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친환경 공정에 의한 다공성 고분자의 제조

        강세란,홍성수,이민규,이석희,천재기,주창식 한국환경과학회 2004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3 No.3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eparation of monolithic porous polymers by environmentally friend proces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has been carried out. Polymerization mixture composed of a cross-linking monomer, initiator and functional co-polymer was charged in the reactor with sapphire window. After the system was purged with a flow of CO₂ for 15 min, the reactor was pressurized with liquid CO₂ up to 100 bars. The reactor was isolated from and placed back to the system via quick connector for shaking until the mixture had become fully homogeneous. The reactor was then heated and pressurized to the required reaction conditions and left overnight. After cooling and CO₂ evacuation, the polymer was removed from the reactor as dry, white, continuous monoliths. The effect of experimental condition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rous polymer was systematically 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monomer content had a major effec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s.

      • SCOPUSKCI등재
      • 위의 유암종과 선종의 병발 1례

        장재식,강혁주,이중현,서영범,윤병구,김용섭,이구,서정일,양창헌,이창우,김정란,윤환중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0 東國醫學 Vol.7 No.-

        유암종은 전신에 퍼져 잇는 장크롬친화성 세포에서 기원하는데 위의 유암종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모든 유암종의 1.9~2.2%에 해당하며 위에 발생하는 종양의 1% 미만에서 보고되고 있다. 유암종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면역조직화학검사에 의해서 진단되기 때문에 과거에는 드물게 발견되었으나 최근 내시경 기기 및 술기의 발전과 검사 빈도의 증가 및 면역조직화학검사의 발달로 진단율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드물지만 유암종에서 선암과 공존하는 예들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심와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70세 남자 환자의 상부위장관내시경 검사에서 위체상부의 대만곡에서 0.4×0.4 cm 크기의 중간 함몰을 가진 Yamada 1형의 용종과 함께 전정부의 전벽에서 0.8×0.5 cm 크기의 융기된 점막 소견을 보여 조직학적으로 각각 위유암종 및 위선종임을 확진한 후 내시경적 용종 절제술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arcinoid tumors are arisen from enterochromaffin cells, which are scattered throughout the body. These tumors are composed of variable numbers of cells that contain endocrine granules in their cytoplasm, which can be identifi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electron microscopy. Gastric carcinoid tumors are relatively rare tumor, the reported incidence being 1.9~2.2% of all carcinoid tumors and less than 1% of all gastric tumors. Sometimes, composite carcinoid tumors and adenocarcinoma is reported. We experienced a case of the coincidence of carcinoid tumor and adenoma at the other site of the stomach in a 70 year old male patient. Gastrofiberscope showed 0.4×0.4 cm sized Yamada type I polyp with central depression on the greater curvature of the proximal body and 0.8×0.5 cm sized focal slightly elevated mucosa on the anterior wall of the antrum. The endoscopic biopsy specimens revealed carcinoid tumor and tubular adenoma with moderate atypism, respectively. The carcinoid tumor and adenoma were removed by endoscopic polypectomy. According to the follow-up gastrofiberoscopy after 7 month later, both lesions were nearly normal mucosa except whitish atrophic change after polypectomy.

