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결절성 황색종과 동반된 제 Ⅲ 형 과지질단백혈증 1예

        김지현,김연진,김현주,조소연,황규광,함정희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2000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3 No.1

        We report a case of type Ⅲ hyperlipoproteinemia associated with tuberous xanthoma, which is improved by treatment with lovastatin and bezafibrate. A 34-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our clinic for evaluation of multiple yellowish-brown papulonodules on the kness, elbows and palms. Serum lipid examination showed an abnormal elevation of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ipoprotein electrophoresis showed a single peak at pre-β and β portion without separation. The biopsh specimen from a nodule on the knee and a papule on the palm revealed characteristic findings of xanthoma. We diagnosed the case as type Ⅲ hyperlipoprotei-nemia. After 3 months of treatment with diet restriction, lovastatin and bezafibrate, the serum levels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reduced to normal level. The skin lesion of the palm showed complete regression and ones on both knees and elbows were moderate improvement.

      • 위암조직에서 Carcinoembryonic Antigen 측정의 의의

        정현용,윤세진,이헌영,김영건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1 충남의대잡지 Vol.18 No.2

        To estimate tumor CEA expression of stomach cancers in relation to normal mucosa CEA, degree of cellular differentiation, pathologic stage and other clinicopathologic findings, we measured CEA concentrations in tissue extracts by radioimmunoassay for 24 cases of stomach canc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anges of tissue CEA concentrations in normal stomach mucosa was from 6.Ong/gm to 15.4 ng/gm(mean 10.2ng/gm). 2. Mean conceatrations of cancer tissue CEA was 42.1ng/gm(from 2.9 ng/gm to 414.Ong/gm), 4 times higher than normal mucosa. In 46% of stomach cancers, tissue CEA concentrations was above normal cut off value(18.7ng/gm). 3. Tiuse CEA concentrations of stomach cancer was significantly high as high CEA levels of normal mucosa(r=0.6954), not related to serum CEA concentrations. 4. Tissue CEA concentrations of stomach cancer was high as high TNM stage, but was not related to wall invasion depth, lymph node metastasis, cellular differentiation and other clinicopathologic findings. In conclusion, the production of CEA in stomach cancer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half cases, CEA expression of tumor was related to pathologic stage rather than cellular differentiation. The factors determined CEA production was considered more higher levels such as DNA profile. To estimate prognostic values of tissue CEA concentrations, follow up of included patients and further study should be pursued.

      • Inconel 718의 고온선삭가공에서 세라믹 공구의 노치 마모 특성에 관한 연구

        김진남,이정윤,최규헌 三陟大學校 産業科學技術硏究所 1998 産業科學技術硏究論文集 Vol.3 No.-

        Plasma hot machining for Inconell 718 has performed to improve the depth of cut notch wear of ceramic tools(SiC whisker reinforced alumina). In this study, wear characteristic of ceramic tools under plasma hot machining were examined,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machining of Inconel 718. The depth of cut notch wear of ceramic tool was significantly reduced under plasma hot machining test.

