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의 주관성 연구

        박은영 ( Eun Young Park ),이은남 ( Eun Nam Lee ),강지연 ( Ji Yeon Kang ),주현옥 ( Hyeon Ok Ju ),김삼숙 ( Sam Sook Kim ),최은정 ( Eun Jung Choi ),김학선 ( Hack S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보완대체의학은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총체적인 접근법의 하나로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교육에 있어서도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을 의학이나 간호학의 정규 교과과정 내에 포함시키는 대학이 늘어남에 따라 미래의 건강관리 제공자인 간호학생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을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은 4개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유형은 실용적 확신형, 견제형, 가치 인정형, 제한적 수용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의 명명에서 볼 수 있듯이 간호학생들은 인식에서 약간씩은 차이가 있지만 보완대 체의학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들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음을 보고한 Kim (2004), Kim, Erlen, Kim 과 Sok (2006), Uzun과 Tan (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실용적 확신형’으로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를 단순히 인정하기보다는 실용성에 초점을 맞춘 유형이다.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이를 오히려 실용적인 측면으로 인식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는 사람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치료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자신한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효과가 없거나 의미 없는 행위이며 의학적 치료를 방해하거나 효과를 믿을 수 없다는 데는 강하게 반대를 했다. 간호학생의 보완요법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Kim (2004)의 연구에서도 보완대체요법이 엉터리 치료법이라는 데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간호학생의 주관성을 조사한 Hwang (2004)의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인식이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긍정적 인정형’으로 명명된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이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도움이 되며,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몸을 보호하며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엉터리 치료법이고 환자의 치유에 방해가 되므로 사용을 피해야 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뢰할 수 없다는 데대해서는 강한 반대의 의사를 표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용적 확신형’으로 명명된 대상자들과 유사한 인식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용적 확신형’의 사람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효과를 한꺼번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실용적인 면을 강조한 점이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유형은 ‘견제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의 부작용에 대한 염려와 효과에 대한 정확한 작용기전의 뒷받침을 요구하는 유형으로, Hwang (2004)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은 체계적인 검증 후에 정통적인 치료와 병행해서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고 하여 ‘객관적 수용형’으로 명명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Son (2002)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현대의학을 보완해주는 치료법으로 고려하면서 과학적인 근거를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것과 일치한다. Ernst (2000)도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대해서 알고자 하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건강관리자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때 안정성이 확립된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견제형’ 유형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견제형’의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보완대체요법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기 이전에 임상적인 효율성에 대한 정확한 근거와 과학적인 검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강조한 유형이다. 이러한 견해는 최근 의학이나 간호학 교육에서 근거중심의 행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유형은 ‘가치 인정형’으로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과학적 신뢰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보완대체요법의 건강증진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형이다. 의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Jang 과 Park (2003)의 연구에서 62.2%는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보완대체요법은 효과가 있다’고 하여 작용기전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대상자의 ‘가치 인정형’과유사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Kim, Kim과 Cho (2007)의 연구에서 40.5%가 ‘과학적인 검증의 부족으로 치료효과가 의심된다’고 지적하였지만 학교보건실무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72.1%가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78%가 보완대체요법의 적용이유로 ‘증상완화, 치료보조의 효과’ 때문이라고 답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학생들에게 보완대체요법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조사한 Kim (2005)의 연구에서도 ‘건강유지증진을 위해 일반 대중들도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에 대해 5점 만점에 3.7점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완대체요법이 체계적인 지식체로 인정하기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신체의 자연 치유력과 면역력을 증가시켜 건강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치 인정형’과 유사하다고 할 수있다. 제4유형은 ‘제한적 수용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유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Gwon 등(2008)의 연구에서 ‘부작용을 예측할 수 없다’가 37.7%로 가장 높았고, 23.2%가 ‘비과학적이다’라고 응답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 효과를 볼 수는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 효과에 대한 객관성 부족 및 작용기전에 대한 체계적 검증의 필요성을 언급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적 수용형’ 대상자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toward CAM and put the outcomes into use as basic facts and figures in developing and applying a curriculum associated with CAM. Methods: Q methodology was employed to explore the nursing students` subjectivity from their rank-order statements. For the Q popul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Finally, 30 participants completed 40 Q statem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current survey that probed into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relative to CAM abstracted four categories, namely, practical and convinced type, keep-under-control/wait-and-see type, merit acknowledging type and limitedly accepting type.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hift the awareness of CAM on the part of the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set forth i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후보

