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Clozapine 효과

        이홍식,정미정,김지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4 신경정신의학 Vol.33 No.5

        Objects : Prior reviews have indicated that antipsychotic drugs may impair planning ability and memory but otherwise may even improve attention and reaction time performan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lozapine on cognitive functions and psychopathology in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 Neuropsychological tests such as Wisconsin Card Sorting test, Digit Span test and Judgment of Line Orientation test were applied to 21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and 15 normal controls.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retested with the same instruments after 3 monthes of treatment period with clozapine. Psychopathology was assessed in the same patients before initiation of clozapine and at 12 weeks using BPRS. Results : Cognitive impairment was found in each measure of executive function, attention, short-term memory and visual perception ability as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After 12 weeks of clozapine treatment, signigicant improvement occured in attention, short-term memory and visual perception ability as well as psychotic symptoms includ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but had little effect on executive functions. Conclusion : Short-term treatment with clozapine may possibly improve parts of cognitive functions of chronic schizophrenics, and these effects can contribute to increase capacity for work and social function.

      • KCI등재

        한국 및 러시아 한국계 청소년 우울증의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에 대한 횡문화 비교 연구

        송동호,민성기,김지웅,김찬형,이홍식,Kim, Larissa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른 한국과 러시아, 두 나라의 한국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울증의 유병율을 비교 조사하고, 우울증과 관련된 사회심리적 위험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연구도구의 한국어판을 제작하고 두 나라의 청소년 우울증 환자 40명씩을 대상으로 우울척도의 cut-off 점수를 산정하기 위한 예비연구를 본 연구에 앞서 시행하였다. 한국의 청소년 대상은 서울 소재의 중고등학생 838명이었고, 러시아의 청소년은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의 중고등학생 중 양부모가 모두 한국인인 652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우울증의 사회심리적 요인들과 횡문화적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초자료 설문지 및 Beck 우울척도를 적용하였다. 결 과 :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예비연구에서 얻은 Beck 우울척도의 cut-off 점수 19점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한국 청소년 집단에서 우울증의 유병률은 26.5%인데 반하여 러시아 청소년에서는 7.4%의 유병률을 보였다. 한국인 청소년들은 한국인-러시아 청소년에 비하여 염세주의(pessimism), 실패감(failure), 자살사고, 죄책감 등, 절망감(helplessness)과 관련된 증상들이 유의하게 많이 나타났다. 한국인 청소년과 한국인-러시아 청소년 간에 우울증의 유의한 사회심리적 위험요인들로서 여성, 낮은 학업성적, 부모와의 갈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그외에 친구교제 요인, 만성 신체질환, 형제간이나 친구들과의 갈등이 한국인 청소년에서는 또 다른 위험요인으로 존재하였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인 청소년의 우울증 유병율이 한국인-러시아 청소년의 유병률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한국과 러시아의 한국인 청소년들 간에 우울증의 유의한 사회심리적 위험요인들이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 In order to study a cross-cultural epidemiology of the adolescent depressives with Korean ethnicity in Korea and Russia, we compare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depressive disorder between two school-based populations in different sociocultural environments. Methods : We measured psychosocial variables of 838 subjects in Korea, and 652 in Russia(Uzbekitan) using Basic Questionnaire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Results : The cut-off point of BDI for adolescent depression in Koreans was 19 points. Higher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noted in Korean adolescents(26.5%) compared to Korean-Russian adolescents(7.4%). We found signicant risk factors of adolescent depression in two study samples : female, academic failure, meeting friends less frequently, presence of chronic physical illness, interpersonal problems with parents, and same-sex and opposite-sex friends. Conclusions : Our data will provide information on cross-cultural understanding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in adolescent depression compared between Koreans and Korean-Russians.

      • KCI등재

        개심술후 정신의학적 합병증

        임기영,조범구,민성길,이홍식,유계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5 신경정신의학 Vol.24 No.1

        Pre-and post operative psychiatric evaluations were done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Hamilton scales for anxiety and depression in 57 open heart surgery receipients to assess post-operative psychiatric complications. Conspicuous post-operative psychiatric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16 (23%) of 57 patients after open heart surgery. Postcardiotomy delirium occurred in seven patients; acute psychotic reaction with paranoid ideation in one; and neurotic reaction in eight. Factors that tended to influence postoperative psychiatric complications were older age, unempolyment, previous medical/psychiatric history, and high level of preoperative anxiety. By analysis of the preoperative psychiatric evaluation, patients could be largely divided in 3 groups; anxiety group, denial group, and adjusted group. Excessive anxiety and massive denial seemed to be signficant in the postoperative psychiatric compliactions. With these findings, the author's impression was that the consultation psychiatrist should give comprehensive psychiatric evaluation and psychiatric preparation in pre-and post-open heart surgery for the possible prevention of postopertive psychiatric complications.