      • 국내 3개병원에서 분리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균주간의 유전학적 연관성

        백경란,김성민,송재훈,이혁,양지원,진정화,최강원,오명돈,배현주 대한감염학회 1997 감염 Vol.29 No.6

        목적:본 연구는 병원감염의 주된 원인균인 MRSA의 병원 내 및 병원간의 전파양상을 파악하고, MRSA 균주 중 pathogen과 colonizer 간에 유전자형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삼성의료원 중환자실에 1996년 1월에서 7월까지 입원한 26명의 환자로부터 분리되었던 MRSA 30균주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1995년 9월에서 10월까지 37명의 환자로부터 분리되었던 MRSA 37균주, 그리고 단국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MRSA 감염증의 돌발적 발생에 연관되어 분리된 MRSA 균주 40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균주간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한 세균형별법으로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PFGE, CHEF DR-II)를 이용하였고, 제한효소로 Smal I을 사용하였다. 결과:삼성의료원의 균주 30주 중 A 패턴이 10주(33.3%), B 패턴이 7주(23.3%)로 나타나, 주된 유행 균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내과 중환자실에서 분리된 5 균주 중 4 주가 A패턴인 반면,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분리된 9균주 중 4주가 B패턴에 속하여, 한병원내에서도 구역에 따라 유행균주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서울대학교병원 균주 중 23주(62.2%)가 동일한 A패턴으로 나타났고 단국대학교 병원 균쥬 중 27 균주(67.5%)가 B 패턴에 속하여, 세 병원의 MRSA 유행 균주 사이에 유전적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Pahtogen과 colonizer간에 PFGE 패턴의 차이는, pathogen이 colonizer에 비해 유행균주에 많이 속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PFGE를 이용한 세균형별법으로 분류한 MRSA 균주의 양상으로 볼 때, 한 병원 내에서 유행하는 MRSA 균주에는 소수의 주된 클론이 있었으며, 한 병원 내에서도 구역에 따라 유행균주는 서로 달랐다.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는 서울대학교병원과 단국대학교병원의 MRSA 유행균주는 삼성의료원의 유행균주 중 한 클론과 각각 일치하였다. 이 결과는 유행 MRSA 균주가 공동의 오염원에서 파급되어 지역적으로 다른 병원간에도 전파되고 있거나, 균주가 숙주의 요인에 의해 특정 MRSA 균주가 선택 분리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Backgrou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has become a major pathogen of nosocomial infection. In Korea, incidence of MRSA is alarmingly high up to 70-80% of total S. aureus strains isolated from teriary care hospital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inra- and interhospital spread of MRSA, we evaluated the genetic relatedness of MRSA isolates recovered from 3 different hospitals in Korea. Methods:30 MRSA isolates obtained from Samsung Medical Center(SMC), 37 MRSA isolate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NUH) and 40 MRSA isolates from Dankook University Hospital(DUH) were classified into clonal types on the basis of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PFGE). Results: Several PFGE patterns were predominant among the isolates from SMC(A-7/30[23.3%], B-6/30[20.0%], C-4/30[13.3%], G-3/30[10.0%]). The prevalent PFGE patterns were different between medical ICU(A-3/5[60.0%]) and newborn ICU(B-4/9[44.4%]0. The major clone of SMC. The major clone at DUH was PFGE type B, which was identical with another dominant clone of SMC. Although MRSA strains from SMC which caused clinical diseases belonged to major PFGE patterns more often than colonized strains, the association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Conclusion: The presence of epidemic strains of MRSA suggests that epidemic MRSA clones may be originated from common sources and spread between different hospitals. Also, there may be virulence factors of stains or host factors, which could select specific strains.

      • 7개 대학 병원에서 조사한 지역사회 폐렴의 원인균

        정문현,김성민,강문원,최희정,정희진,이경원,한성우,송재훈,신형식,김의종,최강원,김민자,박승철,배현주,정윤섭,김준명,백경란,신완식,이규만,김양리 대한감염학회 1997 감염 Vol.29 No.5

