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

        Amino-Functionalized Mesoporous Silica Particles for Ocular Delivery of Brimonidine

        Kim, Se-Na,Ko, Song Ah,Park, Chun Gwon,Lee, Seung Ho,Huh, Beom Kang,Park, Yoh Han,Kim, Young Kook,Ha, Ahnul,Park, Ki Ho,Choy, Young Bin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8 MOLECULAR PHARMACEUTICS Vol.15 No.8

        <P>To treat glaucoma, conventional eye drops are often prescribed. However, the eye drops have limited effectiveness as a result of low drug bioavailability due to their rapid clearance from the preocular space. To resolve this, we proposed amino-functionalized mesoporous silica (AMS) particles as delivery carriers of the glaucoma drug, brimonidine. Because of the presence of mesopores, brimonidine (BMD) could be encapsulated in the AMS with a loading amount of 41.73 μg/mg (i.e., drug loading capacity of about 4.17%) to give the BMD-AMS, which could release the drug in a sustained manner over 8 h. BMD-AMS was also shown to be mucoadhesive due to the presence of both hydroxyl and amino groups in the surface, allowing for formation of hydrogen bonds and an ionic complex with the mucin,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opically administered to rabbit eyes in vivo, BMD-AMS could reside in the preocular space for up to 12 h because of its adherence to the mucous layer. To assess in vivo efficacy, we examined the variance in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brimonidine concentration in the aqueous humor (AH) after applying BMD-AMS to the eye, which was compared with that induced by Alphagan P, the marketed brimonidine eye drops. For BMD-AMS, the duration in the decrease in IOP and the area under the drug concentration in the AH-time curve (AUC) were 12 h and 2.68 μg·h/mL, respectively, which were about twice as large as those obtained with Alphagan P; this finding indicated enhanced ocular bioavailability of brimonidine with BMD-AMS.</P> [FIG OMISSION]</BR>

      • KCI등재

        In vivo study for the hemostatic efficacy and foreign body reaction of a new powder-type polysaccharide hemostatic agent

        Yoonhyeong Byun,Eun Jin Kim,Areum Lee,Young-Ah Suh,Hee Ju Sohn,Jung Min Lee,Jae Seung Kang,Yoo Jin Choi,Youngmin Han,Hongbeom Kim,Wooil Kwon,Jin-Young Jang 대한외과학회 2022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102 No.2

        Purpose: Various hemostatic agents have been introduced in therapy as postoperative bleeding is a poor prognostic factor for postoperative outcomes. These products can be divided into those that directly promote the hemostatic cascade and those that physically form a barrier by absorbing blood. The latter, powder-type hemostatic agents have the advantages of being inexpensive and more absorbable with less foreign body reactions (FBRs) and are applicable to a relatively wide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afety and efficacy of a newly invented polysaccharide product (OOZFIX, Theracion Biomedical), which improves blood absorption and hemostatic effects. Methods: Two separate anim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first evaluated FBRs histologically at 3 days, 2 weeks, and 4 weeks, after implantation of OOZFIX in rats, and the second compared hemostatic performance of OOZFIX and Arista AH (Bard) in the porcine liver punch biopsy model. Results: We found minimal FBRs in the 3-day group and no reactions in both the 2-week and 4-week groups after implantation of hemostatic agents. The time to hemostasis of OOZFIX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Arista AH (median [interquartile range]: 9 [6–10] minutes vs. 8 [6–10] minutes, respectively; P = 0.522). When comparing the serial bleeding grade tendency,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OOZFIX and Arista AH (P = 0.656). Conclusion: OOZFIX caused a minimal FBR that disappeared within 2 weeks in vivo, and its hemostatic performance was comparable with that of an existing agent, Arista AH. Further clinical studies are required in the future.

      • 치료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Issues and Future Delivery System