      • KCI등재

        Nanocrystalline silicon films deposited with a modulated hydrogen dilution ratio by catalytic CVD at 200 ℃

        Tae-Hwan Kim,Kyoung-Min Lee,Jae-dam Hwang,Wan-Shick Hong 한국물리학회 2009 Current Applied Physics Vol.9 No.2

        Nanocrystalline silicon (nc-Si) thin films that are deposited at low-temperatures (<200 ℃) often contain an incubation layer as thick as 10 nm. This incubation layer deteriorates performance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bottom-gate thin-film transistors, fabricated from the nc-Si film. We found that the crystallinity of the nc-Si films could be improved by adding a large quantity of hydrogen to the source gas. However, the hydrogen dilution degraded the deposition rate. We attempted a modulation of the hydrogen dilution ratio in a catalytic chemical vapor deposition (Cat-CVD) system to achieve both a minimal incubation layer and high throughput. We obtained an incubation-layer thickness of 3 nm and were able to grow a 200-nm-thick film in 18 min. Nanocrystalline silicon (nc-Si) thin films that are deposited at low-temperatures (<200 ℃) often contain an incubation layer as thick as 10 nm. This incubation layer deteriorates performance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bottom-gate thin-film transistors, fabricated from the nc-Si film. We found that the crystallinity of the nc-Si films could be improved by adding a large quantity of hydrogen to the source gas. However, the hydrogen dilution degraded the deposition rate. We attempted a modulation of the hydrogen dilution ratio in a catalytic chemical vapor deposition (Cat-CVD) system to achieve both a minimal incubation layer and high throughput. We obtained an incubation-layer thickness of 3 nm and were able to grow a 200-nm-thick film in 18 min.

      • KCI등재

        난치성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생활의 질에 미치는 정신사회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송동호,배민진,이종호,이홍식,김선경,서호석,김찬형,전지용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5 신경정신의학 Vol.34 No.4

        Objects : Recent studies of psychosocial adjustment after hospitalization have found that the combination of maintenance antipsychotic drug treatment and psychosocial treatment including psychoeducational program are highly predictive of social rehabilitation and reduction of subsequent relapse. Two groups of patients with refractory chronic schizophrenia were preliminarily compar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psychosocial treatment program on the quality of life in refractory chronic schizophrenics in an open comparative trial. Methods : One group(N=11) was assigned to approximately six months of the psychosocial treatment program(including psychoeducation program and activity program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social skill training, self management program, outings, etc), in a group format, twice a week and a fixed maintenance dosage of clozapine ; while scale(QLS) was used to provide an objective measure of changes in patient's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a general assessment of psychopathology was made using 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Results : Both BPRS total positive score and the QLS total score, especially in the intrapsychic foundation factor of the sca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sychosocial treatment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both BPRS and QLS scores over a 6-month period in the non-psychosocial treatment group.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negative symptom and changes of QLS total, instrumental role and common object and activities scores respectively after receiving a 6-month of the psychosocial treatment program.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sychosocial treatment program including the integration of psychoeducation and a skill training oriented activity program serve as an outpatient treatment modal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life in refractory chronic schizophrenia. To further clarify the effect of psychosocial treatment in chronic schizophrenia, a randomized trial should be done.

      • KCI등재

        한국인 강박장애와 Val-158-Met Catechol-O-Methyltransferase 유전자 다형성 간의 상관성 연구

        천근아,김세주,김찬형,구민성,남윤영,박성혁,이홍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6 신경정신의학 Vol.45 No.5

