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Norfloxacin 및 ciprofloxacin의 호기성 그람음성 간균 및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
정윤섭,김현옥,이삼열 대한화학요법학회 1988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6 No.2
Activities of norfloxacin and ciprofloxacin against aerobic gram-negative bacilli and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in 1988 were tested by the agar dilution method. MICs of ciprofloxacin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norfloxacin. All of the isolates of Enterobacter iaceae with the exception of some Serratia marcescens were inhibited by very low concentrations of the quinolones. Some of the Pseudomonas aeruginosa and P. maltophilia isolates were inhibited by higher concentration. Some of the Acinetobacter anitratus isolates were inhibited by high concentration of norfloxacin, but MIC of ciprofloxacin was low. Norflorxacin-resitant P. aeruginosa isolates were also resistant to ciprofloxacin, but gentamicin-resistantnt gramnegative bacilli and methicillin-resitant S. aureus did not show cross resistance to the quinolones.
Ampicillin과 Chloramphenicol 내성 Salmonella typhimurium 분리의 증가
정윤섭,한상순,권오헌,이삼열,정태화,Chong, Yun-Sop,Han, Sang-Soon,Kwon, Oh-Hun,Lee, Samuel.Y.,Jung, Tae-Hwoa 대한미생물학회 1987 大韓微生物學會誌 Vol.22 No.1
Salmonella typhi infection, which was the most frequent enteric infection in Korea, has been decreasing, while the infection of other serogroups of Salmonella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later part of 1970s. In 1986, the number of serogroup B isolated by us increased to 46, which corresponds 21.1% of all enteropathogenic bacteria isolated from stool specimens. Salmonella isolates resistant to antimicrobial agents were extremly rare in Korea, in the 1970s. However, 7 of 13 serogroup B isolates showed resistance to ampicillin or to chloramphenicol in 1984. Among the serogroup B isolates in 1986, 71.7% and 69.6%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and to chloramphenicol respectively.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ampicillin and chloramphenicol against these isolates were >$128\;{\mu}g/ml$ and $128\;{\mu}g/ml$ respectively.
Rapid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 Gas Liquid Chromatography
정윤섭 대한감염학회 1983 감염 Vol.15 No.1
검체를 기계에 넣자마자 결과가 나오는 자동화된 혈액검사나 화학검사 방법이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결과를 더 빨리 알수 있어야 될 미생물 검사에 있어서는 외국에 있어서도 병원체를 분리하여 동정하거나, 항체가의 상승을 증명하는 느린 전통적인 방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적당한 시기에 검체를 채취하지 않으면 세균의 분리는 불가능하고, 양성 결과를 얻게되는 경우에도 긴 배양과 동정기간이 필요하게 된다. 혈청검사로 항체가의 상승을 증명하려면 더욱 긴 시간이 소요되며, 따라서 임상진단을 확인하는데 쓰일 정도이다. 신속한 미생물 검사법으로는 전통적 방법의 개량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즉 electric impedence의 변화를 관찰하여 혈액배양이나 요배양에서 세균의 존재를 빨리 알아내는 Bactometer(Bactometric Inc, Palo Alto)나 ??로 표지된 배지 성분을 써서 세균이 ??를 생성함을 알아내어 빠른 혈액배양 결과를 얻으려는 Bactec system(Johnston Lab, Cokeysville, Md.) 등이 있다. 분리된 세균의 신속한 동정을 위한 Micro-ID(General Diagnostics, Morris Plains, N.J.), Rapid 20E(Analytab Products Inc, Plainview, N.Y.) 등의 kit, MS-2(Abbott Diag. Div. Dallas), AMS(Vitex Incorp., St. Louis)의 기계도 근본적으로는 재래식 생화학적 동정법의 개량이라고 하겠다. 어떠한 감염에 있어서나 신속한 미생물 검사가 바람직한 것이지만, 특히 수막염과 패혈증의 경우에는 신속한 치료만이 환자의 생명을 구할수 있으므로 전통적인 느린 미생물 검사를 탈피하여 높은 양성율과 신속한 결과를 얻으려는 것이 근래의 노력이다.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중에서?(Table 1) 오래전부터 쓰인 것은 그람염색이고, 유망하게 생각되는 것은 counter immunoelectrophoresis(CIE), redioimmunoassay(RIA), enzyme-linked immunoassay(ELISA)등이다. latex agglutination 과 coagglutination은 검사실의 도움없이도 할 수 있을 정도로 간편한 것이 장점이다?. Gas liquid chromatography(GLC)는 척수액중의 lactate검출로 세균성 수막염의 감별에 이용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체액중의 세균 검출에도 이용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의 실험실에서도 GLC법으로 혐기성 세균을 동정하여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환자의 검체를 직접 GLC로 분석하여 세균감염을 신속히 알아내는 일은 시도한바 없다. 이러한 실험을 위하여는 저자가 쓰는 thermal conductivity detector(TCD)방식 이외의 더 예민한 기기를 필요로 한다. 저자가 받은 제목은 GLC를 이용한 rapid diagnosis이지만 이 방면의 경험이 없으므로 부득이 문헌고찰로 대신하고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