      • KCI등재

        함치성 낭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특성

        박성연,남동우,김영진,김현정,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함치성 낭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특성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Ⅰ, Ⅱ, Ⅲ군으로 나누었으며 첫 번째 Ⅰ군은 함치성 낭에 이환된 부위가 유치 하방의 계승 영구치인 군이며, Ⅱ군는 이환부위가 영구 대구치 부위인 군이며, Ⅲ군은 이환부위가 상악 전치부의 과잉치인 경우로 나누었다. 저자는 Ⅰ군의 49증례와 Ⅱ군의 36증례, Ⅲ군의 15증례들에 대하여 이들의 병록자와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 기초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적 특성은 비교,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유치 하방의 영구 계승치를 포함하는 Ⅰ군의 49증례로 가장 많았고, Ⅱ군과 Ⅲ군이 각각 36증례, 15증례였다. 2. 함치성 낭은 전체적으로 10대에 가장 호발하였으며, 계승치군인 Ⅰ군에서는 10대 이전과 초반에 87.8%, 대구치 군과 과잉치 군인 Ⅱ군과 Ⅲ군에서는 이보다 늦은 시기에 호발하였다. 3. 남자가 여자보다 2,5배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4. 환자의 내원 동기는 종창이 50%로 가장 많았고, 정기 검진(32%), 동통(9%) 순이었다. 5. 낭의 유형은 Ⅰ군에서 lateral type이 71.4%로 많았고, Ⅱ군과 Ⅲ군에서는 central type이 각각 94.4%, 100%로 많았다. 6. 병소의 크기는 Ⅰ군에서는 2치관 크기가, Ⅱ군에서는 1치관 크기가, Ⅲ군에서는 4치관 크기 이상이 많았다. 7. 이환된 치아의 대부분은 변위를 보였고, 변위된 치아의 일부에서 치근 발육이 지연되거나 치근 만곡 경향을 보였다. 8. 낭의 성장에 의한 치조골 반응은 Ⅰ근에서는 협측골 팽창(67.3%)이 많았고, Ⅱ군에서는 골팽창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66.7%)가 많았으며, Ⅲ군에서는 구개측 골팽창(60.0%)이 많았다. 9. 낭에 포함되는 치아로는 하악 제 3대구치가 31%로 가장 많았고 하악 제 2소구치(30%), 상악 전치부 과잉치(15%), 상악 견치(8%), 하악 제 1소구치(5%) 순이었다. 10. Ⅰ군에선 추정되는 낭의 발생 원인으로는 치수절단술을 받은 유치가 59.2%로 가장 많았고 이외에 심한 우식 및 치료받지 않은 외상 병력 등 기타 가능한 원인들이 있었다. 11. 함치성 낭의 치료법으로는 Ⅰ군의 경우 61.2%에서 조대술이 시행되었고, Ⅱ군과 Ⅲ군의 경우 61.1%, 80.0%에서 적출술이 시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 o discriminate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among the three groups of dentigerous cysts studied. First, Group I , involved area of dentigerous cyst was successive permanent tooth area beneath deciduous tooth. Second. Group Ⅱ, involved permanent molar area, and the last. Group Ⅲ, involved maxillary anterior supernumerary tooth area. The author observed and compared the clinico-radiographic features of 49 cases of Group I , 36 cases of Group Ⅱ. and 15 cases of Group Ⅲ of dentigerous cyst and this observation and comparison had been done by based on the charts and panoramic film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ases of Group 1 mere 29 cases and, those of Group Ⅱ were 36 and those of Group Ⅲ were 15. 2. The incidence of dentigerous cyst is high in first decade. In Group I, before first decade and early first decade was 87.8%. in Group Ⅱ and Group Ⅲ, was discovered more lately. 3. The frequency of dentigerous cyst is 2.5 times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4. The sequence of chief complaint was swelling(50%), routine examination(32%). and pain(9%). 5. When considering the type of the cyst. lateral type is many most in Group I (71.4%) and central type is many most in Group Ⅱ(94.4%) and Group Ⅲ(100%) 6. The most size of dentigerous cyst was 2 crown size in Group I, 1 crown size in Group Ⅱ, above of 4 crown size in Group Ⅲ. 7. Almost involved teeth showed displacement and some tooth of displaced teeth showed delayed root development and dilaceration of root. 8. The most many response of alveolar bone was buccal bone expansion in Group I (67.3%). no bone expansion in Group Ⅱ(66.7%) and palatal bone expansion in Group Ⅲ (60.0%). 9. The percentage of involved teeth were as follows : The mandibular third molar was 31% and many most.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was 30%. Mesiodens of maxillary anterior area was 15%. The maxillary canine was 8%.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was 5%. 10. In the Group I, causes suggesting of dentigeous cyst are pulpotomized deciduous tooth(59.2%). severe dental caries of deciduous tooth, untreated traumatic history on the deciduous tooth etc. 11. The treatment method of dentigerous was marsupialization in 61.2% of cases of Group I and that was enucleation in 61.1% of cases of Group Ⅱ and in 80.0% of cases of Group Ⅲ.

      • 구개부 소타액선에 발생한 호산성 과립세포종

        박현진,김경원,조용석,이경호,강지연,최희원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2 忠北醫大學術誌 Vol.12 No.2

        호산성 과립세포는 타액선을 포함하여 갑상선, 부갑상선 등 주로 선조직에서 발견되는 커다란 과립상의 호산성 상피세포를 말한다. 호산성 과립세포종은 모든 타액선 종양중 약 1.5%의 비율로 발생하는 비교적 드문 양성 종양이며, 주로 노년의 이하선에서 발생하고 악하선과 소타액선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임상적으로 크기는 약 3-4 ㎝이며 잘 분화된 낭으로 싸여있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광학현미경상 호산성 과립세포로 채워진 세포질이 관찰되며 전자현미경상 과립을 함유한 다량의 비대된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된다. 호산성 과립세포종은 본질적으로는 양성 종양이며 치료를 위하여 완전한 절제가 추천된다. 국소적인 재발은 드물며 다발성인 경우에는 재발하기도 한다. 증례는 38세의 남자 환자로서 구개부의 소타액선에 발생한 약 2.0×2.5 ㎝ 크기의 무통성의 종괴로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조직병리 검사상 호산성 과립세포종으로 진단되었으며, 수술 후 특별한 합병증 없이 치유되었다. 저자들은 구개부의 소타액선에서는 아주 드물게 발생하는 호산성 과립세포종에 대하여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하고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Oncocytes are large, granular, eosinophilic epithelial cells mainly found in many glandular tissue including salivary glands, the thyroid, parathyroid, pituitary, adrenal gland, testicle, fallopian tube, liver and stomach etc. Oncocytoma, which originate from oncocytes are uncommon benign neoplasm that present approximately 1.5% of all salivary gland tumors. They typically occur in parotid gland of elderly patients and rarely in submandibular gland or minor salivary gland. On gross examination, they are usually 3 to 4 ㎝ is size and possess a well-defined capsule. Histologically oncocytoma peculiarly consisted of oncocyte which has cytoplasm, filled with eosinophilic granules on light microscopy and a large number of enlarged and morphologically altered mitochondria by electron microscopy. Oncocytomas are essentially benign tumors and complete excision is recommended. Local recurrence is extremely rare, but when it occurs, it may be multifocal. We report a case of oncocytoma raised from minor salivary gland of palate in 38 years old male patient with literature.