        안수경,김영태,전헌선,정동일,한현민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5

        본 연구는 2005년 3월 특수교육진흥법 개정에 의하여 특수학교 치료교육교사의 확대배치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의 치료교육 담당교원 배치 등 치료교육 분야의 발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개정법률이 실제 교육현장에 보다 실효성있게 적용되기 위하여 우리나라 특수교육 공교육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치료교육활동의 실태와 요구를 파악하고 보다 적합한 치료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찾고자 한 정책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치료교육의 개념, 역사, 외국 사례 등에 관한 문헌을 탐색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치료교육의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 치료교육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를 위하여 전국의 142개 특수학교와 182개 지역교육청을 대표하는 1,078명의 교사들로 조사단을 구성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 결과 전국의 16개 시·도교육청에 소속된 142개 특수학교 중 140개 특수학교에서 설문응답에 참여하였으며, 182개 모든 지역교육청에 소속된 교사들이 설문응답에 참여하여, 총 1,046부의 설문지가 수합되었음을 밝힌다. 이 조사를 통하여 치료교육 담당인력의 양적 부족, 치료교육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합의 부족으로 인한 교육실제 상의 혼란이 현 특수학교 치료교육의 대표적인 문제로 제기되었으며, 특수아동 요구의 다양성과 치료교육의 효과성을 동시에 충족하기 위한 치료교육 담당교원의 자격제도 및 배치방법의 해결과 치료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공간 확보의 문제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치료교육을 위한 주된 요구로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섯 명의 연구진 중 대학에 재직 중인 세 명의 공동연구자들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치료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조명하였다. 따라서 세 가지의 큰 학문적 흐름을 가지고 방안이 주창되었으나, 그 방안 속에서 논해진 구체적인 하나하나의 제안들은 각자의 학문적 입장에서만이 아니라 다양한 현실적 상황을 고려하여 심사숙고된 결과임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맺는 말에서는, 일단은 특수교육진흥법과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교육서비스로서 행해지고 있는 치료교육 시스템의 견고한 틀 안에서의 개선을 논하는 것이 최선일 것으로 보고, 세 가지 큰 흐름의 방안들에서 최소한의 공통되는 제안들을 다음과 같이 종합하였다. 우선 첫째, 치료교육 교사 양성에 있어서의 전공 분야 세분화가 필요하다. 둘째, 기존의 치료교육 교사들이 세부 전공 영역의 전문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보완적 교육이 행해져야 한다. 셋째, 특수교사로서의 치료교육교사에 의한 치료교육 제공을 교실교육과 순회교육을 기본 원칙으로 하되, 순회가 불가능한 지역이나 일반학교 일반학급, 일반 유치원 내의 특수아동들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교육기관 외의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치료사 인력들을 활용할 수 있는 권역별 인력풀 제도를 마련한다. 넷째, 특수교육과 치료교육의 관계 및 내용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근본적인 재조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actice of the therapeutic education in Korea.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332 therapeutic educators, 367 special school teachers, and 347 special classroom teacher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mmarized and discussed by three of the researchers based on their academic standpoints. The problems of current therapeutic education analyzed by this study are the lack of therapeutic educators, confused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rapeutic education, low professionalism of the therapeutic educators, and the lack of space to carry out therapeutic education in general schools, etc. The common suggestions from the three researcher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urses of universities for training therapeutic teachers have to be more specialized. Second, some kind of training programs for the existing therapeutic teachers are needed to get them more specialized certificates. Third, the community human resource pool including not only therapeutic teachers but also professional therapists should be available. Fourth, the identity of the therapeutic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delivery system needs to be reestablished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 제대혈 채취 후 유로키나제의 첨가가 제대혈 적혈구 제거시 조혈모세포의 수득률에 미치는 영향