        목 적 : 폐렴은 많이 발생하면서 사망률이 크게 줄지 않는 질환이며, 이를 적절히 치료하기 위해서는 원인균의 상대적 빈도, 기저 질환에 따른 변화, 항균제 내성률, 사망에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야 한다. 원인균의 빈도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고 국내에서는 항균제 내성률이 높아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폐렴을 치료하기 위한 경험적 항균제 선택에 도움이 되기 위해 서울 소재 6개 대학 병원과 천안의 1개 대학 병원이 참여하여 위의 사항들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방 법 : 1995년에 내과에 입원했던 16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퇴원 진단명이 폐렴 또는 폐결핵인 병록지을 찾았고, 이중에서 병원 감염을 제외하였다. 특이도를 높이기 위해, 이들 중에서 호흡기 증상이 있고 발열이나 저체온이 있으면서 흉부 X-선에서 이상 음영이 있는 환자만을 대상으로 했다. 폐결핵은 위의 기준에 입원 초기에 항균제 치료를 하고 입원 7일 이후에야 항결핵제가 투여된 경우만을 폐렴의 원인균으로 하였다. 혈액 배양에서 양성, 객담에서 항상균이나 M. tuberculosis가 증명된 경우, 혈청학적으로 항체가가 4배 이상 증가된 경우, 조직에서 원인균이 진단된 경우는 확정(definitive) 원인균으로 하였고, 객담에서 배양된 균이 그람 도말과 일치할때, 항결액제에 대한 반응으로 진단한 폐결핵, 단일 항체가 양성이고 이에 대해 항균제를 사용했을 때는 가능(probable) 원인균으로 정의하였다. 다세균 감염균은 각각 다 른 원인균으로 처리하였다. 임상 조사와 함께 임상병리과에서 S. pneumoniae, H. influenzae, M. catarrhalis, mycoplasma, 항상균에 대해 검사 의뢰 건수, 배양 양성수, 항균제 감수성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 폐렴의 증례 정의에 부합하지 않은 135명과 폐결핵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 230명을 제외하고 남은 246명의 평균 나이는 58.2세이고 남성이 142명(58.2%) 이었고, 71%의 환자에서 기저 질환이 있었다. 진단 방법의 시행 횟수는 혈액 배양 77.6%, 혈청 검사 18.3%, 기관지경 검사는 4.1%였고, 세균의 항원 검사를 한 예는 없었다. 원인균이 밝혀진 예는 77명(31.3%)이었다. 다세균 감염이 4명에서 있었고, 원인균의 상대적 빈도는 결핵 20명(확정 17, 가능 3: 6개 병원 자료), 폐렴구균 18(확정8 가능 10)명과 폐렴구균이 아닌 Streptococcus 3명 (모두 확정), H. influenzae 11명(모두 가능), 그람음성간균 11명(확정 7, 가능 4) (K. pneumoniae 8건), Mycoplasma 5명(확정 1, 가능 4), S. aureus 4명(확정 2, 가능 2), mucormycosis 1명(확정)이었다. 평균 입원 기간은 19일이고, 중환자실 입원률과 인공 호흡기 사용율은 각각 18%와 9.3%였다. 사망률은 13.8%였고 사망까지 평균 기간은 14.6일 이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사망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저체온과 빈호흡이었다. 임상병리과에서 배양되었던 모든 폐렴구균의 Penicillin 내성률은 서울 3개 병원에서 82-88%, 천안에서 72%였다. 폐렴 환자의 혈액에서 배양된 7주는 모두 Penicillin에 감수성이 있었다. K. pneumoniae 8주 모두 cefotaxime과 gentamicin에 감수성을 보였다. 결 론 : 후향적 조사이고 병원마다 원인균 진단에 차이가 있지만, 원인이 밝혀진 경우에는 결핵과 폐렴균이 흔하였고, 무균 부위에서 배양된 폐렴구균의 항균제 내성률은 낮았다.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가 많고, 혈청검사로 진단되는 원인균이 드물며, 분리균주가 적어 항균제 내성 정도를 추정하기 어려워, 이를 밝히기 위한 전향적 조사가 필요하다. Background :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mortality and morbidity, but its management is still challenging. The limitation of diagnostic methods to identify etiologic agents rapidly make it necessary to use empiric antibiotics in almost all patients, and furthermore the discovery of new respiratory pathogens and the emergence of antibiotic-resistant organisms pose difficulties to the selection of an empiric regimen. To clarify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optimal choice of empirical antibiotics, such as the frequency of etiologic agents, the attributable rates to death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in the community, six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one university hospital in Cheonan were participating in this study. Methods : medical records of adults (>15 years of age) hospitalized for CAP or pulmonary tuberculosis between April 1995 and March 1996, were reviewed. Patients who satisfied all of the following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study: (1) fever or hypothermia; (2) respiratory symptoms; and (3) pulmonary infiltrates on chest roentgenogram. To exclude cases of pulmonary tuberculosis whose roentgenographic features were so typical that it could be easily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pneumonia, two additional criteria were required for inclusion: antibiotic treatment during the first week of hospital admission and initiation of anti-tuberculosis medications thereafter. Organisms isolated from sterile body sites, acid-fast bacilli or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d from sputum, pathogens diagnosed by a 4-fold rising titer of antibodies to “atypical”pathogens, or pathogens revealed by histopathology were defined as definitive cause of pneumonia; isolates from sputum withcompatible Gram stain, pathogens diagnosed by a single diagnostic titer plus use of a specific antimicrobial agent, or tuberculosis diagnosed by clinucal response to anti- tuberculosis medications were considered probable cause of pneumonia. The records of the clinical microbiology were reviewed for isolates of S. pneumoniae, H. influenzae, M. catarrhalis, Mycobacterium or acid-fast bacilli, and Mycoplasma. Then the frequency of these agents,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of resiratory pathogens from all body sites, and their clinical significance were evaluated. Results: After excluding 365 patients (230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135 with CAP) who were screened for inclusion but did not meet the inclusion criteria,246 person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ir mean age was 58.2 years old with slight male predominance (58.2%), and 171(71%) patients had underlying illnesses. Blood cultures were performed on 191 (77.6%) patients and serologic tests on 44(18.3%) patients. The etiologic agents were identified in 31.3%, and the list of individual agents, in decreasing order, was pulmonary tuberculosis (17 definite and 3 probable: data of six hospitals), S. pneumoniae (8 definite and 10 probable), non-pneumococci (3 definite), aerobic gram-negative bacilli (7 definite and 4 probable), Haemophilus spp. (11 probable), mycoplasma (1 definite and 4 probable), polymicrobial infections (2 definite and 2 probable: E. coli and S. agalactiae, M. tuberculosis and S. aureus, S. pneumoniae and H. influenzae and A. baumannii and K. pneumonias), S. aureus (2 definite and 2 probable) , and mucormycosis (1 definite). Among gram-negative bacilli,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agent (8isolates). therates of 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and of using assisted ventilation were 18% and 9.3%, respectively. The mortality was 13.8%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ypothermia and tachypnea were associated with death. Hospital stay averaged 19 days. Susceptible rates of S. pneumoniae isolated from all body sites to penicillin ranged from 8% to 28% but seven isolated from blood of patients with pneumonia were susceptible to penicillin. Also all 8 isolated of k> pneumoniae from patients with pneumonia were susceptible to cefotaxime and gentamicin. Conclusion: In Korea, in addition to S. pneumoniae, M. tuberculosis is an important agent causing community-acquired pneumonia. The low incidence of etiologic diagnosis is probably related to infrequent requesting of test "atypical" pathogens and does not represent the true incidence of infections by "atypical" pathogens, which well be answered by a prospective study.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of major respiratory pathogens from sterile body sites are low, however, because of a small number of the isolates this result needs confirmation by a nationwide surveilla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 KCI등재후보

