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아 비만아의 사춘기 이후까지 장기간 추적 관찰

        조성종,김은영,노영일,양은석,박영봉,문경래,이철,Cho, Sung-Jong,Kim, Eun-Young,Rho, Young-Il,Yang, Eun-Suk,Park, Young-Bong,Moon, Kyung-Rye,Lee, Chul-Gab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3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6 No.1

        목 적: 소아 비만의 관리에 도움이 되는 평가자료를 삼고자 성장이 완료되는 사춘기 이후까지 비만아의 변화 상태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방 법: 1992년에 7세였던 아동들 중 13세(1998년)와 17세(2002년)에 추적이 가능하였던 학생 1559명(남아 753명, 여아 806명)을 대상으로 체중과 신장을 측정하여 비만도를 계산하였다. 비만도는 1998년 대한소아과학회에서 측정한 한국 소아의 신장별 체중의 50백분위수를 표준 체중으로 하여 비만도를 계산하였다. 결 과: 1) 7세 때 비만의 유병률은 3.1%였고 13세 때 7.1%, 17세 때 13.0%로 증가하였다(p<0.05). 2) 남아에서 7세 비만아 중 66.6%가 17세에도 비만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아에서는 68.4%가 17세에도 비만을 유지하고 있었다. 3) 비만아에서 비만율의 변화를 보면 남아에서 는 7세 때 경도 비만 60%, 중등도 비만 37.7%, 중증 비만 2.3%였고, 17세 때는 각각 50%, 41.1%, 8.9%였다. 여아 비만아에서는 7세 때 경도 비만은 73.7%, 중등도 비만은 21.1%, 중증 비만은 5.2%였고, 17세 때에는 각각 66.7%, 30%, 3.3%였다. 4) 성별에 따른 비만의 발생율은 7세 때 정상이었던 남아들 중에서는 12.7%가 17세 때 비만이 발생하였고, 여아 중에서는 9.8%가 17세 때 비만이 발생하였다(p>0.05). 결 론: 소아 비만아의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사춘기 이후에도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고, 남아에서 여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비만한 남아에서는 여아와 달리 연령이 증가할수록 고도비만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경도와 중등도의 비만한 남아들이 중등도 비만이나 고도 비만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여아에 비해 많았다. 따라서 소아 비만아에서 학동기 뿐만 아니라 사춘기에도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치료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studied the prevalence and long-term trend of childhood obesity after puberty to help in managing and treating obesity. Methods: We surveyed obesity index of children at age 13 and 17 who was diagnosed as obesity at their age 7. 1,559 students consisting of 753 boys and 806 girls had followed up since 1992 until 2002. Obesity was defined as the obesity index over 20 percent. Results: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3.1% at age 7, 7.1% at age 13 and 13.0% at age 17, which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getting older in age in both sex. Among obese children at age 7, 67.5 percent remained obese at age 17. 66.6% of the obese boys at age 7 and 68.4% of the obese girls at age 7 remained obese at age 17. The proportion of severe obesity in obese boys was increased as they were old, but not in obese girls. The progression to moderate and severe obesity at age 17 was prominent for obese boys at age 7, compared to the obese girls. 12.7% of normal weight boys at age 7 and 9.8% of normal weight girls at age 7 became obese at age 17. Conclusion: We think that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during puberty is as important as those in the childhood.

      • KCI등재후보

        식욕부진이 있는 4세 이하 영.유아의 식이 습관에 대한 조사

        윤영훈,박영봉,양은석,노영일,김은영,문경래,이철,Yoon, Young-Hun,Park, Yeung-Bong,Yang, Eun-Seok,Rho, Young-Ill,Kim, Eun-Young,Moon, Kyung-Rye,Lee, Chul-Gab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3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6 No.2

