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경세포의 Outgrowth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파이버 지지체와 전단응력의 영향

        김인애,박수아,김영직,김수향,신호준,이용재,신지원,신정욱 한국공작기계학회 2005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

        We introduced mechanical stimuli and micro patterned substrate with micro fiber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ose on neurite outgrowth along with nerve growth factor (NGF) in vitro. Micro fiber substrates were fabricated using an electros pinning process. And PC-12 cells cultured on substrates were simulated with newer growth factor and laminar flow shear stress in a fluid flow system. The results suggest that micro fiber substrates and fluid-induced shear stress are promising for simulating neuronal regeneration in a desired direction.

      • KCI등재

        광주광역시 치매의 유병률과 위험인자의 도시-농촌 지역 비교

        신일선,김재민,윤진상,김석재,양수진,김웅장,이승현,강순아,곽지영,이형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6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의 도시 및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에서 치매의 유병률과 위험인자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부가적으로 이 두 지역간에 치매의 유병률과 위험인자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광주광역시의 전형적인 도시와 농촌지역의 65세 이상의 노인(N=1,598)을 대상으로, 2단계의 역학연구를 수행하였다. 1차 선별 단계에서는 38명의 훈련된 연구보조원이 대상노인을 면담하여, 사회인구학적 특징을 조사하고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 MMSE-K)로 평가하였다. 2차 임상 진단 단계에서는 1차 단계에서 MMSE-K 점수가 24점 이하인 노인(N=431)을 대상으로, 전문연구팀의 임상적 평가를 통해 치매를 진단하고 원인질환별로 알쯔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 AD),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 VaD) 및 기타 치매로 분류하였다. 대상노인에서 치매의 유병률을 측정한 후, 광주광역시 전체 노인의 연령보정 유병률을 산출하였다. 전체 대상에서 AD의 위험인자를 조사한 후, 도시와 농촌군으로 나누어 분석을 다시 시행하였다. 결 과 : 1차 및 2차 단계의 참가율은 각각 71.0%(N=1,134) 및 83.2%(N=410) 였다. 연구 참여 노인(N=1,134)에서 전체 치매, AD 및 VaD의 유병률은 최소 각각 9.7%, 5.2%, 1.8%였다. 광주광역시 전체 노인의 연령 보정 유병률은 각각 10.7%, 5.7%, 1.9%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AD의 독립 위험인자는 고령, 여성, 무학이었다. 도시와 농촌에 따른 유병률의 차이는 파악되지 않았다. 그러나 AD의 위험인자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도시 노인에게는 무학만이, 농촌 노인에게는 고령과 여성인 경우가 독립 위험인자였다. 결 론 : 광주광역시 노인에서 치매의 유병률은 높았고, 이는 국내 다른 지역에서 수행된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위험인자는 도시와 농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에서의 치매의 실태를 반영하며, 치매의 적절한 관리와 예방을 위해서는 지역성 특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rat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in an urban and a rural sample of older persons in the metropolitan Kwangju area, Republic of Korea. In addition, the prevalence rat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between the two samples were compared. Methods : A two-phase epidemiological study of residents aged 65 or over(N=1,598) was conducted in a highly developed, urban and a non-contiguous, poorly developed, rural area of metropolitan Kwangju. In the first(screening) phase, 38 trained research assistants collectively peformed in-home interviews for all participants. Detail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gathered and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was administered. In the second (diagnosing) phase, diagnosis of dementia was established for those scoring 24 or less on the MMSE-K in the screening phase(N=431), and etiological types of dementia were classified to Alzheimer's disease(AD), vascular dementia(VaD) or miscellanous type by two teams of experts. Prevalence rate of dementia was determined in the participants, and age-standardized prevalence rate adjusted by age distribution in metropolitan Kwangju was estimated. For AD, the risk factors were investigated in all participants, and analyses were repeated for the urban and rural samples separately. Results : The participating rates in the first and second phases were 71.0%(N=1,134) and 83.2%(N=410), respectively. In the participants, the prevalence rates of dementia(all types), AD and VaD were 9.7%, 5.2% and 1.8%, respectively. The age-standardized prevalence rates were 10.7%, 5.7% and 1.9%, respectively. Aging, female gender and no education(complete lack of formal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AD. No difference between the urban and rural samples was observed in the prevalence rates of dementia(all types), AD and YaD. However, risk factors for AD differed between these areas. In the urban sample, no education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 whereas, aging and female gender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in the rural sample. Conclusion : A high prevalence rate of dementia was observed among old persons in metropolitan Kwangju,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conducted in other Korean areas. The risk factor profi1es for AD differed between urban and rural sett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flect the current status of dementia in Korea and suggests that appropriate management and prevention strategies for dementia should be tailored toward the geographic settings.