        껌씹기가 대장∙직장암환자의 장 절제술 후 장운동 회복 및 재원일수에 미치는 효과

        김삼숙(Kim, Sam Sook),이은남,김학선(Kim, Hack Sun),김민경(Kim, Min Kyoung),이경선(Lee, Kyoung Sun),남혜진(Nam, Hye Jin),김미영(Kim, Mi Young) 대한종양간호학회 2010 Asian Oncology Nursing Vol.1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gum-chewing on the recovery of bowel motility and days of hospitalization after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non-synchronized design. Thirty-four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were assigned to either gum-chewing group (n=17) or control group (n=17). The patients in the gum-chewing group chewed gum for 10 min three times daily from the first postoperative morning until the day they began oral intake. Outcome variables were time of first flatus, time of first bowel movement, and length of hospital stay. Results: Gum-chewing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first passage of flatus, but was not effective in enhancing time of bowel movement and length of hospital stay. Conclusion:Gum-chewing can be utilized as a useful nursing intervention to shorten the time of the first flatus of postoperative colectomy. 본 연구는 껌씹기가 대장∙직장암 수술 후 장운동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D대학교 의료원에서 대장∙직장암으로 장절제술을 받은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2008년 5월부터 10월까지 대장 직장암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17명씩 임의로 배당하였다. 실험군은 수술후 첫날 아침부터 유동식 시작 전까지 하루 세 번 무가당 자일리톨 껌을 제공 받았으며, 식사 시간에 맞춰 10분 이상씩 껌을씹었고, 대조군은 일반적인 수술 후 관리만을 받도록 하였다. 껌씹기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두 그룹 간 가스 배출 시간과196 종양간호학회지 10 (2), 2010년 8월첫 배변시간 및 재원일수를 비교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정규분포여부를 확인한 후 일반적 특성에 대한동질성 검정은 c2와 t-test로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장운동 회복 및 재원일수에 대한 비교는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가설인“껌씹기를 시행한 실험군은 껌씹기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스배출 시간이 단축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2.605, p=.014). 둘째, 제2가설인“껌씹기를 시행한 실험군은 껌씹기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변의 배출 시간이 단축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t=-0.382, p=.705). 셋째, 제3가설인“껌씹기를 시행한 실험군은 껌씹기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재원일수가 단축될 것이다”도 기각되었다(t=-0.197, p=.845). 결론적으로 껌씹기가 대장∙직장암으로 장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가스배출 시간을 단축시키는데는 효과적이었으나 변의배출시간과 재원일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복강경 수술과 개복 수술을 구분하여반복 연구할 것과 껌씹는 시간을 세분화하여 적용해봄으로서장운동 회복을 촉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껌씹기 시간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해 볼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병원간호사의 병원정보시스템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삼숙,주현옥,박인숙 대한간호행정학회 2008 간호행정학회지 Vol.14 No.4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utilization of clinical nurse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Metho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450 nurses from 9 secondary or tertiary university hospitals in B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Results: The extent that nurses utilize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as 3.22 point on average.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tiliz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ttitude toward computer, and support of the chief manager, whil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organizational atmosphere. The causal factors of influencing on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tilization were personal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experience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ge, attitude toward computers, education level and support of the chief manager. The total eigenvalue of the variables was 38%. The major variables of influencing on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tilization were the person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education experience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Conclusions: Thus, nurse managers should provide training courses to improve personal information technology of nurses, and consistently promote them so that nurses can readily apply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hich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in various ways and thus improve the efficiency of nur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