        이영호,박현우,이영아,한훈,김경희,한진영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1

        목적:제대혈 채취 후 24시간이 경과하여 적혈구를 제거하는 경우에 제대혈내의 응고계 및 섬유소 융해계의 변화로 인하여 clumping이나 미세혈전 등이 생겨 유핵세포나 CD34+ 세포의 수득률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항응고제가 처리된 제대혈이라 할지라도 제대혈 분리 전에 urokinase를 첨가하면 조혈모세포의 수득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전혀 없는 상태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간이 경과된 제대혈에 urokinase를 첨가하는 것이 효과가 있는지, 있다면 얼마의 용량이 적절한지 알아보기로 하였다. 방법:1) 채취한 후 48시간 경과된 제대혈에 대한 분석: 15례의 제대혈을 채취하여 채취 직후와 48시간 후에 10% pentastarch로 적혈구를 분리한 다음, 총유핵세포수와 CD34+ 세포수를 측정하여 수득률을 비교하였다. 48시간이 경과한 검체에 대하여 urokinase는 제대혈 분리 30분 전에 첨가하였으며, urokinase를 첨가하지 않은 군과 urokinase 5,000 IU/mL, 10,000 IU/mL, 50,000 IU/mL을 첨가한 네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수득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2) 채취한 후 24시간이내의 제대혈에 대한 분석: 12례의 제대혈을 채취한 직후에 적혈구를 분리하여 총유핵세포수와 CD34+ 세포수, CFU-GM 집락수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검체를 6시간, 12시간, 24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한 후 상기 실험 결과 가장 효과적인 용량의 urokinase를 첨가한 군과 첨가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각각 적혈구를 분리한 다음, 총유핵세포수와 CD34+ 세포수, CFU-GM 집락수를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1) 제대혈 채취 48시간 후에 urokinase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urokinase 5,000 IU/mL를 첨가한 경우 총유핵세포수의 차이가 없었지만, urokinase 10,000 IU/mL, 50,000 IU/mL를 첨가한 경우에는 urokinase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총유핵세포수의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다(P=0.0024, P=0.0009). 2) 제대혈 채취 48시간 후에 urokinase 5,000 IU/mL이나 50,000 IU/mL를 첨가한 경우에는 urokinase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CD34+ 세포수의 차이가 없었지만, urokinase 10,000 IU/mL를 첨가한 경우에는 urokinase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CD34+ 세포수의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다(P=0.0402). 3) Urokinase 10,000 IU/mL를 첨가하였던 군이나 첨가하지 않았던 군 모두에서 제대혈 채취 즉시 적혈구를 분리하였던 경우에 비하여 6시간, 12시간, 24시간이 경과할수록 총유핵세포수, CD34+ 세포수, CFU-GM 집락수가 약간씩 감소하였으나 시간경과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또한 제대혈 채취 24시간 이내에는 각 시간대별로 urokinase 10,000 IU/mL 첨가 유무에 따른 총유핵세포수, CD34+ 세포수, CFU-GM 집락수의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채혈한지 48시간 경과된 제대혈을 냉동 보관해야 하는 경우에는 urokinase 10,000 IU/mL를 첨가하고 30분 후에 적혈구를 분리하는 것이 유핵세포와 CD34+ 세포의 수득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며, 24시간 이내에 적혈구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urokinase를 첨가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We assessed whether the urokinase could increase the yield of progenitor cells during processing in elapsed, even anticoagulated, cord blood after collection, and also determined the optimal dosage of urokinase. Methods:Twenty-seven cor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with ACD-coated syringes from umbilical cord vein after full-term vaginal delivery, and red cells were depleted with 10% pentastarch. We assessed the effect and optimal dosage of urokinase by comparing total nucleated cell (TNC) counts and CD34+ cell counts between fresh and 48 hour-elapsed cord bloods. The urokinase was administered to the 48 hour-elapsed cord bloods 30 minutes before separation as the dose of 0 IU/mL, 5,000 IU/mL, 10,000 IU/mL and 50,000 IU/mL, respectively. Thereafter, by using the most effective dosage of urokinase, we also assessed the effect of urokinase in the 6, 12 and 24 hour-elapsed cord bloods. Results:The TNC counts after separation in 48 hour-elapsed cord bloo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10,000 IU/mL and 50,000 IU/mL of urokinase treated samples than untreated and 5,000 IU/mL treated samples. The CD34+ cell cou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10,000 IU/mL of urokinase treated samples than untreated and 5,000 or 50,000 IU/mL treated samples. In 6, 12 and 24 hour-elapsed cord blood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NC count, CD34+ cell count and CFU-GM count between 10,000 IU/mL of urokinase treated samples and untreated samples . Conclusion: The addition of 10,000 IU/mL of urokinase before separation of 48 hour-elapsed, even anticoagulated, cord bloods could increase the yield of progenitor cells. However, there are no advantage of urokinase for processing of cord bloods not elapsed 24 hours after collection.

