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8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54 No.-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terplay of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and mother-adult son's attachment feelings. Other variables related to mother-adult son's attachment were also examined. The data were analized based on the responses of 111 mother-son couples. ANOVA,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bsence of spouse, the economical dependency, the education of mother were found as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to mother's attachment to her son. Mothers who were widows and economically dependent on their sons showed more attachment feelings. 2)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mother's attachment. 3) Child absence, shorter marriage year and higher filial obligation were revealed as significant variables explaining son's attachment feelings toward his mother. 4) Mother's martial relationship, in particular, marital bond and self-disclosure were positively related to son's attachment. 5) Economical dependency and son's attachmen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explain the variance of mother's attachment. On the other hand, filial obligation, mother's self-disclosure, son's marital years and mother's attachment were revealed as significant variables explaining the variance of son's attachment. The result were discussed in term of social-cultural background.
포스트 뮤지엄 : 럭셔리 패션 브랜드를 문화콘텐츠로 향유하는 새로운 관객성 연구 - [레전더리 루이비통 트렁크 展], [구찌 가든 아키타이프: 절대적 전형]을 중심으로 -
박성연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7 No.3
This study is a discussion of the digital media generation spectators who enjoy luxury fashion brand as cultural contents in the ‘post museum’, a space to be newly recognized. Post museum means “museum after museum” and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one’s perspective. In recent years, luxury fashion brands have attracted a great deal of interest due to the fact that their contents, which include each brand's history, identity, and narrative, are highly valued for their economic and cultural significance. Consequently, this study examines luxury fashion brand exhibitions in the age of digital media through the lens of spatiality-based cultural contents in relation to spectatorship. In addition to experiencing the arts, a new generation desires to identify with them. This study examined the spectatorship of <Legendary Louis Vuitton Trunk Exhibition> and <Gucci Garden Archetype: An Absolute Archetype Exhibition> presenting the luxury fashion brands Louis Vuitton and Gucci, respectively, by applying such spectator characteristics. Existing luxury brand-related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dentity of brands and their associated stories or histories, whereas this study focuses on brands as cultural content as well as the attempt at and format of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about their values. Moreover, aspects of the rapidly changing consumer classes are evaluated and considered in light of the alterations in spectatorship. In an era in which the line between the arts and daily life is blurring, it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broaden the cultural content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to view society and humanity by advancing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the diversification of art marketing activities of luxury fashion brands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and to interpret the aspects of spectators who assertively participate in such activities as the emergence of a new spectatorship. 본 연구는 ‘포스트 뮤지엄(post museum)’이라는 새롭게 인식될 공간에서 럭셔리 패션 브랜드를 문화콘텐츠로 향유하는 디지털미디어 세대 관객에 관한 논의이다. 포스트 뮤지엄은 ‘뮤지엄 이후의 뮤지엄’을 뜻하는 것으로 보는 측면에 따라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럭셔리 패션 브랜드는 브랜드별로 역사와 정체성, 그리고 스토리텔링이 있는 콘텐츠로서 최근 들어 경제적이고 문화적인 가치를 높게 평가받으며 주목받고 있는 분야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이 둘의 융합된 형태인 럭셔리 패션 브랜드 전시를 장소성에 기반한 문화콘텐츠의 관점으로 보고 디지털미디어 시대 관객성과 연관하여 고찰한다. 예술의 역사와 함께 진화한 관객들이 이제 예술 공간에서 단순히 관극하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작품에 참여하고 소통하며 생산자의 관점에서 예술을 경험하기를 희구한다. 또한, 경험에 더해 예술을 자신과 동일시하기를 바라는 욕구도 생겨났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관객의 특성을 적용하여 럭셔리 패션 브랜드 루이비통의 <레전더리 루이비통 트렁크 展>과 구찌의 <구찌 가든 아키타이프: 절대적 전형>의 관객성을 연구하였다. 기존의 럭셔리 브랜드 관련 연구가 브랜드 정체성과 그에 관련된 스토리나 역사에 주목하였다면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문화콘텐츠로서의 브랜드와 그 가치에 대하여 소비자와 소통을 하는 시도와 그 방식에 초점을 두었으며 급변한 소비자층의 면모를 관객성의 변화로 파악하고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크게 증대된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다양한 방식의 아트마케팅 활동을 하나의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보고 그러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관객의 양상을 새로운 관객성의 등장으로 해석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공연학적 관점으로 본 소셜로봇 연구 - 인천공항 로봇 “에어스타” 를 중심으로 -
박성연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20 No.4
