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가곡원류』 편찬 연대 재고

        신경숙 한민족어문학회 2009 韓民族語文學 Vol.54 No.-

        There are all 17 versions of Gagogwonryu's(歌曲源流) different edi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which one among them is the finished work made by Park Hyo-Kwan and when it was compiled. In the discussion process, it found out several facts as follows. First, the finished work made by Park Hyo-Kwan(朴孝寬) was transmitted to Ha Soon-il(河順一), Ha Soon-il to Ha Kyu-il(河圭一), and finally Ha Kyu-il to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econd, there is a certain year called 'Im-shin'(壬申) in the abbreviated Gagogwonryu's postscript edited by Ha Soon-il, and the year is 1872. Third, the same one as the abbreviated Gagogwonryu's postscript edited by Ha Soon-il is also printed in <Gugakwon's version> Fourth, <Gugakwon's version> is the only version that completely got editing form whish was written in Park Hyo-Kwan's postscript. Fifth, Park Hyo-Kwan's postscript was also printed in <Il-suk's version> and <Ga-ram's version>, but these are the early postscripts that is written before <Gugakwon's version>. Sixth, works in <Il-suk's version> and <Ga-ram's version> was edited before <Gugakwon's version> Seventh, 『Yeochang-gayorok』 shows women's song collected by compilers in 1870. Through above facts, it found out that ①<Gugakwon's version> is the finished work made by Park Hyo-Kwan, ②its compiled year was 1872, ③there are several early different versions of <Gugakwon's version> before 1872. 『가곡원류』는 총 17종 이본이 존재한다. 이 중에서 박효관의 原稿本과 編纂年代를 밝혀내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논의 과정에서 알아낸 개별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효관 원고본→하순일 소장→하규일 소장→국립국악원 소장’으로 전해졌다. 둘째, 하순일 편집의 略式 『가곡원류』 발문의 간기 ‘壬申’은 1872년이다. 셋째, 하순일 편집의 약식 『가곡원류』 발문과 동일한 발문이 <국악원본>에도 실려 있다. 넷째, <국악원본>은 발문에서 언급한 편자의 편집방식을 온전하게 갖춘 유일본이다. 다섯째, <일석본> <가람본>에도 박효관 발문이 실려 있으나, 이들 이본은 <국악원본> 이전에 작성된 초기 발문이다. 여섯째, <일석본> <가람본>의 수록작품은 <국악원본> 이전에 편집된 것이다. 일곱째, 『여창가요록』은 편자에 의한 1870년의 여창 모습을 보여준다. 이상의 사실들을 통해, ①<국악원본>이 박효관 원고본이고, ②편찬연대는 1872년이며, ③1872년 이전에도 여러 초기 이본들이 존재, 유통되고 있었음을 밝혀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구영언 』과 사설시조

        신경숙 한국시가학회 2023 韓國 詩歌硏究 Vol.58 No.-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iscovering stylistic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genre of Sijo(時調) could accept Saseolsijo(辭說時調).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great change in the enjoying of Sijo, which was the first beginning of Cheongguyeongeen(靑丘永言), the event in which the Saseolsijo entered Sijo. Saseolsijo was made of the song of a city, Manhoingcheongryu(蔓橫淸流), which was sung by various classes of the city. Specifically, it was to abandon the melody of the song of a city and make it Saseolsijo by accepting only the lyrics of the song of a city. This change took place in a surprise move without revising the lyrics. Because of this change in the tradition of sijo enjoyment, the class who enjoyed sijo could leave themselves and was able to see the world of experience of different classes as it is. An amazing thing happened in Saseolsijo that expanded their eyes to see the world. This remarkable change was made by the stylistic personality that the sijo genre had for a long time. In the practice of performing Sijo, there was a variation style that expressed various personalities within the form. This was a long-standing method of enjoying sijo(時調), as evidenced by the collection of sijo. Sijo's enjoyment was to "enjoy various things" with "the melody and lyrics" within the regular form. This is also the creation of meaning. The emergence of Saseolsijo was possible within the tradition of sijo enjoyment, which allowed variation. 본고는 시조 장르가 사설시조를 받아들일 수 있었던 양식적 특질의 발견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구영언』에서 첫 단초를 보인 시조 향유의 커다란 변화, 곧 사설시조가 시조에 들어오게 된 사건을 살폈다. 사설시조는 도시의 다양한 계층이 부르던 도시가요인 만횡청류를 시조화한 것이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가요의 선율’은 버리고, ‘도시가요의 가사’만을 받아들여 사설시조로 삼는 일이었다. 이런 변화는 가사의 수정도 없이 전격적으로 일어났다. 시조 향유 전통에서 일어난 이 같은 변화로 인해, 시조 향유층은 자신을 벗어나 다른 계층의 경험 세계를 있는 그대로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세계를 보는 자신들의 눈을 확장시킨 놀라운 일이 사설시조에서 일어났다. 이런 놀라운 변화는 시조 장르가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 양식적 특질에서 비롯된다. 시조 연행 관습에는 정형 안에서 다양한 개성을 표현하는 변주 양식이 있었다. 이는 시조집을 통해서 입증되는 오랜 시조 향유 방식이었다. 시조의 즐김은 정형성의 틀 안에서 ‘선율과 가사’를 가지고 ‘다양하게 즐기는’ 일이었다. 이는 의미의 창출이기도 하다. 사설시조의 등장은 변주를 허락하는 시조 향유 전통 안에서 가능한 일이었다.

      • KCI등재

        19세기 서울 우대의 가곡집, 『가곡원류』

        신경숙 한국고전문학회 2009 古典文學硏究 Vol.35 No.-

        This thesis concentrated on the formation processe and influence of Gagokwonryu(歌曲源流) that had made in Seoul Woodae area in the 19th century. As a result, it found out two facts as follows. First, Gagokwonryu was compiled by systematically collecting following three different types of song among songs that was transmitted in Woodae area. ① Every song of Jieum(Kun)(知音 乾)(in the early 19th century) ② Songs of compilers and contemporaries ③ Old songs of Famous writers. These have the similarities which are 'the world of elegance'. Second, Gagokwonryu was transmitted to lyrics of Gagokseon(歌曲選)(compiled by Choi Nam-sun) and Jeongseon Choeon Gagok(精選朝鮮歌曲)(compiled by Lee Hae-cho) of the early 20th century Printed Poetry collections. Only some songs about passion between male and female was excluded. This is the reality of 'Sijo' which became national litera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이 글은 ‘19세기 서울 우대지역’에서 만들어진 『가곡원류』의 형성 과정과 이후 영향력을 다루었다. 그 결과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가곡원류』는 우대 지역에서 전승되어 오던 노래들 중에서 다음의 세 종류 노래들을 조직적으로 수집하여 편찬했다. ① 『지음(건)』(19세기 전반)의 모든 작품들, ② 편찬자와 동시대인들의 작품들, ③ 옛 노래들 중에서 유명한 작가 작품들. 이들 작품은 ‘雅趣의 세계’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둘째, 『가곡원류』는 20세기 초 활자본 가집들 중에서 『가곡선』(최남선 편), 『정선조선가곡』(이해조 편)의 가사에 그대로 전해졌다. 다만 남녀간 애욕을 다룬 일부 작품들이 제외되었을 뿐이다. 이것이 20세기 초 국민문학이 된 ‘시조’의 실체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