        목적 COMT(Catechol-O-Methyltransferase) 효소는 도파민성과 노어아드레날린성 체계의 조절에서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하며 염색제 22q11에 위치해 있다. 일부의 강박장애 환자들은 도파민 차단제에 좋은 치료 반응을 보이며 이런 현상은 COMT가 강박장애의 병인론에 역할을 하고 있을 가능성을 말해준다. Val-158-Met COMT 유전자의 다형성은 효소의 감소를 유도하는 L(저활성) 대림형질, 활성의 증가를 유발하는 H(고활성) 대립형질로 알려져 있으며 L 대립형질 또는 LL 유전형이 강박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아직까지 강박장애와 COMT 다형성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일관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강박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Val-158-Met COMT 유전자의 다형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4년도 2월까지 약 24개월동안 서울지역 일 대학병원과 경기지역 일 대학병원 강박장애 클리닉을 방문하여 강박장애로 진단받은 124명의 환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정상 대조군으로는 나이와 성별을 고려하여 자원자 170명이 선별되어 포함되었다. 강박장애군과 정상 대조군의 혈액으로부터 유전자 추출 후 COMT 유전자 형벌 (genotyping)을 시행하였다. 다형성을 H/H 와 H/L, L/L 유전형으로 나눈 뒤 강박장애와 정상대조군 사이의 유전자 빈도를 카이 검정법으로 비교하여 연관성을 관찰하었다. 또한 강박장애 환자들에게 시행한 YBOCS로부터 측정한 강박장애 심각도 및 Hamilton Depression Raing Scale (HDRS) 총점과 COMT 유전자 다형성 사이의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한국인 강박장애와 COMT 다형성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YBOCS 심각도와 COMT 유전자형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강박장애 환자군들의 COMT 유전자형 세 군 사이의 우울증상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한국인에서 강박장애와 COMT 유전자 다형성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었다. 그러나, COMT의 H 대립형질과 강박장애 군에서 공존하는 우울증상 척도가 유의한 연관성을 보인 현상은 COMT 유전자의 다형성이 강박장애의 공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생각된다. Objectives : The definite cause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is still unknown. Evidences from familial, twin and segregation studies support the role of a genetic factor. There are also growing evidence indicating that OCD has specific neurochemical and neuroanatomical basis. Derived from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with dopamine receptor blocker in certain part of OCD patients (eg. SSRI treatment-resistant OCD), several candidate genes related to dopamine dysregulation have been hypothesiz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OCD. One of them is the Catechol-O-Methyltransferase (COMT) ge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OMT and OCD in Korean population. Methods : 124 OCD patients and 170 normal contr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eir blood. The genotypes and allele frequencies of the COMT polymorphism between OCD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mpared.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everity of OCD assessed by Yale-Brown obsessive compulsive symptom scale (YBOCS) and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DRS) scores and COMT polymorphism. Results : In this case-control study, we could not find any association between COMT gene polymorphism and development of OCD. In OCD group, patients with H/H genotyp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the HDRS than those with H/L or L/L genotype.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otype distributions of COMT between OCD and control groups. However, H/H genotype of COMT gene polymorphism might be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in OCD patients.

      • KCI등재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주관적 음성증상경험의 임상적 의의

        김지웅,김찬형,구민성,손석한,박진철,최문종,이은철,윤도준,이홍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1

