patients with neutropenia and fever during chemotherapy for cancer. Underlying malignancies were solid tumor or lymphoma with short duration of neurtropenia and the patients had no evidence of clinically or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s. Oral ciprofloxacin was given to the patients who lacked signs of sepsis on admission, had a rising tendency of neutrophil count (ANC >100 /㎕ ) at 72 hours, and were afebrile at 72 hours. All patients were hospitalized until neutropenia and fever resolved. Results : A total of 40 episodes of 38 patients were enrolled from February 1998 to September 1999. The mean neutrophil counts on admission were 156/㎕ and the mean duration of neutropenia was 2.4 days. The episodes which had neutrophil count below 100 /㎕ were 26 (65%). Treatment was successful in 39 of 40 episodes (97.5% : 95 % confidence interval, 86.8% to 99.9%). Adverse reactions of oral ciprofloxacin were skin rash and epigastric soreness in two cas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deaths during the study. Conclusions : For low-risk febrile patients with neutropenia during cancer chemotherapy, switch therapy to oral ciprofloxacin at 72 hours following intravenous broad-spectrum antibiotics is effective and safe,

      • 간세포암과 감별이 어려웠던 악성중피종 치험 1예

        김선문,허원석,채경훈,강윤세,정재훈,김연수,박기오,문희석,이엄석,김석현,성재규,이병석,이헌영,신경숙,조준식,송인상,강대영 충남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2

        Malignant peritoneal mesothelioma is a rare neoplasm that arises from the mesothelium of a serosal cavity and is a rapidly fatal disease with a median survival of 4 to 12 months for untreated cases.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with malignant peritoneal mesothelioma who was suspected hepatocelluar carcioma by abdominal CT scan and was confirmed by biopsy including immunohistochemical stain(calretinin) after surgery. We performed tumor excisions and wedge resection of the liver(segment Ⅷ)and inserted Tencoff catheter in abdominal cavity at 25th day of post-operation. We treated with intraperitoneal paclitaxel(25mg/m^(2)/day for 5 days) six courses monthly. She was well tolerable and is still living without any evidence of recurrence for 14th month of post-operation.

      • 토끼 수막염 모델을 이용한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대한 Meropenem의 치료 효과

        김신우,진정화,강수정,정숙인,김연숙,기현균,김춘관,이혁,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1

        목적 :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은 기존과 단일 항생제로는 근치가 어려워 ceftriaxone과 vancomycin 혹은 rifampin의 병용요법이 권유되고 있다.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약제 중 meropenem은 시험관내 폐렴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좋고 경련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거의 없어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이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연자 등은 meropenem과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이 다제내성 폐렴구균 수막염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토끼 수막염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인체에서 수막염을 일으킨 다제내성 폐렴구균 균주(penicillin MIC 2, ceftriaxone MIC 4, meropenem MIC 0.5㎍/㎖)를 토끼 척수강 내에 직접 주입하여 수막염을 유발한 후 ceftriaxone, vancomycin, rifampin, meropenem의 단일 항균요법, ceftriaxone+vancomycin, ceftriaxone+rifampin,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 간에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각 치료군은 6 마리의 토끼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항생제는 5 시간 간격으로 2번 정주하였으며, ceftriaxone은 1회 투여하였다. 균주 주입 후 각 치료군이 토끼에서 치료 후 0, 5, 10, 24 시간에 척수액을 채취하여 균주의 수를 측정하여 24시간째의 살균 여부를 최종 치료 효과로 판정하였다. 결과 : meropenem 단독 요법은 10시간째에 모든 균주를 살균하였으나 24시간 째에 다시 균의 성장이 관찰되었으며,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단독 약제보다 우수한 살균효과를 보였으나 상승작용은 없었다. 결론 :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기존의 ceftriaxone+vancomycin보다 24시간째에 더 큰 균의 감소 경향을 보여(P=0.054) 임상에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실제 수막염 환자에서의 임상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Because antimicrobial monotherapy for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trains is not satisfactory, ceftriaxone+vancomycin [C+V] or ceftriaxone+rifampin [C+R] regimens are recommended. Meropenern [M] is one of the monotherapy options for penicillin-resistant pneumococcal meningitis due to good in-vitro activity against pneumococci and rare adverse reactions in CNS. But there have been few reports in the efficacy of meropenern against pneumococcal meningitis. We evaluated therapeutic efficacy of the meropenern and meropenem+vancomycin in a rabbit model of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PRSP). Methods : Meningitis was induced by intracistemal inoculation of a pneumococcal strain isolated from a patient with meningitis (MIC; penicillin 2, ceftriaxone 4, meropenem 0.5 g/㎖). Bacterial concentrations in the CSF were measured at 0, 5, 10, and 24 h after therapy was started. Therapeutic efficacy was evaluated by the final bacterial concentration in the CSF at 24 h. Results : C+V cleared the CSF at 10 h, but regrowth of bacteria was noted at 24 h. Meropenem monotherapy resulted in sterilization at 10 h but regrowth at 24 h. M+V was superior to M or V monotherapy but did not show synergism. Therapeutic efficacy of M+V was at least equal or superior to that of C+V (P = 0.054). Conclusion : Meropenem+vancomycin regimen could be one of the useful options in the treatment of PRSP meningitis. Clinical trials to evaluate the M or M +V are warranted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8년간(1992~1999)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 의뢰된 직업병 심의 사례 분석