        목 적: 성장 장애의 비기질적 원인인 식욕부진의 원인으로 부적절한 양육, 부적절한 칼로리의 섭취, 부적절한 식이 습관 등 환경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영양 지도 및 평가의 기초 자료로 삼고자 성장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식욕 부진이 있는 4세 이하의 영 유아에서의 식이 습관을 조사하였다. 방 법: 2002년 5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조선대학교 부속병원과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4개의 개인 병원을 방문한 504명의 아이들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방법은 본 교실에서 제작한 설문지를 보호자가 기재하도록 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식욕 부진이 있는 아이 138명과 식욕 부진이 없는 아이 366명의 체중 증가의 정도, 신생아 시기의 수유 방법과 수유량, 수유시기,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과 시기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대상아 중 식욕부진이 있는 아이는 138명(27.4%)이었고, 식욕 부진이 없는 아이는 366명(72.6%)이었다. 식욕 부진이 있는 아이 중에서 남아는 전체의 14.7%이었고, 여아는 12.7%이었으며, 식욕부진이 없는 경우는 남아가 전체의 39.1%이었고, 여아는 33.5%이었다. 2) 식욕부진이 있는 아이의 체중 분포는 3 백분위수 미만이 8.7%, 3~10 백분위수가 15.9%, 10~25 백분위수가 20.3%, 25~50 백분위수가 23.3%, 50~75 백분위수가 18.8%, 75~90 백분위수가 5.8%, 90~97 백분위수 5.1%, 97 백분위수 이상이 2.2%이었다. 3) 모유수유율은 식욕 부진이 있는 아이는 18.8%, 식욕 부진이 없는 아이는 20.3%이다. 4) 6개월 이내의 짧은 모유수유기간은 식욕 부진이 있는 아이는 70.5%, 식욕 부진이 없는 아이는 58.5%이다. 5) 이유식의 시작 시기는 식욕 부진이 있는 아이의 경우에 2~4개월 때 15.9%, 4~6개월 때 32.7%, 6~8개월 때 38.1%, 1세 이상일 때가 18.8%로 식욕 부진이 없는 아이의 경우 2~4개월 때의 5.6%와 비교하면 이유식을 4개월 이전에 너무 빨리 시작한 경우가 15.9%로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6)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은 식욕 부진이 있는 경우는 80.4%에서 식욕 부진이 없는 경우도 66.6%에서 젖병을 이용하는 잘못된 이유 방법을 하고 있었다. 7) 식사시에 항상 다른 일을 하는 경우는 식욕 부진이 있는 경우는 17.3%, 식욕 부진이 없는 경우는 10.7%이었으며, 항상 식사에만 집중하는 경우는 식욕 부진이 있는 경우는 2%, 식욕 부진이 없는 경우는 12.7%이었다. 8) 식욕 부진으로 상담을 받았던 곳은 한방병원 68%, 소아과 20%, 내과 3%, 약국이 8% 순이었다. 9) 식욕 부진으로 복용한 약물의 종류는 한약이 77%, 영양제가 15%, 비타민제제는 8% 순이었다. 결 론: 영 유아의 식욕부진은 낮은 모유 수유율과 짧은 기간, 잘못된 이유 시기 및 방법, 식사시의 집중도, 편식의 정도와 관련이 있다. 또한 식욕 부진아의 대부분이 소아과의원 이외의 다른 기관에서 진료하고 있어 적극적인 대응책 강구와 올바른 영 유아의 영양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between poor feeding and non-poor feeding children. Methods: We performed questionnaires on 504 children under four years of age who visited hospitals in Gwangju city and JaollaNamdo from May to August, 2002. Results: 138 (27.4%) children were included in poor feeding group, and 366 (72.%) children were in non-poor feeding group. Breast feeding rate was 18.8% in the poor feeding group and 20.3% in the non-poor feeding group. Duration of breast feeding for less than six months were noted in 70.5% of poor feeding group, and 58.5% of non-poor feeding group. The time at starting solid food in the poor feeding group was as follows; 15.9% of infants started on solid food when they were 2~4 months old, 32.7% during 4~6 months, 38.1% during 6~8 months and 18.8% over one year of age. Solid food was given in wrongly manners in both groups by nursing bottles, including 80.4% in poor feeding group and 66.6% in non-poor feeding group.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close relationships among poor feeding children under four years of age with history of low rate and short duration of breast feeding, inappropriate time to start on solid food, less interest in food during mealtime, and unbalanced diet. Pediatricians should make an effor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nutritional education and treatment in children.

      • SCOPUSKCI등재

        학동기 아동에서 코골이의 유병률과 관련인자

        조성종,김은영,노영일,양은석,박영봉,문경래,이철,Cho, Sung Jong,Kim, Eun Young,Rho, Young Il,Yang, Eun Suk,Park, Young Bong,Moon, Kyung-Rye,Lee, Chul-Gab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1