현대공연예술에서는 예술과 과학을 결합하려는 시도가 높아지며 기존의 전형성을 뛰어넘는 공연들이 각광 받고 있다.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과의 결합뿐만 아니라 로봇이 무대에 등장하는 등 다양한 융·복 합 공연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기존의 로봇은 예술의 영역과는 대척점에 있는 최첨단 과학기술 영역에 속했기에 더욱 주목된다. 그 중에서도 소셜로봇은 인간과 정서적 교감을 하고 소통하는 로봇으로 예술의 주체나 배우로의 진화 가능성을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공공장소에서 활동하며 사람 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소셜로봇에 대한 연극학적 관점의 해석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 국제공항이라는 특수한 장소에서 활동하는 소셜로봇 “에어스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에어스타의 다 양한 행위와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하나의 퍼포먼스로 간주하고 에어스타를 공연의 주체로 바라보며 에어스타와 만나는 공항 이용객들의 모습을 관객의 입장으로 분석했다. 먼저, 소셜로봇의 사회적 기능과 특성에 대해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또한, 관객으로 분류되는 이용자들과의 교감기능을 바탕으로 예술 주체로서의 에어스타를 해석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현대공연예술에서의 일상 성과 관객성을 에어스타와 관련지어 해석하였다. 일상성은 예술과 일상의 경계가 허물어진 상황에서 에 어스타를 공연으로 간주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준다. 관객성은 공항 이용객이 에어스타와 만나고 그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현되는 성격이다. 현대공연예술의 대표적인 두 경향인 일상성과 관객성이 에어스 타와 연결되어 공연학적 관점으로 해석 가능하게 된 것은 바로 에어스타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사람들 과 교감을 맺을 수 있고, 정서적인 지원이 가능한 소셜로봇이기 때문이다. 본고의 연구자는 이러한 논의 가 앞으로 현대공연예술에서 퍼포먼스의 범위를 어떻게 상정해야 할 것 인지에 대해서도 재고하는 기회 가 될 것이라고 본다. 그 결과 현대공연예술의 의미를 확장하고 나아가 진정한 예술과 과학의 융·복합 적 발전의 시발점이 되어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attempts to combine art and science are increasing, and performances beyond the existing typicality are in the spotlight. Not only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but also various convergence performances such as robots appearing on stage are emerging. It is all the more noteworthy because the established robots were part of the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opposite the art. Among robots, social robots are robots that communicate with human emotionally. Therefore, this research paper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in the view of performance studies on social robots that actively communicate with people while working in public places. To this end, this paper focused on “Airstar,” a social robot operating in a special place calle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is paper considered Airstar's various acts and entertainment elements as a form of performance. Also, it viewed Airstar as a main performer, and analyzed the users who meet Airstar as audiences. First of all,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discussed on social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robots. It also interpreted Airstar as the subject of performing arts based on its interaction with users classified as audience. To support this, ‘dailiness’ and ‘audience characteristic’ of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were interpreted in relation to Airstar in this paper. The dailiness provides a basis for considering Airstar as a performance in a situation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daily life have been broken. The dailiness can be explained by Richard Schechner. This paper researcher thinks that these discussions will help predict how the future relationship between Airstar and the audience can move in a more advanced direction. Also,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how the scope of performance should be assumed in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As a result, it expects to expand the meaning of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It will further develop into a new dimension by becoming the starting point for the real convergence of art and science.
한류(韓流)를 활용한 일본 관광객 유치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박성연 일본어문학회 2005 일본어문학 Vol.28 No.-
韓流’というのは中国や日本、台湾、香港、ベトナムなどで若者を中心に韓国の大衆文化に憧れ、ならおうとする文化現状である。1999年から中国や台湾を中心にはやった韓流が日本、香港、ベトナム、タイ、インドネシア、モンゴルまで上陸したのだ。文化のジャンルも初期のドラマと歌謠から映画、ゲーム、衣類、食べ物まで多様になって韓流が文化商品としての役割を果たしている。多くの人々は21世紀には文化産業が国家経済発展に大きく寄当すると予見してきた。韓流は国家イメージをアップグレードさせ、韓国の製品に対する購買意欲を高めるとともに韓国に行ってみたいという気持を高揚させ、海外観光マーケティングにおいてとても効率的な手段になっている。そこで私たちには‘韓流’という自然発生的な文化現象を加速化して引いてはそれを通して観光客留置を拡大させるための戦略的対策の購求が要求されている。日本での韓流熱風はドラマ‘冬のソナタ’によって最高潮に達している。このようなせっかくの機会を最大にいかすためには持続的な‘韓流コンテンツ’の開発が重要なポイントである。即ち、多様で優秀な文化コンテンツを研究し、高付加価値観光商品を開発して現地の韓流熱風を持続、拡散させ、‘韓流効果’の極大化に努力するべきである。従って、本研究は日本においての韓流の現状的な実態を総合的考察し、そのブームを持続的に活用して日本観光客留置を拡大させるということにその目的がある。
건축계획적 측면의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에 관한 거주후평가
박성연,박영기,류종혁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3 No.9
In the point that residential environment has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 of the dwellers, Post-Occupancy Evaluation research provides invaluable data for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esign. Although, not much POE researches on residents of high-rise condominiums have been performed compared to those of ordinary condominiums because of their relatively exclusive character. On this study, based on basic theory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roceeding researches on characteristics and architectural planning factors of high-rise residence, new 13 evaluation categories were develop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designed from this new frame,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of 114 residents of two high-rise residential complex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 can be served as grounding for understanding residential characteristics for future planning of high-rise residential compl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