      • KCI등재

        Miniscrew implant를 이용한 상악 구치부 압하와 개방교합 치료의 효과 및 안정성

        이한아,박영철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1

        최근 절대적인 고정원의 등장으로 다른 부작용 없이 구치부 압하 치료를 가능하게 하였고, 비수술적으로 개방교합의 심미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법의 장기적인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iniscrew implant를 이용하여 상악 구치를 압하시켜 치료한 성인 개방교합 환자 11명 (남자 1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 그리고 유지기의 골격성, 치아 치조성 변화를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계측치의 치료 전후 변화량간의 상관관계와 치료에 의한 변화량과 재발량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상악구치의 압하를 통해서 개방교합을 치료할 때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 상악 구치는 2.22mm 압하(P < 0.001)가 일어났고, 평균 17.4개월 유지 후 0.23 mm의 정출(P = 0.359)이 나타났으며, 재발율은 10.36%로 나타났다. 전치부의 수직피개는 평균 5.47 mm의 증가(P < 0.01)가 나타났고 평균 17.4개월 유지 후 0.99 mm의 감소(P < 0.05)가 나타나서, 재발량은 18.10%로 계산되었다. 치료 전후 수치 변화량의 상관분석을 통해 상악구치 압하량과 하악 평면각 변화량이 상관관계(P < 0.05)가 있었다. 치료 전의 개방교합량, 하악 평면각, 전하안면고경과 치료 후의 수직피개 재발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상악 구치 압하량과 수직피개 개선량에서 치료에 의한 변화량과 재발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를 토대로 재발량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성인 개방교합 환자에서 miniscrew implant를 이용한 상악구치부의 압하는 비수술, 심미적 접근방법으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치료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keletal and dentoalveolar changes after intrusion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using miniscrew implants during the treatment and posttreatment period.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11 adults (1 male, 10 females) whose open bites were treated by posterior teeth intrusion with miniscrew. The lateral cephalometric x-rays of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the retention period were evaluated. Results: The average intrusion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at the end of the treatment period was 2.22 mm (P < 0.001) and the average extrusion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at the end of the 17.4 month retention period was 0.23 mm (P = 0.359). The relapse rate was calculated at 10.36%. A decrease in overbite after the 17.4 month retention period was 0.99 mm (p < 0.05). The relapse rate was calculated at 18.10%. The skeletal changes and vertical height change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during the retention period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overbite (mean 0.99 mm, P < 0.05). The amount of intrusion and the overbite improvement from treatment significantly correlates to the degree of relapse.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intrusion of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using miniscrews is an effective, non-surgical treatment modality which can reasonably be used to address adult open bite.

      • 침 시술로 발생한 Non-O1, Non-O139 Vibrio cholerae에 의한 패혈증

        임태섭,지아영,이중희,장수연,김인수,김영주,김범경,김승업,박준용,안상훈,한광협,김도영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01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6 No.S

        Vibrio cholerae is mainly known to cause gastrointestinal infection after seawater exposure or raw seafood intake. It is rarely reported to cause cellulitis or sepsis, but threre has been no known case after acupuncture. Herein, We report a 56-year-old cirrhotic patient of non-O1, non-O139 Vibrio cholerae septicemia caused by cellulitis of both lower extremities after acupuncture.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현황과 전망

        임종한,장성실,김성아,문재동,채창호,홍윤철,김수영,김진석,김영욱,한상환,이혜숙,원종욱,송동빈,하은희,강성규 대한산업의학회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2

        기존의 특수건강진단과 작업환경측정을 통한 직업병 관리가 진폐증, 소음성난청 등의 소수 특정질환에 국한되고 실제 직업병 발생 규모 파악이나 신종 직업병의 발견에 한계를 보인다는 사실은 산업의학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공감을 이루고 있다. 미국과 영국 등에서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에 대한 경험은 우리 나라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에도 새로운 자극제가 되면서, 1998년이후 인천, 대전, 여천, 구미, 부울경 지역에서 지역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산업보건관리의 중요한 시스템으로 구축하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새로이 구축되어지는 이들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는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질환, 활용 가능한 인적자원 및 자료원, 지역 의료체계의 특수성 등에 따라서 목적과 방법을 달리하면서 독특한 형태로 발전을 하고 있다. 각 지역단위 감시체계들이 그 상황에 맞게 독특한 목적과 전략들을 발전 시키면서도, 향후 발전할 국가적인 차원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을 위하여 직업성질환 감시의 기본 전략 등을 공유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환례 정의 및 기본적인 등록 서식의 공유, 직업성질환 감시 자료원의 발굴, 공동의 정보 네트워크 및 직업성질환 감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직업성질환 감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기초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수집된 자료의 질 관리를 위한 직업성질환 감시의 원칙 제정과 감시 전략의 공유 등이 필요하며, 전국적인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하부구조라고 할 수 있는 지역감시체계의 기초 토대 마련과 강화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 갑상선 유두암이 병발된 가족성 대장 용종증 1예

        백종현,소창배,이은영,이지숙,신은경,박은호,서정아,양재홍,송준영,박선자,박요한,최영식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7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2 No.2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FAP) is an autosomal dominant syndrome, typically characterized by multiple colorectal adenomas and increased incidence of colorectal carcinomas if it is not treated. Moreover, a variety of extracolonic manifestation are seen. The prevalence of thyroid tumors developing in patients with FAP is about 1∼2%. Generally, papillary thyroid cancer indicates low mortality but ,however, as people get older, the cancer becomes more aggressive. So, the operation is required.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FAP, presenting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nd repor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