      • 트레드밀 운동시 흡기근 테이핑이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김민지,신수영,송월섭,조수진,최동락,황미진,황진규,박진현,김경,Dennis W. Fell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再活科學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트레드밀 운동과 키네시오 테이핑의 효과에 따른 폐활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6명의 비흡연자가 참가하였으며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지 않은 그룹과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두 그룹으로 무작위로 배정하고 각 군들을 주 3회 6주간의 트레드밀 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후, 스파이로미터를 사용하여 키네시오 테이핑의 적용 따른 폐활량 변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 그룹에서 적용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FVC, FEV1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한 성인에서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경우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지 않고 트레드밀 운동을 한 경우보다 폐활량의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vital capacity(VC) according to 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with treadmill exercise. Twenty-six non-smok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thes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To measure the VC variation effects of kinesio taping, spirometer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using a paired Mauchly 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group: treadmill with kinesio taping B group: treadmill without kinesio taping. Between A and B,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se of A group, there was 11.66% increase of VC, during 3 weeks experiment(p<.01). In the case of B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3.35% increase of VC, during 3 weeks taping intervention(p<.01). After 6 weeks experiment, the improvement of VC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 (p<.05). From this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readmill exercise with kinesio taping was effective to improve VC to healthy adult than treadmill exercise without kinesio taping.

      • KCI등재후보

        알부민이 첨가된 시험관내 약역학 감염모델을 이용한 폐렴알균 치료에서 Ceftriaxone 일일 1회 요법

        허지안,전혜선,박선희,최수미,김시현,이동건,최정현,유진홍,신완식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배경 : Penicillin 내성 폐렴알균이 증가하는 지역에서 대안 중의 하나로 사용되는 ceftriaxone (CTR)의 적절한 용법, 용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분리된 폐렴알균을 대상으로 시험관내 약역학 감염모델을 이용하여 알부민이 첨가된 경우와 첨가되지 않은 경우 CTR의 일일 1회 요법의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Penicillin 감수성(SM24), 중간내성(SM47), 내성(SM60)주를 대상으로 2-구획 시험관내 약역학 감염모델을 적용하였다. CTR 주입은 2 g씩 24시간마다로 사람의 약동학을 모의하였다. 알부민은 모델에서 4g/ dL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살균효과는 0, 2, 4, 6, 24, 30, 48시간째 집락수 변화로 측정하였다. 결과 : 모든 균주에서 알부민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 6시간 이내에 살균력이 관찰되었다. 최저억제농도 및 알부민 첨가유무에 관계없이 3주 모두 24시간째 살균력이 관찰되었고, 48시간째는 모두 측정한계 이하의 집락수로 감소하였다. 전 실험과정에서 CTR에 대한 내성주는 출현하지 않았다. 결론 : CTR의 일일 1회 요법은 알부민이 첨가되었을 때, 감수성, 중간내성, 내성주 모두에서 살균력 발현이 지연되었으나 최종효과는 알부민이 없을 때와 다르지 않았다. 앞으로 알부민 결합효과와 관련된 기초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During the era of increasing penicillin resistant Streptococcus pneumoniae, it is important to have knowledge about adequate dosage and dosing interval of ceftriaxone (CTR). We examined efficacies of once-daily CTR and compared results in an in vitro pharmacodynamic infection model (IVPDIM) supplemented with albumin and those without albumin. Methods : Using three clinically isolated S. pneumoniae that were susceptible (SM24), intermediate (SM47) and resistant (SM60) against CTR, we utilized a two-compartment IVPDIM. CTR 2 g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every 24 h. Human albumin was added with concentration of 4 g/dL. Samples were removed at multiple time points over a 48-h period to determine the colony counts. Results : In SM24 and SM60, bactericidal effects were observed within 6 hours in groups without albumin. The number of colonies during 1st 6 hours were more decreased in albumin-free groups than in albumin-supplemented groups (P<0.05). In SM47, similar results were found during 1st 6 hours (P=0.03). But, regrowth was observed in albumin supplemented group at 30 h. Irrespective of results of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and albumin supplementation, bactericidal effects were shown at 24 h in all 3 strains. All groups were decreased below the detection limit at 48 h. Development of resistance was not detected throughout the entire study period in either strain. Conclusions : Although extents of killing in albumin supplemented broth of once-daily CTR dosing were delayed in all 3 strains compared with those of albumin free broth, final efficaci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PH 4.3에서 재광화 용액의 포화도에 따른 인공 탈회된 법랑질의 동력학적 변화