        연구목적 : 현재까지 정신분열증의 음성증상평가는 주로 객관적인 평가에만 의존해왔기 때문에, 환자들이 주관적으로 직접 경험하는 음성증상의 평가는 경시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실제 많은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음성증상을 자가하고 있다. 특히, 개관적인 양성 및 음성증상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도 환자 본인은 음성증상으로 괴로워한다는 이전의 연구보고들이 있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주관적인 음성증상경험과 개관적인 양성증상 및 음성 증상, 우울증상, 불안증상, 추세외로증상과의 상관성을 알아봄으로써 정신분열증의 정신병리에 있어 주관적 음성증상의 존재를 규명하고, 정신분열증 정신병리의 발생기전을 유추해보며 이차적 음성증상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가 정신분열증 정신병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환자를 공감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DSM-Ⅳ 진단기준의 정신분열증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주관적인 음성증상의 평가를 위해서 Scale for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Negative Symptoms : Korean version(KSENS)을 이용하였고, 개관적인 정신분열증 정신병리의 평가는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NASS)를 이용하였다. 우울증상, 불안증상, 추세외로증상의 평가를 위해서 각각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AM-D),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HAM-A), Extrapyramidal Symptoms Rating Scale(ESRS)을 이용하였다. 각 정신병리척도 점수간의 상관성은 Spearma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K-SENS 24항목 중에서 환자가 이를 불편한 것으로 경험하고 있는 항목의 비율과 PANSS 양성척도점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점이 있었으며 (r=-0.40, p〈0.05), 양성증상 중에서도 특히 과대성(r=-0.46, p〈0.05), 의심/피해(r=-0.34, p〈0.05), 적개심(r=-0.52, p〈0.05) 등의 증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K-SENS 24 항목 중에서 환자가 이를 불편한 것으로 경험하고 있는 항목의 비율과 PANSS 전체점수(r=-0.25, p〉0.05), PANSS 음성척도점수(r=-0.20, p〉0.05), PANSS 일반정신병리척도(r=-0.08, p〉0.05),와는 각각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K-SENS 24항목 중에서 환자가 이를 불편한 것으로 경험하고 있는 항목의 비율과 HAM-D 점수(r=-0.01, p〉0.05), HAM-A 점수(r=-0.11, p〉0.05), ESRS 총점(r=0.34, p〉0.05)은 각각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결과에서,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불편한 것으로 경험하는 주관적 음성증상과 과대성, 의심/피해, 적개심 같은 양성증상은 역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양성증상이 주관적으로 불편하게 느끼는 음성증상에 대한 가능성과, 혹은 양성증상이 심할 경우, 이에 압도되어 음성증상을 주관적으로 느끼지 못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시사되었으며, 향후 종적인 연구를 통해 이를 규명해 볼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주관적인 음성증상경험과 우울증상, 불안증상, 추세외로 증상과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서 이들 증상과는 독립적인 증상임을 시사한다. Objective : Since the evaluation of negative symptoms has depended on the clinician's objective observation, the patients subjective experience of negative symptoms has been neglected. However, in fact, a lot of patients are aware of their negative symptoms. There are several reported suggesting that patients suffer from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their deficit symptoms, even though the objectiv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cannot be observed. Under these circumstances, we have attempted this study with the idea that it would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sychopathology of schizophrenia. Also it would help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experience of negative symptoms and objectives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depression anxiety symptoms, and extrapyramidal symptoms. Method : All the 37 patients satisfied the diagnostic criteria of DSM-Ⅵ for schizophrenia.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negative symptoms were evaluated using Scale for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Negative Symptoms : Korean version(KSENS), and for the depression, anxiety, extrapyramidal symptoms, we used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AM-D),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HAM-A), and Extrapyramidal Symptoms Rating Scale(ESRS).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psychopathology was tested by calculating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items experienced as uncomfortable symptoms among 24 items of K-SENS, and the score of PANSS positive subscale(γ=-0.40, p〈0.05), Among the positive symptoms, grandiosity(γ=-0.46, p〈0.05), suspiciousnes/persecution(γ=-0.34, p〈0.05), and hostility(γ=-0.52, p〈0.05)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atio of items experienced as uncomfortable symptoms among 24 items of K-SEN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items experienced as uncomfortable symptoms among 24 items of K-SENS, and PANSS total score(γ=-0.25, p〉0.05), or negative subscale score(γ=-0.20, p〉0.05), or general psychology subscale score(γ=-0.08, p〉0.05),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atio of items experienced as uncomfortable symptoms among 24 items of K-SENS, and HAM-D(γ=-0.01, p〉0.05), or HAM-A(γ=-0.11, p〉0.05), ESRS(γ=0.34, p〉0.05),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revealed that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negative symptoms experienced as an uncomfortable ones and the objective symptoms such as grandiosity, suspiciousness/persecution, and hostility. From these results, the possibility that positive symptoms are used as a defense to hide from the negative symptoms because they are overwhelmed by their positive symptoms, is suggested.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subjective experiences of negative symptoms are independent from depression, anxiety and extrapyramidal symptoms.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아에서 주의력 과제와 관련된 대뇌의 기능적 국소화