        강성규,김규상,김양호,최정근,안연순,진영우,최병순,양정선,김은아,채창호,최용휴,김대성,박정선,정호근 대한산업의학회 2000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2 No.2

        Objectives : Pneumoconisis and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have been reported as main occupational diseases by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has reported various work-related diseases, however, these two diseases occupied almost a half of compensated cases. Therefore, it was not well known about the status of occupational diseases other than pneumoconiosis, NIHL, and cardio-cerebrovascular accident (CV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claimed cases as an occupational disease, that was requested to the Korea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Methods : The local office of the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LWC) has asked the KOSHA for confirmation of claimed cases as an occupational disease. We analyzed 379 cases requested from KLWC, the Ministry of Labor, employers, unions and occupational health agencies from 1992 to 1999. Results : Male was 80.7 % of the requested cases. Their mean age was 42 years old and 75.5 % of them were more than 35 years old. The requested cases were increased rapidly from 25 cases in 1992 to 108 cases in 1999 and the accept rate was 50.7 %. The majority of requested cases were respiratory diseases(22.4%), cancers(18.5%), Neuropsychiatric problems(14.5%), and musculoskeletal problems(13.5%). The accept rate was high in reproductive, respiratory, musculoskeletal and digestive disorders and low in neuropsychiatric, renal and otologic problems and occupational cancers. 73.6% of them were caused by chemical agents, especially 28.5 % were by organic solvents. 67% of them were clinically confirmed at university hospitals. A half of the cases were from KyongIn area, even the request came from the whole country. Conclusions : A claim was common in workers whose age was over 35 years old and exposure history was over 10 years. The respiratory diseases and neuropsychiatric disorders were still main problems in occupational health and occupational cancers was increasing even though its accept rate was not high yet.

      • Original Article : Evaluation of Renal Toxicity by Combination Exposure to Melamine and Cyanuric Acid in Male Sprague-Dawley Rats

        ( Ji Yeon Son ),( Yoon Jong Kang ),( Kyeong Seok Kim ),( Tae Hyung Kim ),( Sung Kwang Lim ),( Hyun Jung Lim ),( Tae Cheon Jeong ),( Dal Woong Choi ),( Kyu Hyuck Chung ),( Byung Mu Lee ),( Hyung Sik Ki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2014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연구업적집 Vol.24 No.0

        Melamine-induced nephrotoxicity is closely associated with crystal formation in the kidney caused by combined exposure to melamine (Mel) and cyanuric acid (CA). However, there are few dosage-finding studies for toxicological evaluation of chronic co-exposure to Mel and C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mechanism by which a Mel and CA mixture lead to renal toxicity in rats. Mel and CA were co-administered to rats via oral gavage for 50 days. Nephrotoxicity was determined by measuring blood urea nitrogen (BUN) and serum creatinine (sCr) levels. Relative kidney weigh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ats after co-exposure to Mel+CA (63/6.3 or 630/6.3 mg/kg) mixtures. BUN and sCr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Mel and CA co-exposure. Taken together, significant increase in KIM-1, NGAL, and calbindin levels were observed in the urine of rats exposed to Mel+CA (63/6.3 or 630/6.3 mg/kg)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control group. Histological analysis revealed epithelial degeneration and necrotic cell death in the proximal tubules of the kidney after co-exposure to Mel+CA (63/6.3 or 630/6.3 mg/kg). Our data suggest that Mel-mediated renal toxicity may be influenced by CA concentrations in Mel-contaminated milk or foods.

      • SCOPUSKCI등재

        Evaluation of Renal Toxicity by Combination Exposure to Melamine and Cyanuric Acid in Male Sprague-Dawley Rats

        Ji Yeon Son,Yoon Jong Kang,Kyeong Seok Kim,Tae Hyung Kim,Sung Kwang Lim,Hyun Jung Lim,Tae Cheon Jeong,Dal Woong Choi,Kyu Hyuck Chung,Byung Mu Lee,Hyung Sik Kim 한국독성학회 2014 Toxicological Research Vol.30 No.2

        Melamine-induced nephrotoxicity is closely associated with crystal formation in the kidney caused by combined exposure to melamine (Mel) and cyanuric acid (CA). However, there are few dosage-finding studies for toxicological evaluation of chronic co-exposure to Mel and C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mechanism by which a Mel and CA mixture lead to renal toxicity in rats. Mel and CA were co-administered to rats via oral gavage for 50 days. Nephrotoxicity was determined by measuring blood urea nitrogen (BUN) and serum creatinine (sCr) levels. Relative kidney weigh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ats after co-exposure to Mel+CA (63/6.3 or 630/6.3 mg/kg) mixtures. BUN and sCr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Mel and CA co-exposure. Taken together, significant increase in KIM-1, NGAL, and calbindin levels were observed in the urine of rats exposed to Mel+CA (63/6.3 or 630/6.3 mg/kg)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control group. Histological analysis revealed epithelial degeneration and necrotic cell death in the proximal tubules of the kidney after co-exposure to Mel+CA (63/6.3 or 630/6.3 mg/kg). Our data suggest that Mel-mediated renal toxicity may be influenced by CA concentrations in Mel-contaminated milk or f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