      • 상태천이회로의 최소 소비전력화를 위한 상태할당에 대해서

        권용진,이윤현 한국항공대학교 1995 論文集 Vol.33 No.-

        CMOS 동기식 상태천이회로의 각 상태에 대한 상태 코드 할당이 유일하게 정하여 지지 않는 점에 착안하여, 천이가 발생하는 모든 상태사이에 Hamming거리가 1인 상태 코드를 할당하는 상태 할당 수법을 제한한다. 이 방법은 상태간의 천이에 발생하는 부하용량의 충방전에 의한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는 상태 할당을 제공한다. 어를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예를 통해서 본 방법의 유효성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제안되는 상태 할당의 기준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 부분에 본 논문의 결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논의한다. A method of state assignment for CMOS synchronous finite state machines is described, which is effective for minimizing power dissipation in flip-flops. The method is based on a model that power dissipation in flip-flops is assumed to be proportional to average frequency of flip-flops' output states change. The minimum state code assignment obtained in this method is such that the Hamming distance of state codes, for a pair of states with a transition, is one. A minimum algorithm for the state code assignment is described along with examples. Results of this method becomes a criterion of state code assignment for reducing power dissipation of CMOS circuits. Finally, the topics in this paper are overviewed and several future problems are discussed.

      • KCI등재

        석면관련 폐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흉부고해상도전산화단층촬영검사(HRCT)의 유용성

        이현재,손지언,,홍영습,,이영일,예병진,유창훈,정갑열,김상훈,임형준,장은철,김정만,김준연 大韓産業醫學會 2006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8 No.2

        목적: 석면에 노출된 근로자에서 석면관련 폐질환의 양상을 분석하고 진단에 있어 HRCT의 유용성을 연구하여 석면에 대한 의학적 감시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석면에 직접 노출되는 작업자 68명과 간접 노출되는 작업자 94명 등 총 162명에 대해 OSHA 석면 표준, 의학적 감시 프로그램에 따라 단순 흉부방사선검사, 폐활량검사 및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일부 수정한 의학적 설문지를 통해 면접조사의 방식으로 환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면접조사는 1달 이상의 기간을 두고 2차례에 걸쳐 실시된 후 확인, 수정하였다. 또한, 석면관련 폐질환을 확진하기 위하여 HRCT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HRCT결과 석면관련 폐질환의 유병율은 162명의 근로자중 17명으로 10.5%였는데, 직접 노출군에서 10명 (14.7%), 간접 노출군에서 7명 (7.4%)이었다. HRCT와 비교할 때 단순 흉부방사선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70.6%와 98.6%이었고, 양성 예측도와 음성 예측도는 각각 85.7%와 96.6%으로, HRCT는 단순흉부방사선검사에 비해 민감도가 높아 초기 석면관련 폐질환을 진단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석면관련 폐질환의 진단에 있어 HRCT와 폐활량검사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HRCT 결과 석면관련 폐질환의 유무와 의학적 설문조사 결과의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변수는 작업기간, 흡연량, 호흡기질환의 과거력, 기침, 호흡곤란이었다. 결론: HRCT는 석면관련 폐질환의 진단에 있어 단순 흉부방사선검사와 비교하여 민감도가 높아 초기 진단에 유용하므로 단순 흉부방사선선검사 결과 석면관련 폐질환소견을 보일 때뿐만 아니라, 정상소견을 보이더라도 폐활량 검사결과와 근무력, 흡연력, 호흡기질환의 과거력, 기침,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을 참고하여 HRCT검사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관련성이 없었던 요인들에 대해서도 향후 연관성을 규명하는 광범위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medical surveillance program of workers exposed to asbestos by examining the usefulness of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 in the diagnosis of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Methods: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162 workers in a ship-repairing yard, 68 of whom had been directly exposed to asbestos and 94 indirectly exposed. The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dministration (OSHA) asbestos standard, medical surveilance program' and HRC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The OSHA asbestos standard, medical surveilance program consists of simple chest x-ray, spirometry and medical questionnarie. Results: Seventeen (10.5%) of the 162 subjects, 10 (14.7%) directly exposed and 7 (7.4%) indirectly exposed, revealed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on HRCT.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simple chest x-ray for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were 70.6% and 98.6%,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85.7% and 96.6%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HRCT, HRCT was an effective diagnostic tool especially to detect early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The study results indicated a relative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results of spirometry and HRCT. The variabl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on HRCT were work duration, smoking history (pack-years), past history of respiratory disease, cough and dyspnea. Conclusions: In the diagnosis of asbestos-related lung disease, HRCT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for workers with positive findings on simple chest x-ray, but also workers with specific findings on spirometry, occupational history, smoking history, and past history of respiratory disease, or with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cough and dyspn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