        목 적 : 코골음은 소아에서 흔히 보이는 증상 중 하나로, 일부에선 주간의 과다졸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야뇨증, 두통 등의 행동장애와 수면 시간 감소와 수면 중 잦은 깸 등의 수면장애를 일으키고 심한 경우엔 수면 무호흡 증후군을 동반하기도 한다. 수면 무호흡의 고위험 인자로 비만이나 코골음의 가족력 그리고 동반질환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이용하여 코골음의 유병율, 유발인자, 동반되는 수면장애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소아에서 수면 장애를 대처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1년 7월 광주광역시에 소재 2개 초등학교 학생 1,707명(남학생 816명, 여학생 89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분하여 부모님의 지도하에 무기명으로 기입하도록 하여 최근 6개월 이내의 코골음의 발생 빈도 그리고 코골음으로 인해 수면시간 감소, 잠꼬대, 낮잠, 졸음 및 학교 성적 저하 등의 수면장애로 인한 결과들과 비만이나 여러 질환 등의 유발인자와 코골음과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결 과 : 1) 전체 대상 아동 29.0%에서 최근 6개월 이내에 코골음을 경험하였고 15.6%에서는 1주일에 1회 이상씩 자주 경험하였고 거의 매일 코를 고는 아이들은 4.3%이었다. 코골음군에서는 남녀 각각 19.5%, 12.0%로 남아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연령의 차이는 없었다. 2) 두 군 모두 저녁에 잠자는 시간은 8-10시간이 가장 많았고, 코를 자주 고는 군에서 8시간 미만으로 자는 경우와 수면 중 잠꼬대를 하는 경우가 의의있게 많았으며, 주간에 과다하게 졸음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으나 낮잠, 야뇨증, 학교 성적 저하, 피로감, 아침에 일어나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 등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3) 코를 자주 고는 군에서는 남아인 경우, 편도 비대,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부비동염, 비만 등이 의의있게 많았고, 의의있는 관련 요인들 중에서 남아인 경우, 편도 비대, 비만, 부비동염 등이 의의있는 위험요인이었다. 특히, 비만인 경우는 고도 비만일수록 코골음과의 연관성은 증가하였다. 결 론 : 1주일에 1회 이상 자주 코를 고는 아이들의 유병율은 15.6%이었고 코골음으로 인해 수면시간의 감소, 수면 중 잠꼬대, 주간의 심한 졸음 등 수면장애로 인한 증상들이 의의있게 많았다. 유발인자들 중에서 편도 비대, 비만, 기관지 천식, 부비동염의 병력이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학동기 아동에서 적극적인 체중 조절과 호흡기 및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로 코골음의 발생을 줄여 수면장애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We studied the prevalence of snoring and its association with diseases, obe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sleep disturbance arising from snoring, in school-aged children. Methods : The survey was performed by a special questionnaire on 1,707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s from 1 to 30 July 2001 in Gwangju City. The prevalence of snoring, associated factors, and sleep disturbance were evaluated. Results : 266(16.5%) of the children snored at least once a week. 73(4.3%) of the children snored almost every day. Regarding the associated factors of snoring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noring and nonsnoring groups due to gender, obesity, sinusitis, tonsillar hypertrophy, bronchial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Of them, male gender, tonsillar hypertrophy, and obesity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snoring. Especially, the odds ratio increased to 1.048(CI, 1.004-1.659), 1.748(CI, 1.175-2.599), and 2.266(CI, 1.300-3.950) in children with an obesity index of 20-29%, 30-49%, ${\geq}50%$,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of snoring with decreased sleep duration, sleep talking, and drowsiness during the day as a result of sleep disturbance. Conclusion : 16.5% of school-aged children snored at least once a week. The association of snoring with tonsillar hypertrophy, obesity and gender as risk factors was demonstrated in this study.

      • 전립샘비대증 환자에서 전립샘용적와 발기부전과의 관계

        김민석(Min Seok Kim),조원진(Won Jin Cho),임동훈(Dong Hoon Lim),김철성(Chul-Sung Kim),이철갑(Chul-Gab Lee),노준(Joon Rho) 조선대학교 의학연구원 2020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45 No.2

        Common symptoms of aging include degradation of male sexual function and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associated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There is no systematic report that prostatic hyperplasia causes sexual dysfunction. In addition, since both prostatic hyperplasia and erectile dysfunction are related to age, it is difficult to directly link prostate hyperplasia and erectile dysfun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tate volum and erectile dysfunction due to prostate hyperplasia is controversial, but the exact mechanism of integration is still being considered. Age and age-adjusted LUTS severity are decreasing factors of erectile function. With BPH therapy, increase of urinary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are well-known, but there are controversies over the sexual function according to the treatment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prostate volume and erectil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symptoms of urinary tract depression caused by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50 subjects with BPH, and before initiating BPH treatment that may affect erectile function, quantification of erectile function is conducted in 5 questions to all respondents using the 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 (IIEF-5).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rostate volume and IIEF-5 score was -0.039 (p-value-0.784). Therefore, as the volume of the prostate increases, erectile dysfunction is not related to evil. The results of IIEF-5 appear to be unregulated in the case of the prostate volume or the rate of increase in the prostate volume, and there is no change in the IIEF score.