        일부 부인과 양성 질환자의 지방조직 및 혈청의 PCBs와 DDE 농도

        박성균,이강숙,노영만,구정완,민선영,한진구,고원경,김미란,정재근,이종승,김진홍 大韓産業醫學會 2000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2 No.1

        목적 : 본 연구는 지방조직과 혈청의 PCBs와 DDE 농도를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유방암, 자궁내막증 등 유기염소계 화합물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호르몬 관련 질병을 제외한 부인과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지방조직과 혈청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령, 교육수준, 직업, 비만도, 흡연과 음주, 출산력, 수유력등을 조사하였다. 지방조직과 혈청의 PCBs와 DDE 농도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지방조직의 경우, 13개 PCBs congeners 농도의 합은 중앙값이 48.29 ng/g, 기하평균값이 56.78 ng/g이었고, DDE 농도는 중앙값이 142.89ng/g, 기하평균값이 117.06 ng/g이었으며, 혈청의 경우는 PCBs congeners 농도의 합은 중앙값이 4.67 ㎍/L, 기하평균값이 4.85 ㎍/L이었고, DDE 농도는 중앙값이 1.75 ㎍/L, 기하평균값이 2.09 ㎍/L로 나타났다. 지방조직과 혈청의 DDE 농도 사이는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r²=0.310, p=0,0002), PCBs는 상관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r²=0.029, p=0.2582). 영향요인을 범주화한 후 로그변환 시킨 지방조직과 혈청의 PCBs, DDE 평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방조직의 DDE만이 출산자녀수(p=0.015), 초산연령 (p=0.014), 비만지수(p=0.035)와 연관성이 발견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지방조직의 DDE는 출산자녀수가 적을수록, 초산연령이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출산자녀수와 초산연령, 비만도가 지방조직의 DDE와 관련성을 보였으며, 또한 유기염소계 화합물의 장기간의 노출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혈청보다 지방조직이 더 유용한 생물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purpos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PCBs and DDE in adipose tissue and serum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 with factors affecting these levels. Methods : We analyzed adipose tissues and sera from 52 gynecologic benign disease patients aged 27-78 years, except hormonal diseases such as breast cancer and endometriosis. We also surveyed age, education, occupation, body mass index (BMI), smoking, drinking, number of children,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by questionnaires. Tissue and serum levels of PCBs and DDE were measured using gas chromatography. Results : The median and geometric mean levels of PCBs were 48.29 ng/g, 56.78 ng/g for adipose tissue and 4.67 ㎍/L, 4.85 ㎍/L for serum, and those of DDE were 142.89 ng/g, 117.06 ng/g for adipose tissue and 1.75 ㎍/L, 2.09 ㎍/L for serum, respectively. Adipose tissue and serum levels for DDE showed high correlation (r²=0.310, p=0.0002), but those of PCBs didn't (r²=0.029, p=0.2582). In analyses of the differences of the means of log transformed adipose tissue and serum PCBs and DDE levels for groups of potential covariates, only adipose tissue DDE lev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umber of children (p=0.015), age at first birth (p=0.074) and BMI (p=0.035).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dipose tissue DDE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decreasing number of children and increasing age at first birth.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ed that parity and adiposity were associated with levels of DDE in adipose tissue, and adipose tissue is a better biomarker than serum for evaluating the long-term exposure of organochlorines.

