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Variation in clinical usefulness of biomarkers of acute kidney injury in young children undergoing cardiac surgery

        Baek, Hee Sun,Lee, Youngok,Jang, Hea Min,Cho, Joonyong,Hyun, Myung Chul,Kim, Yeo Hyang,Hwang, Su-Kyeong,Cho, Min Hyu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2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63 No.4

        Background: Acute kidney injury (AKI)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pediatric cardiac surgery. Because serum creatinine has limitations as a diagnostic marker of AKI, new biomarkers including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kidney injury molecule-1 (KIM-1), and interleukin-18 (IL-18) are being evaluat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detect AKI at an early stage after cardiac surgery.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se biomarkers in young children.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s who underwent cardiac surgery using cardiopulmonary bypass (CPB) were selected, and their urine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baseline and 6, 24, and 48 hours after surgery. Serum creatinine and blood urea nitrogen levels as well as NGAL, KIM-1, and IL-18 levels in urine samples were measured, and clinical parameters were evaluated. Results: Of the 30 patients, 12 developed AKI within 48 hours after cardiac surgery. In the AKI group, 8 of 12 (66.6%) met AKI criteria after 24 hours, and urine KIM-1/creatinine (Cr) level (with adjustment of urine creatinine) peaked at 24 hour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from baseline level. Additionally, urine KIM-1/Cr level in the AKI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on-AKI group at 6 hours. However, urine NGAL/Cr and IL-18/Cr levels showed no specific trend with time for 48 hours after cardiac surgery.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urine KIM-1/Cr concentration could be considered a good biomarker for early AKI prediction after open cardiac surgery using CPB in young children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s.

      • KCI등재후보

        내관지압이 슬관절 전치환술 받은 노인 환자의 오심, 구토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유제복 ( Je Bog Yoo ),장희정 ( Hee Jung Jang ),나은희 ( Eun Hee Na ),김선영 ( Sun Young Kim ),신동수 ( Dong Soo Shi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2

        지압은 수직압, 지속압, 조화압으로 경혈을 찾은 다음 치료하는 사람의 체중을 실어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법으로 어깨에 불필요한 힘을 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상체의 체중을 손가락에 집중을 시켜 수직으로 경혈을 보통 3-4초 정도 지속적으로 눌러 주는것을 말한다(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2000; Kim, 1999). 내관지압의 오심· 구토 경감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살펴보면, Alsaid 등(1997)이 수술 후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고, Ming 등(2002)은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에 지압이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Apfel 등(1999)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에게 지압이 오심과 구토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Kim. 2003). Kim (2003)의 연구결과 내관지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폐암 환자의 오심· 구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실험군에서 제2일과 3일에 오심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은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는 통증완화를 위한 방법으로 자가 통증 조절기는 통증 완화를 위한 치료 효과는 높지만 오심· 구토는 대부분의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이 경험하는 심각한 불편감으로, 자가 통증조절기(PCA) 사용을 중단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Lee, 2006). 수술 후 오심, 구토는 통증보다 더욱 힘든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를 경감시켜 주기 위한 다양한 간호중재 전략의 개발이 요구된다Song & Shin, 1988). 본 연구는 슬관절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 후 오심· 구토의 완화를 위해 내관지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비 침습적이고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 발전시키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에 구토영역과 오심·구토 전체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Lee (2008)의 중이수술 대상자에게 손목밴드 내관지압을 적용한 결과 마취 종료후 24시간에 오심· 구토의 전체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오심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여 Kim (2003)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주기 제2일 오심불편감이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는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대상자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수술 환자와 항암요법대상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는 지압교육실험군에서 항암화학요법제투여 2일, 3일, 4일, 5일째 오심· 구토 정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관지압 제공 후 12시간에서 유의미하게 구토영역에서 감소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는 대상자가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항암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대상자보다 고관절치환술 후자가통증조절기를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의 오심· 구토 정도가 상대적으로 항암 환자보다 낮은 정도이기 때문으로 본다. Lee (2002)의 연구결과 오심 정도는 제3일째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구토정 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와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역시 항암요법을 받는 난소암 환자가 대상자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차이로 인한 결과라고 본다. 따라서 앞으로 연구 시에는 동일대상자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할 뿐 아니라 최초 효과발현 시기에 대해 다양한 대상자별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 시점에서 두 군 간의 오심· 구토 전체 점수는 유의미하게 낮았고 특히 구토 횟수, 구토불편감, 구토 양은 통계적으로 낮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Lee (2008)의 연구에서는 마취종료 후 24시간에 오심· 구토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세부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영역은 차이가 있다. 즉, Lee (2008)는 특히 오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이는 대상자의 수술의 심각성 정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위암 환자에게 내관지압이 하위영역 구토 횟수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며 Kim 등(2007)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이는 지압 제공 후 12시간보다는 24시간에 효과가 큰 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압의 효과가 축적되어 나타나는 것이라 본다. Kwon(2011)의 결과 갑상선절제술 환자에게 손목밴드를 이용한 내관지압을 적용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심· 구토 점수가 감소하였다는 결과가 있었고 Kim 등(2010)의 결과에서는 시간에 따라 오심감소가 유의미하게 있었으므로 앞으로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오심· 구토의 감소효과를 계속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Aidah 등(2002)의 연구결과 24-48시간에 구토의 부작용이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는데 이때 지압을 통해 구토영역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대조군은 구토의 부작용이 지속되지만 실험군은 지압의 효과로 구토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의 실험군에서도 24시간에 가장 구토영역의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으로 본다. 본 연구결과는 24시간 시점에서 집중적으로 오심· 구토를 중재할 수 있는 간호 중재의 요구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라고 본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내관(P6)지압을 24시간 이후 48시간에도 계속 적용한 후 오심· 구토 정도를 확인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내관지압의 통증감소효과에 대한 가설을 세웠으나 본 연구결과 통증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보였다. 지압이 통증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보였다. Ju (2010)의 연구결과 경혈지압마사지가 요통 환자의 통증감소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으나 이는 8주간의 장시간을 두고 효과를 검증한 것이었다. Shin (2004)은 자궁 적출술 환자의 통증 자가조절교육과 함께 내관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통증감소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한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이미 대상자 스스로 통증치료를 위해 PCEA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통증에 대해서는 스스로 조절을 하는 부분이 더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PCEA를 착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한 통증약물 사용량을 함께 측정함으로써 통증 정도를 좀 더 정확하고 광범위하게 측정하여 통증 정도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사용 환자의 오심 및 구토, 통증 완화에 지압을 이용한 간호중재가 부분적으로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므로 임상에서 내관(P6)지압을 간호중재의 하나로서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Patient-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PCEA) is an effective method for controlling post surgical pain. However, it is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s of Nei-Guan (P6) acupressure on PCEA-associated nausea, vomiting, and pain in geriatric patients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Methods: Ninety-nine patients who had TKRA for the first time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 group (n=50) or control groups (n=49). All patients received PCEA immediately after surgery, but acupressure on Nei-Guan (P6) point was applied to experiment group only. Ten minutes of finger acupressure on Nei-Guan (P6) acupressure point was applied twice with 15 minute-interval in the experiment group.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s well as pain intensity were assessed at 12 and 24 hours after surgery. Nausea, and vomiting were assessed by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VR) questionnaire. Pain intensity was measured with frequency of analgesics. Results: Vomiting bo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t 12 hours (t=-2.18, p=0.03) and 24 hours (t=-2.64, p=0.01) after surgery. Total scores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24hours after surgery (t=- 2.18, p=0.03). However, pain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Nei-Guan (P6) acupressure may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PCEA-associated nausea and vomiting in older patients after TKRA.