      • KCI우수등재

        텅스텐 선으로 만든 porous plug의 conductance

        임재영(Jae-Young Leem),정광화(Kwang-Hwa Chung),박재홍(Jae-Hong Park),홍승수(Seung-Soo Hong),신용현(Yong-Hyun Shin),이철로(Chul-Rho Lee) 한국진공학회(ASCT) 1992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 No.1

        작은 구멍속에 텅스텐 선을 넣어 만든 porous plug의 conductances를 이론적으로 계산하고, 실험적인 값과 비교하여 기하학적 인자 K를 구현하였다. K값은 텅스텐 선을 넣지 않았을 경우 0.91-1.00, 3개의 텅스텐 선을 넣었을 경우 0.77-0.78, 4개의 텅스텐 선을 넣었을 경우 0.85-0.88이었다. 한편 제작된 porous plug를 가지고 대기중에 노출시킨 시간에 따른 conductance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0.4%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였다. The conductances of the porous plugs, which are made by inserting tungsten wires into small holes, a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values measured by experiment. For the porous plug with no wire, the ratio K of C_(exp) and C_(theo) is in the range 0.91-1.00, and in the range 0.77-0.78 and 0.85-0.88 for plugs with three and four wires, respectively. The variations in conductances as a function of exposure time to the air were measured and in no case have variations of more than +0.4 per cent been observ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초등학교 아동들의 비만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년 추적조사 연구 2 Years Follow-up Study

        류소연,박종,이철,박상기,배화연,안현옥,박영봉,문경래,양은석,노영일 대한비만학회 1998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7 No.2

        This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associated factors of obesity in primary school children in Kwangju. We studied obesity incidence over 2 years among 4th grade primary school children, In 1994, base line study about 1,344 children of 4th grade was performed and in 2 years later, we reinvestigated health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 about several variables in 922. The 797 children included in the analysis had non-obese(normal and overweight) at baseline in 1994. This results were as follows; l. In 2 years later, 3.5% of normal and 15% of overweight children were to the obese. 2. The body mass index and obesity in one or both parents, sex, overweight at baseline, regular exercise and meat prefer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simple analysis. 3.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dds ratios associated with obesity were 0.41 (95% CI: 0.20-0.82) for female, 0.48(95% CI: 0.25-0.92) for doing regular exercise, 4,95(95% CI: 2.55-9.59) for overweight at baseline, and 3.22(95% CI: 1.11-9.34) for obesity in both parents. In conclusion, obesity incidence in primary school children was associated with physical characteristics, genetic factors and social factors like a life style. It is suggested that obesity management and appropriate regular exercise in family unit should be required to prevent obesity in children.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장기투여연구)

        이민수,김용구,강병조,김광수,김영훈,김희철,나철,노승호,백인호,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종범,이철,전태연,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서광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1

        연구목적 : 정신분열병의 환자에서 리스페리돈의 장기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해 다기관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DSM-Ⅳ 진단기준에 의거하여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환자중 리스페리돈 장기투여에 동의한 환자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 시험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해 PANSS, ESRS에 대한 표준화 작업으로 평가기간 신뢰도를 높였다. 1주일간의 약물배설기간후 리스페리돈을 56주간 투여하였으며, 기준점, 8주후, 16주후, 24주후, 32주후, 40주후, 48주후 56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 1일에는 리스페리돈 1㎎씩 1일 2회, 제 2일에는 2㎎씩 2회, 제 3-7일에는 3㎎씩 1일 2회 투여하였고, 이후 환자의 임상 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하였으며, 최대 일일 16㎎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임상증상과 부작용은 PANSS, ESRS, CGI로 평가되었다. 결 과 : 116명중 87명(75%)이 56주의 장기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종결시점인 56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환자는 87명중 80명(92.0%)이었다. PANSS 총점수는 기준점, 투여 8주후, 16주후, 24주후, 32주후, 48주후에서 각각의 시점사이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ANSS 양성증상, 음성증상, 일반정신병리점수에서 8주후, 16주후, 24주후, 48주후 각각의 시점사이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ESRS에서 연구기간동안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활력징후, 일반혈액학, 생화학, 심전도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체중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 론 : 다기관 개방연구를 통해 정신분열증 환자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장기투여는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에도 효과적이며, 추세외로 부작용이 적었고, 안전하였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 This multicenter open label study included 116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orm 1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56 weeks and evaluated at 8 points : at baseline, and the 8th, 16th, 24th, 32th, 40th, 48th, 52th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started at 2㎎ of risperidone on day 1, and increased to 4㎎ on day 2, and 6㎎ on day 3 - 7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day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clinical response.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Eighty-seven(75%) of 116 patients completed the 56-week trial risperidone. Clinical improvement(as defined by a 20% of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92.0% of the patients. The mean dose of risperidone was 5.0㎎/day in the 56 week follow-up. PANSS total scores showed significantly improvements between consecutive two points at baseline, 8th, 16th, 24th, 32th, and 48th week of treatment. CGI score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between consecutive two points at baseline, 8th, 16th, 24th, and 48th weeks of treatment. There PANSS factors(positive, negative, general)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the 8th week of treatment, and, after then, remained improved in the rest of the study period. ESRS showed to no significant change the 56 week trial. Laboratory parameters showed no signifiant changes during the course of treatment. Conclusion : This multicenter long-term open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a antipsychotic drug with long term efficacy safely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c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