        신동원,송동호,전덕인,남궁기,이만홍,이홍식,민성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는 주의력에 결함이 있는 장애이다. 주의력에 주로 관여하는 부위는 전두엽과 두정엽으로서 이전 연구에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의 전두엽과 두정엽의 이상에 대하여 보고되어 왔으나, 대부분 안정상태에서 정상인과 비교한 연구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가 주의를 요하는 과제를 실행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의 양상을 정량화 뇌파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활성화 양상에 있어 정상인과의 차이점을 확인해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의 주의력 결함과 관계된 뇌의 국소적 병태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의 주의력 결함과 관계된 뇌의 국소적 병태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의 치료제인 methylphenidate를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에게 투여하여 주의력 과제 중에 활성화되는 뇌 양상의 변화를 알아보고, 치료제가 주의력을 높이는 기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방 법 : 연구 대상자는 환자 20명, 정상인 20명으로 총 40명이었다. 두 군은 성별, 나이, 손잡이, 지능에 있어서 차이가 없도록 선발되었다. 정상인은 안정 상태와 주의력 과제를 실행하는 동안 정량화 뇌파를 측정하였다. 환자군은 methylphenidate를 투여한 상태와 투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 안정 상태와 주의력 과제를 실행하는 동안 정량화 뇌파를 측정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중력 검사상, 정상대조군이 투약 전 환자군에 비해 목표자극에 대한 정반응 시간과 목표 자극에 대한 정반응 시간의 표준편차에 있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여 집중력이 좋음을 알 수 있었다. 환자군은 누락 오류, 목표 자극에 대한 평균 정반응 시간, 표준편차에 있어 투약 전에 비해 투약 후에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얻어, 투약 후 집중력이 유의하게 호전됨을 확인하였다. 정상 대조군과 투약 후 환자군 사이에 집중력 검사상 차이는 없었다. 2) 안정상태에서 얻은 정량화 뇌파의 모든 파 영역에서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뇌파의 전위가 증가해 있었다. 3) 정량화 뇌파의 delta 파 영역에서 뇌파를 분석한 결과, 정상 대조군의 경우, 주의력 과제 중에는 안정상태에 비하여 두정-후두엽 부위의 전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환자군에서는 주의력 과제 중에 유의하게 전위가 증가하는 부위가 없어, 국소화한 뇌 활성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4) Theta 파 영역에서, 정상 대조군의 경우, 주의력 과제 중에는 안정상태에 비해 우측 전두엽, 우측 측두엽, 양측 두정-후두엽 부위에서 전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환자군에서 투약하기 전에는 유의하게 증가하는 부위가 없었다. 환자군에서 투약 후에는 우측 전두엽, 우측 측두엽, 양측 두정-후두엽 부위에서 유의하게 전위가 증가해, 정상 대조군과 유사한 뇌활성도의 변화 양상을 보였다. 5) Alpha 파 영역에서, 정상 대조군의 경우, 주의력 과제 중에는 안정상태와 비교해 두정-후두엽 부위만이 유의하게 뇌파가 증가하는 반면, 투약하지 않은 환자군의 경우 광범위한 부위에서 유의하게 뇌파가 증가하여 뇌 활성 변화 부위가 국소화되지 않았다. 6) Beta 파 영역에서, 정상 대조군의 경우 안정상태에 비해 주의력 과제 중에는 좌측 전두엽과 Cz 부위만이 유의하게 전위가 증가하는 반면, 투약 하지 않은 환자군의 경우 거의 모든 뇌부위에서 전위가 유의하게 증가해 뇌의 활성 변화 부위가 국소화되지 않았다. 투약한 후에는 좌측 전두엽과 양측 측두엽의 뇌파가 유의하게 증가해 국소화한 뇌 활성 변화 양상을 보였다. 결 론 :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는 안정상태에서 정상인과 비교해 뇌파상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다. 정상인의 경우, 공간 자극에 관계된 주의력 과제 실행시 주로 전두엽과 두정-후두엽이 활성화되었으나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는 국소적인 뇌활성화에 실패하였다.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의 주의력 결함은 전두엽과 두정-후두엽 부위의 병태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e attentional deficit is a core symptom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major brain areas related to attention are frontal and parietal lobes. Abnormalities of frontal and parietal lobe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ave been reported in previous researches. But, most of the researches are based on comparing patients and controls while they are in resting condition. Further research on functional changes related to performance of attentional task is needed to understand the attentional dysfunction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his study, the localized functional changes of the brains related to attentional task in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he differences of them between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were examined. Also the effect of the methylphenidate on functional changes related to attentional task in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as examined. Method :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QEEG) was applied to examine the fuctional changes related to attentional task.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0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20 controls who were matched age, sex, handedness, intelligence. QEEG was recorded on eye open resting condition, and on performing computerized attentional task. In cases of patients, after taking of methylphenidate, QEEG was recorded on both conditions. Results : 1) In attention test, normal controls had better scores in response time and variabilities of response time than those of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out taking methylphenidate. After taking medication, scores of omission, response time and variabilities of response tim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ing to scores without taking medication. No differences were recognized between the controls and patients with taking medication in scores of attention test. 2) In resting condition, spectral EEG revealed baseline activity levels of pati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ing to those of controls. 3) Analysis of delta wave revealed that amplitudes of contro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parieto-occipital area during performance of attentional task. But in patients, localized activated area related to attentional task was not remarkable. 4) Theta activity of contro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right frontal, right temporal, and both parieto-occipital areas during performance of attentional task. But in patients without taking medication, localized activated area related to attentional work was not remarkable. After taking medication, right frontal, right temporal, and both parieto-occipital areas were significantly activated. 5) Alpha activities of contro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rieto-occipital area during performance of attentional task, but those of patient without taking medication were increased in broad area. 6) Beta activities of contro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frontal area during attentional performance, but those of patients without taking medic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ost of the brain areas. After taking medi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ctivities related to attentional task were recognized in left frontal, and both temporal areas. Localized activated patterns similar to those of controls were recognized.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ave increased baseline brain activity. In controls, brains showed localized response to a attentional stimuli, and functional changes related to attentional stimuli were recognized in frontal, and parieto-occipital areas. But, patients failed in showing appropriate localized activated response to attentional stimuli. It is concluded that frontal and parieto-occipital areas have some deficit responsible for the attentional dysfunction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