      • KCI등재후보

        리네졸리드와 반코마이신을 교대로 투여하여 치료한 지속성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균혈증 1예

        김낙현,김문석,장은선,강유민,김가연,장희창,박완범,김의종,김남중,오명돈 대한감염학회 2009 감염과 화학요법 Vol.41 No.6

        Persistent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is frequently defined as bacteremia persisting for ≥7 days despite proper antibiotic therapy. Its treatment includes removal of all infection foci and proper antibiotic therapy. Vancomycin remains the antibiotic of choice in MRSA bacteremia. Alternative agents, linezolid or daptomycin, are available, but a consensus regarding management of persistent MRSA bacteremia on vancomycin failure is still lacking. We report a case of a 60-year-old male who received thoracoabdominal aorta replacement operation due to dissecting aneurysm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aorta. Surgical site infection and bacteremia caused by MRSA occured, and wound debridement operations were performed.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vancomycin in therapeutic doses but MRSA bacteremia persisted for 168 days in a row. Although the inserted aortic graft was the most probable source of persistent bacteremia, surgical removal was impossible. Linezolid was administered as an alternative antibiotic but had to be discontinued from time to time due to thrombocytopenia induced by this agent. In the end, MRSA bacteremia was successfully managed by alternating vancomycin-linezolid therapy.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Original Article : Geographic difference of epidemiological features of HCV infection in Korea

        ( Kyung Ah Kim ),( Sook Hyang Jeong ),( Eun Sun Jang ),( Young Seok Kim3 ),( Youn Jae Lee ),( Eun Uk Jung ),( In Hee Kim ),( Sung Bum Cho ),( Mee Kyung Kee ),( Chun Kang ) 대한간학회 201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20 No.4