      • KCI등재후보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증에서 Cefepime 단독투여와 Ceftazidime 및 Tobramycin 병합투여의 효능비교

        정현욱,채제욱,강미라,양정채,문치숙,기현균,장현하,오원섭,김기현,백경란,이남용,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6

        목적 : 국내에서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증이 있는 악성 종양환자에게 경험적 항생제로 베타락탐계 항생제와 아미노배당체의 병합요법의 사용이 일반적이다. Cefepime은 광범위 항균 작용을 가지고 있어, 그람 음성균 뿐만 아니라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재료 및 방법: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증이 있는 악성 종양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공개, 비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를 무작위로 cefepime 단독요법군과 ceftazidime 및 tobramycin 병합요법군으로 나누어 투여하고 각각의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비교하였다. 구강및 인후 점막염이 있는 환자에서 분리된 녹색 연쇄알 구균에 대한 항생제 내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환자 89명 중 CA 투여군이 48예(53.9%), CT 투여군이 41예(46.1%)이었다. 발열의 유형별로 MDI는 18예(20.2%), CDI는 9예(10.1%), UF는 62예(69.7%)로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CA 투여군과 CT 투여군의 임상적 호전률은 시험약 투여 후 2-4일째 각각 91.7%, 85.4% (P=0.31), 치료 종료 시 각각 91.7%, 100% (P=0.15)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 종료 시 CA 투여군과 CT 투여군의 세균학적 소실률은 모두 100%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78). 점막염이 있는 환자로부터 녹색 연쇄알 구균이 분리된 경우는 25예(28.1%)이었으며, 분리된 녹색 연쇄알 구균은 penicillin, ceftriaxone, cefepime, vancomycin에 모두 감수성을 보였다. 약제 관련 이상 반응의 발생 빈도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증이 있는 악성 종양환자의 경험적 항생제로서 cefepime 단독요법은 ceftazidime 및 아미노배당체의 병합요법만큼 효과적이고 안전하였다. Background : Broad-spectrum antibiotic therapy has been recommended as an empirical regimen in cancer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Cefepime is a fourth generation cephalosporin with good activity against both gram-positive cocci and gram-negative bacilli. Materials and Methods : To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cefepime alone with ceftazidime plus tobramycin as empirical regimen for adult cancer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a randomized, open label, comparative trial was performed. If the patient showed clinical improvent 72 hours, antibiotic could be changed to oral ciprofloxacin.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responses were determined at 72 hours and at the end of therapy.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iridans streptococci, swab cultures were obtained from throat in all enrolled patient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were performed by using microdilution method according to the NCCLS. Results : A total of 89 patients were enrolled. Forty-eight patients received cefepime alone (CA), and 41 patients received ceftazidime plus tobramycin (CT). Demographic and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P>0.05). The initial clinical success rate at day 2-4 in group CA (91.7%) was similar with that in CT group (85.4%) (P=0.31). At the end of therapy, the final clinical success rate in CA group (91.7%) was similar to that in CT group (100%) (P=0.15). In 18 patients, with microbiologically defined infections, the eradication rate was 100% in both groups. Adverse events including liver dysfunction (21.3%) and renal dysfunction (2.2%), were similar in both groups (P=0.87). Viridans streptococci were isolated from the throat cultures in 25 cases, and all of these strains were susceptible to penicillin (MIC_(90) 0.12 ㎍/mL), cefepime (1 ㎍/mL), and vancomycin (0.12 ㎍/mL). Conclusion : Efficacy and safety of cefepime monotherapy was comparable to the combination of ceftazidime and tobramycin. It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empirical regimen for treating cancer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 KCI등재후보

