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연수,Kim, Yeon-Su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1 디지털콘텐츠 Vol.5 No.-
최근 개인정보 유출 및 컴퓨터 범죄가 정보 역효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지는 정보보호 및 컴퓨터 범죄에 관해서 국내에서는 앞선 연구를 하고 있는 한국 정보보호센터의 김연수 연구원의 연재를 통해 정보보호 및 컴퓨터범죄에 관한 기술 및 유형별 동향 법적 대응등에 관한 폭넓은 고찰을 통해 정보보호와 사이버 범죄의 실상과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원판 트레이닝과 복합 트레이닝이 발목의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김연수,박상연,강현주,석민화,오정우 한국운동과학회 2004 운동과학 Vol.13 No.1
김연수, 박상연, 강현주, 석민화, 오정우. 원판 트레이닝과 복합 트레이닝이 발목의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3권 제1호 113-124, 2004. 본 연구의 목적은 원판 트레이닝과 등척성 수축, 등장성 수축, 평형성 운동,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으로 구성된 복합 트레이닝이 발목의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하지에 의학적 문제가 없는 여학생 40명으로 하였으며, 원판 트레이닝군(n=11명), 복합 트레이닝군(n=15명), 통제군(n=14명)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은 프로그램 전 발목의 정적 안정성 검사를 위한 Romberg 검사와 동적 안정성 검사를 위한 SEBT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6주간의 운동 프로그램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Romberg 검사와 SEBT 검사를 재실시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6주간 주 3최 실시하였으며, 2주 단위로 점증적으로 강도를 증가하였다. Romberg 검사 결과 원판 트레이닝군은 좌측 하지(16.4±18.2sec에서 36.0±32.3sec)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우측하지(16.0±10.8sec에서 41.3±47.7sec)에서는 운동 전에 비하여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복합 트레이닝군은 좌측(18.6±16.7sec에서 70.4±44.1sec)과 우측(27.0±31.6sec에서 61.7±46.1sec) 하지 모두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정적 안정성에 대한 두 운동군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복합 트레이닝군에서 보다 많이 향상되었다. SEBT 검사 결과 원판 트레이닝군은 좌ㆍ우측 하지 모두 앞가측과 앞내측을 제외한 전 방향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복합 트레이닝군은 좌측 하지에서는 모든 방향에서, 우측 하지에서는 앞측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동적 안정성에 대한 두 운동군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복합 트레이닝군에서 보다 많이 향상되었다. 원판 트레이닝과 복합 트레이닝이 발목의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적ㆍ동적 안정성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원판 트레이닝보다 복합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을 때 더욱 많이 향상되었다. Kim, Y.S., Park, S.V., K. H.J., Suk, M.H., Oh, J.W. The effect of the disk training and the combined training on functional stability of ankles. Exercise Science, 13(1): 113-124, 200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sk training on the functional stability of ankles and compare the variable with the combined training composed of isometric contraction, isotonic contraction using weight, balance training and plyometric training. The forty subjects without medical history on their lower extremiti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such as, control group(n=14), disk training(n=11) or combined training(n=15). All subjects completed Romberg test for static stability and SEBT test for dynamic stability of ankles. After 6-week training, they completed the tests with same manner again. Exercise groups trained the exercise program for 6 weeks and the volume of exercise are increased per 2 weeks. The Romberg tests for static stability of ankles demonstrated that disk training group is significantly increased on left legs(from 16.4±18.2sec to 36.0±32.3sec), and night legs(from 16.0±10.8sec to 41.3±47.7sec) are increas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bined training group is significantly increased on left legs(from 18.6±16.7sec to 70.4±44.1sec) and right legs(from 27.0±3l.6sec to 61.7±46.1sec). In comparison between two trained groups, combined training group is more increased than disk training group. But there are not statistical difference. The SEBT tests for dynamic stability of ankles demonstrated that disk training group(except for anteriolateral and anteriomedial directions on both legs) and combined training group(except for anterior direction on night leg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almost directions. In comparison between two trained groups, combined training group is more increased than disk training group, But there are not statistical difference.