        Background/Aims: The prevalence of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in Korea exhibits significant geographic variation, with it being higher in Busan and Jeonam than in other areas. The reason for this intranational geographic differenc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related to HCV infection among three geographic areas: the capital (Seoul), Busan, and the province of Jeolla. Methods: In total, 990 patients with chronic HCV infection were prospectively enrolled at 5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n=374), Busan (n=264), and Jeolla (n=352).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risk factors for HCV infection was administered to these three groups of patients,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indings was performe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exposure to the risk factors of HCV infection. By comparison with patients in Seoul as a control group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patients in Busan had significantly more experience of invasive medical procedures, acupuncture, cosmetic procedures, and multiple sex partners. In contrast, patients in Jeolla were significantly older, and they had a higher preval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 lower prevalence of multiple sex partners, and had experienced fewer invasive procedures. Conclusions: There was a significant geographic difference in the exposure to potential risk factors of HCV infection between patients from the three studied regions. This may explain the regional variation of the prevalence of HCV infection in Korea, an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planning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CV infection. (Clin Mol Hepatol 2014;20:361-367)

      • 일개 대학병원에서 일년간 분리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임상 분자역학적 연구

        송진영,김창억,김성욱,우흥정,김미란,이규만,이란,장미화,정희진,김우주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4

        목적 : 한강성심병원에서는 2000년 3월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이 처음 분리되어, 원내전파를 막기 위한 노력을 하였으나, 분리가 지속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좀더 자세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얻기 위해 본원에서 분리된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에 대한 임상분자 역학적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 2000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에서 분리된 장구균을 대상으로 디스크 확산법, 최소발육억제 농도등의 측정을 통해 반코마이신 내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을 대상으로 PFGE를 시행하여 형별 분석을 하였다. 결과 : 분리된 균주는 총 32균주로 모두 E. faecium이었다. 항생제 내성 검사 결과 모두 Van A형이었다. PFGE 결과 1a형이 8검체, 1b형이 5검체, 2a형이 4검체, 2b형이 4검체, 3a형이 2검체, 3b형이 5검체였고, 그 외 4, 5, 6형이 각각 1검체씩이었다. 총 32균주 중 56%(18/32)의 균주가 같은 시기, 같은 병실에서 동일한 PFGE 형을 보이면서 분리되었다. 결론 :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의 PFGE 분석 결과 여러 종류의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이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같은 기간, 같은 병실에서 분리된 균주의 PFGE 형이 같은 것이 상당수 있었다. 이는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의 원내 전파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의 전파의 발생 및 전파 방지를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감염관리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VRE) have been a rising problem worldwide. In March 2000, VRE was first isolated from a patient in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Although efforts to prevent transmission of VRE were performed, isolations continued. So molecular epidemiological study of VRE was done. Method :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to vancomycin and teicoplanin, and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PFGE) pattern of VRE isolated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01 were evaluated. Results : 32 VRE were isolated. All of the VRE were Enterococcus faecium and showed Van A resistance phenotype. We found out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VRE isolated during same period and in same room, were same PFGE patterns. (18 cases/ 32 isolates= 56%)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spread of VRE of same PFGE patterns. It suggests the nosocomial spreads of VRE.

      • KCI등재후보

        백혈병환자에서 Liposomal Amphotericin B로 치료된 파종성 Fusarium 감염 1예

        이지연,김성범,박대원,신성희,김용현,윤소영,엄중식,최철원,정희진,김우주,김준석,김장수,이갑노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5

        Fusarium spp.는 사람에서 드물게 각막염, 조갑진균증, 상처나 화상부위감염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면역저하자에서 기회감염의 원인균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면역저하자에서 파종성 감염이 있는 경우에 예후는 치명적이나, 증례가 많지 않고 진단방법이 제한되어 있어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쉽지 않다. 그러나 특징적으로 피부병변의 동반이 흔하여 면역저하자에서는 피부 병변의 면밀한 관찰과 함께 Fusarium 감염을 조기에 의심하여 피부생검이나 배양을 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파종성 Fusarium 감염의 치료로는 감염 부위의 국소적 외과적 절제와 전신적 항진균제의 사용이 필요하고 현재까지는 amphotericin B가 비교적 효율적인 항진균제로 알려져 있으나 면역저하자에서 이에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관해유도화학요법 시행 후 호중구감소상태에서 피부병변과 폐침윤이 발견되었고 피부의 중심부 궤양을 동반한 구진성 병변에서 배양검사를 통해 파종성 Fusarium 감염을 진단하였으며 liposomal amphotericin B (AmBisome )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Fusarium spp., basically a superficial pathogen, is a newly emerging fungal pathogen of opportunistic infections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At present, although Fusarium spp. are relatively resistant to amphotericin B, the combination of amphotericin B and surgical debridement appear to be optimal treatment for disseminated infection. Recently we experienced a 32-year-old neutropenic patient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for acute myelocytic leukemia presented with skin lesions and infiltrations in both lungs. We diagnosed with disseminated fusariosis by skin culture and successfully treated the patient with liposomal amphotericin B. We emphasize a high index of suspicion for skin lesions especially in immunocopromised pati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