        연쇄알구균 감염에 의한 급성 인후염 후 반응성 관절염 1예

        박은하,도연실,양정채,강미라,서현주,정숙인,손준성,기현균,오원섭,백경란,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6

        연쇄알구균에 의한 급성 인후염 후 발생한 반응성 관절염은 급성 류마티스열의 개정된 진단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서, 지속적 혹은 재발성의 비이동성 관절염과 발열, 홍반성 결절, 일시적 간기능 이상 등을 보이면서 심장염과 무도증을 드물게 동반하는 질환이다. 따라서, 발열을 동반한 급성 관절염 환자에서 감별해야 할 질환 중의 하나이며, 심근염 예방을 위한 페니실린 요법의 적응증 및 기간에 대해서는 아직 이론이 많은 상황으로,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연쇄알구균에 의한 급성 인후염 1주 후에 발생한 하지의 다발성 비이동성 관절염과 함께 결절홍반 및 일시적 간기능 이상을 보인 환자에서 PSRA로 진단하고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및 스테로이드로 성공적인 치료를 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oststreptococcal reactive arthritis (PSRA) is associated with recent streptococcal infections. However, PSRA is distinct from acute rheumatic fever by its clinical manifestations: non-migrating arthritis, erythema nodosum or erythema multiforme, and transient elevation of serum transaminases. We experienced a 33-year-old man who presented with fever, arthritis of both knees and ankles, and erythema nodosums on extensor surfaces of lower legs which developed 6 days after the onset of pharyngitis symptoms. Blood and urine cultures were negative. Throat culture was negative for 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us. The ASO titers increased up to 2080 IU/mL in sequential monitoring. The result of bone scan was compatible to arthritis of both knees and ankles. There were no signs or symptom of carditis. He showed clinical improvement with anti-inflammatory drugs (naproxen 1,000 mg/day and prednisolone 7.5 mg/d). PSRA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atients presenting with arthritis combined with fever.

      • 토끼 수막염 모델을 이용한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대한 Meropenem의 치료 효과

        김신우,진정화,강수정,정숙인,김연숙,기현균,김춘관,이혁,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1

        목적 :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은 기존과 단일 항생제로는 근치가 어려워 ceftriaxone과 vancomycin 혹은 rifampin의 병용요법이 권유되고 있다.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약제 중 meropenem은 시험관내 폐렴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좋고 경련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거의 없어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이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연자 등은 meropenem과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이 다제내성 폐렴구균 수막염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토끼 수막염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인체에서 수막염을 일으킨 다제내성 폐렴구균 균주(penicillin MIC 2, ceftriaxone MIC 4, meropenem MIC 0.5㎍/㎖)를 토끼 척수강 내에 직접 주입하여 수막염을 유발한 후 ceftriaxone, vancomycin, rifampin, meropenem의 단일 항균요법, ceftriaxone+vancomycin, ceftriaxone+rifampin,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 간에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각 치료군은 6 마리의 토끼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항생제는 5 시간 간격으로 2번 정주하였으며, ceftriaxone은 1회 투여하였다. 균주 주입 후 각 치료군이 토끼에서 치료 후 0, 5, 10, 24 시간에 척수액을 채취하여 균주의 수를 측정하여 24시간째의 살균 여부를 최종 치료 효과로 판정하였다. 결과 : meropenem 단독 요법은 10시간째에 모든 균주를 살균하였으나 24시간 째에 다시 균의 성장이 관찰되었으며,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단독 약제보다 우수한 살균효과를 보였으나 상승작용은 없었다. 결론 :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기존의 ceftriaxone+vancomycin보다 24시간째에 더 큰 균의 감소 경향을 보여(P=0.054) 임상에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실제 수막염 환자에서의 임상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Because antimicrobial monotherapy for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trains is not satisfactory, ceftriaxone+vancomycin [C+V] or ceftriaxone+rifampin [C+R] regimens are recommended. Meropenern [M] is one of the monotherapy options for penicillin-resistant pneumococcal meningitis due to good in-vitro activity against pneumococci and rare adverse reactions in CNS. But there have been few reports in the efficacy of meropenern against pneumococcal meningitis. We evaluated therapeutic efficacy of the meropenern and meropenem+vancomycin in a rabbit model of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PRSP). Methods : Meningitis was induced by intracistemal inoculation of a pneumococcal strain isolated from a patient with meningitis (MIC; penicillin 2, ceftriaxone 4, meropenem 0.5 g/㎖). Bacterial concentrations in the CSF were measured at 0, 5, 10, and 24 h after therapy was started. Therapeutic efficacy was evaluated by the final bacterial concentration in the CSF at 24 h. Results : C+V cleared the CSF at 10 h, but regrowth of bacteria was noted at 24 h. Meropenem monotherapy resulted in sterilization at 10 h but regrowth at 24 h. M+V was superior to M or V monotherapy but did not show synergism. Therapeutic efficacy of M+V was at least equal or superior to that of C+V (P = 0.054). Conclusion : Meropenem+vancomycin regimen could be one of the useful options in the treatment of PRSP meningitis. Clinical trials to evaluate the M or M +V are warranted in the future.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한 저위험군 발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구 항균제 요법의 임상적 유용성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김연숙,이혁,기현균,김춘관,김신우,김성민,백경란,김원석,윤성수,이홍기,강원기,박찬형,박근칠,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1