        이지숙,노병덕,신수정,이윤,공형규,이찬영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1

        법랑질의 재광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PH, 불소 농도, 포화도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 완충 탈회용액을 이용하여 법랑질 시편을 인공 탈회시킨 후, pH 4.3에서 포화도를 0.22, 0.30, 0.35로 달리한 세가지 재광화 용액에 10일간 처리하여 나타나는 변화를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전체 탈회 깊이와 건전 표층 폭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Image program (Scion Image analyzer)을 이용하여 병소 부위의 평균 mineral density를 측정하여 탈회와 재광화 후 무기질 변화량을 통해 인공 탈회된 법랑질의 동력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1 재광화 후 모든 군에서 건선 표층의 폭이 증가하였는데, 포화도가 증가할수록 건전 표층 폭이 증가하였다 (P< .05) 2 재광화 후 mineral density 변화를 관찰한 결과 포화도가 낮은 군에서는 이온의 침착이 병소 전반적으로 일어났으나, 포화도가 높은 군에서는 건전 표층 부위와 표층하 병소의 하층부에서 이온의 침착으로 mineral density 가 증가하였고 표층하 병소의 상층부에서는 탈회가 진행되어 mineral density가 감소하였다. 3 재광화 후 모든 군에서 무기질량이 증가하였고 전체 탈회 깊이도 증가하였으나 각 군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본 실험에서 인공 탈회된 시편을 pH 4.3인 재광화 용액에 처리시 포화도가 높을수록 건전 표층에서 더 많은 재광화 현상이 일어났고 표층하 병소에서는 재광화 현상이 적게 일어났으며 재광화 후 모든 군에서 전체 탈회 깊이는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compare the dynamic change of artificially demineralized enamel by remineralization solutions of different degrees of saturation at pH 4.3 In this study, 30 enamel specimens were demineralized artificially by lactic acid buffered solution. Each of 10 specimens was immersed in pH 4.3 remineralization solution of three different degrees of saturation (0.22, 0.30, 0.35) for 10 days. After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images were taken by a polarizing microscope (× 100). The density of lesion were determined from images taken after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During remineralization process, mineral deposition and mineral loss occurred at the same time. After remineralization total mineral amount and width of surfacc lesion increased in all groups. The higher degree of saturation was, the more mineral deposition occurred in surface lesion and the amount of mineral deposition was not much in subsurfacc lesion. Total demineralized depth increased in all groups.

      • KCI등재후보

        국내 다기관에서 조사한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빈도와 임상적 특성

        송진수,최평균,송경호,조재현,김성한,방지환,이창섭,박경화,박경운,신수,최희정,김의석,김동민,이미숙,박완범,김남중,오명돈,김의종,김홍빈,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목적 :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MRSA)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CA-MRSA 감염증에 대한 증례보고만 있을 뿐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CA-MRSA의 빈도, 감염증의 임상적 양상, 분리된 균주의 항균제내성 양상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5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7개 병원에서 MRSA가 분리된 환자의 명단을 파악한 후 의무기록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검토하였다. 외래나 응급실에서 혹은 입원 후 72시간 이내에 균주가 분리되고 MRSA 획득과 관련된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CA-MRSA로 정의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임상적 의미에 따라 원인병원체(pathogen), 집락화(colonizer), 미결정(undetermined)으로 분류하였다. Penicillin과 oxacillin을 제외하고 3개 이상의 다른 계열 항균제에 내성이면 다제내성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연구기간동안 총 3,251주의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 MRSA는 1,900주(58.4%)였다. MRSA 가운데 CA-MRSA는 114주(6.0%) 였으며, 이들이 분리된 부위는 귀(62주), 비뇨기계(14주), 피부 및 연부조직(11주), 호흡기계(10주), 혈액(3주) 등이었다. CA-MRSA 균주 가운데 집락균은 22주, 원인병원체는 22주였으며, 나머지 균주에 대해서는 그 임상적 의미를 결정할 수 없었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73균주 중 47주(64.4%)는 다제내성이었다. CA-MRSA 감염증 22예 중 피부 및 연부조직 감염(9예)과 중이염/외이도염(9예)이 가장 흔하였다. 침습적 감염증(invasive infection)은 4명(원발성 균혈증 3예, 감염성 관절염 1예)에서 확인되었지만, CA-MRSA 감염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 병원내 감염증에서는 MRSA가 심각한 문제이지만, 아직까지 지역사회 감염증에서 CA-MRSA는 흔하지 않았다. Background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fection has emerged in patients who do not have the established risk factors. In Korea, little is known about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community-associated MRSA (CA-MRSA). Material and Methods :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y databases of 7 hospitals were reviewed to identify the patients from whom MRSA was isolated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to July 2005. Only one isolate per patient was enrolled. In order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MRSA acquisition, the medical records and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databases were reviewed. CA-MRSA was defined as MRSA isolated from patient without established risk factors. We analyzed patient demographics,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characteristics of infec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rofiles. Results : Of total 3,251 S. aureus isolates, 1900 (58.4%) were MRSAs. Of the MRSA isolates, 114 (6.0%) were CA-MRSA. Of 114 CA-MRSA isolates, 22 (19.3%) were colonizers, 22 (19.3%) were pathogens,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remaining 70 (61.4%) could not be determined. Median age of the 22 patients with CA-MRSA disease was 47 years. Nine patients had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9 ear infections, 3 bacteremia, 1 septic arthritis. Seven patients had underlying medical disease. None died of the CA-MRSA infections. Of the 73 isolates of CA-MRSA, 47 (64.4%) were resistant to more than 3 classes of antibiotics besides β-lactams. Conclusion : Although MRSA is highly prevalent among hospital-associated S. aureus infection, CA-MRSA infections are not common.