김연수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09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18 No.-
Asthma and physical activity in children are major health issues.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asthma have increased considerably over the last few decades, particularly for children. And the level of physical inactivity in children has also increased in the worldwide. Therefore, the burden on health services from asthma and physical activity are extensive and increasing now. Physical activity is important. It has <<an사제>> advantages for children in terms of skeletal development, improve cardiorespiratory fitness, lowered body fat and elevated self-esteem. Of course, physical activity is also very important for children with asthma. But there seem to be a common perception that asthmatic children have reduced an exercise capacity and have been discouraged from physical activity. We are afraid that many children and young people with asthma believe the limitations on their activity are an inevitable part of having asthma. This paper pres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which habitual physical activity and fitness levels including obesity and investigate of 2007 KYRBS(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in order to provide an overview of evidence and argument in this issue, and inform decisions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empirical studies and therefore help to making systems/or programs for them. Asthma and physical activity in children are major health issues.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asthma have increased considerably over the last few decades, particularly for children. And the level of physical inactivity in children has also increased in the worldwide. Therefore, the burden on health services from asthma and physical activity are extensive and increasing now. Physical activity is important. It has <<an사제>> advantages for children in terms of skeletal development, improve cardiorespiratory fitness, lowered body fat and elevated self-esteem. Of course, physical activity is also very important for children with asthma. But there seem to be a common perception that asthmatic children have reduced an exercise capacity and have been discouraged from physical activity. We are afraid that many children and young people with asthma believe the limitations on their activity are an inevitable part of having asthma. This paper pres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which habitual physical activity and fitness levels including obesity and investigate of 2007 KYRBS(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in order to provide an overview of evidence and argument in this issue, and inform decisions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empirical studies and therefore help to making systems/or programs for them.
逸話에 담긴 전통적 가치관의 양상과 가치의 내면화 방안
김연수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8 漢字 漢文敎育 Vol.44 No.-
The Chinese character and Curriculum in 2015 emphasized humanity education by establishing humanity capacity as one of core competencies and establishing sound values. What are the traditional values in the chinese text, and how can it help to shape the learner’s sound values and desirable personality have come to a situation we can’t ignore.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of examining the value of anecdotes among various tests and internalizing the values. As a result of analyzing anecdotes in high school 『漢文Ⅰ』 textbooks by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values such as filial piety and loyalty wa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previous textbooks. The change in consciousness in traditional value such as filial piety and loyalty is reflected. Instead, anecdotes containing funny stories are duplicated, and the changed aspects of the anecdotes in textbook, such as sex and rank can be captured. For example, it was changed from male to female and from heroic figure to common people and slave. Also painters and women slaves appear as the main character in anecdotes. As the anecdotes in high school chinese textbooks have changed, the values to be learned by the learners are also changed into sharing, passion, faith, courage from filial piety, loyalty and friendship. Since the learner knows the content of anecdote, it does not mean that the value contained in it affect the value of the learner. In order for the learner to internalized the anecdotal values, the learner must accept and respond to the anecdotal contents and pass through the process of coming together in stages. Among the anecdotes included in the current high school Chinese textbook, the author made it more valuable to present a book with a high probability of understanding based on the teacher's questions and teaching strategies. One is to present data with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content and values of anecdotes, and the other is to recount the content and intent of anecdotes i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o take advantage of the teaching strategies using intertextuality and questions which enables the learner’s divergent thinking.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의 하나로 ‘인성역량’을 설정하였고 건전한 가치관 형성을 통한 인성 교육을 강조하였다. 한문 텍스트에 담긴 전통적 가치관은 무엇이며 어떻게 가르쳐야 학습자의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더 이상 미뤄둘 수 없는 상황에 이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한문 텍스트 중에서도 逸話를 대상으로 일화 내용 속에 담긴 가치관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 가치를 학습자가 내면화하여 가치화하는 단계에 이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漢文Ⅰ』교과서 10종에 수록된 일화를 분석한 결과 이전 교과서와 비교해서 ‘孝’와 ‘忠’과 같은 가치를 담은 일화는 대폭 축소되었다. 孝와 忠과 같은 전통적 가치관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반영된 것이다. 대신 笑話에 속하는 우스운 이야기를 담은 일화가 중복 게재되었고, 새롭게 교과서에 수록된 일화는 주인공의 성별, 신분, 직업 등에서 기존과 다른 양상이 드러난다. 즉 남성 위주에서 여성으로, 양반이나 영웅적 인물에서 평민과 천민으로 바뀌었고, 화공과 상인과 여종 등이 일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고등학교 『漢文Ⅰ』 교과서에 수록된 일화 텍스트가 달라짐에 따라 학습자가 배우게 될 가치관 역시 효, 충, 우애 등에서 배려. 나눔, 열정, 신념, 용기 등으로 변화되었다. 일화의 내용을 학습자가 알게 되었다고 해서 그 속에 담긴 가치관에 학습자가 영향을 받거나 자신의 가치관으로 내면화하는 것은 아니다. 일화 속 가치관을 학습자가 내면화하려면 일화의 내용에 대해 학습자가 感受하고 反應하고 價値化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모두 거쳐야 한다. 현행 고등학교 『漢文Ⅰ』 교과서에 수록된 일화 중 학습자가 感受할 가능성은 비록 낮지만 교사의 發問과 교수·학습 전략에 따라 價値化할 가능성이 높은 작품을 대상으로 일화 속 가치를 내면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보았다. 하나는 일화 속 내용과 가치에 관해 다양한 관점이 드러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역사적·문화적 맥락 속에서 일화의 내용과 행위의 의도를 재조명하는 것이다. 이때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교수·학습 전략과 학습자의 확산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發問’을 잘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