        목적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을 동반한 발열이 발생하는 암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항균제와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합병증과 사망률의 발생가능성이 적은 저위험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기 72시간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구 항균제로 전환하는 요법의 유용성과 안정성을 평가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8년 2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본원에서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이 발생한 환자들 가운데 기저 암질환이 고형암이거나 림프종이고, 입원당시 패혈증의 증후가 없으며 입원 72시간이내에 해열되고 백혈구수치가 증가 추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72시간 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우 ciprofloxacin 750㎎을 하루 2회씩 투여하여 총 4일간 투여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열이 떨어지고 호중구감소증이 회복될 때까지 입원하도록 하였다. 결과 : 총 38명 환자의 40예가 등록이 되었고, 환자들의 기저암 질환은 고형함이 72.5%, 림프종이 27.5%였다. 입원당시 평균 호중구치수는 156/㎕였고, 호중구수치가 100/㎕미만인 경우는 65%였으며, 호중구감소증이 지속된 기간의 평균은 2.4일이었다. 40예 중 39예가 항균제의 변형이나 추가 없이 호중구감소증과 발열로부터 회복이 되어 97.5%의 성공율(95% 신뢰구간: 86.8-99.9%)을 보였다. 부작용으로 피부발진이 있었던 경우가 한 예 있었는데, 증상이 경하여 경구 항균제를 지속할 수 있었다. 심와부의 동통으로 복용을 지속할 수 없어서 대상에서 제외된 예가 또 한 예 있었다. 결론 : 항암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을 동반한 환자들 가운데 저위험군 환자들에서 항균제 72시간정주 이후 경구 항균제로의 전환요법은 효과적이고도 안전한 치료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Oral antibiotic therapy following empirical intravenous antibiotics may be effective and safe for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ith lowrisk for complications. Methods : We conducted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of oral antibiotic therapy in the patients with neutropenia and fever during chemotherapy for cancer. Underlying malignancies were solid tumor or lymphoma with short duration of neurtropenia and the patients had no evidence of clinically or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s. Oral ciprofloxacin was given to the patients who lacked signs of sepsis on admission, had a rising tendency of neutrophil count (ANC >100 /㎕ ) at 72 hours, and were afebrile at 72 hours. All patients were hospitalized until neutropenia and fever resolved. Results : A total of 40 episodes of 38 patients were enrolled from February 1998 to September 1999. The mean neutrophil counts on admission were 156/㎕ and the mean duration of neutropenia was 2.4 days. The episodes which had neutrophil count below 100 /㎕ were 26 (65%). Treatment was successful in 39 of 40 episodes (97.5% : 95 % confidence interval, 86.8% to 99.9%). Adverse reactions of oral ciprofloxacin were skin rash and epigastric soreness in two cas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deaths during the study. Conclusions : For low-risk febrile patients with neutropenia during cancer chemotherapy, switch therapy to oral ciprofloxacin at 72 hours following intravenous broad-spectrum antibiotics is effective and sa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