      • KCI등재

        Pediococcus pentosaceus K1270에 의한 인공치태 형성억제 효과

        최외임,한수지,김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4

        치태형성을 억제하는 유산균 K1270을 김치로부터 분리한 후 배양적, 생화학적 특징 및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Pediococcus pentosaceus K1270으로 동정하였다. K1270 균주는 5% 자당이 함유된 배지에서 Streptococcus mutans Ingbritt에 의한 인공치태 형성을 대조군에 비해 94.6 % 억제하였으며, 비수용성 글루캔의 합성을 89.6 % 억제하였다. S mutans Ingbritt의 증식은 대조군에 비해 100배 정도 억제하였다. K1270균주는 TMB와 peroxidase가 첨가된 MRS 한천배치에서 과산화수소를 생산하였으며, 인공치태 형성에 대한 K1270균주의 억제 효과는 catalase첨가에 의해 일부 감소되었다. K1270 균주의 배양 상청액을 10 % 자당이 함유된 2×M17 broth에 동량 가한 경우 인공치태 형성 및 Streptococcus mutans Ingbritt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이 억제효과는 catalase첨가에 의해 일부 감소되었고, 열처리, 또는 trypsin 처지에 의해 완전히 소실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 동정된 P. pentosaceus K1270은 과산화 수소와 bacteriocin 유사물질을 분비하여 S. mutans Ingbritt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인공치태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Pediococcus pentosaceus K1270 was isolated from naturally fermented kimchi and identified based on the 16S rDNA sequence as well as cultur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his strain strongly inhibited the formation of biofilm by Streptococcus mutans Ingbritt. K1270 also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utans Ingbritt. It was observed that K1270 strain produced hydrogen peroxide on MRS agar supplemented with 3, 3, 5, 5-tetramethlybenzidine (TMB) and peroxidase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K1270 strain on the biofilm formation was reversed by the addition of catalase in part. Culture supernatant of K1270 inhibited the biofilm formation and the multiplication of S. mtans Ingbritt. This inhibitory effect of culture supernatant was decreased slightly by the addition of catalase and abolished by heat or trypsin treatment.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P. pentosaceus K1270 inhibit the biofilm format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the replication of S. mutans Ingbritt by producing hydrogen peroxide and bacterioci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거주 노인에서 한국어판 세계보건기구 장애평가조사표의 개발

        윤진상,김재민,신일선,양수진,정태길,이형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4 신경정신의학 Vol.43 No.1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II (WHODAS II-K) with community dwelling elderly population. Methods : The WHODAS II-K was administered to 1204 community residents aged 65 or over in two areas of Kwangju, South Korea, in 2001. For assessing 'health condition', data on physical illness, depression (Korean version of Geriatric Mental State Schedule B3), and cognitive dysfunction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were collected. For evaluating 'contextual factors', informations on demographic charactehstics (age, gender, living area, marital state, and religiou),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 type of accommodation, number of room, previous occupation, and current employment), and social network were obtained. Results : WHODAS II-K showed high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y, split-half reliability, and inter-rater and test-retest reliabilities. In the correlation analyses, scores on the WHODAS II-K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unfavorable conditions in the all variables on health condition and contextual factors. Partial correlations of scores on the WHODAS II-K with health condition were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contextual factors. Conclusion : The WHODAS II-K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assessing disability in elderly population since it reflects physical illness,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which are common in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